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DSC05542.JPG



생닭을 넉넉하게 사용해서 다시마, 표고, 대파, 양파등의 육수재료를 추가해 국물을 푹 끓이고

결과물의 국물 양은 많지 않게 하면 구수한 맛이 농축되어서 조미료를 넣은 것처럼 국물이 진하고 입맛에 착 달라붙는다.


닭개장은 국물을 많이 하는 것이 아니고 건더기와 국물이 반반정도 되도록 하는 것이 진하고 맛이 좋다.



닭 1키로 2마리

삼계탕용 약재

대파

건표고

다시마

양파



파 4대
토란대 (건조 30그램)
느타리버섯 1~2팩

표고버섯 10개


국간장 5스푼
간장 3스푼
고춧가루 2스푼
고운고춧가루 4스푼
다진마늘 3스푼
고추기름 2스푼
참기름 약간


 


토란대는 건조상태의 토란대 60그램을 불리고 손질해서 4분의1을 사용했다.

토란대는 링크에 있는대로 불리고 삶아서 껍질을 벗기고 물에 더 우려낸 다음 물기를 짜서 준비했다.


크기변환_DSC05378.JPG     크기변환_DSC05494.JPG  

 

대파는 반으로 갈라서 적당히 길게 썰고 겹겹을 풀어서 물에 한 번 데쳐냈다.

(대파를 데친 물은 버리지 않고 육개장에 물이 부족할 때 대파를 데친 물로 부족한 부분을 추가했다.)


크기변환_DSC05523.JPG     크기변환_DSC05524.JPG
 
 
표고버섯은 가늘게 썰어서 물에 한 번 데쳐내고

크기변환_DSC02825.JPG
 
 
느타리버섯은 씻어서 적당히 가르고 데치고 찬물에 헹군 다음 물기를 꼭 짜고 잘게 찢어두었다. 

크기변환_DSC05520.JPG     크기변환_DSC05521.JPG

크기변환_DSC05522.JPG     크기변환_DSC05525.JPG



닭은 아래위로 껍질과 기름을 적당히 제거한 다음 가슴부분을 칼로 썰고 열어서 속까지 깨끗하게 씻어두었다.

넉넉한 물에 삼계탕용 약재, 표고버섯, 다시마, 대파를 넣고 닭을 넣고 닭 크기에 따라 50분~1시간정도 푹 삶은 다음 식혀서 닭을 건지고 육수는 체에 걸러두었다.


크기변환_DSC05416.JPG     크기변환_DSC05417.JPG


크기변환_DSC05418.JPG     크기변환_DSC05419.JPG


닭고기는 건져서 닭고기살만 발라서 찢어두었다.




각각 데쳐 둔 재료에

국간장 5스푼
간장 3스푼
고춧가루 2스푼
고운고춧가루 4스푼
다진마늘 3스푼
고추기름 2스푼
참기름 약간

을 넣고 무쳐서 잠깐 두었다가


크기변환_DSC05526.JPG     크기변환_DSC05527.JPG



달달 볶고 닭육수를 부어서 끓이기 시작했다.

끓기 시작하면 뚜껑을 닫고 불을 줄여서 수분이 많이 증발하지 않도록 중약불에서 총 2시간정도 끓였다.

크기변환_DSC05425.JPG     크기변환_DSC05426.JPG


크기변환_DSC05427.JPG     크기변환_DSC05428.JPG




총 2시간을 끓이는데 30분 정도 남겨두고 찢은 닭고기를 넣고 후추 약간을 넣었다.
중간중간 물이 부족하면 뜨거운 물을 넣어서 너무 졸아들지 않도록 유지하는데
10분정도 남겨두고 간을 봤을 때 추가로 소금 등으로 간을 하지 않고 물을 조절해서, 국물을 졸이거나 물을 추가로 붓는 방식으로 간을 딱 맞게 마무리하면 좋다.
마지막에 간을 보고 안맞으면 소금이나 물로 조절해도 물론 괜찮다.


크기변환_DSC05429.JPG     크기변환_DSC05432.JPG    


크기변환_DSC05433.JPG     크기변환_DSC05434.JPG




크기변환_DSC05436-.jpg




크기변환_DSC05437-.jpg


육개장 그득 담고 밥만 딱 한그릇 있으면 밥상 끝.

건더기도 넉넉하고 토란대, 대파는 부드럽고 버섯은 쫄깃쫄깃하면서고 자잘해서 질감이 딱 좋다.

국물은 얼큰하고 구수하고 닭고기도 듬뿍이고 어느것 하나 모자랄 것 없이 너무 맛있는 닭개장이다.




다른날 또..

닭고기를 다 찢지 않고 닭다리만 남겨 두었다가 보기 좋게 올렸다.

다 찢어서 먹는 것이 간이 더 잘 배이고 먹기 편하기는 하다.


크기변환_DSC05528.JPG     크기변환_DSC05529.JPG


크기변환_DSC05530.JPG     크기변환_DSC05531.JPG





크기변환_DSC05532.JPG





크기변환_DSC05534.JPG





크기변환_DSC05542.JPG





크기변환_DSC05543.JPG


만들기가 조금 번거롭기는 하지만 얼큰하고 구수하고 그냥 막 맛있다.




  • 호두 2017.01.24 01:00
    썸네일만 보고 닭 한 마리가 통째로 들어간 줄 알고 깜짝 놀랐어요ㅋㅋㅋㅋㅋㅋ 이 추운 날씨에 뜨끈한 닭개장 한 그릇 최고예요ㅜㅜ
  • 이윤정 2017.01.24 23:20
    닭다리 두개번 닭한마리 통째로 쳐도 되지 않을까요ㅎㅎㅎㅎㅎ 요즘 날씨에 정말 딱이죠^^
  • 뽁이 2017.01.24 09:30

    크으 - 한창 꽃히셨 ? 다는 개장 ? 종류네요 ㅋㅋㅋ

    아 진짜 닭개장 육개장 이런거는 진한 국물도 좋지만

    그만큼 건더기도 많아야 맛난거 같아요 !

    이거 뭐뭐 영양가가 아주 그냥 -

    버섯도 종류대로 들어가고 닭을 통채로 고운데다가

    대파까지 들어가니 아주 그냥 ㅋㅋㅋㅋ

    이거 먹고 감기 걸리는 사람은 반칙이에요 ㅋㅋㅋㅋ

  • 이윤정 2017.01.24 23:22
    한 대여섯번 만들고 겨우 멈췄습니다ㅎㅎㅎ
    저도 건져 먹을 게 많은 거 좋아하는데 또 그래야 국물도 진하게 맛있더라고요^^
    제가 느타리버섯을 별로 안좋아하는데 육개장에 들어가는 느타리버섯은 또 맛있고 그러다보니 또 느타리버섯 사게 되고 선순환인 것 같아요ㅎㅎ
    요즘 너무너무 추운데 뽁님도 뜨끈한 것 많이 드시고 감기조심하세요^^
  • 레드지아 2017.01.25 16:05

    아~ 전  닭다리 꼬고 있는줄 알고 닭을 통째로 넣으신줄 알았어요 ㅋㅋㅋㅋㅋㅋ

     

    재료들이 쫄깃하고 구수하고 얼큰하니 뭐하나 빠질것없는 아름다운 맛일거 같은 느낌이 ㅋ

     

    저번 윤정님 육개장 포스트 보고서 재료들은 저도 구비해놓고 뭐가 그리 큰 마음이 생겨야 하는지 아직도 육개장 안끓이고 있어요 -_-;;;

    저에게도 요리할수 있는 에너지여 솟아나소서~~~ ㅋ

  • 이윤정 2017.01.26 22:29
    레드지아님도 속으심ㅎㅎㅎㅎ
    재료 다 사두셨다니 금방 만드시겠는걸요ㅎㅎ 그치만 저도 공감하는게 저는 건곤드레나물 건취나물 잔뜩 사두고 이것도 무슨 큰 마음이 들어야 할지 하고 있거든요ㅎㅎㅎ
    구수하고 얼큰하고 또 몇 번 만들고 보니 생각보다 일이 많지는 않네 싶다가 그거에 비해도 먹기는 너무너무 편하네 싶고 막 이랬다 저랬다 해요ㅎㅎ
  • 스폰지밥 2018.10.20 16:18
    오오..먼가 도전을 해보고 싶은데 엄청 일이 많은것 같아 멈추게 되는 레시피군요 .,시어른들한테 해드리면 엄청 사랑 많이 받을것 같아요^^
  • 이윤정 2018.10.21 00:19
    토란대 준비하는 것만 하면 사실 큰 일도 없지만 선뜻 토란 불리려고 하면 일이 많을까봐 조금 망설이게 되는 것 같아요.
    저는 토란 손질해서 냉동해두고 육개장이나 닭개장 만들고 있는데 주위에 계시면 하나 나눠드리고 싶은걸요^^
  • Balnim 2019.02.18 08:22
    집에 있는 채소와 닭가슴살로 만들었는데
    국물낸 후에 닭가슴살 삶으니 시간이 너무 오래걸렸어요.
    다음 번엔 국물낼때 그냥 닭가슴살도 함께 삶아야겠어요
    해장하려고 해놨는데 칼칼하고 시원한게 너무 맛있엇습니다. 따봉
  • 이윤정 2019.02.19 05:26

    닭가슴살이 존재감이 크지는 않아도 같이 삶는 게 좋은 것 같아요.
    사용하는 닭고기에 따라서 시간이 다르긴 하지만요.
    채소와 닭가슴살이라니 건강한 느낌이네요^^

  • 만두장수 2019.05.02 23:25
    이야~이거 기가막히겠는뎁셔...막 해장되는 것 같아요^^;;
  • 이윤정 2019.05.05 00:58
    누가 해주면 두배로 해장되는 각입니다ㅎㅎㅎㅎㅎ

  1. 닭도리탕

    닭도리탕의 닭은 닭다리만 사용하는 걸 더 좋아하는데(편하니까) 손질하지 않은 닭이 저렴해서 통닭을 사와서 손질해서 만들었다. 생닭은 가슴쪽을 갈라서 분할하고 관절을 굽혀서 자른 다음 기름기나 껍질을 취향에 따라 적당히 제거하고 깨끗하게 씻어 사용하면 핏물이 덜 배어나와서 만들 때 조금 더 편하다. 레시피나 과정은 평소와 똑같다. 재료 닭고기 1키로 (손질 후) 물 3컵 고운고춧가루 30그램 고추장 30그램 간장 30그램 다진마늘 60그램 조청 50그램 피시소스 10그램 미림 30그램 후추 약간 (여기까지 계량해서 물에 넣음) 고추기름 약간...
    Date2022.04.12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1 Views2807 file
    Read More
  2. 닭곰탕 만들기, 만드는법

    닭곰탕 만들기, 만드는법 닭을 푹 고아 맑게 끓여낸 국에 닭고기 살을 찢고 양념해서 끓여내는 닭곰탕. 사용한 재료는 닭 1마리 마늘 1줌 (12개정도) 대파 1대 통후추 1티스푼 무 약 3센치 양념으로 대파 1대 청양고추1개 매운양념 고운고춧가루 0.5스푼 다진마늘 0.5스푼 진간장 0.5스푼 국간장 약간 후추 약간 액젓 약간 소금, 후추 국수, 밥 무는 나박하게 썰어서 넣고 국물이 시원하도록 했는데 생략해도 상관없고 국수사리 역시 생략해도 상관없다. 매운양념도 취향에 따라 생략해도 되는데 나는 넣지 않고 같이 밥먹는 사람만 넣어서 먹었다. ...
    Date2015.08.16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10 Views20972 file
    Read More
  3. 닭곰탕 만드는법, 닭백숙

    유명하다는 닭곰탕집에 닭곰탕을 먹으러 갔는데 의외로 엄마께서 어릴 때부터 지금까지도 해주시는 백숙+닭국물과 똑같아서 놀랬다. 다른 점이 있다면 통마늘을 익혀서 으깨서 넣지 않고 다진마늘을 그대로 넣는 것이어서 그 부분을 참고 했다. 아버지 조경하시는 곳 근처 산에서 닭을 방사해서 키우는데 살이 올랐다며 갓 잡은 거라고 손질해서 주셨다. (닭 미안..) 닭곰탕 (우리집에서는 그냥 백숙) 은 운동량이 꽤 있고 튼실한 방사닭이나, 마트에서 구매할 경우에도 토종닭이라는 라벨이 붙은 것이 더 잘 어울린다. 물론 가격은 조금 더 비싸고 ...
    Date2017.07.09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2 Views15014 file
    Read More
  4. 닭개장 만들기, 만드는법, 레시피

    생닭을 넉넉하게 사용해서 다시마, 표고, 대파, 양파등의 육수재료를 추가해 국물을 푹 끓이고 결과물의 국물 양은 많지 않게 하면 구수한 맛이 농축되어서 조미료를 넣은 것처럼 국물이 진하고 입맛에 착 달라붙는다. 닭개장은 국물을 많이 하는 것이 아니고 건더기와 국물이 반반정도 되도록 하는 것이 진하고 맛이 좋다. 닭 1키로 2마리 삼계탕용 약재 대파 건표고 다시마 양파 파 4대 토란대 (건조 30그램) 느타리버섯 1~2팩 표고버섯 10개 국간장 5스푼 간장 3스푼 고춧가루 2스푼 고운고춧가루 4스푼 다진마늘 3스푼 고추기름 2스푼 참기름 약...
    Date2017.01.23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12 Views14041 file
    Read More
  5. 낙곱새양념으로 관자 곱창 소고기

    낙곱새의 신기한 점은 낙곱새 양념과 소기름이 적당히 들어가기만 하면 낙지, 곱창, 새우가 전부 다 안들어가도 낙곱새맛이 나는 것이다. 이번에는 구이용 소고기, 대창, 관자를 사용했다. 대창을 사용하면 좋지만 구매하기 번거로울 때는 대창 대신 차돌박이를 사용해서 소기름이 들어가도록 하는 것도 괜찮다. 낙곱새 양념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5421 재료 구이용 얇은 소고기 350그램 대창 100그램 조개관자 150그램 낙곱새양념 200그램 (1회분) 사골육수 500그램 양파 1개 대파 흰부분 2~3대 라면사리 1개 냉동우동사리 1개 ...
    Date2020.12.09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2 Views2703 file
    Read More
  6. 낙곱새양념으로 곱창두부두루치기

    대창을 볶아 대창기름에 양념을 넣고 큼직한 손두부와 함께 자작하도록 끓여서 얼큰하고 고소한 곱창두부두루치기. 고추장없이 하는 양념은 이전에 올린 곱창두부두루치기이고 https://homecuisine.co.kr/hc10/89372 고추장이 1티스푼 들어가는 양념은 전골다대기이다. https://homecuisine.co.kr/hc10/95421 전에 올린 곱창두부두루치기에는 고추장 없이 만들었는데 이번에는 전골다대기(=낙곱새양념)을 사용했다. 맛은 대동소이하다. 내용은 전에 올린 곱창두부두루치기의 내용과 거의 같다 (=복사해옴) 재료 두부 700그램 1모 곱창 100그램 (볶기)...
    Date2020.10.21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3 Views1951 file
    Read More
  7. 낙곱새X 문곱새O

    낙곱새의 낙지 대신 문어를 사용했다. 낙곱새가 언제나 그렇듯이 볶음이라기보다 짜작한 전골에 가깝다. 보통 낙곱새에는 수입낙지가 들어가는데 국산 생물 낙지를 사용하려면 아주 비싸다. 국산 생물 낙지로 낙곱새 만들자면 가격이 만만치 않은데 소문어를 사면 가격이 낙지보다 저렴하기도 하고 맛있기도 하다. 2인분으로 문어 300그램 (손질 후) 한우대창 100그램 새우 한 줌 대파 흰부분 2~3대 (넉넉히) 양파 1개 당면 100그램 (미리 불리기) 전골다대기 1회분 사골육수 500미리 추가사리로 삶은 라면이나 냉동우동, 냉동중화면 전골다대기 http...
    Date2020.08.23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1 Views2236 file
    Read More
  8. 낙곱새, 낙지볶음, 레시피, 만들기

    겨울이면 밥상에서 불을 켜고 해먹는 음식을 자주 만드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좋아하는 것이 낙곱새이다. 낙곱새양념(=전골다대기)을 대량으로 만들어두었다가 사용한다. 전골다대기는 1달 넘게 보관할 것이면 냉동보관했다가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전골다대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5421 구구절절 낙곱새 이야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5445 재료 (2~3인분) 양파 1개 대파 흰대 2~3대 낙지 300그램 (손질 후) 대창 100그램 새우 150그램 (해동 후) 낙곱새양념 200그램 사골육수 300~400미리 (300 먼저 넣고 필요하면 조절) ...
    Date2021.01.27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6 Views5573 file
    Read More
  9. 낙곱새 양념으로 소고기두부조림

    소고기두부조림이라고 해야할지 두부두루치기라고 해야할지 두부짜글이라고 해야할지 모르겠는데 어쨌든 사골육수 + 낙곱새양념 + 샤브샤브용 소고기 + 두부 + 양파 대파 의 짜글짜글한 조합이다. 이전에 올린 걸로는 낙곱새양념+곱창+두부 = https://homecuisine.co.kr/hc10/97628 낙곱새양념+대패+두부 = https://homecuisine.co.kr/hc10/96856 낙곱새양념+차돌+두부 = https://homecuisine.co.kr/hc10/90307 낙곱새양념은 냉동실에 상주해있으니까 편하게 이것저것 만들어 먹는다. 전골다대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5421 재료 두부 5...
    Date2021.08.25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0 Views2011 file
    Read More
  10. 낙곱새 양념으로 대패 두부두루치기

    낙곱새 양념으로 대패 두부두루치기. 전에 올렸던 차돌두부두루치기와 비슷한데 미리 양념장을 만들어두었어서 양념장 만들 때는 귀찮았지만 음식할 때는 편하게 만들었다. 사골육수에 전골다대기 풀고 두부, 양파, 대파, 고추 넣고 구운 고기와 사리만 하나 추가하면 끝이다. 두부가 많을수록 간이 희석되니까 간을 보고 필요하면 전골다대기를 조금 더 추가한다. 양념장을 만들어두면 꽤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 낙곱새 양념 - https://homecuisine.co.kr/hc10/95421 사용한 재료는 사골육수 500미리 낙곱새 양념 1회분 (=200그램) 대패 삼겹살 500...
    Date2020.09.22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2 Views2294 file
    Read More
  11. 낙곱새 양념으로 닭곱새

    낙곱새의 낙지 대신 닭다리살을 넣어서 만들었다. 낙곱새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5445 https://homecuisine.co.kr/hc10/100384 여태 낙곱새양념(=전골다대기)으로 만들 수 있는 종류는 다 만들어보고 있는데 (낙곱새로 검색하면 나온다) 해산물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사람의 입맛에는 닭곱새가 제일 좋단다. 부산에 곱도리탕이 있는데(이것도 다음에 업로드 예정) 닭도리탕에 대창을 넣은 버전이 있다. 꽤 맛있는데 닭고기+대창의 조합이 좋다는 이야기다. 새우에 조금 까탈스러운 사람은 어지간하면 새우 들어간 건 별로라 하는...
    Date2021.03.25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1 Views7992 file
    Read More
  12. 낙곱새 대신 낙곱쏘

    낙곱새라는게 일종의 짜글짜글한 전골이라 주재료+채소+전골다대기+육수+사리의 조합으로 어떻게 만들어 먹어도 맛있다. 낙곱새양념(전골다대기) 재료 고운고춧가루 150그램 고추장 60그램 간장 100그램 친수피시소스 100그램 다진마늘 250그램 다진대파 흰부분 250그램 미림 75그램 설탕 50그램 후추 1티스푼 생강가루 1티스푼 (생강즙 30) (생략가능) = 약 1065그램 = 5회분 = 1회분에 200그램 낙곱새로 검색한 링크 https://homecuisine.co.kr/index.php?mid=board_secret2&act=IS&is_keyword=%EB%82%99%EA%B3%B1%EC%83%88&where=document&search_...
    Date2022.09.14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0 Views1792 file
    Read More
  13. 낙곱새

    늘 마음이 쓰이는 레시피인 낙곱새. 자주 올리지는 않았지만 언제라도 해먹을 수 있도록 양념과 주재료를 늘 냉동해두고 있고 양파 대파도 늘 집에 있으니까 하루 전에 냉장실에 옮겨 해동만 하면 되는 메뉴이다. 낙곱새라는게 일종의 짜글짜글한 전골이라 주재료+채소+전골다대가+육수+사리의 조합으로 어떻게 만들어 먹어도 맛있다. 낙곱새로 검색한 링크 https://homecuisine.co.kr/index.php?mid=board_secret2&act=IS&is_keyword=%EB%82%99%EA%B3%B1%EC%83%88&where=document&search_target=title&page=1 낙곱새양념(전골다대기) 재료 고운고춧...
    Date2022.02.13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0 Views3709 file
    Read More
  14. 꽃게탕

    어릴 때부터 엄마께서 정말 자주 해주셨고 정말 좋아한 소울푸드가 꽃게찌개인데 소울푸드 치고는 오랜만에 꽃게탕을 끓였다. 먹고는 싶지만 냉동꽃게는 맘에 덜 차고 생물꽃게는 손질하기가 힘들어서 차일피일 미루거나 어지간하면 사먹는 와중에 엄마께서 선동꽃게를 우리집으로 한 박스 보내신 바람에 어쩔 수 없이 만든..ㅎㅎ(좋음) ㅠㅠ(힘듦) 암꽃게를 사용할 때는 꽃게딱지를 벌려서 손질하지말고 그대로 깨끗하게 씻어서 사용해야 내장이나 알까지 전부 더 맛있게 먹는데 이번에 사용한 꽃게는 선동인데다가 꽃게에 뻘이 좀 있어서 최대한 덜...
    Date2021.10.11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2 Views2263 file
    Read More
  15. 꽃게알탕, 서더리매운탕

    알탕을 하려다가 육수에 명란만 있으면 국물이 좀 심심할 것 같아서 꽃게를 넣어 꽃게알탕을 했다. 사용한 채소는 무, 대파, 청양고추 뿐이다. 명란을 가장 먼저 사두고 냉동 꽃게 해동하고 장도 안보고 있다가 집에 당장 있는 채소인 무, 대파, 청양고추만 사용했는데 미리 채소를 준비할 여유가 있을 때는 팽이버섯, 방아잎, 깻잎, 미나리, 쑥갓 중에 취향에 맞는 채소를 골라 다양하게 준비하면 더 좋다. 생선과 달리 꽃게와 명란에는 기름이 없기 때문에 고추기름 약간을 넣으면 더 맛있고 산초나 제피를 약간 넣는 것도 좋아한다. 육수를 내기 ...
    Date2019.04.29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2 Views4162 file
    Read More
  16. 김치전골

    김치찌개 베이스에 원하는 재료를 추가해서 다양하게 먹기 좋은 김치전골. 김치찌개로 (4인분) 김치 4분의1포기 돼지고기 400그램 멸치육수 약 1.5리터(필요시 보충) 다진마늘 1스푼 청주 약간 김치전골로 (2인분) 김치찌개 2인분 어묵 약간 소시지 1개 떡 1줌 물만두 1줌 대파 1대 불린 당면 약간 두부 반모 팽이버섯 1개 추가로 멸치육수 1컵 간장 1스푼 멸치, 황태, 대파, 무, 다시마, 표고버섯으로 육수를 우려두었다. 찬물에 1시간정도 담가두고 중불~중약불이 1시간 끓이고 그대로 완전히 식힌 다음 걸렀다. 고기는 앞다리살이나 목살도 좋고 ...
    Date2016.06.1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22726 file
    Read More
  17. 곱창전골 만들기, 레시피

    다들 좋아하는 곱창전골이 있기 마련인데 내가 좋아하는 양곱창집의 곱창전골 스타일로 만들고 있다. 곱창구이는 자갈지 영진양곱창의 특양을 좋아하고 곱창전골은 대정양곱창을 좋아한다. 여기는 곱창전골에 소곱창이 아닌 소대창과 특양이 들어가는데, 고소한 맛은 특양보다는 대창에서 나온다. 구이는 특양을 좋아하지만 곱창전골에는 대창을 좋아해서 한우 대창만으로 곱창전골을 만들었다. 기름이 조금 과하긴 하지만 가끔 먹기는 좋다. 소곱창을 사용할 경우에는 깨끗하게 손질한 곱창을 끝을 묶고 끓는 물에 된장, 생강, 청주 등을 넣고 소곱...
    Date2018.11.26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11 Views36561 file
    Read More
  18. 곱창전골 레시피

    작년에 곱창전골을 올린 이후로 유명하다는 곱창전골집을 몇 군데 더 다녀봤는데 좋은 곳도 있었고 기대보다 덜 좋은 곳도 있었다. 평소에 만들던 대정양곱창 스타일에 비해 좀 칼칼한 곳도 있고 미소된장을 약간 넣은 듯한 맛이 나는 곳도 있었다. 이렇게 여러 곳을 다니다보니 할 때마다 음식 맛이 조금씩 바뀌는데 많이 다니니까 어떤 방향으로 조절하면 이런 너낌. 알겠다 싶을 때도 있었다. 곱창전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전처리를 잘 한 곱창, 양대창, 대창이고 그 외에 양념하는 건 입맛에 맞게 조절하면 되니까 만들기 편하다. 좋은 곱...
    Date2020.11.24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7069 file
    Read More
  19. 곱창 두부두루치기, 레시피

    예전에 두부두루치기를 올린 적이 있는데 좀 밋밋해서 재료나 조리법을 바꿨었다. 여러번 해보니 대창이 들어가면 제일 맛있고, 차돌박이가 그 다음, 그도 없으면 대패삼겹살을 사용하면 괜찮다. 소기름이 들어가야 맛있다. 재작년부터 이렇게 해먹어왔는데 여러번 주재료를 바꿔가면서 대량양념도 하면서 비율도 바꿔가면서 하다보니 낙곱새 양념이랑 좀 겹치는 부분이 생겨서 그냥 안 올리고 둘까 하다가 맛있다고 너무 자주 해먹고 또 곱도리탕도 만들고 하다보니 비슷한 음식이 폴더에 자꾸 밀려서 업로드.. 두부두루치기니까 제일 중요한 것은 ...
    Date2020.02.16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2721 file
    Read More
  20. 개미집 낙곱새 만들기, 레시피

    바로 전에 올린 전골다대기 https://homecuisine.co.kr/hc10/95421 에 이어서 개미집식 낙곱새 이야기를 하자면 0. 개미집 육수에는 조미료가 약간 느껴지는 맛임 흰색 육수를 사용하는데 육수만 맛을 보면 멸치 등 해산물 베이스는 아니고 사골육수에 가깝고 양념은 매운맛을 조절주문가능. 1. 곱창은 데친 대창이 들어가는데 집에서는 볶아서 넣는 것이 더 좋을듯. 2. 양념 양이 많음. 알아서 조절. 육수 넣기 전에 양념만 살짝 찍어먹어보면 생각보다 짜지 않은 느낌. 마늘맛이 많이남. 3. 양파 대파는 주사위모양으로, 대파가 많이 나오는 지점이...
    Date2020.08.09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8 Views26743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