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5126.JPG


오랜만에 올리는 오므라이스.
오므라이스 소스를 3리터씩 만들어 두고 오므라이스며 함박스테이크를 여전히 자주 해먹기는 한데 오믈렛 굽는 것이 아직도 조금 어렵다.

사용한 재료는 약 2인분으로

볶음밥으로

밥 2그릇

대파 2대

당근 3분의1개

다진마늘 1스푼

햄 150그램

버터

소금, 후추, 굴소스 약간씩

 

오믈렛으로

계란 8개, 생크림 8스푼, 소금약간


오므라이스소스 1인분에 1~1.5국자




물을 약간 적게 잡고 고슬고슬하게 지은 다음 종이호일에 밥을 널어 놓고 식혀두었다.

다 식고 나면 마르지 않게 다시 밥솥에 넣고 종이호일로 덮어두었다.


크기변환_DSC01110.JPG



대파와 당근은 최대한 잘게 썰어두었다.


크기변환_DSC03106.JPG     크기변환_DSC03391.JPG   



계란은 1인분에 4개가 너무 많기는한데 3개로 해도 괜찮기는 하다. 계란 1개당 생크림은 1스푼이면 적당하다.

소금을 평소 두세꼬집정도 약간만 넣고 거품이 일지 않을 정도로만 섞어서 체에 걸렀다.

 

크기변환_DSC09448.JPG     크기변환_DSC09426.JPG



버터를 두른 팬에 햄, 대파, 당근을 달달 볶다가 밥을 넣고 잘게 부숴가며 달달달달 볶고 굴스스 약간을 넣어서 간을 본 다음 소금, 후추로 모자란 간을 채워넣었다. 

센불을 유지하면서 달달달 볶아서 4~5분이면 볶음밥은 금방 완성된다.


크기변환_IMG_5099.JPG     크기변환_IMG_5101.JPG


크기변환_IMG_5102.JPG     크기변환_IMG_5103.JPG 


고슬고슬하게 달달 볶은 밥은 조금 국그릇에 담고 접시에 엎어서 자리를 잡았다.


크기변환_IMG_5105.JPG     크기변환_IMG_5112.JPG 



다음으로 오믈렛. 반숙으로 구워 밥에 올리면 적당하다. 코팅이 잘 된 팬과 넉넉한 버터가 포인트이다.


버터를 약간 넉넉하게 두른 팬에 계란물을 붓고 튀김용 젓가락으로 긁어서 팬을 돌려가며 반숙으로 만들었다.


크기변환_IMG_5107.JPG    크기변환_IMG_5113.JPG 



오므라이스가 두 그릇이라 오믈렛은 하나씩 얼른 만들고 볶음밥 위에 차례로 올렸다.

반숙 오믈렛은 팬에 두면 금방 굳으니까 바로 밥 위에 얹는 것이 좋다.


밥에 얹을 때는 찢어지지 않도록 조심하면 더 찢어지기 쉬우니까 과감하게 얹는 것이 더 잘 올라간다.

미리 만들어 둔 오므라이스 소스도 넉넉하게 끼얹었다.


크기변환_IMG_5126.JPG





크기변환_IMG_5136.JPG





크기변환_IMG_5132.JPG



오므라이스의 백미는 누가 뭐래도 이렇게 숟가락을 푹 넣는 순간인 것 같다.

달달 볶은 볶음밥에 반숙계란과 소스는 당연히 잘 어울리고, 포근포근하니 소스도 맛있고 그냥 다 좋다.





오므라이스 소스는 대량으로 만들어 두는 편이고 레시피를 아직 올린 적이 없는데 소량으로 대충 환산해서 올려본다.

(좋아하는 레시피라서 소량으로라도 환산한 소스 레시피를 올렸는데 대량 소스 레시피를 알려달라는 요청이 있어서 레시피를 삭제했습니다. 양해부탁드립니다.)


00 1조각

00 1조각

000 반개 (껍질,씨 손질한 것)

00, 00, 00, 00, 00, 0000 1스푼

00 0.5스푼

00, 00, 00 약간

+

0000000 1스푼

00 1스푼

00 1스푼

0 적당량

으로 소량으로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다.

재료가 많아서 만들기 번거로우니까 시판 소스로 대체해도 괜찮다.





  • 레드지아 2017.09.20 09:30

    저 오므라이스 소스 잘 못만들어서 안해먹는데 (핑계가...ㅋㅋㅋ)

    오므라이스 소스까지 올려주셔서 너무 감사해요!!!!

     

    윤정님댁 계란은 색마저 너무 이뻐요!!!!!!!!!!!

    볶음밥은 좀 느끼한데 오므라이스는 소스가 있어서 그런지 덜 느끼하고 먹어도 기분좋게 배불러서 항상 흡족해 하는 메뉴예요 (주로 만들어 먹지는 않고 사먹지만요 ^^::;;)

     

     

    [재료가 많아서 만들기 번거로우니까 시판 소스로 대체해도 괜찮다.]---> 오옷...감사합니다!!!!

     저의 죄책감을 많이 덜어주시네요!!! ^^

     

  • 이윤정 2017.09.22 01:04
    레드지아님의 콩깎지 시선으로 계란까지 이쁨보정해주시니 제가 몸 둘 바를 모르겠어요ㅎㅎ

    오므라이스 소스 만들기가 시간이 많이 걸리고 는 핑계고ㅎㅎ
    제가 다음에 지금 하는 일 안풀리면 이거 소스로 먹고 살려고 그랬다가 소스만 쏙 빼고 올리면 농락하는 것도 아니고 하면서 환산해서 써봤습니다 는 너무 웃기죠ㅎㅎㅎㅎ
    사실 시판 소스 어떤 걸로 대체해야 할지는 저도 모르겠어요ㅎㅎㅎㅎㅎ
  • spi4you 2018.03.17 22:00
    저도 소스때문에 오므라이스는 잘 안해먹게 되요.
    윤정님 소스는 재료를 다 넣고 그냥 한번에 끓이면 되는건가요?
    소스 순서만 좀 알려주심 안될까요?
  • 이윤정 2018.03.20 00:42
    + 윗부분은 갈아서 푹 끓이고 (가능하면 거르고) 아랫부분은 그 다음에 넣어서 한 번 더 끓입니다^^
  • 스폰지밥 2019.01.25 00:17
    아 오늘 해먹었어요 오무라이스!!저는 재료 바믹스로 싹갈고..소스도 귀찮아서 이마트에 파는 캔에든 데미그라스소스 썼답니다. 생크림이 맛이 가려고해서 계란 할때 조금 부었어요^^
  • 이윤정 2019.01.25 03:33
    볶음밥에 계란에 소스면 더 바랄 것 없는 조합이라 오므라이스가 늘 사랑받나봅니다.
    생크림 약간이 평소에 집에 잘 있어지는 재료가 아닌데 생크림 약간으로 더 맛있는 오므라이스가 되었을 것 같아요^^
  • 곽구니 2020.12.24 20:22
    안녕하세요 윤정님 항상 눈팅으로만 보다가 처음으로 댓글 남겨봅니다ㅎㅎ 예전에 이 글에 있던 소스를 따라 만들어 봤는데 너무 맛있었어서 다시 해보려고 찾아보니 레시피가 지워져 있네요ㅠㅠ 분명 대용량도 어딘가에 있었던거 같은데... 지금은 저 소스는 다 지워진건가요?! 손이 좀 가지만 사과도 들어가고 해서 너무 맛있었던 기억에 다시 해보려고 해서요ㅎㅎ

  1. 돼지고기 고추장찌개

    부산에서는 별로 흔하지 않은 고추장찌개. 대학생이 되기 전에는 본 적도 없고 스무살이 넘어서 처음 먹어봤다. 처음 먹었을 때는 그렇게 좋아하지 않았는데 입맛에 맞게 만드는 것을 알고나니까 바로 좋아졌다. 고추장찌개를 모르는 사람이 처음 들으면 고추장으로 찌개를?? 이라고 하는데 닭도리탕과 ...
    Date2018.02.22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21392
    Read More
  2. 닭칼국수

    닭고기를 푹 고아서 살을 바르고 육수를 걸러서 칼국수를 넣고 삶아낸 닭칼국수. 일은 많은데 먹는 건 금방인 아주 대표적인 음식이다.. 그래도 집에서 먹으면 닭곰탕이나 삼계탕정도로 닭고기가 듬뿍이라 먹기에 더 좋기는 하다. 비슷하게 만드는 닭곰탕 - https://homecuisine.co.kr/hc10/53692 조금 ...
    Date2018.02.20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Views15752
    Read More
  3. 대패목살구이

    대패목살로 만든 음식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index.php?mid=home&act=IS&is_keyword=%EB%8C%80%ED%8C%A8&where=document&search_target=content&page=1 (별 내용 없음) 명절이니까 대패목살구이? 는 말은 안되지만 명절 이후라 음식하기 귀찮고 다들 그렇지만 묵은 차례음식은 좋아하지 ...
    Date2018.02.17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9888
    Read More
  4. 닭조림, 닭도리탕 만들기, 양념 레시피

    평소 자주 먹는 닭도리탕. 사진처럼 육수가 거의 없이 닭조림처럼 조리해도 좋고, 육수가 자작하게 있어도 좋고 그때그때 기분대로, 조리되는 상태대로, 내키는대로 간만 맞으면 다 좋다. 닭고기는 껍질을 손질해서 한 번 데쳐내고 육수에 양념 다 넣고 끓으면 닭고기 넣고 감자, 양파, 대파, 양배추, ...
    Date2018.02.14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18554
    Read More
  5. 육회 만들기, 육회소스

    신선한 고기에 간이 세지 않게 양념해서 부들부들 쫀득쫀득하게 맛있는 육회. 네이버 블로그시절 제일 먼저 올린 것이 육회였는데 감회가 새롭다. 지금 검색해보니 그게 벌써 2011년 11월.. 시간 정말 빠르다. 육회용 고기는 우둔살, 꾸리살 등을 사용하는데 최대한 마블링이나 힘줄이 없는 부위를 사는...
    Date2018.02.12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33065
    Read More
  6. 계란볶음밥, 달걀볶음밥

    아주 유명한 계란볶음밥으로, 계란물을 밥알에 입혀 빨리 볶아내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렇게 만드는 계란볶음밥은 황금볶음밥이라고도 부르며, 잘 알려져 있듯이 계란을 잘 푼 다음 밥을 계란에 넣고 밥알에 묻은 계란을 익혀 밥알에 계란옷이 하나하나씩 묻어 푸슬푸슬하게 하는 것이 포인트이다. 밥, ...
    Date2018.02.10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88484
    Read More
  7. 홍합부추전, 담치정구지찌짐

    홍합부추전. 엄마께서 자주 해주셔서 어릴 때부터 많이도 먹어왔고 당연히 지금도 너무 좋아한다. 부산말로는 담치정구지찌짐인데 갑자기 말하는 기능이 고장나서 홍합정구지전 아 아닌가? 거 부추찌짐 있잖아 저녁에 그거 먹자며 그러고 있었다. 사용한 재료는 3~4장분량으로 홍합을 넉넉하게 넣었다. ...
    Date2018.02.09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7678
    Read More
  8. 고구마튀김, 새우튀김, 떡볶이, 라볶이, 순대볶이

    우리집의 대충대충 이런저런 분식들. 먼저 고구마튀김과 새우튀김. 시판 튀김가루로 간단하게 만든 튀김반죽으로 고구마튀김과 새우튀김을 만들었다. 튀김가루 포장지에 비율도 다 적혀 있으니까 특별한 내용은 없지만 더 바삭바삭하도록 포장지 비율보다 약간 묽게 만들고 튀김가루에 물 대신 차가운 ...
    Date2018.02.01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11410
    Read More
  9. 소고기 산적, 산적 양념

    소고기에 양념을 해서 만드는 소고기산적. 집에 따라 다르지만 소고기를 길게 잘라서 꼬치에 꿰어 만들기도 하고 이렇게 넓적하게 만들기도 한다. 산적용 고기는 우둔이나 설도를 주로 사용하지만 그 외에 기름이 많지 않은 구이용 소고기도 더 잘 어울린다. 산적용 고기는 두껍지 않은 것으로 기계에 ...
    Date2018.01.30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26518
    Read More
  10. 해물파전, 동래파전 만들기, 레시피

    예전에 올렸는데도 집에서 자꾸 해먹게 되니까 가끔 다시 올리게 되는 파전. 부산에서는 따로 동래파전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데 제목은 그렇게 붙혀봤다. 내용도 이전에 올린 글과 대동소이하다. 좋아하는 빈대떡, 파전집인 범일빈대떡과 비슷한 스타일이다. 묽은 반죽으로 무겁지 않고, 오징어는 데쳐서...
    Date2018.01.27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19148
    Read More
  11. 라면전골

    집에 전골 재료를 잔뜩 사두고는 귀찮아서 라면이나 먹을까 하다가 몇 번 해 먹은 라면전골. 전골이라는게 원래 재료 준비가 가장 큰 일이라 라면에 넣으나 육수에 넣으나 하는 일은 거기서 거긴데 육수 만드는 수고를 조금 줄여준다 생각하고 가볍게 먹기 좋다. 결국에는 라면이긴 하니까 마음은 가볍...
    Date2018.01.23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43482
    Read More
  12. 무나물

    요즘 무가 맛있고 싸서 무조림도 좋고 무나물 무생채 다 좋은데 무나물을 제일 자주 만든다. 무조림은 다음에.. 무, 육수, 국간장, 마늘, 대파만 있으면 되니까 만만하고 맛있다. 사용한 재료는 무 반개 육수 1.5컵 국간장 3스푼 다진마늘 1스푼 대파 반대 깨 약간 무의 크기에 따라 간이 다르니까 국간...
    Date2018.01.18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33635
    Read More
  13. 소고기 대파 볶음밥, 오므라이스

    소고기, 대파, 굴소스로만 만드는 소고기 대파 볶음밥. 간단한 재료로 만들어서 편하게 해먹기 좋다. 굴소스를 약간 넣어서 먼저 간을 하고 간을 봐서 모자란 간은 소금, 후추로 추가해서 입맛에 맞췄다. 계란을 구워서 오므라이스를 했는데 볶음밥 그대로 그냥 먹어도 좋고, 계란을 스크램블해서 볶아...
    Date2018.01.07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21167
    Read More
  14. 차돌박이 알배추찜, 차돌배추찜

    전에 올린 사태수육에 수육 대신 차돌박이를 올려서 뚜껑을 닫고 찌듯이 익혀 냈다. 미리 고기를 삶지 않아도 되고 재료만 준비하면 금방이니까 간편하다. 고기가 익지 않은거니까(고기에서 수분이 나옴) 수육에 비해서 육수를 더 적게 잡고 뚜껑을 닫아서 고기가 익을 정도로만 익히면 채소도 잘 익고 ...
    Date2018.01.02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20957
    Read More
  15. 떡국

    떡국은 날을 정하기 보다는 시장 떡집에서 떡국용 떡을 사오면 그 날이 떡국 먹는 날이다. 갓 뽑아서 말려서 썰어둔 것을 사온 떡국떡으로 만들면 떡국이 쫀득쫀득하니 보들보들하니 가장 맛있다. 여름보다는 늦가을이나 겨울이 떡을 사기도 좋고 당연히 떡국 먹기도 더 좋다. 사용한 재료는 2인분으로 ...
    Date2017.12.28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7702
    Read More
  16. 부대찌개

    23일~26일 연휴 동안은 평소에도 자주 만드는 라자냐와 오므라이스 정도 만들고 평소 잘 안먹던 우럭구이, 문어숙회 정도를 집에서 먹었다. 나머지 끼니는 전부 사먹었는데 선지전골에 갈치구이도 맛있었고 만두 맛집도 다녀왔다. 그 중에 베트남음식을 맛있게 먹고 와서 어떻게 만들까 고민하고 있다. ...
    Date2017.12.26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7249
    Read More
  17. 참치김치찌개, 참치 김치 찌개 레시피

    그냥 언제고 편하게 밥상에 얼른 올리는 참치김치찌개. 김치가 무르도록 푹 끓이고 참치, 두부 듬뿍에 라면사리까지 딱 좋다. 학교 다닐 때 늘 좋아하던 참치김치찌개라 참치김치찌개만 먹으면 밥상 대회 주제에 대학교 때 이야기가 강제소환된다. 그러고 보니 며칠 연이어 얼큰한 찌개나 국인데 요즘 ...
    Date2017.12.23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17628
    Read More
  18. 얼큰한 경상도식 소고기무국, 소고기뭇국

    2018년 10월 업데이트 https://homecuisine.co.kr/hc10/71765 2019년 11월 업데이트 https://homecuisine.co.kr/hc10/86423 정말 오래만에 올리는 얼큰한 소고기 뭇국. 평소에 소고기무국을 만들 때는 양지를 자주 사용하는데 이번에는 사태로 만들었다. 호주산이나 거세한우 보다는 한우 암소를 사용해...
    Date2017.12.21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22141
    Read More
  19. 돼지고기 두부찌개

    돼지고기 다짐육에 육수를 넣고 부드럽게 푹 끓인 다음 칼칼하게 양념하고 두부를 듬뿍 넣어 만드는 돼지고기 두부찌개. 재료만 준비하면 순서대로 볶고 끓이기만 하면 되니까 간단해서 좋다. 비슷한 재료로 돼지고기 대신에 우럭을 넣고 순서와 시간을 조금 바꾸고 산초나 쑥갓, 미나리 등을 추가하면 ...
    Date2017.12.19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31005
    Read More
  20. 소고기수육, 사태수육, 수육전골, 사태전골

    소고기 사태나 양지로 만드는 소고기수육. 수육이라고 볼 수도 있겠고 수육전골이라고 볼 수도 있겠고 그렇다. 황태육수에 푹 삶은 소고기 사태를 썰어서 수육전골로 만들면 밥상에서 따끈하게 데워가며 먹으니 집안도 훈훈하고 전체적으로 따끈따끈하니 요즘 딱 좋다. 소고기 수육은 수육용 전골냄비와...
    Date2017.12.09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4081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