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조회 수 14409 추천 수 0 댓글 10


크기변환_IMG_0322.JPG

갑자기 이번 겨울에 육개장에 꽂혀서 한 주에 한 번 씩 닭개장,육개장 번갈아 만들고 있다.
각각의 채소를 데쳐서 만들기 때문에 조금 번거롭기는 하지만 두어시간 푹 끓여두면 얼큰하고 시원하니 좋다.

닭을 한두마리 통째로 삶아 육수를 내고 일일이 뼈를 발라야 하는 닭개장보다 고기를 썰어서 만드는 육개장이 조금 덜 번거로운데
그만큼 고깃국물이 조금 덜 나니까 육개장에는 황태육수나 사골곰탕을 추가로 넣으면 국물이 더 맛있다.


육개장은 국물이 너무 많은 것보다 건더기가 넉넉하게 먹을 것이 많아야 맛있다.


사용한 재료는 3~4인분으로 (계량스푼 사용)

한우양지 500그램
황태육수 1리터
물 적당량

토란대 한 줌
표고 6개
느타리버섯 1팩
대파 2대 

고추기름 1.5스푼
국간장 3스푼
간장 1스푼
고운고춧가루 2스푼
고춧가루 1스푼
마늘 2스푼
참기름약간 

무 3분의1개
대파 약간


토란대는 건조상태의 토란대 60그램을 불리고 손질해서 4분의1을 사용했다.
토란대손질 - https://homecuisine.co.kr/hc20/49120
고추기름을 만들어서 넣어야 향이 더 좋다. 고추기름 - https://homecuisine.co.kr/hc20/66924
(고사리를 좋아하지 않아서 생략했지만) 취향에 따라 고사리를 추가로 넣으면 좋고, 마지막에 데친 숙주를 넣어 끓이면 더 좋다.




먼저 황태육수.

황태, 무, 대파, 표고, 다시마를 적당히 준비해서  정수한 물을 2.5리터이상 넉넉하게 붓고 찬물에 1시간정도 우려두었다가

불을 켜고 물이 끓기 시작하면 중불로 줄여서 40분정도 푹 우려내고 그대로 완전히 식혀서 체에 거른 다음 냉장고에 늘 넣어두었다가 필요할 때 쓰고 있다.


크기변환_DSC05683.JPG     크기변환_DSC05686.JPG


소고기뭇국에는 꼭 황태육수를 넣어서 만드는데 육개장에는 황태육수 대신 시판 사골곰탕을 1팩 사용해도 좋다.




양지는 살짝 헹궈서 굽기 좋도록 겉의 물기를 닦은 다음 냄비에 넣고 참기름을 약간 두른 다음 앞뒤로 노릇노릇하게 굽고 물을 부어 1시간정도 푹 끓였다.

(물이 부족할 때는 뜨거운 물을 추가)


크기변환_DSC08346.JPG     크기변환_DSC05877.JPG




푹 삶은 고기는 건져서 살짝 식히고 가능한 한 얇게 썰고 겉이 마르지 않도록 그릇에 담아 뚜껑을 덮어두었다.

크기변환_IMG_0268.JPG



소고기를 삶는 동안 육개장 재료를 각각 데쳤다.

표고버섯은 가늘게 썰어서 물에 한 번 데쳐내고 느타리버섯은 씻어서 적당히 가르고 데치고 찬물에 헹군 다음 물기를 꼭 짜고 잘게 찢어두었다. 

크기변환_DSC02825.JPG     크기변환_DSC05522.JPG

크기변환_DSC05525.JPG     크기변환_DSC05494.JPG  

 

토란대는 링크에 있는대로 불리고 삶아서 껍질을 벗기고 물에 더 우려낸 다음 물기를 짜서 준비했다.



대파는 반으로 갈라서 적당히 길게 썰고 겹겹을 풀어서 물에 한 번 데쳐냈다.

(대파를 데친 물은 버리지 않고 육개장에 물이 부족할 때 대파를 데친 물로 부족한 부분을 추가했다.)


크기변환_DSC05523.JPG     크기변환_DSC05524.JPG  


무는 익히면 무르니까 한꺼번에 처음부터 넣어 끓이지 않고 중간정도부터 넣어 끓일 것인데 먹기 좋게 적당히 나박나박 썰어뒀다.

크기변환_IMG_0253.JPG


각각 데쳐 둔 재료에
고추기름 1.5스푼
국간장 3스푼
간장 1스푼
고운고춧가루 2스푼
고춧가루 1스푼
마늘 2스푼
참기름약간 
을 넣고 무쳐서 잠깐 두었다가 먼저 볶고

크기변환_DSC05526.JPG     크기변환_IMG_0252.JPG

 크기변환_DSC05528.JPG    크기변환_IMG_0257.JPG


양지육수와 황태육수를 넣고 끓이기 시작했다.
끓기 시작하면 뚜껑을 닫고 불을 줄여서 수분이 많이 증발하지 않도록 중약불에서 총 2시간정도 끓였다.

크기변환_IMG_0258.JPG      크기변환_DSC05530.JPG

크기변환_IMG_0273.JPG    


총 2시간을 끓이는데 그 중에 50분정도 남겨두고 무와 썰어둔 양지를 넣었다.
중간중간 물이 부족하면 뜨거운 물을 넣어서 너무 졸아들지 않도록 유지하는데
10분정도 남겨두고 간을 봤을 때 추가로 소금 등으로 간을 하지 않고 물을 조절해서, 국물을 졸이거나 물을 추가로 붓는 방식으로 간을 딱 맞게 마무리하면 적당하다.

크기변환_IMG_0275.JPG     크기변환_IMG_0278.JPG

크기변환_IMG_0281.JPG     크기변환_IMG_0283.JPG

당면사리도 넣어서 만들어봤는데 당면사리는 육수를 너무 많이 흡수하니까 따로 투명하게 삶아두고
육개장을 약간만 짭짤하게 간조절을 해서 끓이고 당면사리를 넣어 한 번 훌훌 끓여내면 간이 맞다.
(사리는 욕심내지 않고 적당히 반줌정도 넣는 것이 좋다.)
 
  
육개장을 그릇에 그득하게 담아서 김이 풀풀 올라오는 옆에 하얀 밥 한그릇 딱 놓으면 그걸로 밥상은 끝이다.

크기변환_IMG_0310.JPG



크기변환_IMG_0315.JPG



이대로도 맛있고 또 여유가 있으면 대파를 대파를 잘게 썰어서 뿌려도 좋다.

크기변환_IMG_0326.JPG



크기변환_IMG_0329.JPG

고기도 넉넉하고 무는 사르르 녹고 토란대, 대파는 부드럽고 버섯은 곱게 손질해서 쫄깃쫄깃하면서도 질감이 딱 좋다.

일단 당면 먼저 건져서 먹고 또 밥도 말고, 얼큰하고 구수한 육개장 한그릇만 있으면 밥 한그릇이 금방이다.

시간도 많이 들고 손도 많이 가지만 그만한 가치를 하도록 맛있다.




  • 재민 2017.01.08 00:31
    어쩜 빨간 기름이 묻은 양지살이 너무나 맛나보여요! 사진도 연출도 식욕자극 제대로 되네요!!!
    제대로 된 육개장을 먹고싶어도 귀찮음에 져서 항상 육개장칼국수 라면으로 대체했었는데, 이걸 보니 도전 안해볼 수가 없겠네요
    고사리 건더기도 추가해서>_<
  • 이윤정 2017.01.08 12:53
    얼큰한 육개장에 양지 듬뿍 들은 것 보면 마음이 확 풀리는건 저뿐일까요ㅎㅎㅎ
    육개장이라는게 손이 많이 가면 또 그만큼 맛있는거라 딱 정직한 음식이다 싶어요^^
    데치고 삶고 끓이고 2시간이 넘도록 만들었는데 먹는 건 순식간이라 약간 허무하긴 해요ㅎㅎㅎ
  • 호두 2017.01.08 01:03
    육개장에 밥 말아서 깎뚜기랑 먹고 싶어요!!ㅜㅜ 그 조합을 가장 좋아하거든요 저흰 고사리 숙주 다 들어가요ㅋㅋㅋ 엄마가 예전엔 해마다 만들어주시더니 요샌...ㅜㅜ 매주 만들어 드신다니 너무 부럽습니다ㅜㅜ 물론 그만큼 고생하시는 거지만...
  • 이윤정 2017.01.08 12:57
    크 육개장에 밥 푹푹 말면 진짜 좋죠^^ 저는 김치도 안꺼내고 그냥 먹었는데 깍두기를 꺼낼 걸 그랬습니다ㅎㅎ
    저는 고사리는 안먹어서 생략하고 숙주는 그날따라 마트에 상태가 좋은 게 없더라고요. 숙주는 넣는 걸 더 좋아해요ㅎㅎ

    어머님께서 만들어 주신 육개장 한사발 얼마나 맛있을지 생각해봅니다ㅎㅎ 그런데 연로하신 부모님께 만들어 달리긴 죄송하도록 손이 좀 가긴 하죠^^;
    요즘 꽂혀서 힘든 줄도 모르고 토란대 불리고 삶고 또 이것저것 데치고 고기 삶아 만들기는 하는데 또 언제 마음이 바뀔지 모르겠어요ㅎㅎ
  • 뽁이 2017.01.08 14:30

    헉 ㅋㅋㅋ 어떻게 하면 육개장 닭개장에 꽃히시나요 ...

    드시는거에 ? 만드는거에 ?!!? 진짜 대단하셔요

    그것도 야매 ? 스레 간단히 만드시는거도 아니고 ..

    완전 이렇게 정식으로 허허헣 ㅋㅋㅋㅋ

    이런 국 두고는 밖에 나가서 밥 못먹죠 !!!

    토란대 듬뿍 들어가서 좋아요 ㅠㅠㅠ

  • 이윤정 2017.01.11 23:31
    일단 만들고 다음에는 먹는거니까 둘 다라고 봐야겠죠ㅎㅎㅎ
    고사리랑 숙주도 넣어서 더 정석대로 만들면 좋은데 숙주는 마트에 은근 비싸고 때에 따라 좋은 게 없기도 하고 고사리는 제가 잘 안먹어요ㅎㅎㅎ
    푹 끓여놓으면 일단 저녁에 마음이 편한데 또 먹는건 순식간이고 막 그래요ㅎㅎㅎ
  • 레드지아 2017.01.09 10:14

    아흑 아흑...저 육개장 엄청 좋아하는데 손이 많이 가고 뭔가 제가 하기엔 범접하기 힘든 음식이라는 편견때문에 한번도 만들어본적이 없어요!!!!!

    이 추운 겨울에 뜨끈한 육개장 한그릇 먹으면 힘이 불끈불끈 생길거 같네요

    윤정님 레시피를 프린트해서 고대~~~로 따라해봐야겠어요!!!!

  • 이윤정 2017.01.11 23:33
    버섯이랑 토란대는 데치고 손질해서 냉동했다가 사용하면 나머지는 얼큰한 소고기뭇국 끓이는거랑 비슷해요ㅎㅎ
    겨울에 육개장 끓이고 있으면 집안 온도도 훈훈하고 밥먹을 때도 두겹 입었던 옷을 하나 벗게 되고 그렇죠^^
    레드지아님 입맛에도 맞으셨으면 좋겠어요^^
  • 쥬니 2017.07.08 23:08
    윤정님 저 내일 육개장 끓이려고 토란대 삶고 있어요 ㅋㅋㅋㅋ 이마트에서 이미 데쳐진거 사오긴 했는데 덜 삶아진거 같아서 한번 더 삶아서 물에 우렸다 하려구요.
    근데 궁금한게 있는데요 어차피 푹 끓이는데 버섯이나 대파는 왜 한번 데쳐요? 느타리야 데치는거 많이 봤는데 표고나 대파는 일부러도 향땜에 많이 넣는데 데치면 그 향이 날아가지 않아요?? 대파에서 진액이 나와서 한번 데치는 거예요???
  • 이윤정 2017.07.09 22:16

    토란대가 꼼꼼하게 삶아서 손질하지 않으면 안맞는 경우가 있죠. 삶은 것도 한 번 더 체크하셔서 만드셨으니 토란대 맛있게 드셨을 것 같아요^^
    대파는 그냥 넣으면 국물에 점성이 생겨서 데쳐서 넣었어요. 그런데 데쳐도 아주 많이 넣으면 점성이 없어지지는 않더라고요.
    표고버섯은 많이 사서 살짝 데쳐서 냉동했다가 사용했어요. 10초정도 살짝 데치면 데친 물에 부스러기가 조금 나오고 표고버섯 향이 약간 날아가는데 저는 표고 향이 살짝 날아간 상태가 좋더라고요. 대파는 많이 넣지 않을 경우나 표고버섯은 그냥 넣는 것이 더 취향에 맞다면 데치지 않아도 괜찮아요.


  1. 왕돈까스 만들기

    왕돈까스 만들기 돈까스가 별로 커보이지는 않는데 접시 지름이 35센치이고 돈까스 가로크기는 약 25센치였다. 1인분에 1개씩 튀겼다가 양이 생각보다 많아서 푸드파이터에 빙의해서 겨우 다 먹었다.. 사용한 재료는 1인분당 돼지고기 등심 200그램 소금, 후추, 밀가루 계란1개+우유1스푼 습식빵가루 넉넉히 데미그라스소스를 사용했는데 http://homecuisine.co.kr/index.php?mid=hc20&category=1730&document_srl=29624 이렇게 만든 것에 설탕을 1스푼 정도 넣고 약간 단맛을 가미했다. 간단한 버전으로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
    Date2015.12.08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8 Views14846 file
    Read More
  2. 우거지 김치국

    우거지 김치국 평소에 김치는 찌개나 찜으로 진하게 먹었는데 오랜만에 얼큰한 김치국물이 땡겨서 돼지고기와 육수, 김치, 우거지로 우거지 김치국을 끓였다. 사용한 재료는 약 6인분으로 멸치육수 넉넉히 돼지고기 앞다리살 400그램 김치 약 8분의 1포기 우거지 2줌 김치국물 약 1컵 다진마늘 2스푼 국간장 약 2스푼 대파 2대 두부 한 모 보통 우거지는 배추의 푸른 겉잎을 말려서 삶아서 사용하지만 배추를 속을 묶지 않고 햇빝을 보게해서 겉부터 속까지 모두 푸른색으로 키운 배추를 부모님께 받아서 사용했다. 배추는 씻고 데쳐서 물기를 꽉 짠 ...
    Date2015.10.05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9 Views4734 file
    Read More
  3. 우럭매운탕, 우럭구이

    2014/07/18 우럭매운탕, 우럭구이 그냥 이야기.. 보통 생선은 60도 정도에서 익기 시작하고 온도가 그보다 더 높으면 건조해지기 시작하기 때문에 팔팔 끓이는 것은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프랑스식 해산물스튜인 부야베스를 끓일 때에는 생선에서 녹아나온 젤라틴과 지방, 그 외 재료에서 나오는 아로마나 올리브오일이 서로 섞일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물이 끓으면서 발생하는 거품이 빠르게 대류하면서해산물 스튜의 국물을 휘저어 줄 수 있도록 강한 불로 끓인다. 매운탕이 그보다는 꽤 단순하게 끓이는 음식이지만, 생선의 겉과...
    Date2014.07.18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0 Views6999 file
    Read More
  4. 우렁강된장

    사용한 재료는 약 3인분으로 자숙우렁 150그램 (손질 후) 양파 중간 것 1개 대파 1대 다진마늘 1스푼 청양고추 4개 팽이버섯 1봉투 집된장 1스푼 (시판된장 가능) 시판된장 1스푼 고추장 1스푼 고춧가루 1.5스푼 멸치황태육수 약 350미리 두부 1모(300그램) 된장은 시판된장 중에서도 대두, 소금, 주정, 종국 정도로 최소한의 재료가 들어간 된장을 사용했다. (샘표 백일된장, 해찬들 명품집된장) 육수는 멸치, 황태, 대파, 무, 다시마, 표고버섯에 정수한 물을 2.5리터이상 넉넉하게 붓고 찬물에 1시간정도 우려두었다가 불을 켜고 물이 끓기 시작하...
    Date2018.03.26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4 Views10091 file
    Read More
  5. 우렁쌈된장, 강된장

    강된장보더 더 뻑뻑하게, 쌈채소와 먹을 수 있도록 만든 쌈된장. 여기에 육수를 좀 더 부으면 비벼먹기 좋은 강된장이 된다. 쌈채소와도 좋고 심심한 배추찜이나 데친 호박잎, 양배추찜과 함께 먹어도 잘 어울린다. 주재료와 된장양념, 두부(선택)를 준비하고, 쌀도 씻고 양배추도 씻어서 겹겹이 풀어서 김 오른 찜통에 찌고, 양배추는 너무 뜨겁지 않게 한 김 식히고, 밥은 전기압력밥솥에 돌리고, 그러는 동안 미리 준비한 재료로 쌈된장을 끓이고 졸여내면 금방이다. 주재료는 우렁을 사용했는데 소고기나 버섯을 사용해도 좋다. 두부없이 주재료+...
    Date2018.12.19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4 Views3796 file
    Read More
  6. 우리집 밥상 2017 06

    평소에 음식 완성사진을 찍고나면 미리 준비한 음식이 식을까봐 나머지 밥상 차리기에 급급해서 밥상사진을 잘 찍지 않다가 지난번에 이어 그나마 힘내서 몇 번 찍었다. 한그릇 요리나 음식은 그대로 밥상이니까 따로 밥상 찍을 일이 잘 없고 늘 만드는 국이나 찌개, 반찬으로 차린 밥상사진이다. 떡 벌어지게 차리지는 않고 두어가지 해서 금방 먹는 밥상이라 단출하지만 귀찮은 와중에 나름대로 차려먹었다. 자세한 레시피는 거의 링크에 있지만 앞으로 올릴 것도 몇개 있어서 링크가 없는 것도 있다. 뭐 먹었나 기록용으로 찍은거라 밥상을 다 세...
    Date2017.06.30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2 Views41143 file
    Read More
  7. 우엉조림 만드는법, 레시피

    아삭아삭한 우엉조림을 안 좋아해서 여태까지는 열심히 끓이고 볶아서 만들어 먹었는데 나이를 조금 더 먹고나니 아삭한 것도 괜찮고 오래 조리하는 것도 힘들고 해서 삶는 시간과 볶는 시간을 줄여 적당히 만들었다. 그런데 그러고보니 이렇게 만든 것은 딱 만들었을 때는 조금 아삭아삭한 감이 있는데 식혀서 냉장고에 넣었다가 꺼내니 똑같이 쫀득쫀득해서 전보다 더 편하게 이렇게 만들고 있다. 사용한 재료는 우엉 200그램 (손질 후) (굵은걸로 1.5대 보통으로 2대분량) 간장 1.5스푼 미림 1.5스푼 조청이나 쌀올리고당 1.5~2스푼(간보고) 참기...
    Date2019.05.09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8 Views10017 file
    Read More
  8. 우엉조림, 우엉조림맛있게하는법

    아무리 검색 차원이라고 하지만 우엉조림맛있게하는법이라니 ㅋㅋ 좀 뻔뻔. 우엉조림 맛있게 하는 법이라기 보다는 우엉조림 귀찮게 하는 법..이라기 보다는 우엉조림 빡치게 하는 법에 가깝겠다. 글로만 봐서는 우엉조림을 빡치게 하는 법 같으니까 우엉조림 하면서 빡치는 법에 더 가까우려나..싶다. 우엉조림 맛있긴 한데 손도 많이 가고 시간도 많이 들어서 내게는 좀 귀찮은 음식이다. 사용한 재료는 우엉, 식초, 황태표고다시마육수, 간장, 청주, 미림, 꿀, 참기름 양은 대충...... 요즘 우엉이 비싸서 선뜻 사지를 못했는데 우엉을 많이 사신 ...
    Date2014.06.23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9809 file
    Read More
  9. 우엉조림, 우엉채볶음

    2013/04/09 우엉조림, 우엉채볶음 언제나 마트에 가면 신경쓰이는 식재료인 우엉.. 사고 싶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고 그런 생각에 아예 사고 싶거나 아예 싫거나 하는 식재료보다 더 신경쓰인다. 예전에는 싫어하는 반찬이었는데 우엉이 싫다기보다 어적어적한 느낌의 식감을 싫어했었다. 그렇지만 쫀득쫀득한 식감의 우엉을 발견하고는 좋아하는 식재료가 되었다. 물론 그에 따른 귀찮은 과정, 그에 들여야 하는 많은 시간이 동반되어야 하는 식재료이기도 하고... 그렇게 애매하게 신경쓰이는 점 때문에 어쩌다보니 요즘 반찬으로 자주 만들고 있다....
    Date2013.04.09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2 Views7272 file
    Read More
  10. 우엉조림, 유부초밥

    우엉조림 우엉은 얼른 졸여내서 아삭아삭한 맛으로 먹기도 하지만 나는 오래 끓이고 오래 볶아서 만든 것을 좋아해서 시간이 좀 걸리는 편이다. 사용한 재료는 우엉, 간장, 청주, 미림, 물엿, 올리브오일, 참기름 분량을 쓰지 않았는데 이유는 우엉이 많아서 삶아서 냉동해두었다가 하나씩 꺼내서 우엉 분량이 정확하지가 않아서이다.. 우엉 양에 따라서 간장을 2~4스푼 정도 조절해서 넣었다가 중간에 간 보고 싱거우면 더 넣고 짜면 물을 넣어서 우려낸 다음 조금 부어내고 또 계속 끓이면 되니까 중간중간 맛을 보면서 조절하면 적당하다. 간장, ...
    Date2015.06.26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4 Views9762 file
    Read More
  11. 우엉조림만드는법

    2013/05/24 우엉조림만드는법 눈 감고도 만드는 우엉조림.. 우엉조림은 건강에도 좋(다고하)고 한 번 만들어두면 저장성이 좋아 1~2주는 너끈히 보관할 수 있어서 기본 밑반찬으로 늘 만들어 두기 좋다. 이전에도 여러번 올린 적이 있는데 어쨌든 상관없겠지;;; 자꾸 먹어보니 이제는 정이 들어서 먹기도 좋고 김밥에도 좋고 잘게 썰어서 김자반과 함께 주먹밥으로 만들어도 좋고 만들수록 마음에 드는 밑반찬이 되었다. 저번에 채칼에 썰다가 장갑을 잘라먹고 난 다음부터 필러로 썰기 시작하면서 요즘은 계속 필러로 썰어서 볶고 있는데 이것 나름...
    Date2013.05.24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2953 file
    Read More
  12. 월남쌈, 피넛소스, 칠리호이신소스, 월남쌈 소스 만들기

    여름에 흔히 먹기 좋은 월남쌈. 특별할 것 없이 집에 있는 재료로 얼른 차렸다. 불을 많이 쓰는 음식에 비해 불을 쓸 일이 적고 여름에 만들기 편해서 자주 하게 된다. 예전에는 소스를 여러가지 두고 취향대로 먹는 것을 좋아했는데 요즘에는 각각의 소스를 어울리는 것끼리 적당히 합쳐서 쌈을 쌀 때 갖가지 소스에 손이 가야 하는 일을 줄이는 편이다. (너무 여러가지 소스를 각각 따로 소스그릇에 넣고 쌈을 싸면 여러번 소스를 넣어야 해서 불편하니까..) 그래서 칠리호이신소스와 피넛소스 두가지를 만들었다. 미리 사둬야 하는 소스는 피넛버...
    Date2017.07.28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2 Views23451 file
    Read More
  13. 유부김밥

    2014/02/22 유부김밥 저녁에 뭘 할지 딱히 생각해둔 것이 없어서 무작정 냉장고를 열었다 닫았다 하고 밥은 안하고 버티다가 아이디어도 없고 뭘 하자니 꼭 하나 재료가 부족하고 시간 오래 걸리는 것도 귀찮고 하며 귀찮음을 발사하고 있으니 남편이 라면이나 먹을까? 스팸구워서 밥이랑 먹을까? 하는데 아 그럼 스팸으로 김밥이나 할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냉장고에서 재료를 찾아봤다. 늘 있는 스팸에, 단무지도 있고 오이나 시금치는 없는데 오이지는 하나 있었다. 계란, 맛살.. 오뎅을 넣을까 하고 냉동실을 열어보니 유부가 있어서 아 유부김밥...
    Date2014.02.22 Category밥류 By이윤정 Reply0 Views3485 file
    Read More
  14. 유부두부조림

    지난 3월에 쿠킹클래스를 하려다가 못한 유부두부조림 냉동유부를 자주 사용하지는 않지만 늘 냉동실에 있긴 있다. 미소시루나 우동, 국수에도 좋고 마라탕이나 김밥에도 사용하기 좋아서 은근 쓸데가 많다. 양념해서 졸여서 초밥용 유부도 만들 수 있고 해보지는 않았지만 부대찌개나 알밥에도 어울릴 것 같다. 두부조림에도 유부를 추가로 넣고 같이 조림을 하면 더 맛있다. 는 재료 냉동 유부 12장 초당두부 550그램 1모 식용유 적당량 양념 물 300미리 피시소스 1스푼 간장 1.5스푼 고운고춧가루 1스푼 고춧가루 1스푼 설탕 0.5티스푼 다진마늘 1...
    Date2022.09.19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1 Views2384 file
    Read More
  15. 유부밥, 유부초밥용 유부로 유부비빔밥

    2014/05/17 유부밥, 유부초밥용 유부로 유부비빔밥 블로그에 따로 올린 적은 없지만 점심에 밥하기 귀찮을 때 자주 해먹는 유부초밥..도 아니고 유부초밥 싸기 귀찮아서 유부를 다 썰어서 비벼먹는 유부비빔밥이랄까.. 보통 그렇게 귀찮지 않을 때에는 유부를 뺀 나머지 재료를 섞어서 유부초밥을 만들고 남은 밥은 김에 감싸서 김초밥을 만들어서 김치 정도 곁들여 간단하게 먹는데 유부에 일일이 밥 넣어서 뭉치는 것도 은근 손이 많이 가서 귀찮으면 다 이렇게 비벼버린다. 바쁠 때 간단하게 만들어서 도시락 싸기도 그럭저럭 괜찮다. 스팸 작은 ...
    Date2014.05.17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0 Views6232 file
    Read More
  16. 유채나물 무침

    2013/04/09 유채나물 무침 유채는 엄마께 여쭤보니 된장무침을 하면 된다고 하셔서 젓갈이나 간장을 사용하지 않고 된장으로 무쳤다. 그냥 데쳐도 부드럽다고 하셨는데 잎을 떼내다 보니까 줄기껍질이 있어서 성격상 일일이 다듬을 수 밖에 없었다.. 엄마말씀으로 억센 줄기는 껍질을 벗기고 잎을 정리해서 끓는 소금물에 데친 다음 물기를 꼭 짜고 된장, 다진마늘, 참기름, 깨소금으로 무치면 끝 이라고 엄마께 유채나물 여쭤보면서 김치전도 하고 있다니까 유채꽃은 따로 떼어 김치전에 올려서 이쁘게 만들라 하셨는데, 다듬다보니까 빡쳐서 봄나물...
    Date2013.04.09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4064 file
    Read More
  17. 육개장

    겨울에 잘 어울리는 육개장 한그릇. 만들다보니 꼼수만 늘어서 전에 올린 것보다 조금 더 하는 일도 줄이고 시간도 줄여서 만들었다. (하지만 여전히 일이 많기는 하다.) 사용한 재료는 약 4인분으로 한우양지 약 500그램 물 적당량 토란대 한 줌 표고 6개 대파 3대 무 3분의1개 고추기름 2스푼 국간장 3스푼 간장 1스푼 고운고춧가루 2스푼 고춧가루 1스푼 마늘 3스푼 참기름약간 양지육수 황태육수(필요시 사용) 토란대나 고사리 등은 조금씩 밑준비하기 번거롭고, 표고버섯은 시장에서 넉넉하게 사면 가격이 저렴한 이유로 이 재료들은 평소에 시...
    Date2019.01.23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6 Views4126 file
    Read More
  18. 육개장 만들기, 레시피

    갑자기 이번 겨울에 육개장에 꽂혀서 한 주에 한 번 씩 닭개장,육개장 번갈아 만들고 있다. 각각의 채소를 데쳐서 만들기 때문에 조금 번거롭기는 하지만 두어시간 푹 끓여두면 얼큰하고 시원하니 좋다. 닭을 한두마리 통째로 삶아 육수를 내고 일일이 뼈를 발라야 하는 닭개장보다 고기를 썰어서 만드는 육개장이 조금 덜 번거로운데 그만큼 고깃국물이 조금 덜 나니까 육개장에는 황태육수나 사골곰탕을 추가로 넣으면 국물이 더 맛있다. 육개장은 국물이 너무 많은 것보다 건더기가 넉넉하게 먹을 것이 많아야 맛있다. 사용한 재료는 3~4인분으로 ...
    Date2017.01.07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10 Views14409 file
    Read More
  19. 육개장라면. 파개장열라면

    불고기용 소고기와 대파를 양념하고 푹 끓이고 매운 라면을 넣어 만든 파개장라면. 파를 듬뿍 넣은 라면이라 파개장에 가까운데 지나가면서 대충 보면 육개장 같기도 하고 대충 그렇다. 준비할 재료는 소고기, 대파, 마늘, 고춧가루, 액젓, 계란, 후추, 밥 + 라면. 이럴거면 그냥 국끓일 걸 그랬나 싶지만 그래도 라면 좀 신경서서 끓이면 대파 마늘 계란은 기본이니까 거의 쌤쌤인걸로.. 육개장 느낌이 나야하니까 라면은 해물맛 나지 않는 깔끔한 매운맛 라면이면 다 잘 어울리는데 그 중에서 열라면을 골라왔다. 평소에 계량은 계량스푼으로 하지...
    Date2022.01.27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Reply1 Views2258 file
    Read More
  20. 육수불고기, 뚝배기불고기, 뚝불

    뚝배기 없는 뚝배기불고기. 전에 올렸던 육수불고기 레시피 그대로 고민없이 편하게 자주 해먹는다.. Home Cuisine - 간단 육수불고기 레시피가 간단하지만 배가 들어가는 것이 좀 번거로운 포인트인데, 배는 제철에 큰 걸로 사서 4등분한 다음 씨를 빼고 냉동해두었다가 해동한 다음 강판에 갈아서 사용하고 있다. 그러면 조금 덜 번거로운 느낌이다. (정신승리) 재료 샤브샤브용 소고기 500그램 대파 흰부분 2대 (100그램) 양파 1개 (200그램) 팽이버섯 1봉투 (선택) 배 4분의1개 (100그램) 다진 마늘 2.5스푼 (50그램) 간장 4스푼 (60그램) 설탕 1...
    Date2022.06.11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2 Views2118 file
    Read More
  21. No Image

    육식맨님께 드리는 사과글입니다.

    이윤정입니다. 먼저 저로 인해 육식맨님께 피해를 끼쳐드린 점 사과합니다. 제가 오해한 정황과 저의 미숙한 대처로 인해 피해를 끼져드린 점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1. 저는 3월 21일 오후 10시 20분경 육식맨님께 인스타그램으로 DM요청을 받았습니다. DM이 온 사실은 인지했으나 그 당시에서 열흘 전 모 유튜버의 도용 및 사후 대처로 피해를 입고 피로감이 심한 상태라 인스타로 받은 DM요청은 수락하지 않고 답변드리지 않았었습니다. 그리고 3월 22일 오후 1시 경 육식맨님께 카톡을 받았습니다. 당시 저는 육식맨님을 전혀 모르는 상태였습...
    Date2021.04.02 By이윤정 Reply3 Views3211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 55 Next
/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