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조회 수 15024 추천 수 0 댓글 2


크기변환_IMG_3334.JPG



유명하다는 닭곰탕집에 닭곰탕을 먹으러 갔는데 의외로 엄마께서 어릴 때부터 지금까지도 해주시는 백숙+닭국물과 똑같아서 놀랬다.

다른 점이 있다면 통마늘을 익혀서 으깨서 넣지 않고 다진마늘을 그대로 넣는 것이어서 그 부분을 참고 했다.



아버지 조경하시는 곳 근처 산에서 닭을 방사해서 키우는데 살이 올랐다며 갓 잡은 거라고 손질해서 주셨다. (닭 미안..) 

닭곰탕 (우리집에서는 그냥 백숙) 은 운동량이 꽤 있고 튼실한 방사닭이나, 마트에서 구매할 경우에도 토종닭이라는 라벨이 붙은 것이 더 잘 어울린다.

물론 가격은 조금 더 비싸고 그만한 가치를 하는 지는 개인의 판단이지만..



재료는 약 2인분으로

토종닭 1마리

양파, 대파, 마늘 적당량

백숙용 한약재 적당량


대파 듬뿍

다진마늘 1~2스푼

소금, 후추, 깨





닭을 껍질을 좋아한다면 껍질을 그대로 삶되 떠오르는 기름은 꼼꼼하게 걷어내서 국물이 느끼하지 않도록 하고

껍질을 즐기지 않는다면 처음부터 껍질을 벗기고 표면의 기름을 적당히 잘라내서 삶는 것이 좋다. 나는 껍질을 좋아하지 않아서 손질하면서 껍질을 벗겨냈다.


냄비에 비해 닭이 너무 커서 토막을 냈는데 뼈를 치면 뼛가루와 핏물이 국물에 섞이니까 다리와 날개의 관절을 잘라서 손질했다.

닭 손질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20/5885



갈비뼈 사이사이까지 씻어서 깨끗하게 손질하고 전체적으로 껍질을 벗겨서 준비했다.




닭은 뜨거운 물을 부어서 한 번 데쳐내고 삶기 시작했다.

양파, 대파, 마늘, 황기를 넉넉하게 넣고 1시간동안 푹 삶으면서 중간중간 거품과 기름은 걷어냈다. (중간에 물이 부족하면 끓는 물로 보충)

닭의 크기에 따라 끓이는 시간이 다른데 큰 닭이라 좀 오래 끓였다. 보통 40분정도도 괜찮다.

닭다리 근육이 콜라겐이 젤라틴으로 변해 닭다리 발목의 뼈가 보이면 잘 익은 것이다.


크기변환_DSC00078.JPG     크기변환_DSC09082.JPG




닭고기는 건져서 기름과 핏줄을 제거하고 뼈를 발랐다. 너무 잘게는 아니고 먹기 좋을 정도로만 찢었다.


크기변환_IMG_3314.JPG     크기변환_IMG_3315.JPG


크기변환_IMG_3317.JPG     크기변환_IMG_3318.JPG



손질한 닭고기는 다시 국물에 넣고 한 번 팔팔 끓인 다음 닭고기에 국물을 그릇에 담았다.


크기변환_IMG_3320.JPG



크기변환_IMG_3324.JPG



대파는 잘게 썰어서 겹겹을 풀어두었다가 닭곰탕에 듬뿍 얹고, 다진마늘 반스푼을 올렸다.

소금+후추+깨는 각자 준비해서 닭곰탕에 넣어 먹거나 닭고기를 찍어 먹을 수 있도록 준비했다.

반찬으로는 얼마전에 올린 잘 익은 풋마늘 김치만 딱 꺼냈다.

풋마늘김치 - https://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51844&mid=hc10


크기변환_IMG_3333.JPG




크기변환_IMG_3334.JPG



크기변환_IMG_3339.JPG




크기변환_IMG_3342.JPG



크기변환_IMG_3343.JPG

구수한 닭육수에 고기 듬뿍, 간도 딱 맞고 풋마늘김치까지 아주 잘 어울렸다.

고기를 적당히 건져서 먹고 밥을 말아서 훌훌 마셔버리니 그릇이 금방 비었다.




  • 레드지아 2017.07.11 09:44

    여름엔 여름대로  기를 북돋아주고 겨울엔 뜨끈하니 추위를 녹여주는 닭곰탕은 남녀노소 먹기에 참 부담이 없는거 같아요 ^^

    아이 키울때 요 국물에 밥 말아 먹이면 그렇게 뿌듯할수가 없더라구요 ㅎㅎㅎ

     

    내일이 복날이라 전 어제 삼계탕 (생각해보니 인삼을 안넣어서 삼계탕이라고 말할수가 없네요 ㅋㅋㅋ ) 끓여먹었어요 ^^

    저에겐 손 한번 더가는 곰탕보담 삼계탕이....^^;;;;;;;;;(누가 해준다면 곰탕을 먹고 싶..........;;;;;;;;)

     

    마지막 사진 너무 심쿵해요!!

    윤기 반지르르 도는 쌀밥과 채썬 파 모양마저 이쁜 닭곰탕의 모습이 막 뿌듯한걸요!!! ^^

  • 이윤정 2017.07.13 02:33

    나가서 사먹으면 삼계탕이 더 비싸긴 한데 저는 삼계탕보다는 백숙+닭죽 (=곰탕) 이 더 좋더라고요,
    삼계탕이 이름도 그럴싸하고 1인 1닭에 보기 좋게 나오는데 비해서 백숙이나 곰탕은 상징적인 의미가 적어서 그런지 홀대받는데
    저는 삼계탕 먹을 때 조그만 닭에 먹으면서 살 바르는 걸 좋아하지 않아서 백숙+닭죽이 더 좋고 또 더 말이 되는 것 같아요^^ 부재료야 비슷하게 넣으면 되는거니까요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34 고기 육전 만들기, 레시피 2 file 이윤정 2020.06.23 3226
933 일상 맛살 계란말이 6 file 이윤정 2019.11.01 3242
932 반찬 오징어야채전, 오징어동그랭땡 file 이윤정 2013.10.07 3245
931 반찬 생선전, 달고기전 4 file 이윤정 2020.09.21 3247
930 반찬 배추겉절이 file 이윤정 2013.10.02 3252
929 반찬 두부조림 file 이윤정 2013.07.18 3253
928 일상 라볶이 2 file 이윤정 2020.04.15 3254
927 국 찌개 간단 육개장, 파개장 4 file 이윤정 2021.09.06 3257
926 김치, 장아찌, 무침 초간단 오이장아찌 2 file 이윤정 2022.04.30 3266
925 밥류 xo소스 햄야채볶음밥 file 이윤정 2014.11.23 3279
924 한접시, 일품 잡채 2 file 이윤정 2020.11.15 3296
923 반찬 가지된장조림, 가지된장볶음 2 file 이윤정 2021.06.18 3296
922 한접시, 일품 닭다리살 아스파라거스볶음 2 file 이윤정 2020.04.25 3302
921 고기 등심덧살 액젓수육 2 file 이윤정 2022.02.10 3303
920 일상 오대산종 명이 8 file 이윤정 2019.05.20 3308
919 국 찌개 소고기뭇국, 맑은 소고기 무국 2 file 이윤정 2021.05.06 3308
918 국 찌개 바지락미역국 file 이윤정 2013.04.30 3311
917 전골 탕 부대찌개 4 file 이윤정 2020.10.16 3323
916 한접시, 일품 홍합파전, 쪽파전 file 이윤정 2013.04.13 3340
915 반찬 오이무침, 쪽파간장 8 file 이윤정 2019.06.03 3341
914 전골 탕 부대볶음 file 이윤정 2022.01.20 33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55 Next
/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