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1111.JPG



어릴 때는 엄마께서 김에 참기름을 발라 소금을 뿌려서 재어두신 김구이를 자주 먹었는데 나이먹고는 가끔만 만든다. 김가루 날리면 치우기가 힘들어서...ㅠㅠ

남편에게 말하지 않고 알아채지 않게 만들어 밥상에 놓았더니 자기는 국민학교 때 이것만 있으면 밥을 고봉으로 쌓아서 네공기는 먹었단다ㅎㅎ

그래도 가끔 꽂히면 김을 새로 또 사고 몇 번 해먹고 있다.



사용한 재료는

김, 참기름, 고운소금




참기름은 마트 참기름은 향이 거의 없어서 한 번 써보고는 절대 사지 않는다.

다른 건 몰라도 참기름은 꼭 시장의 참기름집에서 짠 참기름을 사용하고

김은 대형마트보다는 하나로마트나 시장 등 여러종류의 김을 파는 곳에서 두께감과 크기, 질감 등을 보고 마음에 드는 걸로 사야 맛있다.

이번에는 파래돌김을 사와서 만들었다.



김은 2장씩 겹쳐 석쇠에 넣고 가스불에 구웠다.

김은 석쇠에 구우면 석쇠가 닿는 부분은 잘 굽히지 않으니 한 면을 굽고 다음 면을 구울 때는 위치를 바꿔 한 번 더 구워서 골고루 굽는 것이 좋다.


구운 김에 참기름을 얇게 바르고 소금을 2꼬집정도 솔솔 뿌렸다 그 위로 차곡차곡 더 구은 김을 얹고 참기름을 바르고 소금을 뿌리면 간단하게 끝.


크기변환_DSC08408.JPG     크기변환_DSC08409.JPG


크기변환_DSC08410.JPG     크기변환_DSC08411.JPG


크기변환_DSC08412.JPG     크기변환_DSC08377.JPG




소고기뭇국에 돼지고기 메추리알장조림, 무채김치, 김구이로 밥상을 차렸다.


크기변환_1111.JPG






크기변환_DSC08417.JPG


간단하고 평범하지만 김에 밥을 싸서 먹으면 왜 그렇게 맛있는지 모르겠다.

김을 굽고 참기름을 바르고 소금을 뿌린 것 밖에 없는데 향긋한 파래돌김에 바삭바삭한 질감에 참기름도 좋은 것이고 짭조름하니 막 좋다.


 

(2018년 수정 - 엄마께 여쭤보니 기름 바르고 소금뿌리고 구었다고 하심 헐.. 내 기억이 잘못됐나보다. 다음에는 그렇게 만들어야겠다.)




김구이만 올리기 아쉬우니까 함께 밥상에 올린 돼지고기 메추리알 장조림.

전에 올린 장조림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32829 에서 무를 빼고 메추리알을 80개정도 넣어서 만들었다.


사용한 재료는


사태 2개 약 800그램

멸치황태육수 3컵

간장 150미리

청주 50미리

미림 50미리

설탕 4스푼


메추리알 약 80개



먼저 늘 올리는 멸치황태육수.

황태, 멸치, 무, 대파, 표고, 다시마를 적당히 준비해서  정수한 물을 2.5리터이상 넉넉하게 붓고 찬물에 1시간정도 우려두었다가

불을 켜고 물이 끓기 시작하면 중불로 줄여서 40분정도 푹 우려내고 그대로 완전히 식혀서 체에 거른 다음 냉장고에 늘 넣어두었다가 필요할 때 쓰고 있다.



크기변환_DSC06619.JPG     크기변환_DSC06637.JPG



메추리알은 깐 것보다 삶아서 깐 것을 사용하면 더 부드럽다.

사태는 육수와 간장, 청주, 미림, 설탕을 혼합한 간장물에 중불에 40~50분정도 삶으면서 중간에 필요하면 물을 추가하고 메추리알을 넣어서 한소끔 끓여낸 다음 불을 껐다.

장조림은 완전히 식혀서 돼지고기를 썰고 지퍼백에 담아 조림장에 고기와 메추리알이 완전히 잠기도록 해서 냉장보관했다. 



크기변환_DSC02941.JPG


안심대신에 사태를 사용했더니 덜 퍽퍽했다.



  • 뽁이 2016.02.18 21:26

    히히 별내용없음 ! 이걸 더 좋아하는거 아시죠 ? ㅋㅋ

    아 옛날에는 진짜 이렇게 직접 집에서

    김 재서 구워서 먹었는데 ㅠㅠㅠ

    지금은 뭐 그냥 봉지 도시락김 사서 먹죠 ;; 허허허

    ㅈ장조림이랑 김치랑 올려서 김에 밥 싸서 먹어야죠 >_<

  • 이윤정 2016.02.19 00:38

    엄마께서 김 재서 반찬통에 담아두면 다음날이면 슥삭이곤 했는데 말입니다ㅎㅎ
    별 내용 없는 것이라고 타이핑 치고 있으면 뽁님 생각나요ㅎㅎㅎㅎㅎ


  1. 해물 순두부찌개 만드는법, 끓이는법

    해물 순두부찌개 올리브오일 약간 바지락 약 200그램 새우 약 10마리 주꾸미 2마리 순두부 1봉투 바지락육수+황태육수 약 300미리 양파 반개 대파 반대 청양고추 3개 계란 1개 양념장으로 고춧가루 2.5스푼 간장 1스푼 청주 1스푼 다진마늘 1.5스푼 새우젓 0.5스푼 후추 약간 육수에 간이 있기 때문에 ...
    Date2016.03.01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20746
    Read More
  2. 소고기뭇국, 소고기무국

    소고기뭇국. 평소 올린 것과 비슷한데 이번에는 사리를 추가했다. 사리는 많이 넣으면 국물을 흡수하니까 세 젓가락 호로록 먹을 정도로만 준비하는 것이 좋다. 소고기뭇국은 넉넉하게 끓여서 담백한 것과 얼큰한 것으로 두번에 나눠먹었다. 담백한 것에는 마지막에 불린 당면을 넣고 당면이 투명하게 ...
    Date2016.02.28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8023
    Read More
  3. 돼지고기 김치찌개 + 라면사리, 김치죽

    늘 만드는 김치찌개. 김치찌개라는 것이 결국에는 김치+고기+육수+시간이라 김치는 푹 익어서 부들부들하고 목살은 차지게 쫀득쫀득하고 국물도 얼큰하니 맛있었다. 요즘은 김치찌개+라면사리에 마지막은 김치죽을 만들어 먹고 있다. 삼겹살이나 목살, 뒷고기, 갈매기살 모두 김치찌개에 좋지만 이번에...
    Date2016.02.24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12563
    Read More
  4. 뚝배기 계란찜 만드는법

    뚝배기 계란찜 메인반찬을 만들면서 국 대신 간단하게 만들어 먹고 있는 뚝배기 계란찜. 뚝배기 계란찜을 약간 봉긋하게 만들려면 뚝배기 양보다 더 많은 양의 육수와 계란을 넣어야 하고 너무 큰 뚝배기를 사용해서 많은 양을 만들면 가운데까지 잘 익지 않으니까 적당히 작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Date2016.02.23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12238
    Read More
  5. 무채김치

    무채김치 무생채와 비슷하지만 생채는 아니고 무채김치. 김치에 관한 이야기는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30108&mid=hc10 막김치 하단에 있는데 찹쌀풀과 액젓은 이 이야기에 나오는 적당량의 최대치까지 사용했다. 사용한 재료는 무 굵고 큰 것 1개 (작은 것이면 1.5~2개) 소금...
    Date2016.02.18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7222
    Read More
  6. 김구이, 맛김

    어릴 때는 엄마께서 김에 참기름을 발라 소금을 뿌려서 재어두신 김구이를 자주 먹었는데 나이먹고는 가끔만 만든다. 김가루 날리면 치우기가 힘들어서...ㅠㅠ 남편에게 말하지 않고 알아채지 않게 만들어 밥상에 놓았더니 자기는 국민학교 때 이것만 있으면 밥을 고봉으로 쌓아서 네공기는 먹었단다ㅎ...
    Date2016.02.18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28284
    Read More
  7. 김밥

    얇게 슬라이스된 샌드위치햄을 사서 김밥을 만들었다. 대충 만든거라 카테고리는 일상으로.. 같은 햄으로 몬테크리스토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24752&mid=hc25 전에 올린 다른 김밥들. 부추를 넣은 김밥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26855&mid=hc10...
    Date2016.02.14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6029
    Read More
  8. 봄동전

    봄동전 데친 봄동을 구워서 만드는 봄동전. 배추전과 비슷한데 잎이 더 얇아서 식감이 더 가볍다. 사용한 재료는 봄동 2포기 부침가루 1.5컵 황태육수 1.5컵 밥새우 반줌 식용유 적당량 부침가루와 황태육수(물로 대체 가능)는 너무 젓지는 않고 섞어서 밥새우를 반줌 넣었다. 여기에 봄동을 하나씩 넣...
    Date2016.02.04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6057
    Read More
  9. 떡국, 떡만둣국

    떡국, 떡만둣국 어릴 때부터 떡국을 좋아해서 떡도 늘 떨어지지 않게 냉동실에 있고 당연히 설날 말고도 평소에 떡국을 자주 먹는 편이다. 대충 해먹어서 자주 올리지는 않았는데 이번에는 1월1일이라고 고명을 조금 정돈해서 올려서 만들었다. 만든 지는 좀 되었는데 어차피 설날에도 먹을 것이기도 하...
    Date2016.02.03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Views7291
    Read More
  10. 김치치즈볶음밥, 햄김치볶음밥

    김치치즈볶음밥, 햄김치볶음밥 (별 내용 없음) 볶음밥은 수분이 잘 날아가는 큰 팬에 하는 것이 좋아서 큰 구이팬을 꺼내서 쓰고 있다. 구이팬은 턱이 낮아서 볶음밥을 하면 주변으로 재료가 튀어나가니까 명절에 쓰는 큰 전기팬이면 더 편할 것 같다. 밥은 미리 고슬고슬하게 지어서 일구어 김을 충분...
    Date2016.01.29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6757
    Read More
  11. 숙주나물

    숙주나물 나물 중에 좋아하는 걸 고르자면 생각할 것도 없이 무조건 숙주나물을 고르는 정도로 숙주나물을 좋아한다. 숙주나물을 다른 반찬과 함께 올린 적은 있어도 단독으로 포스팅이 하나도 없어서 여러번 올렸지만 또 올리는 숙주나물. 이마트 트레이더스에서 800그램 한봉투를 사와서 만들었다. 국...
    Date2016.01.27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7457
    Read More
  12. 닭다리튀김, 후라이드치킨, 치킨 튀김옷

    닭튀김 닭튀김 반죽의 최적의 조합은 당연히 아니고 오늘 만든 닭튀김으로 중간보고. 여러가지 전분이나 밀가루의 배합, 베이킹파우더나 베이킹소다의 사용 등 여러가지 해보고 있는데 그중에는 일단 이번에 올리는 것이 그나마 가장 나았다. 튀김은 기름이 많고 냄비가 크면 가장 편하게 할 수 있지만 ...
    Date2016.01.26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76337
    Read More
  13. 찜닭

    찜닭 건고추와 다진생강으로 맛을 내고 노두유로 색을 진하게 해서 늘 만들듯이 만들었다. 닭을 한 번 데치는 것이 약간 번거롭지만 양념과 닭고기를 냄비에 넣어 불에 올리고 채소나 당면을 차례대로 넣으면 되니까 꽤 편하다. 사용한 재료는 약 3인분으로 닭 1.1키로 1마리 양념으로 (계량스푼사용) ...
    Date2016.01.25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15321
    Read More
  14. 계란국, 명란젓 주먹밥, 유부초밥

    계란국, 명란젓 주먹밥, 유부초밥 명란젓 주먹밥을 만들어서 계란국과 함께 먹었다. 먼저 계란국. 사용한 재료는 황태육수 4컵 국간장 1스푼 소금 약간 (간보고) 대파 반대 계란 2개 계랸의 양이 많으면 바닥에 깔려 뭉치는 것을 저어주거나 뭉친 것을 나눠줘야 하는데 그러면 원하는 질감이 나오지 않...
    Date2016.01.24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9377
    Read More
  15. 봄동김치, 뒷고기수육

    봄동김치 봄동의 질감이나 향이 좋은 봄동김치. 배추김치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30108&mid=hc10 와 과정은 거의 비슷하다. 보통 김치 재료를 절이는 소금물을 10%의 염도가 적당한데 봄동은 푹 익혀 먹는 김치가 아니라 소금을 약간 적게 잡고 절였다. 사용한 재료는 (계량...
    Date2016.01.21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8537
    Read More
  16. 뒷고기구이, 뒷고기김치찌개

    뒷고기구이, 뒷고기김치찌개 대학 다닐 때 친구 어머님께서 학교 근처 뒷고기가게를 하셔서 학교 동아리 회식부터 소소한 술자리까지 늘 뒷고기집에 가곤 했었다. 20대후반까지 쓸데없이;;대학원에 다니느라 학교 근처에 살면서 뒷고기집에 자주 다녔는데 30대 이후로는 거의 뒷고기를 먹지 않았다. 삼...
    Date2016.01.20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8898
    Read More
  17. 떡볶이, 야채튀김, 계란튀김, 당면만두

    떡볶이, 야채튀김, 계란튀김, 당면만두 평소 만드는 떡볶이에 이번에는 야채튀김과 계란튀김을 곁들이고 당면만두를 구워서 추가했다. 튀김이나 만두를 곁들이는 만큼 소스는 약간 넉넉하도록 만들었다. 과정은 평소 올리던 떡볶이와 같아서 내용중복이 있다; 떡볶이 소스는 고춧가루를 오랫동안 끓이면...
    Date2016.01.19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8205
    Read More
  18. 야채튀김, 튀김덮밥

    야채튀김, 튀김덮밥 텐동을 하려면 새우튀김 정도는 같이 하면 더 좋기는 한데 야채튀김으로도 충분히 정신이 없어서 야채튀김만 밥에 올리고 쯔유를 뿌려서 텐동을 했다. 새우, 단호박, 깻잎, 가지, 표고버섯, 아스파라거스 등을 취향에 따라 준비해서 덴뿌라를 만드는 것도 좋다. 텐동이라고 하기에도...
    Date2016.01.18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Views6931
    Read More
  19. 아스파라거스 베이컨볶음

    아스파라거스 베이컨볶음 보통 아스파라거스에 베이컨을 말아서 만드는 경우가 많은데 마는 것도 귀찮고 아스파라거스가 노릇노릇한 것도 좋아해서 그냥 같이 볶았다. (별 내용 없음) 별로 의미는 없지만 사용한 재료는 아스파라거스 엄지와 중지로 쥔 정도 1줌 베이컨 약 150그램 소금, 후추 아스파라...
    Date2016.01.17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7229
    Read More
  20. 가자미전, 생선전 만들기

    (별내용없음주의) 생선전 중에 가장 일반적인 것이 동태전이지만 흰살생선은 전으로 부치면 다 맛있고 그 중에서도 달고기와 가자미를 좋아한다. 이렇게 생긴 패키지인데 중량은 사진의 48온스가 아닌 24온스로 약 680그램이고 가격은 약 1.2만원. 달고기는 냉동으로 파는 곳은 없고 수산시장에서 구입...
    Date2016.01.16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970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