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뒷고기구이, 뒷고기김치찌개



크기변환_DSC07701.JPG



대학 다닐 때 친구 어머님께서 학교 근처 뒷고기가게를 하셔서 학교 동아리 회식부터 소소한 술자리까지 늘 뒷고기집에 가곤 했었다.

20대후반까지 쓸데없이;;대학원에 다니느라 학교 근처에 살면서 뒷고기집에 자주 다녔는데 30대 이후로는 거의 뒷고기를 먹지 않았다.



삼다닷컴에 뒷고기를 파는 걸 보고 냅다 5키로(2.7만원)를 주문했다.

도착한 뒷고기는 깔끔하게 손질된 느낌은 아예없고... 껍질과 비계가 꽤 많고 근막이나 혈관도 약간 있어서 손질이 필요한 상태였다.

가위와 칼로 불필요한 껍질(+털)과 과도한 기름을 약 1.5키로정도 제거하고 3.5키로가 되었다.

기름을 너무 많이 걷어내면 퍽퍽해지니까 적당히 걷어내는 것이 좋았다.


손질 후에도 1키로당 7700원정도라 구이용이나 찌개용으로 적합한 고기치고는 꽤 저렴했다.

안심밑살, 등심밑살, 삼겹밑살, 토시살, 덜미살로 이루어진 고기로 기름이 적당히 있고 육향이 짙은 고기인데

수육으로 해본 것은 삼겹살이나 목살보다 더 낫지는 않았지만 쫄깃쫄깃한 맛이 있었고 김치찌개용으로는 아주 최적이었다.



손질한 고기는 한 번 씻어서 키친타올로 물기를 바짝 닦아냈다.



크기변환_DSC07702.JPG     크기변환_DSC07697.JPG



그 중에 기름이 적당히 박힌 부분은 구이용으로 썰어서 김치와 함께 구워 먹고

개중에 조금 큰 덩어리는 수육용으로 , 적은 덩어리는 썰어서 김치찌개용으로 용도를 나눠서 포장했다.



크기변환_DSC07699.JPG





크기변환_DSC07700.JPG





크기변환_DSC07701.JPG



쫀득쫀득한 육질에 적당한 기름기로 퍽퍽하지 않고 먹기 좋았다.





다음으로 김치찌개.

고기와 김치, 육수를 넉넉하게 사용해서 끓이고 김칫국물, 마늘을 넣어서 끓이다가 마지막에 두부, 대파, 라면사리를 넣었다.



멸치, 황태, 대파, 무, 다시마, 표고버섯으로 육수를 우려두었다.

찬물에 1시간정도 담가두고 중불~중약불이 1시간 끓이고 그대로 완전히 식힌 다음 걸렀다.


고기는 적당히 썰어서 굽고 김치도 적당히 볶은 다음 멸치황태육수를 넉넉하게 붓고 김치국물 1국자와 다진마늘 2~3스푼을 넣어 푹 끓여냈다.

보통 김치찌개는 40분정도 끓이면 적당한데 뒷고기가 부드러워서 오래 끓이니 쪽득쫀득한 질감이 줄어들었다.

김치를 먼저 10분정도 끓이다가 고기를 넣고 20~30분만 끓이는 것도 괜찮겠다.

푹 익은 김치찌개에 대파, 두부, 라면사리를 넣고 바글바글 끓여내면 완성.



크기변환_DSC07707.JPG     크기변환_DSC07708.JPG


크기변환_DSC07709.JPG     크기변환_DSC07711.JPG


크기변환_DSC07712.JPG     크기변환_DSC07713.JPG






크기변환_DSC07718.JPG



김치도 푹 잘 익어서 부드럽고 뒷고기 특유의 부드럽고 쫀득쫀득한 맛이 좋았다.

고기를 손질하는 것이 번거롭기는 했지만 가격을 떠나서 객관적으로도 맛있는 고기이지만 가격을 생각하면 더 맛있는 고기였다.






  • 뽁이 2016.01.21 08:35

    오옹 진짜 ! 뒷고기를 사면 이렇게 직접 손질을 해야하는군요 ...

    저렴하긴 한데 ... 저 같은 게으른 사람은 못할 듯 ;; 허허허

    근데 또 손질해놓고 나면 뿌듯할 거 같기도 하그요 *_*

    맛도 더 좋은가바요 헤헤 아부지도 뒷고기가 진짜 고기라고 막 ㅋㅋㅋ

     

    김치찌개에 사리보고 또 무너졌어요 ㅜㅠ

    오늘 점심에 김치찌개 먹으러 갑니다 저 ㅋㅋㅋㅋ

  • 이윤정 2016.01.21 23:28
    저도 손질할 게 생각보다 많을 줄은 몰랐답니다ㅎㅎㅎ....
    김치찌개용으로는 꾸준히 살 만 한 것 같아요. 쫀득쫀득하니말입니다ㅎㅎ
    아버님 말씀대로 뒷고기가 입맛에 맞으면 진짜 고기라고 하실만해요^^
    김치찌개의 화룡점정은 라면사리죠ㅎㅎ
  • ssoul 2016.01.21 13:17
    으아아 저 김치찌개에 흰 밥에다가 올려서는
    막 퍼먹고 싶어요 (아침 점심 못 먹은 자의 절규...)
    뒷고기 사셨구나, 전 찰순대 기다린다고 아직 맨날
    구경만 하고 있어요 ㅎㅎ 손질을 해야 한다니
    밥메이트가 한가할 때를 기다려서 사야겠어요ㅋㅋ
    저는 아직도 쓸데없이 대학원 다니고 있는데
    논문만 남겨두고 무쓸모;;라는 생각이 들어서 참...
    수료로 끝내자니 여태 낸 등록금이 아깝고ㅠㅠ
    아 모르겠어요. 저녁에는 꼭 쌀밥에 고기에
    김치찌개에 라면사리까지 먹어야지...
  • 이윤정 2016.01.21 23:30
    저는 고기순대하고 뒷고기를 같이 샀는데 고기순대는 그저그랬어요.
    뒷고기는 고기 질은 좋은데 손질이.......
    대학원 마지막 학기 하고 계시는군요^^
    끝나고 나면 좋은 날 오겠죠ㅎㅎ 저한텐 안왔지만요.....ㅎㅎㅎㅎㅎㅎㅎㅎ
  • ssoul 2016.01.22 09:09
    ㅋㅋ수료한지는 쪼금 되었는데 노느라 일하느라
    논문 남겨놓고 미루다가 이제 써야만 되는 기한이
    왔어요ㅠㅠ 솔직히 저한테도 대학원 덕에 좋은
    날이 올 것 같진 않아요ㅎㅎㅎㅎ 네버ㅎㅎ
  • 테리 2016.01.21 14:11

    오오~~그렇군요~~
    제주흑돼지 맛이 괜찮았군요.

    저는 내륙쪽의 흑돼지는 왠지 육향이 더 쎄게 느껴져서 한번 비싸게 구입하고는 실망해서 다시 시도하지 않았는데 제주흑돼지는 뒷고기도 맛난가봐요.
    고기손질도 주저않고 하시는 윤정님,참 대단하셔요~~

  • 이윤정 2016.01.21 23:31
    이게 흑돼지인지는 모르겠는데 털이 까맣긴 했어요^^ 그리고 일단 싸니까요ㅎㅎ
    손질할 것 앞에 쌓아두고 약간 에효 싶긴 했는데 또 가격대 성능비가 좋으니 다음에도 사지 싶어요^^
    안부글은 바로 확인했어요. 제가 괜히 심려를 끼쳐드렸네요ㅠㅠ
  • 테리 2016.01.22 01:17
    아니예요~~~윤정님~~~~무슨말씀을^^;;
    제가 오히려~~~^^
  • 레드지아 2016.01.22 11:06

    저도 삼다닷컴에서 샀었어요!!!

    저렇게 손질을 했어야 했군요...전 손질 안하고 먹었네요 어쩐지 ㅠ

     

    김치찌개에 라면 사리는 완전 is보다 더 무서운 테러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이윤정 2016.01.23 22:39
    손질하면 먹기가 좀 낫죠ㅎㅎ 물론 번거롭긴 해요ㅠㅠ
    김치찌개에 라면사리가 진짜 딱 좋죠ㅎㅎㅎ 특히 사먹을 땐 더 그렇고요^^
  • 해마니 2016.01.22 11:13
    저흰 거의 다 먹은 김치찌개에 물 좀 더 붓고 라면넣어먹어요 (당근 라면스프추가)ㅋㅋ 김치를 사먹다보니 한조각 한조각이 아까워서 써먹는 방법인데 ㅋㅋㅋ 부대찌개같고 맛있더라구요 ㅋㅋ 저는 김치찌개 돼지고기 들어간게 젤 맛있더라구요 국물도 찐득(?)한게 ㅋㅋ
    뒷고기 한번도 먹어본적이 없는데 진짜 먹어보고 싶은 비주얼로 올리셨네요 ㅜㅠ 약간 갈매기살같을까요?쫄깃함이 ㅎㅎ
  • 이윤정 2016.01.23 22:40
    김치가 귀한 곳이다보니 역시 마지막의 마지막까지 아껴드시는군요ㅎㅎㅎ
    뒷고기 질감이 갈매기살과 좀 비슷하기도 해요. 갈매기살도 내장에 근접한 부위라 육향도 좀 비슷하고요^^
  • 민구 2016.01.24 19:09

    쫀득한 고기를 좋아해서라.. 어머니와 자주가는 정육점에선 왠만하면 앞다리살부분중에 껍데기도 많이 붙어있는

    일명 쫄때기살?ㅋㅋㅋ부분을 구워도 먹고 돈부리로도 먹고 김치찌개로도 먹거든요!! 사태부분중에서도 쫀득거리는 식감이 있어서

    뒷고기부분을 통으로 사시는것보다 저부분이 손질도 덜하구 맛도 좋은거 같아요~ ~~ 젤젤 좋아하는 부위죠//

    부드러운 고기를 좋아하신다면 비추이긴 하지만! 쫀득한 식감이 좋으시다면.. 추천입니다!! 뒷고기중에 일부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 이윤정 2016.01.24 23:30
    쫄때기살은 처음 들어보는데 쫀득거리는 식감이라니 비슷하면서 손질도 덜해서 좋겠네요^^ 다음에 정육점 가면 한 번 여쭤봐야겠어요^^
    껍데기 밑에 있는 살이 쫀득하니 지방도 적당히 있고 맛있는 것 같아요ㅎㅎ

  1. 김치전골

    김치찌개 베이스에 원하는 재료를 추가해서 다양하게 먹기 좋은 김치전골. 김치찌개로 (4인분) 김치 4분의1포기 돼지고기 400그램 멸치육수 약 1.5리터(필요시 보충) 다진마늘 1스푼 청주 약간 김치전골로 (2인분) 김치찌개 2인분 어묵 약간 소시지 1개 떡 1줌 물만두 1줌 대파 1대 불린 당면 약간 두부...
    Date2016.06.1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24050
    Read More
  2. 불고기 김밥

    맛살이나 오이없이 딱 불고기에 어울리는 조합으로 불고기 김밥을 만들었다. 부추를 다듬고 데치는 것이 좀 번거로운데 부추 대신 시금치도 좋지만 부추가 아주 잘 어울린다. 김밥 8줄로 (약 4~6인분) 김 8장 쌀 4컵 스시노코 3스푼 참기름 깨 소고기 600그램 불고기소스 600그램분량 단무지 우엉 당근 ...
    Date2016.06.07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7610
    Read More
  3. 불고기전골, 불고기버섯전골, 뚝배기불고기, 만드는법

    불고기양념 - http://homecuisine.co.kr/index.php?mid=hc10&category=211&document_srl=40715 에 이어 불고기전골. 불고기 양념을 해두면 채소와 버섯, 육수만 준비해서 넉넉하게 먹기 좋다. 전골냄비에 넣고 끓여가면서 먹으면 불고기전골, 뚝배기에 넣고 육수를 약간 덜 넣고 끓여서 내면 뚝배기불고...
    Date2016.06.05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11537
    Read More
  4. 향미유, 고추기름

    최근에 올린 고추기름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20/66924 내용은 거의 같다. 여러 채소를 넣어서 만든 기름. 아무데나 넣어도 다 맛있다. 사용한 재료는 식용유 1컵 양파 작은 것 1개 대파 1대 생강 1조각 마늘 6개 청양고추 2개 고춧가루 6스푼 식용유 1컵으로 만들었는데 한 번 만들 때 ...
    Date2016.06.04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17258
    Read More
  5. 불고기양념, 소불고기, 돼지갈비, 만드는법, 황금비율

    구글 자동검색에 뜨도록 황금비율이라고 제목에 넣어봤다;; 불고기 외에도 떡갈비나 산적 등 여러 음식에 양념으로 넣어도 두루 잘 어울린다. 소스를 만드는 것 자체는 육수내고 과일갈고 번거롭기는 해도 크게 일이 되지는 않는데 어떻게 하면 평소 입맛에 맞아서 좋아하는 시판양념장을 사와서 적혀있...
    Date2016.06.02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37241
    Read More
  6. 불고기 예고

    여태 예고 포스팅을 한 적이 한 번도 없는데.. 어쨌든 오늘은 예고포스팅. 불고기를 그때 그때 상황에 맞게 올린 적은 많지만 정형화된 레시피로 딱 좋은 게 있어야 할 것 같아서 시판 양념장의 성분이나 여태 만든 것 등등을 생각해보고 여러모로 고민하고 수정해서 불고기 양념장을 완성한 것이 올해 ...
    Date2016.06.01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4405
    Read More
  7. 닭죽 만들기, 레시피

    2020년 버전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3957 아버지께 받아온 토종닭으로 닭죽을 만들었다. 한그릇에 닭한마리 푸짐하게 든 삼계탕도 좋지만 삼계탕보다는 먹기 편한 닭죽을 좋아해서 삼계탕보다 자주 만들게 된다. 닭죽에 수삼만 하나 넣으면 삼계죽이고.. 약 3인분으로 토종닭 약 1마...
    Date2016.05.30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20013
    Read More
  8. 냉국수, 멸치국수

    온국수 보다는 냉국수를 좋아해서(=머릿 속의 국수 디폴트가 냉국수라) 여름이고 겨울이고 매번 차가운 육수를 부어 시원한 국수를 먹는데 육수를 늘 우려두니까 집에 있는대로 고명을 준비하고 양념장만 만들면 금방이다. 집에 당장 있는 재료들로 꾸렸는데 여기에 추가로 단무지를 가늘게 썰어서 넣어...
    Date2016.05.22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Views15386
    Read More
  9. 백순대 만들기, 만드는법, 양념장

    백순대 양념장으로 닭갈비 양념장 3스푼 고추장 1스푼 황태육수 100미리 (물도 괜찮음) 들깨가루 1~2스푼 백순대 약 2인분으로 엑스트라버진 올리브오일 순대 500그램 쫄면사리 1개 양배추 1줌 양파 반개 대파 1대 팽이버섯 반봉투 청양고추 2개 깻잎 1묶음 방아잎 약간(생략가능) 다진마늘 1.5스푼 맛...
    Date2016.05.19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6940
    Read More
  10. 두부두루치기

    2020년 2월 곱창두부루치기 업데이트 - https://homecuisine.co.kr/hc10/89372 대전에서 유명한 두부두루치기. 두부에 육수를 적당히 붓고 칼칼한 양념을 해서 자작하게 졸여냈다. 사용한 재료는 약 3인분으로 두부 600그램 1모 진한 육수 450미리 고운고춧가루 3스푼 고춧가루 2스푼 간장 3스푼 다진마...
    Date2016.05.11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45527
    Read More
  11. 꽈리고추 참치전

    꽈리고추 참치전 꽈리고추를 많이 넣어서 꽈리고추 참치전인데 꽈리고추는 대신 깻잎을 넣어도 좋다. (= 빚기 더 쉽다..) 참치전에 샐러리를 넣어서 샐러리의 상큼한 맛이 참치의 살짝 비린 맛과 상쇄되고 샐러리 맛이 날듯 말듯 대놓고 샐러리 향이 느껴지지 않으면서 깔끔했다. 다 먹고 남편에게 여기...
    Date2016.05.08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8031
    Read More
  12. No Image

    참치생채비빔밥, 생야채비빔밥

    날이 조금 더워지면 생각나는 생채비빔밥. 있는 대로 생채소를 넣고 참치에 쌈장, 고추장 넣어 슥슥 비비면 참치생채비빔밥인데 이번에는 참치를 볶아서 참치고추장을 만들어 올렸다. 아삭한 채소와 고소한 참치고추장이 잘 어울리고 간단하면서도 맛있다. 사용한 재료는 밥 2인분 양배추 양상추 계란 2...
    Date2016.05.07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10026
    Read More
  13. 순대떡볶이

    차르르한 떡볶이소스에 순대를 넣어서 만든 순대떡볶이. 약 2~3인분으로 사용한 재료는 멸치황태육수 3컵 고운고춧가루 4스푼 고추장 2스푼 설탕 3~4스푼 다진마늘 1스푼 양파 1개 대파 1대 떡볶이떡 150그램 오뎅 300그램 순대 200그램 당면만두 김말이 요즘 양파가 달아서 설탕은 3스푼을 넣었는데 취...
    Date2016.05.06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7757
    Read More
  14. 차돌박이 순두부찌개

    생각날 때 편하게 끓여 먹는 순두부찌개. 해물순두부찌개는 시원하고 얼큰한데 차돌박이는 고소하고 얼큰해서 둘 다 각기 다른 맛으로 맛있다. 사용한 재료는 차돌박이 약 200그램 순두부 1봉투 (약 350그램) 멸치황태육수 약 300미리 양파 반개 대파 반대 청양고추 2~3개 홍고추 1개(생략가능) 계란 1...
    Date2016.05.04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11607
    Read More
  15. 아구수육, 아귀수육

    아귀수육은 아귀찜보다 훨씬 간단하고 단출하지만 아귀살의 담백함이 그대로 살아있다. 아귀는 원물로 2키로를 샀는데 손질 후에는 약 1.4키로 정도 되었다. (아귀가 꽤 작았는데 큰 걸 살수록 더 맛있고 좋다.) 그래도 뼈가 두텁고 무겁기 때문에 실제 양이 별로 많지 않아서 메인반찬으로 2인분이나 ...
    Date2016.05.03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14878
    Read More
  16. 제육볶음, 매콤돼지불고기

    요즘 제철재료로 여러가지 올리고 있는데 죽순밥에 이어서 죽순과 꽈리고추를 곁들인 제육볶음, 매콤돼지불고기. 얇은 돼지고기 목살에 파를 듬뿍 넣은 매콤 파불고기에 구운 죽순과 꽈리고추를 더했다. 어제 죽순밥의 죽순 보관 이야기는 여기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3881...
    Date2016.05.01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8817
    Read More
  17. 죽순밥, 갈비살죽순볶음

    요즘 제철인 죽순. 통조림 죽순도 자주 사용하지만 거의 중식에 사용하는데 엄마께 받아온 죽순이 질이 좋아 중식에 한 번 사용하고는 통조림으로도 쓸 수 있는 곳에 쓰기는 아까워서 죽순밥과 죽순볶음을 만들었다. 제철에 나는 죽순은 꽤 고급에 속하는 재료로 통조림 죽순과 다르게 아삭한 맛이 질기...
    Date2016.04.30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8062
    Read More
  18. 명이장아찌, 명이나물, 산마늘

    비싼 채소인 명이.. 엄청 좋아하는데 집근처 마트에 강원도산 명이가 들어왔길래 400그램에 만원인 명이를 사서 명아장아찌를 담갔다. (다음에는 한 3키로 담아야겠다.) 명이는 잎으로 되어 있어 부피는 크면서 장아찌로 만들면 숨이 많이 죽는데 명이의 양만 보고 장아찌간장을 많이 잡으면 간장으로 ...
    Date2016.04.29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11117
    Read More
  19. 소고기 강된장, 만들기, 레시피

    강된장은 이미 몇 번 올린 적이 있는데 평소와 다름없이 만들었다. 사용한 재료는 약 2~3인분으로 소고기 다짐육 150그램 양파 중간 것 1개 대파 1대 다진마늘 1스푼 청양고추 2개 홍고추 2개 팽이버섯 1봉투 멸치황태육수 약 350미리 집된장 1스푼 시판된장 1스푼 고추장 1스푼 고춧가루 1스푼 두부 1...
    Date2016.04.27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10357
    Read More
  20. 취나물 볶음, 소고기 취나물 유부초밥

    요즘 제철인 취나물. 건취나물보다 만들기도 편하고 제철에 향긋하게 비빔밥으로도 먹기 좋다. 사용한 재료는 생취나물 다진마늘 다진대파 국간장 참기름 깨 나물 양에 따라 양념재료의 분량이 달라져서 따로 분량을 쓰지는 않았는데 생취나물은 넉넉하게 해도 금방 숨이 죽으니까 약간 많다 싶게 하면 ...
    Date2016.04.26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1064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