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트위터에 링크를 잘못 올렸다.

같은 정구지찌짐이지만 최근에 올린 건 여기 

https://homecuisine.co.kr/hc10/67534




크기변환_DSC03851.JPG




홍합부추전을 부산말로 하면 담치정구지찌짐이니까 이름에 같은 글자가 하나도 없다.ㅎㅎ

날이 쌀쌀해지니까 마트에서 해산물 사기도 편하고 구울 때도 덥지 않아서 편하고 좋았다.



평소에 전을 부칠 때에는 밀가루에 시즈닝을 하면 되니까 부침가루를 따로 살 일은 없는데 추석때 쓰고 남은 부침가루와 튀김가루를 엄마께서 주셔서 부추전을 만들었다.

시장에 얇고 고운 부추가 있어서 바로 사왔는데 이런 부추는 무침으로 더 좋지만 양이 많아서 부추전으로 부쳤다. 홍합을 많이 넣으면 아주 맛있다. 



물 대신 육수를 사용하면 더 감칠맛이 있고 탄산수를 사용하면 더 바삭바삭하다. 이번에는 탄산수를 사용했다.

(부추전으로 검색하면 평소에 육수를 사용한 것도 나온다.)




사용한 재료는


부추 1단

홍합살 약 300그램

새우 약 20마리

청양고추 6개

홍고추 2개


부침가루 2컵

튀김가루 4스푼

탄산수 약 2.5컵




감자나 당근을 아주 곱게 채썰어서 넣어도 좋다.

부추의 양은 시장기준으로 1단인데 마트기준으로 2팩정도 되는 분량이었다.



깐홍합은 붙어있는 수염을 하나하나 떼어낸 다음 흐르는 물에 살살 헹궈서 맛이 너무 많이 빠지지 않게 했다.

냉동새우는 해동해서 잘게 다지고 홍합은 적당히 썰어서 그대로 사용했다.


크기변환_DSC01174.JPG    크기변환_DSC03828.JPG




부추는 찬물에 담가 흔들어 씻고 건지기를 여러번 반복하고 사이사이를 헹군 다음 뿌리 쪽은 적당히 베고 잎 끝을 하나하나 깔끔하게 다듬고 4등분 정도로 썰어두었다.

부추전은 부추 다듬는 일이 가장 고생스럽다..


고추는 비닐장갑을 끼고 씨를 빼고 적당히 다져두었다.


크기변환_DSC03829.JPG     크기변환_DSC03824.JPG




부침가루에 튀김가루를 약간 섞어서 넣고 탄산수를 부어 밀가루는 날가루가 없을 정도로 가볍게 치면 찌짐반죽에 글루텐이 덜 생성되어서 바삭바삭하다.

튀김가루, 탄산수, 약하게 치는 것 모두 바삭바삭하게 되는 요인인데 취향에 따라 부침가루와 물만 사용해도 괜찮기는 하다.


탄산수는 먼저 2컵을 붓고 되직하기를 봐가면서 조금씩 더 부어서 반죽이 약간 묽은 정도로 맞추면 적당하다.


반죽에 준비한 홍합과 새우, 고추, 부추를 넣어서 채소에 반죽이 잘 묻도록 몇 번 뒤집어가며 저어줬다.


크기변환_DSC03830.JPG     크기변환_DSC03831.JPG





크기변환_DSC03832.JPG     크기변환_DSC03833.JPG




반죽의 양은 채소에 전체적으로 반죽이 묻고, 반죽이 묻은 채소 전체를 들어봐서 바닥이 약간 보일정도로 반죽이 남으면 끝까지 딱 떨어진다. 


크기변환_DSC03834.JPG




기름은 살짝 넉넉하게 붓고 팬을 달군 다음 찌짐을 구울 때에는 채소를 먼저 집게로 덜어서 얇게 펴고 모자란 부분만 바닥에 고인 반죽을 떠서 채우는 정도로 메웠다.
그리고 앞뒤로 바삭하게 지져냈다.


크기변환_DSC03842.JPG     크기변환_DSC03843.JPG


크기변환_DSC03846.JPG     크기변환_DSC03847.JPG




부추도 좋고 홍합과 새우도 넉넉하게 들어 잘 어울리고 찌짐도 바삭바삭하니 그냥 맛있다.


크기변환_DSC03849.JPG





크기변환_DSC03851.JPG






크기변환_DSC03854.JPG




크기변환_DSC03855.JPG


그냥도 먹고 초간장에 살짝 찍어도 먹고 다 맛있었다.




남는 반죽은 일단 다 부쳐두고 다음에 데워먹었다.


크기변환_DSC03856.JPG






크기변환_DSC03857.JPG


담치 듬뿍 정구지찌짐 사.....사는 동안 많이 버시오..








  • 뽁이 2016.10.12 07:50

    그렇죠 ㅋㅋㅋ 날씨가 이정도되면 찌짐 좀 디비줘야죠 ㅋㅋㅋㅋ

    저는 정구지찌짐은 명절에 할머니댁에가면

    그그그 분홍색인지 초록색인지 소쿠리에 달력 뜯어서 깔고

    정말 반죽 한 다라이 ;; 씩 부치는 그 정구지찌짐 밖에 몰라요 ㅋㅋㅋ

    진짜 기름 한그득 두르고 ㅋㅋㅋ 숙모들이 부치는데

    그 옆에서 제일 바삭하게 구워진부분 쏙쏙 떼어먹는게 낙 ㅋㅋㅋㅋ

    들어가는건 뭐 그날 있는대로 탕국 끓이고 남은 담치 있으면 담치 넣고

    오징어있으면 오징어 넣고 새우 있으면 새우넣고

    맛살 햄 ㅋㅋㅋ 뭐 그날 다른 튀김 전 하고 남은거 다 넣거덩요

    떙초 좀 그렇게 많이 넣자고 하는데

    사람들 매워한다고 ㅠ 안넣어주심 ㅠㅠㅠ 흑흑

    이건 이상하게 다 구워놓고 나중에 데워도 맛있어요 ㅋㅋㅋ

    그러고 남은건 집집마다 비닐팩에 두세장씩이라도 꼭 가져오는데

    그러고보니 이번추석엔 안남았나봐요 ;; 안가져왔네 ;;;

  • 이윤정 2016.10.12 23:24

    뽁님도 정구지찌짐에 대한 애정이 각별하시군요ㅎㅎㅎ
    그렇게 좋아하시는데 땡초 좀 많이 넣어주심 좀 좋을까요ㅎㅎ

    저희집은 가족도 제사도 많은 집인데 어머니 결혼 후에 바로 할아버지 할머니께서 돌아가셔서 맡며느리인 친정엄마께서 40년을 명절, 제사를 지내셨거든요.
    중학교 들어가고부터는 전부치고 찌짐부치는 건 늘 언니하고 제가 했어요.
    다라이에 부침반죽하고 정구지부터 담치에 청양고추 등등 차례차례 넣어주시면 굽기 시작하는데 얼마나 끝이 안보이던지요.
    이제야 나이 먹고 친정엄마, 언니랑 모이면 웃으면서 이야기 하지만, 그 당시엔 남자형제들은 놀러나가고 전이고 찌짐이고 어휴ㅎㅎㅎ
    결혼하고 나서는 그렇게 찌짐 많이 부친 적이 없긴 한데 이 정도 굽는 건 그냥 재밌어요ㅎㅎㅎㅎ

  • 테리 2016.10.15 17:50
    윤정님의 요리실력은 역시 친정엄니로부터 비롯되신 거로군요!!! 담치가 뭔가했더니 홍합!!!
    찌짐이라는 말 참 정겨워요. 전이랑은 다르게 쓰이는 말이죠??

    서울은 부추전.부추부침개 뭐 이렇게 부르는데 특이하게 충청북도는 부치기. 라고 한다는.

    충북 태생 우리 친할머니가 항상 그리 불렀는데
    시집가니 시어머가 똑같이 부르시더라구요.ㅋㅋ
  • 이윤정 2016.10.16 00:13
    홍합이 부산말로 담치에요ㅎㅎㅎ 찌짐에 막걸리 막 착착 달라붙고 좋아요^^
    충청도는 한 번도 못가봤는데 부치가라고 하는군요. 역시 지역마다 말이 달라서 신기하고 모르는 것도 천지네요ㅎㅎ
    요리실력이랄 것도 없지만 자식 먹이는 게 낙인 엄마들 아래 딸들이 자연스럽게 배우는 건 있는 것 같아요. 아들도 같이 배우도록 했으면 더 좋았겠지만요ㅎㅎ
  • 레드지아 2016.10.20 13:16

    앗! 정구지찌짐에 댓글 단줄 알았더니 안달았군요!! 폰으로 읽기만 하고 글쓰기는 컴이 편해서 안달았나봐요 ㅋㅋㅋㅋㅋㅋㅋ (나이 먹음을 증명하는 ㅠㅠ)

     

    파삭파삭한 정구지찌짐!!

    부추전이라는 말보다 정구지찌짐이라는 말이 더 맛있어보여요 ^^

    근데 저는 외가 친가가 다 경기도 서울이라 정구지찌짐이라는 말을 제가 하기엔 뭔가 서먹하고 낯설어 쉽게 입밖으로 뱉진 못하겠더라구요 ㅋㅋㅋㅋ

    신혼때 시이모님이 저보고 저~기에 가서 정구지좀 가져오라는데 멍....하니 있었어요

    그랬더니 정구지 모르냐며 ㅋㅋㅋㅋㅋㅋㅋ 왜 정구지 있잖아 정구지~

    저 잠시 외국에 나온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시댁은 충청도 공주인데 그곳에서도 정구지라는 말을 쓰더라구요. 그때 첨 알았어요 ^^

  • 이윤정 2016.10.21 00:28

    저도 폰으로는 글 잘 못써요ㅎㅎ 그래서 댓글도 다 읽고나서 밤에 컴퓨터 켜서 글 올릴 때만 달고 그러거든요ㅎㅎ
    외가 친가가 다 수도권이면 정구지찌짐 이런 말은 실제 들어 보신 적도 별로 없으실 듯ㅎㅎㅎㅎㅎ
    저도 가끔 부추가 부산말로 뭐드라 할 때가 있는데 정구지 갖고 오라는 말에 잠깐 멘붕하실 듯도 해요ㅎㅎㅎㅎㅎㅎ
    그러고 보니 부산말이 아니라 남쪽지방은 다 정구지라고 하는 군요! 부산 밖으로 나갈 일이 별로 없는 부산사람이라서 몰랐어요ㅎㅎ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4 한접시, 일품 부대볶음 만들기, 레시피 부대볶음은 매년 올리고 있는데 부대볶음으로 검색한 링크 https://homecuisine.co.kr/index.php?mid=board_secret2&act=IS&is_keyword=%EB%B6%80%EB%8C%80%EB%B3... 4 file 이윤정 2017.02.26 17604
503 반찬 소고기 메추리알 장조림 만들기, 레시피 요즘 도시락을 매일 싸니까 이런 밥반찬을 한 번 만들어 두면 1주일에서 열흘정도 보관하면서 반찬으로 싸서 보내기가 좋다. 부드럽게 삶아 낸 소고기 홍두깨살에... 4 file 이윤정 2017.02.20 28310
502 한접시, 일품 기본 잡채 ( 대량 ) 재료, 레시피 오뚜기 자른당면 500그램을 불려서 당면을 만들었다. 평소에는 당면을 볶아서 만드는데 대량으로 만들 때는 당면을 삶아서 만든다. 바로바로 먹을 것을 만들 때는... 4 file 이윤정 2017.02.17 32259
501 김치, 장아찌, 무침 과일무로 쌈무 만들기, 만드는법 수박무나 수박무라고 하는 동그란 무로 만든 쌈무이다. 작년에 처음 사봤는데 해보니 좋아서 이걸로 계속하고 있다. 무가 좀 단단하면 흰무와 반반으로 만드는 것... 6 file 이윤정 2017.02.16 21294
500 한접시, 일품 국물없는 닭도리탕, 매콤한 닭봉조림 닭도리탕에 국물을 적게 잡고 감자를 푹 익혀서 감자가 양념에 녹아나오면 닭도리탕 양념이 되직하도록 농도가 생긴다. 고기와 채소에 되직한 양념이 골고루 묻어... 4 file 이윤정 2017.02.11 12208
499 국 찌개 꽃게찌개, 꽃게된장찌개 어머니가 늘 해주시던 꽃게된장찌개. 육수에 된장 풀고 게와 대파만 넣고 맛있게 자주 해주셨는데 구수하고 시원하고 맛있고 정말 좋아했다. 활꽃게는 날이 풀린 ... 4 file 이윤정 2017.02.07 14320
498 국 찌개 해물순두부찌개 바지락으로 육수를 내어 칼칼하게 순두부찌개를 끓였다. 사용한 재료는 바지락 약 400그램 새우 1줌 순두부 1봉투 (약 350그램) 바지락육수 약 300미리 양파 반개... 6 file 이윤정 2017.01.31 14276
497 반찬 시판 튀김가루로 새우튀김 시판 튀김가루로 간단하게 만든 튀김반죽으로 새우튀김을 만들었다. 튀김가루 포장지에 비율도 다 적혀 있으니까 특별한 내용은 없지만 더 바삭바삭하도록 포장지... 6 file 이윤정 2017.01.24 12609
496 전골 탕 닭개장 만들기, 만드는법, 레시피 생닭을 넉넉하게 사용해서 다시마, 표고, 대파, 양파등의 육수재료를 추가해 국물을 푹 끓이고 결과물의 국물 양은 많지 않게 하면 구수한 맛이 농축되어서 조미... 12 file 이윤정 2017.01.23 15192
495 한접시, 일품 빈대떡, 녹두전 만들기, 재료, 레시피 2020년 4월 업데이트 - https://homecuisine.co.kr/hc10/91539 녹두 껍질을 벗기는 것만 하면 나머지는 그렇게 힘들지 않은 녹두빈대떡. 볶은 고기와 묵은지, 숙... 4 file 이윤정 2017.01.20 62933
494 한접시, 일품 낙지볶음, 낙새볶음, 부산식 조방낙지볶음 전골 냄비에 다글다글 끓여서 먹는 부산식? 조방낙지볶음. 자주 다니는 원조할매낙지나 조방낙지, 개미집과 비슷한 스타일이다. 낙지와 새우를 넣은 낙새볶음에 ... 6 file 이윤정 2017.01.16 21206
493 전골 탕 소고기버섯전골, 국수전골 만들기, 만드는법, 레시피 오늘처럼 날이 추울 때 뜨끈뜨끈한 전골이면 방안도 훈훈하고 속도 뜨끈뜨끈하니 좋다. 그래서 소고기 버섯전골에 국수사리를 넣어서 소고기버섯 국수전골. 소불... 2 file 이윤정 2017.01.14 38894
492 반찬 참치김치찜 참치와 김치는 함께 볶아도 맛있고 김치에 참치만 얹어서 먹어도 맛있지만 부들부들하게 푹 쪄도 맛있다. 간단하기도 하고 만만해서 자주 만드니까 별 내용이 없... 2 file 이윤정 2017.01.14 10640
491 밥류 꼬마김밥, 겨자소스 유명한 마약김밥이 작은 김밥에 겨자소스를 곁들이는 걸로 알고 있는데 꼬마김밥을 만들고 겨자소스를 곁들였다. 꼬마김밥은 김을 4등분하고 밥을 더 적게 하고 ... 6 file 이윤정 2017.01.11 36129
490 반찬 돼지고기 느타리버섯 장조림 도시락 반찬으로 늘 돼지고기 메추리알 장조림을 자주 만드는데 이번에는 돼지고기와 느타리버섯으로 장조림을 만들었다. 느타리버섯은 데치면 양이 확 줄어드니... 4 file 이윤정 2017.01.09 22283
489 전골 탕 육개장 만들기, 레시피 갑자기 이번 겨울에 육개장에 꽂혀서 한 주에 한 번 씩 닭개장,육개장 번갈아 만들고 있다. 각각의 채소를 데쳐서 만들기 때문에 조금 번거롭기는 하지만 두어시... 10 file 이윤정 2017.01.07 15767
488 반찬 느타리버섯볶음 요즘 계속 이어서 밥반찬. 원래 버섯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는데 나이 먹고 맛을 좀 들였고 도시락반찬으로 싸기에도 좋아서 버섯을 자주 사고 있다. 사용한 재료... 4 file 이윤정 2017.01.03 32003
487 반찬 파래무침 어릴적부터 겨울만 되면 늘 달고 살았고 또 너무도 좋아하는 파래무침. 엄마께서 해주시던 음식 중에 정말 좋아한 것이 꼬막무침, 파래무침, 숙주나물, 꽃게된장... 4 file 이윤정 2017.01.02 91215
486 한접시, 일품 닭봉으로 찜닭, 만드는법, 황금레시피 제일 최근에 올린 찜닭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68568 닭도리탕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67668 제목은 구글검색어로 황금레시... 10 file 이윤정 2016.12.31 16938
485 반찬 두부조림 만드는법, 레시피 요즘 도시락반찬으로 계속 만들고 있는 두부조림. 두부에 수분을 빼고 밑간을 한 다음 노릇노릇하게 구워서 양념에 조렸다. 마트에서 구매한 초당두부를 늘 사용... 4 file 이윤정 2016.12.29 136429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