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조회 수 18456 추천 수 0 댓글 4


2020년 버전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3957






크기변환_DSC09090.JPG



아버지께 받아온 토종닭으로 닭죽을 만들었다.

한그릇에 닭한마리 푸짐하게 든 삼계탕도 좋지만 삼계탕보다는 먹기 편한 닭죽을 좋아해서 삼계탕보다 자주 만들게 된다.

닭죽에 수삼만 하나 넣으면 삼계죽이고..


 

약 3인분으로

 

토종닭 약 1마리

찹쌀 약 1.5컵

 

양파 1개

대파 1대

마늘 1줌

다시마, 황태

삼계탕용 부재료

 

마늘 1줌

쪽파

소금, 후추

 




가장 먼저 찹쌀을 불리고 닭을 손질했다.

닭은 껍질을 벗기고 겉에 남은 지방과 속에 남은 핏덩어리나 혈관등을 가위로 깨끗하게 손질하고 속까지 깨끗하게 씻어서 물기를 뺐다.

 

 크기변환_DSC00080.JPG     크기변환_DSC09080.JPG





육수재료로  황태, 다시마, 양파, 대파, 무, 마늘을 넣고 삼계탕용으로 나온 황기, 엄나무, 대추 등을 넣었다.

 

크기변환_DSC09077.JPG     크기변환_DSC09079.JPG




닭을 넣은 다음 물이 팔팔 끓으면 불을 낮춰 중약불로 1시간이 조금 넘게 뭉근하게 끓였다. (중간에 물이 부족하면 끓는 물로 보충)

닭의 크기에 따라 끓이는 시간이 다른데 큰 닭이라 좀 오래 끓였다. 보통 40분정도도 괜찮다.

 

크기변환_DSC09081.JPG    크기변환_DSC09082.JPG



그동안 찹쌀은 한톨을 손으로 누르면 부서질 정도로 불었다.

 

크기변환_DSC00085.JPG     크기변환_DSC00086.JPG




죽을 끓이기 위해서는 육수가 쌀의 6~7배정도 되어야 알맞다.

닭을 건져낸 육수에 육수재료를 체로 거른 다음 생수를 부어서 육수 양을 맞추고 다시 한 번 끓어 올랐을 때 불린 찹쌀을 넣었다.

 

크기변환_DSC09084.JPG     크기변환_DSC07444.JPG      


찹쌀을 넣고 나서는 중약불에 약 30분 정도, 눌어붙지 않게 가끔 저어주면서 쌀알이 부드러워 질 때까지 끓였다.

완성하고 싶은 정도의 되기가 있다면 그것보다 살짝 질게 되었을 때 불을 끄는 것이 좋다.

여열로 인해 계속 익기도 하고, 쌀이 계속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완성하는 동안 조금 더 퍼져서 알맞게 되직하게 된다.



중간에 작은 마늘도 한 줌 넣어서 마늘향이 나게 끓였다.


크기변환_DSC00087.JPG




육수에 불린 찹쌀을 넣고 끓어오르면 불을 줄이고 그동안 닭을 잘 찢어두었다. 닭은 중간중간 기름과 핏줄까지 꼼꼼하게 제거해서 찢었다.

 

크기변환_DSC09087.JPG




마지막에 닭고기를 넣고 한 번 저어서 찢어넣은 닭고기가 전체적으로 따뜻해지면 완성.

 

크기변환_DSC09088.JPG     크기변환_DSC00092.JPG

 

간을 따로 하지 않고 각자 먹을 만큼 덜어서 입맛에 맞게 소금으로 간을 했다.



쪽파를 송송 썰어서 올리고 후추를 뿌려서 완성.

곁들여 먹기 좋은

장조림 https://homecuisine.co.kr/hc10/70774

깍두기 https://homecuisine.co.kr/hc10/43213




 

크기변환_DSC09090.JPG



푹 퍼진 죽에 닭고기도 듬뿍 들었고 마늘, 쪽파의 향이 좋았다.

소금, 후추로 입맛에 맞게 간하고 반찬을 곁들여서 잘 먹었다.





  • 뽁이 2016.05.31 07:43

    으앙 닭죽 ! 완전 !

    암요암요 삼계탕은 푹푹 끓이기만 하고 먹는 사람이 발라 먹고

    닭죽은 만드는 사람이 일일이 이렇게 살코기 발라서 먹는 사람은 호로록 먹기만 하고

    이거 너무 소비자지향적 ? 인 음식 아니냐며 !

  • 이윤정 2016.05.31 23:27
    복날하면 삼계탕 찾지만 저는 둘 다 똑같이 만든다면 닭죽이 더 좋아요^^
    그런데 만드는 사람입장에서 보면 말씀대로 정말 소비자지향적이죠ㅎㅎ 먹는 건 순삭이고 말입니다ㅎㅎ
  • 테리 2016.05.31 19:06
    제가 예전에 들었던 팁은
    완성된 죽에 남겨두었던 뜨거운 육수를 한 컵 섞어 위에 2미리쯤 한켜 물이 고이게 내면 먹을 때 딱 좋은 농도가 된대요. 호텔 팁이라네요~~^^
  • 이윤정 2016.05.31 23:29
    호텔에서는 대량으로 만들면서도 먹기에 딱 좋도록 하는 그런 팁이 신기한 것 같아요^^ 역시 필드에서 경력을 오랫동안 쌓은 분들의 노하우가 느껴지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97 반찬 참치김치볶음, 두부김치 file 이윤정 2014.01.02 3458
996 국 찌개 참치김치 순두부찌개 2 file 이윤정 2015.11.15 4975
995 밥류 참치김밥 file 이윤정 2022.11.08 2522
994 일상 참치 야채 비빔밥 file 이윤정 2021.05.16 5280
993 밥류 참치 생야채 비빔밥, 명이비빔밥 4 file 이윤정 2019.04.24 10267
992 국 찌개 참치 두부찌개, 참치매운탕 2 file 이윤정 2018.09.16 18954
991 고기 차돌야채찜, 소고기야채찜 8 file 이윤정 2019.01.27 17553
990 일상 차돌비빔밥 2 file 이윤정 2019.11.30 2750
989 고기 차돌박이 알배추찜, 차돌배추찜 8 file 이윤정 2018.01.02 19300
988 국 찌개 차돌박이 순두부찌개 6 file 이윤정 2016.05.04 10325
987 고기 차돌박이 숙주볶음 + 오리엔탈드레싱 2 file 이윤정 2013.07.16 6318
986 전골 탕 차돌박이 부대찌개 8 이윤정 2016.07.15 5978
985 밥류 차돌박이 볶음밥 4 file 이윤정 2015.07.27 7512
984 한접시, 일품 차돌박이 떡볶이 4 file 이윤정 2015.12.26 5269
983 국 찌개 차돌박이 두부찌개 14 file 이윤정 2015.12.10 5255
982 국 찌개 차돌박이 된장찌개 file 이윤정 2014.09.24 4723
981 전골 탕 차돌박이 된장전골, 차돌된장 4 file 이윤정 2016.04.08 17891
980 국 찌개 차돌박이 된장 순두부찌개 10 file 이윤정 2016.06.21 8244
979 전골 탕 차돌두부두루치기, 차돌두부찌개 4 file 이윤정 2020.03.18 7110
978 국 찌개 차돌된장찌개 2 file 이윤정 2021.11.27 3973
977 국 찌개 차돌된장찌개 file 이윤정 2022.01.11 28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5 Next
/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