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4246.JPG


늘 집에 만들어두는 반찬인 김치볶음. 이기는 한데 실제로 볶는 과정은 없어서 김치찜에 가깝다.


김치로 만드는 반찬을 생각보다 별로 올린 적이 없는데 

하도 자주 만들고 또 너무 별 일도 아니라서 사진을 찍지도 않다가 오랜만에 올려본다.


김치만 이렇게 볶아두면 1주일은 그냥 반찬으로 먹는데 금방 없어지니까 1주일을 둘 일이 없다.


당연한 이야기이긴 한데 그래도 하자면..

보쌈 삶거나 고기를 구워먹을 때도 곁들이는 건 기본이고, 두부만 데쳐서 곁들여 먹어도 두부김치, 대패목살과 함께 양념해서 김치제육볶음으로도 좋다.

참치나 꽁치, 스팸을 넣고 한 번 더 끓여내도 참치김치찜, 꽁치김치찜, 스팸김치볶음이 되고 고등어조림에 얹으면 고등어김치찜이고

육수 자작하게 넣고 간 맞추고 끓이면 김치찌개, 넉넉하게 붓고 끓이면 김칫국.


부대찌개나 부대볶음에 넣어도 익은 김치가 잘 어울리고 국수 고명으로도 좋고

유부초밥이나 김밥에 간단하게 반찬으로도 좋고 급하게 도시락 반찬싸기도 좋고 라면 끓일 때 1~2스푼만 넣어도 좋다.

조금 작게 썰어서 만들어 두면 김치볶음밥이나 닭갈비볶음밥에도 좋고 비빔밥에 얹어도 좋다.



사용한 재료는


잘 익은 김치 4분의1포기 (+김치국물 적당량)

멸치황태육수 1.5~2컵

고운 고춧가루 1스푼 (김치의 양념 양에 따라 가감)

간장 0.5스푼

다진마늘 1스푼 (때에 따라 통마늘 1줌)

채썬 대파 1줌

후추 약간


(계량스푼을 사용했지만 밥숟가락으로 살짝 소복하게 넣으면 거의 비슷하다.)

(수정 - 간장 대신 액젓 1티스푼을 사용했더니 그것도 좋았다.)



육수는 미리 우려두었다. 육수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43240&mid=hc10


통마늘을 넣을 때는 칼 면으로 한 번 쾅 눌러서 살짝만 으깨서 넣으면 마늘 맛도 잘 우러나고 마늘도 잘 익어서 마지막에 마늘만 집어먹어도 맛있다.


크기변환_IMG_4183.JPG     크기변환_IMG_4185.JPG




김치 대충 썰고 재료 전부 넣고 뚜껑닫고 중약불로 20~30분정도 오가면서 저어주고 바닥에 눋거나 타지 않게 짜글짜글 졸여내면 끝.


크기변환_IMG_4182.JPG      크기변환_IMG_4184.JPG  


크기변환_IMG_4187.JPG     크기변환_IMG_4188.JPG



바닥에 붙지 않도록 오가면서 저어주는데

중간중간 상태를 봐서 김치가 양념 양이 부족하면 양념을 전체적으로 조금 더 넣고, 무채가 너무 많으면 무채는 덜어내고 넣기도 하고

김치가 많이 익어서 시면 설탕을 약간 넣고, 김치가 덜 익었으면 익힌 다음 하는 것이 좋지만.. 식초를 아주 약간 넣고 간도 조금 세게하고 익히는 시간도 조금 더 길게 하면 적당하다.


사용한 재료에 있는 분량은 대충 이 정도 넣는다 수준이고 김치 상태에 따라 간을 봐가면서 입맛에 맞게 적당히 조절해서 만든다.


크기변환_IMG_4196.JPG     크기변환_IMG_4193.JPG


크기변환_IMG_4202.JPG     크기변환_IMG_4206.JPG


마지막에 뚜껑을 열어서 수분을 날리고 바특하게 볶아서 불을 끈다. 너무 바특해지면 식용유를 1스푼 넣어서 볶아도 좋다.

이렇게 넉넉하게 만들어서 반찬통에 담아두었다가 두루두루 사용한다.



이대로 도시락반찬으로도 싸고 밥상에 올리는데 특히 고기가 있는 밥상에 반찬으로 좋고 두부에 곁들여 먹기도 한다.


크기변환_IMG_4246.JPG 




부대찌개나 부대볶음에 넣을 때는 이렇다.


크기변환_IMG_4150.JPG




다음으로 참치김치찌개.


밥하기 싫을 때는 김치볶음 꺼내서 냄비에 담고 참치캔 하나 뜯어서 넣고 물 붓고 양파 두부 넣고 짜글짜글 끓인 다음 좋아하는 사리 넣어서 마무리하면 적당하다.


크기변환_IMG_4298.JPG     크기변환_IMG_4302.JPG


크기변환_IMG_4303.JPG     크기변환_IMG_4305.JPG



냉동실에 냉동중화면 사리가 있어서 넣었더니 편하고 좋았다. 라면을 넣을 때는 미리 70%정도 삶아서 넣으면 좋다.


크기변환_IMG_4312.JPG 




도시락 반찬으로 참치넣고 한 번 짜글짜글 끓여서 김치참치볶음.


크기변환_DSC03786.JPG     크기변환_DSC03787.JPG




크기변환_IMG_4058.JPG





꽁치를 깨끗하게 손질해 넣어서 한 번 더 끓여내면 꽁치김치찜.


크기변환_DSC03872.JPG     크기변환_DSC03892.JPG




01a4b36dc9010757e24fffee8232e163.JPG 





불고기양념+고운고춧가루로 양념한 대패목살을 양파, 대파와 함께 볶다가 마지막으로 김치볶음을 넣고 한 번 더 볶아내면 김치제육볶음. 김치두루치기.


크기변환_DSC03435.JPG    크기변환_DSC03440.JPG


db38383ba60243594e2aae90c9c3ac15.jpg 




김치볶음에 가브리살을 구워 넣고 황태육수를 부어서 끓인 다음 두부를 넣어서 한 번 더 끓여낸 돼지고기 김치찌개.


크기변환_IMG_0150.JPG 



혼자 먹는 점심은 늘 밥상차리기가 너무 귀찮아서 가끔은 라면이나, 더 귀찮으면 컵라면;을 먹기도 하는데 여기에도 김치볶음을 넣으면 당연히 더 맛있다.


크기변환_IMG_4458.JPG 



크기변환_IMG_4460.JPG  





  • 레드지아 2017.06.15 09:52

    김치볶음 하나로도 이렇게 수십개의 요리로 응용하시다니!!

     

    저는 어릴때부터 김치볶음을 너무너무 좋아했어요

    미역국에 이 김치볶음이라면 한달 내내 먹어도 질리지 않더라구요 ^^

  • 이윤정 2017.06.16 23:00
    수십개는 아니고요ㅎㅎㅎㅎ 수십번은 먹어요ㅎㅎㅎㅎㅎ
    저도 김치볶음 좋아해서 돼지국밥집 수육백반도 김치볶음 나오는 곳으로 늘 다니고 그래요ㅎㅎ
  • 호두 2017.06.16 21:18
    김치볶음을 이렇게도 활용할 수 있군요 그냥 그렇게 먹기만 했는데...확실히 음식할 때 볶은김치를 넣으면 더 맛있지만 귀찮으니까 그냥 생김치로 하곤 했는데 앞으론 이걸 활용해야겠어요ㅋㅋㅋ 엄마가 한 번씩 솥째 만드시는데 그때를 노려서ㅋㅋㅋ
  • 이윤정 2017.06.16 23:02

    저도 귀찮으니까 생김치 쓰는 경우도 많은데 그래도 한 번 만들어 두면 두루두루 좋아요^^
    남편이 김치는 냉장고에서 갓 나온 것만 좋아하고 실온에 있던 건 좋아하지 않는데 요즘 이 사람 먹을 도시락을 싸다보니까 생김치보다는 볶음김치가 나아서 자주 하게 되더라고요.

    그런데 호두님은 엄마찬스까지 있으시다니 부럽습니다ㅎㅎㅎ

  • 만두장수 2018.12.16 23:47
    천재세요^^;;
  • 이윤정 2018.12.17 03:38
    아이구 평범한 음식에 과한 말씀이십니다ㅎ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8 반찬 소고기 메추리알 장조림 메추리알은 도시락 반찬으로 자주 만들고 있고 최근에는 한우 암소 사태를 듬뿍 사서 수육도 해먹고 장조림에도 넣고 있다. 그래서 오랜만에 올리는 장조림. 메추... 2 file 이윤정 2018.08.16 10743
137 반찬 삼치조림 정말 오랜만에 생선. 생선은 냉동보다는 생물이 최고지만 요즘 장보러 갈 여유가 없어서 지난 봄에 가끔 구워먹을까 싶어 사 둔 냉동삼치로 삼치조림을 만들었다.... 4 file 이윤정 2018.06.28 4735
136 반찬 감자볶음, 감자의 특성, 용도, 보관 겨울 내도록 감자가 너무 비싸서 거의 사지 않다가 햇감자가 나와서 한박스 샀다. 한박스를 사면 보관이 중요한데, 감자는 어두운 곳에서 7~10도의 온도에 보관하... 7 file 이윤정 2018.06.04 14842
135 반찬 청포묵무침 원래 탕평채는 녹두묵(청포묵)에 갖은 양념을 한 고기, 숙주, 미나리, 황백지단, 김에 초간장을 기본으로 하는데 청포묵, 고기, 계란지단, 김으로 조금 단출하게 ... 4 file 이윤정 2018.04.18 6721
134 반찬 미역줄기볶음 만드는법 저렴한 재료로 편하게 만들어 먹는 반찬인 미역줄기볶음. 미역줄기는 염장이라 오래가니까 떨어지면 사두고 한두달에 한 번씩 만들어 먹는다. 밥반찬으로도 좋고 ... 2 file 이윤정 2018.03.09 6963
133 반찬 무나물 요즘 무가 맛있고 싸서 무조림도 좋고 무나물 무생채 다 좋은데 무나물을 제일 자주 만든다. 무조림은 다음에.. 무, 육수, 국간장, 마늘, 대파만 있으면 되니까 ... 4 file 이윤정 2018.01.18 33606
132 반찬 상추무침 여태까지 올린 적이 없는 것이 더 이상한 상추무침. 상추는 요즘은 연중 나오니까 따로 제철은 없지만 너무 더울 때는 재배하기가 어렵고 저온을 잘 견디는 편이... 4 file 이윤정 2017.11.10 23181
131 반찬 꽈리고추 오뎅볶음 오랜만에 올리는 꽈리고추 오뎅볶음. 꽈리고추는 계절따라 가격변동이 있어서 요즘같이 비싸지 않을 때 사서 간단하게 잘 볶아먹고 있다. 꽈리고추는 대패삼겹살... 4 file 이윤정 2017.11.03 15739
130 반찬 오이무침 오이무침은 간단하게 무쳐서 밥상에 올리면 매콤하고 아삭 상쾌하게 늘 맛있다. 봄을 지나 한여름에 오이가 조금 비쌌는데 가을이 되고 오이가 저렴해져서 한두개... 2 file 이윤정 2017.10.18 49547
129 반찬 잔멸치볶음 세멸, 지리멸치로도 불리는 작은 멸치로 만든 멸치볶음. 기본 반찬으로 자주 해둔다. 월요일 도시락 반찬을 하려고 일요일 밤에 만드는 일이 가장 자주있다. 깜빡... 2 file 이윤정 2017.09.08 63846
128 반찬 두부조림들 1주일에 한번은 늘 만들어서 도시락반찬으로 보내는 두부조림들. 두부굽고 육수붓고 양념하고 적당히 졸여서 반찬으로 싸주면 잘 먹으니까 자주 하게 된다. 두부... 4 file 이윤정 2017.08.19 34361
127 반찬 쫀득한 우엉조림, 만드는법 2년만에 올리는 우엉조림. 색감은 진하지만 전혀 짜지 않다. 아삭아삭한 우엉조림은 좋아하지 않아서 늘 쫀득쫀득한 우엉조림으로 민들고 있다. 과하다 싶을 정도... 2 file 이윤정 2017.07.17 67973
126 반찬 간장감자조림, 매콤감자조림 요즘 햇감자가 맛있는 철이라 분이 잘 나는 수미감자를 10키로 샀다. 볶고, 조리고, 튀기고, 으깨가며 여러가지로 자주 해먹고 있다. 이번에 올리는 것은 간장감... 9 file 이윤정 2017.06.28 26080
» 반찬 두루두루 사용하는 김치볶음, 김치찜, 김치찌개 늘 집에 만들어두는 반찬인 김치볶음. 이기는 한데 실제로 볶는 과정은 없어서 김치찜에 가깝다. 김치로 만드는 반찬을 생각보다 별로 올린 적이 없는데 하도 자... 6 file 이윤정 2017.06.14 18405
124 반찬 나물비빔밥, 따닥불고기, 된장찌개 이렇게 밥상 차리면 한마디로 나물비빔밥인데 하는 일에 비해서 이름이 짧으니까 풀어쓰자면.. 곤드레나물, 무나물, 무생채, 애호박볶음, 당근볶음, 미역줄기볶음... 2 file 이윤정 2017.06.02 10330
123 반찬 간단하게 베이컨 대파전 밥상에 메인요리가 약간 부실하다 싶을 때 뭐 하나 더 하고 싶은데 바빠서 시간도 없고 할때 시판 부침가루로 얼른 대파전을 만들면 밥상이 조금 더 풍성하게 느... 2 file 이윤정 2017.05.31 9596
122 반찬 통마늘 메추리알 장조림 요즘 나오는 햇마늘로 장아찌를 담고나서 통마늘 장조림도 하고 통마늘 볶음밥도 하고 있다. 마늘이 연하고 톡 쏘는 맛이 적어서 두루두루 다 맛있다. 장조림은 ... 4 file 이윤정 2017.05.27 15199
121 반찬 진미채볶음, 오징어채볶음 밥반찬으로 늘 손에 꼽히는 진미채볶음. 도시락으로 싸가기도 좋아서 자주 만든다. 매콤달콤하게 볶아두면 술안주로도 잘 먹힌다ㅎㅎ 사용한 재료는 진미채 350그... 2 file 이윤정 2017.05.17 74185
120 반찬 불고기양념으로 호두멸치볶음, 간장멸치볶음 미리 만들어 둔 불고기 양념 https://homecuisine.co.kr/index.php?mid=hc10&document_srl=51790 으로 불고기양념은 늘 냉장고에 있으니까 도시락 반찬으로 오뎅... 2 file 이윤정 2017.05.06 31963
119 반찬 스팸두부조림 몇 달 째 도시락을 싸고 있는데 도시락반찬을 조금 넉넉하게 싸는 편이기도 해서 감자볶음, 오뎅볶음, 멸치볶음, 진미채볶음, 참치김치볶음, 미역줄기볶음 등 볶... 2 file 이윤정 2017.04.19 38635
Board Pagination Prev 1 3 4 5 6 7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