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5840.JPG



김치낙지죽에 불고기용 소고기를 넣어서 조금 더 식감이 좋도록 만들었다.

그럼 제목을 불낙김치죽으로 해야 하나;



어쨌든 사용한 재료는 약 2인분으로


찹쌀 1.3컵 (200그램)

멸티황태육수 1.5리터 (필요시 추가)


낙지 약 4마리

불고기용 소고기 100그램

다진마늘 0.5스푼

다진대파 반대

김치 2줌


고운고춧가루 1~2티스푼(간보고 조절)

국간장 1~2스푼 (간보고 조절)

참기름 적당량


김 약간, 깨 약간



미리 우려 둔 육수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43240&mid=hc10

육수는 찹쌀의 양의 6~7배정도면 적당한데 불조절이나 끓이는 시간에 따라 필요한 양이 약간 달라질 수 있으니까 조금 넉넉하게 준비하는 것이 좋다.

(육수는 평소에 진하게 우려두었다가 냉동한 다음 생수에 희석해서 사용하면 편하다.)



찹쌀은 씻어서 찬물에 담가 2시간 이상 불리는데 손으로 누르면 부서질 정도로 불렸다.

 

크기변환_DSC00085.JPG     크기변환_DSC00086.JPG



보통 기본재료와 찹쌀을 함께 볶다가 푹 끓여내는데 이번에는 일단 찹쌀을 익히면서 여기에 각각 볶은 고기와 김치를 냄비에 넣고 낙지도 데쳐서 넣어서 편하게 만들었다.

이렇게 하면 쌀이 익는 동안 나머지를 조리해서 넣으면 되니까 시간을 조금 단축할 수 있다.


냄비에 찹쌀을 넣고 참기름을 약간 두른 다음 달달 볶다가 찹쌀이 투명해지기 시작하면 미리 우려둔 육수를 붓고 끓이기 시작했다.

푹 불린 찹쌀은 끓기 시작하면 불을 줄이고 40분정도 자주 저어가면서 바닥에 붙지 않도록 푹 끓이면 잘 익는다.

그동안 나머지 재료를 하나씩 넣어서 함께 끓였다.


크기변환_IMG_5794.JPG     크기변환_IMG_5797.JPG


크기변환_IMG_5802.JPG 



낙지는 입 아래로 잘라서 내장을 빼고 소금으로 문질러서 깨끗하게 씻어서 준비하고 적당히 잘라서 준비한다.

(얇은 낙지는 조금 길게 데치는 것이 좋다.)

크기변환_580fbfbde5805519d32170033944d4f2.jpg  




소고기는 불고기용으로 잘 다져서 달군 팬에 넣고 뭉치지 않도록 쪼개가며 달달 볶았다.

고기에서도 국물이 나니까 국물맛이 잘 나는 한우암소를 사용하면 더 맛있다.

크기변환_IMG_5805.JPG 



잘 익은 김치는 6잎정도 꺼내서 먹기 좋도록 잘게 썰어서 준비했다.


크기변환_IMG_5809.JPG



참기름을 약간 두른 팬에 다진대파, 다진마늘, 다진 김치를 넣고 적당히 볶아두었다.


크기변환_IMG_5806.JPG     크기변환_IMG_5815.JPG 



약불로 끓고 있는 냄비에 소고기, 김치, 낙지를 준비되는 순서대로 넣고 잘 저어가며 끓이는데

그동안 고운고춧가루로 색을 조금 더 내고 국간장을 1스푼 넣어서 간을 보면서 입맛에 맞게 조절했다. (부족하면 조금씩 추가)


크기변환_IMG_5816.JPG     크기변환_IMG_5818.JPG


크기변환_IMG_5822.JPG     



40분정도 익힌 김치죽은 뚜껑을 닫고 불을 끄고 10분정도 뜸을 들인 다음 간을 보고 되직하기를 확인 한 다음 필요하면 멸치육수를 조금 더 넣어서 한소끔만 끓여내면 완성이다.

뜸을 들이면서 죽이 수분을 착 흡수하게 때문에 수분조절은 시간을 두고 하면 먹기에 편하도록 잘 완성된다.


크기변환_IMG_5823.JPG 




조미되지 않은 김을 잘게 잘라서 넣거나 구운 김을 비닐봉투에 담아 잘게 부숴서 넣고 깨를 약간 뿌렸다.


크기변환_IMG_5833.JPG





크기변환_IMG_5840.JPG





크기변환_IMG_5844.JPG



김치죽에 낙지와 소고기도 넉넉하게 들었고 간이 딱 맞으면서 고소하니 살짝 매콤하게 먹기 좋다.

푹 퍼진 김치죽이 술술 잘 넘어가고 포근포근하니 속도 편해서 맛있게 잘 먹었다.





  • 정태훈 2017.09.17 03:03

    저는 본죽 가면 거의 김치낙지죽을 시켜먹는데, 죽만 먹어도 밋밋하지도 않고 씹는 맛도 있어서 좋더라고요. 한우 암소까지 들어가면 정말 맛있겠네요!

  • 이윤정 2017.09.22 00:58
    저는 봄죽에 가면 삼계죽을 자주 주문했는데 김치낙지죽도 한 번 먹어보니 좋더라고요^^
    속이 너무 불편하지 않다면 김치낙지죽이 죽 중에서도 밥 먹은 느낌이라 좋은 것 같아요ㅎㅎ
    소고기는 역시 어디 들어가도 좋은건가 생각했습니다ㅎㅎㅎㅎ
  • 레드지아 2017.09.20 09:19

    얼마전 [집밥백선생]에서 낙지에 대한 요리를 했는데 맨 마지막 요리가 낙지죽이었어요!!!

    그거 보면서 침꼴깎 꼴깎 삼켰는데 윤정님이 더욱더 테러를!!! ^^

     

     

    해산물만 먹으면 뒤돌아서면 전 배가 좀 허~하더라구요 ^^;;;

    그래서 소고기 넣으신거 몹시 만족합니다 ㅋㅋㅋㅋㅋ (제가 먹은것도 아닌데 보는것만으로도 흐뭇하고 든든 ㅋㅋㅋㅋ)

  • 이윤정 2017.09.22 01:00
    티비를 봐야 트렌드를 좀 따라갈텐데ㅠㅠ 레드지아님 말씀듣고 스샷 찍은 포스팅을 찾아보니 역시 육수내고 이런 과정없이 간단하게 하고 싶은 사람에게 좋게 잘 만든 것 같아요.
    해산물만 먹으면 배가 허하다니 역시 고진교에 귀의한 분으로 옳으신 발언입니다ㅎㅎㅎㅎㅎㅎㅎ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04 국 찌개 돼지고기 고추장찌개 부산에서는 별로 흔하지 않은 고추장찌개. 대학생이 되기 전에는 본 적도 없고 스무살이 넘어서 처음 먹어봤다. 처음 먹었을 때는 그렇게 좋아하지 않았는데 입맛... 6 file 이윤정 2018.02.22 21380
603 한그릇, 면 닭칼국수 닭고기를 푹 고아서 살을 바르고 육수를 걸러서 칼국수를 넣고 삶아낸 닭칼국수. 일은 많은데 먹는 건 금방인 아주 대표적인 음식이다.. 그래도 집에서 먹으면 닭... 2 file 이윤정 2018.02.20 15748
602 일상 대패목살구이 대패목살로 만든 음식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index.php?mid=home&act=IS&is_keyword=%EB%8C%80%ED%8C%A8&where=document&search_target=content&pa... 2 file 이윤정 2018.02.17 9879
601 한접시, 일품 닭조림, 닭도리탕 만들기, 양념 레시피 평소 자주 먹는 닭도리탕. 사진처럼 육수가 거의 없이 닭조림처럼 조리해도 좋고, 육수가 자작하게 있어도 좋고 그때그때 기분대로, 조리되는 상태대로, 내키는대... 2 file 이윤정 2018.02.14 18544
600 고기 육회 만들기, 육회소스 신선한 고기에 간이 세지 않게 양념해서 부들부들 쫀득쫀득하게 맛있는 육회. 네이버 블로그시절 제일 먼저 올린 것이 육회였는데 감회가 새롭다. 지금 검색해보... 5 file 이윤정 2018.02.12 33046
599 밥류 계란볶음밥, 달걀볶음밥 아주 유명한 계란볶음밥으로, 계란물을 밥알에 입혀 빨리 볶아내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렇게 만드는 계란볶음밥은 황금볶음밥이라고도 부르며, 잘 알려져 있듯이 ... 7 file 이윤정 2018.02.10 88469
598 한접시, 일품 홍합부추전, 담치정구지찌짐 홍합부추전. 엄마께서 자주 해주셔서 어릴 때부터 많이도 먹어왔고 당연히 지금도 너무 좋아한다. 부산말로는 담치정구지찌짐인데 갑자기 말하는 기능이 고장나서... 4 file 이윤정 2018.02.09 7666
597 한접시, 일품 고구마튀김, 새우튀김, 떡볶이, 라볶이, 순대볶이 우리집의 대충대충 이런저런 분식들. 먼저 고구마튀김과 새우튀김. 시판 튀김가루로 간단하게 만든 튀김반죽으로 고구마튀김과 새우튀김을 만들었다. 튀김가루 포... 6 file 이윤정 2018.02.01 11402
596 고기 소고기 산적, 산적 양념 소고기에 양념을 해서 만드는 소고기산적. 집에 따라 다르지만 소고기를 길게 잘라서 꼬치에 꿰어 만들기도 하고 이렇게 넓적하게 만들기도 한다. 산적용 고기는 ... 2 file 이윤정 2018.01.30 26504
595 한접시, 일품 해물파전, 동래파전 만들기, 레시피 예전에 올렸는데도 집에서 자꾸 해먹게 되니까 가끔 다시 올리게 되는 파전. 부산에서는 따로 동래파전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데 제목은 그렇게 붙혀봤다. 내용도 ... 4 file 이윤정 2018.01.27 19133
594 전골 탕 라면전골 집에 전골 재료를 잔뜩 사두고는 귀찮아서 라면이나 먹을까 하다가 몇 번 해 먹은 라면전골. 전골이라는게 원래 재료 준비가 가장 큰 일이라 라면에 넣으나 육수... 10 file 이윤정 2018.01.23 43474
593 반찬 무나물 요즘 무가 맛있고 싸서 무조림도 좋고 무나물 무생채 다 좋은데 무나물을 제일 자주 만든다. 무조림은 다음에.. 무, 육수, 국간장, 마늘, 대파만 있으면 되니까 ... 4 file 이윤정 2018.01.18 33630
592 밥류 소고기 대파 볶음밥, 오므라이스 소고기, 대파, 굴소스로만 만드는 소고기 대파 볶음밥. 간단한 재료로 만들어서 편하게 해먹기 좋다. 굴소스를 약간 넣어서 먼저 간을 하고 간을 봐서 모자란 간... 6 file 이윤정 2018.01.07 21159
591 고기 차돌박이 알배추찜, 차돌배추찜 전에 올린 사태수육에 수육 대신 차돌박이를 올려서 뚜껑을 닫고 찌듯이 익혀 냈다. 미리 고기를 삶지 않아도 되고 재료만 준비하면 금방이니까 간편하다. 고기가... 8 file 이윤정 2018.01.02 20947
590 국 찌개 떡국 떡국은 날을 정하기 보다는 시장 떡집에서 떡국용 떡을 사오면 그 날이 떡국 먹는 날이다. 갓 뽑아서 말려서 썰어둔 것을 사온 떡국떡으로 만들면 떡국이 쫀득쫀... 6 file 이윤정 2017.12.28 7693
589 전골 탕 부대찌개 23일~26일 연휴 동안은 평소에도 자주 만드는 라자냐와 오므라이스 정도 만들고 평소 잘 안먹던 우럭구이, 문어숙회 정도를 집에서 먹었다. 나머지 끼니는 전부 ... 9 file 이윤정 2017.12.26 7244
588 국 찌개 참치김치찌개, 참치 김치 찌개 레시피 그냥 언제고 편하게 밥상에 얼른 올리는 참치김치찌개. 김치가 무르도록 푹 끓이고 참치, 두부 듬뿍에 라면사리까지 딱 좋다. 학교 다닐 때 늘 좋아하던 참치김치... 4 file 이윤정 2017.12.23 17620
587 국 찌개 얼큰한 경상도식 소고기무국, 소고기뭇국 2018년 10월 업데이트 https://homecuisine.co.kr/hc10/71765 2019년 11월 업데이트 https://homecuisine.co.kr/hc10/86423 정말 오래만에 올리는 얼큰한 소고기 ... 4 file 이윤정 2017.12.21 22136
586 국 찌개 돼지고기 두부찌개 돼지고기 다짐육에 육수를 넣고 부드럽게 푹 끓인 다음 칼칼하게 양념하고 두부를 듬뿍 넣어 만드는 돼지고기 두부찌개. 재료만 준비하면 순서대로 볶고 끓이기만... 4 file 이윤정 2017.12.19 30996
585 전골 탕 소고기수육, 사태수육, 수육전골, 사태전골 소고기 사태나 양지로 만드는 소고기수육. 수육이라고 볼 수도 있겠고 수육전골이라고 볼 수도 있겠고 그렇다. 황태육수에 푹 삶은 소고기 사태를 썰어서 수육전... 8 file 이윤정 2017.12.09 40805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