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핫바만들기




크기변환_DSC05856.JPG



핫바를 전에 만들고 마음에 별로 들지 않아서 올리지 않고 그냥 넘어갔었는데 이번에는 잘 되어서 올려본다.

사실 잘 되었다기보다는 밀가루 양을 여러 비율로 조절해보면서 몇 번 더 만들어보고 그 중 가장 나은 것을 올리는 것이 맞다.

여러번 만들고 튀겨서 고생을 좀 했다...

핫바는 무조건 튀겨야하고 오븐으로 굽거나 부치는 것으로는 핫바가 되지 않는다(이렇게 실패한 적이 있다).





생선도 대구나 동태를 써봤는데 대구가 조금 더 낫지만 가격대비해서는 동태가 더 나았다.

새우는 넣으니 찰기가 생겨서 훨씬 더 좋았고 가장 중요한 건 생선과 해물을 얼마나 곱게 갈고 밀가루를 어느정도로 넣어서 반죽을 어떻게 하느냐였다

 

핫바나 어묵에 맞는 밀가루나 감자전분의 양을 알아보기 위해서 밀가루와 감자전분과 반반씩 써보기도 했는데 전분은 핫바에 잘 안어울렸다.

굳이 넣자면 밀가루 양의 10% 정도가 적당할 듯 했다.

밀가루는 중력분과 박력분을 따로 다 사용해봤는데 박력분은 중력분보다 가벼운 질감이라 내 취향에는 박력분이 더 좋았다.

 

밀가루를 너무 적게 넣으면 핫바보다는 생선을 갈아 튀긴 튀김같고 너무 많이 넣으면 밀가루떡 같아지니까

적게 넣는 것에서 점점 늘여가며 만들어 보아 밀가루를 적게 넣으면서도 핫바의 질감이 나는 비율을 찾았는데 이보다 밀가루를 조금 더 넣는 것도 괜찮다.


 

포인트는

1.생선살에 물을 약간 넣고 물처럼 곱게 갈기, 두번 갈기

2. 밀가루는 최소 전체분량의 20% 이상 (생선살+해물 80 : 밀가루 20 ~ 70:30)

3. 밀가루를 넣고 계속 저어서 반죽 치대기

 



 

어쨌든 본론으로...




아래 재료를 사용해서

핫바 약 12~14개분량으로 

볼 모양으로 50개정도 나왔다.

 

 

동태살 500그램

오징어 중간 것 몸통 2개

새우 100그램

합해서 850그램

 

밀가루 약 220그램

(생선살+해물의 4분의1 분량)

 

 

소금 2티스푼 (밀가루+해산물의 1%)

후추 0.5티스푼

청양고추 12개

홍고추 5개

당근 반개

대파 1대

다진마늘 1스푼

 

 


해물을 푸드프로세서나 커터기에 갈아야 하는데 오징어와 새우는 믹서 내부에 달라붙는 찰기가 심하고 생선살은 덜 하니까

오징어 - 새우 - 생선살의 순서로 갈면 적당하다.

채소는 대파와 고추는 짓이겨지니까 손으로 다지는 것이 낫고 당근은 푸드프로세서로 갈아도 괜찮다.


 

고추는 씨와 심을 빼고 준비한 채소는 가능한 한 잘게 다졌다.

 

 

크기변환_DSC05875.JPG     크기변환_DSC05876.JPG 

 



크기변환_DSC05838.JPG     크기변환_DSC04345.JPG





오징어는 껍질을 벗겨서 적당히 썰고 동태살은 완전히 해동해서 손톱만한 크기로 썰어두었다.


커터기에 새우, 오징어를 간 다음 생선살을 갈 때는 물을 약간 넣어서 완전히 풀어지도록 곱게 갈고 전체를 섞어서 한 번 더 갈았다. (총 2번 갈기)

블렌더에 딸린 커터기라 여러번 가는 것이 불편했는데 큰 걸 쓰면 두세번만 하면 되니까 당연히 더 편하다..



크기변환_DSC05937.JPG     크기변환_DSC05938.JPG


크기변환_DSC05939.JPG     크기변환_DSC05941.JPG





생선살에 밀가루, 소금, 후추를 넣고 생선과 밀가루가 섞여서  묽은 찹쌀풀 죽이 되는 느낌으로 계속 저었다.

그리고 다져둔 채소를 넣고 섞어서 반죽 완성.

 

 

크기변환_DSC05940.JPG     크기변환_DSC05943.JPG


   

크기변환_DSC05944.JPG     크기변환_DSC05846.JPG

 

 

간이 맞나 싶어서 약간 구워먹어보니 간이 잘 맞았다. 전체를 다 기기 전에 약간 간을 보는 게 좋다.




이제 전부 튀겨내면 끝이다.



 

스크래퍼 뜨고 스크래퍼로 기름에 밀어 넣어서 튀기는데 스크래퍼가 아무리 찾아도 안보여서 칼 2자루를 칼등으로 들고 모양을 잡았다.

튀김은 반죽을 살짝 넣어보아 가라앉자마자 떠오르면 적당한 온도이고 튀겨낸 핫바는 식힘망 위에 얹어서 기름과 수분을 뺐다.



크기변환_DSC05847.JPG     크기변환_DSC05850.JPG


크기변환_DSC05854.JPG

 

 

보통의 핫바모양처럼도 튀기고 볼 모양으로 아래처럼도 튀겨봤다.

핫바모양을 잡으려면 손이 많이 가서 튀김을 하는 시간도 길어지니까 숟가락 2개로 모양을 잡아 기름에 넣어서 튀겨도 괜찮다.


숟가락에 달라 붙으니까 숟가락으로 반죽을 떠서 다른 숟가락으로 밀어내듯이 기름에 넣으면 잘 들어간다.

숟가락으로 반죽의 모양을 잡는 것이 손이 덜가니까 튀김 튀기는 속도가 빨라서 좋았다.

 

 

크기변환_DSC05946.JPG     크기변환_DSC05945.JPG



크기변환_DSC05947.JPG




크기변환_DSC05949.JPG



반죽한 것은 일단 다 튀겨야 하니까 한 번에 다 튀겼다.

갓 튀긴 것이 가장 맛과 질감이 가장 좋아서 냉동하긴 조금 아까웠지만 어쩔 수 없이 적당히 먹고 남은 것은 냉동실로.




반으로 갈라보니 여러번 만든 것 중에 가장 맞는 비율을 찾았다 싶었다.




크기변환_DSC05951.JPG






크기변환_DSC05954.JPG






크기변환_DSC05856.JPG





크기변환_DSC05858.JPG





양념치킨소스와 스리라차칠리소스, 케찹을 한 접시에 뿌려서 각각 취향대로 조금씩 섞어가며 튀김을 찍어먹었다.

속이 보드랍고 연한 핫바라 당연히 맛있고 갓 튀겨낸 어묵이라 당연히 뜨끈뜨끈하니 맛있고 소스와도 잘 어울렸다.

 



양념치킨소스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18951&mid=hc20




크기변환_DSC06284.JPG





크기변환_DSC06285.JPG






냉동실에 넣어두었던 것은 인스턴트로 나온 김말이, 만두, 해시 등과 함께 튀겨서 모듬튀김으로 한끼 식사를 대신했다.

튀김만 너무 많으니까 양상추도 오리엔탈 드레싱을 곁들여 함께 먹었다.

 

 

크기변환_DSC06281.JPG







 

 

  • 뽁이 2015.12.02 08:29
    우와아아아아 진짜 ! 속살 자른거 ? 보니까 진짜 완전 핫바에요 ㅋㅋ
    대박 ㅠㅜ 밀가루와 전분의 양까지 철저히 계산된 어묵이라니 ㅋㅋㅋ 히히
    이렇게 만들면 혼자 먹기 아깝지 않으세요 ?
    팔아요 ... 팔아 ... ㅋㅋㅋㅋㅋㅋㅋㅋ
  • 이윤정 2015.12.02 23:56
    철저한 계산까지는 아니고ㅎㅎㅎㅎ 처음에는 밀가루를 조금만 넣다가 전분도 넣어봤다가 더 더 더 넣다보니 이정도가 적당하더라고요ㅎㅎㅎ
    튀김한 거 청소하느라 힘들었어요ㅠㅠ 그래도 뽁님 덕분에 기운납니다ㅎㅎㅎㅎ
  • 테리 2015.12.04 01:22
    와우!!!! 멀쩡하던 폰 갑자기 먹통되서 수리 맡겼다 이제야 찾아 다시 앱 깔고 겨우 들어와보니!!!!

    어묵의 본고장 부산분이 만드신 황금비율이니 월매나 맛있을까요? 백종원이 예전에 떡볶이체인집에서 팔았던 똥튀김 좋아했는데, 비쥬얼이 그거랑 비슷해요!!!!!
    나두 꼭 따라해보고 싶다!!!!!!

    경남 지방 어딘가에 아메리칸 튀김 이라는거 유명하던데. 갑자기 그 생각도 나네요. 어차피 저야 평생 못 먹어볼 것 같은거지만.ㅜㅜ
  • 이윤정 2015.12.05 00:02
    그래서 뜸하셨군요ㅎㅎㅎ
    황금비율이랄거 있습니까ㅎㅎ 조금씩 늘여 넣어서 해보고 또 해보다가 잘라보니 적당히 마음에 든다 싶어서 올린 것인걸요ㅎㅎ
    저도 그 해물떡찜0410? 인가에서 먹어 본 똥튀김도 좋아했고 아메리칸튀김도 부평시장에서 가끔 사먹는데요,
    똥튀김은 이것보다 좀 더 채소랑 밀가루가 많은 느낌이더라고요. 아마 물이나 육수(혹은 물+조미료)도 좀 더 들어가는 것 같고요.
    아메리칸튀김은 감자와 양파가 넉넉하게 들어간 느낌인데 다음에 가서 또 먹어보고 따라해봐야겠어요ㅎㅎ
  • 테리 2015.12.05 03:37
    부평시장에 있는 거였어요??? 먹어볼껄!!!

    못사먹는 저를 위해 윤정님이 아메리칸 튀김. 통튀김 함 연구해주세요~~ㅎㅎㅎ

    해물떡찜 여긴 거의 없어진것같아요.

    넘 따라하는 집이 많아 이젠 거의 프랜차이즈 접은듯.
  • 이윤정 2015.12.06 00:25
    그러고보니 해물떡찜이 없어진 것 같네요.
    저도 아메리칸튀김 해보고 싶었는데 언젠간 꼭 해보고 올릴게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8 반찬 무나물, 시금치나물, 배추나물, 애호박볶음, 당근볶음, 비빔밥 무나물, 시금치나물, 배추나물, 애호박볶음, 당근볶음, 비빔밥 평소에 비빔밥을 할 때는 콩나물을 늘 하는 편인데 이번에는 콩나물은 하지 않고 배추나물과 애호... 4 file 이윤정 2016.01.01 11453
77 반찬 차돌 소고기고추장 차돌 소고기고추장 오래 두고 먹는 고추장이 아니고 한끼 비빔밥에 얹어 먹을 정도(2인분)으로 볶음고추장을 만들었다. 한우 차돌박이를 주문했는데 일반 차돌박... 7 file 이윤정 2016.01.01 6623
76 반찬 부드러운 계란찜 부드러운 계란찜 보통 국이나 찌개는 염도를 굳이 계산하지 않아도 마지막에 간을 봐서 물이나 소금을 더해 간을 맞출 수 있지만 계란찜은 계란물을 맛 볼 수도 ... 6 file 이윤정 2015.12.22 40888
75 반찬 꽈리고추 오뎅볶음 꽈리고추에 요즘 꽂혀서 소고기, 대패삼겹살과 함께 볶은 것을 올렸고 유린기에도 곁들였고 이번에는 오뎅볶음. 오리고기에 곁들여서 볶아도 맛있고 새우와도 잘 ... 4 file 이윤정 2015.12.16 6581
» 반찬 핫바만들기, 어묵, 오뎅 만들기 핫바만들기 핫바를 전에 만들고 마음에 별로 들지 않아서 올리지 않고 그냥 넘어갔었는데 이번에는 잘 되어서 올려본다. 사실 잘 되었다기보다는 밀가루 양을 여... 6 file 이윤정 2015.12.01 10449
73 반찬 꽈리고추 소고기볶음 꽈리고추 소고기볶음 꽈리고추찜을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꽈리고추에 손이 가지 않다가 이번에 갑자기 꽂혀서 농산물 시장에 가서 1키로를 샀다... 1키로에 6천원... 2 file 이윤정 2015.11.30 15937
72 반찬 소고기 산적 만드는법 소고기 산적 보통 산적은 꼬치에 꿴 것을 이야기하고 우리집도 늘 세로로 잘라서 양념한 다음 꼬치에 꿰어서 구웠는데 내 취향으로는 통째로 구워서 잘라 먹는 것... 7 file 이윤정 2015.11.17 26871
71 반찬 계란장조림 만드는법, 레시피 검색해보니 돼지고기나 소고기 메추리알 등의 장조림은 몇 번 올렸었는데 계란장조림을 한 번도 안올려서 간단하게 포스팅(이라서 별 내용은 없다). 사용한 재료... 5 file 이윤정 2015.11.09 12258
70 반찬 소세지 야채볶음 소세지 야채볶음 소세지 야채볶음은 블로그 때 일상포스팅으로 대충대충 먹는 식사사진과 함께 올린 것 말고는 따로 올린 것이 없고 무려 2012년 포스팅이 가장 ... 5 file 이윤정 2015.10.04 7892
69 반찬 대파 치즈 계란말이 대파 치즈 계란말이 계란말이는 늘 일상반찬을 모아놓은 게시글에 함께 올리곤 해서 따로 올린 적이 무려 2012년 일이었다. 그만큼 딱히 따로 올릴 내용이 없기 ... 4 file 이윤정 2015.09.10 9191
68 반찬 콩나물무침 콩나물무침 사용한 재료는 콩나물 500그램 국간장 1스푼 다진마늘 1스푼 고춧가루 0.5스푼 참기름 약간 깨 약간 콩나물은 다듬어서 씻고 냄비에 담았다. 여기에 ... 8 file 이윤정 2015.08.30 8687
67 반찬 고등어 김치찜 고등어 김치찜 생물 고등어는 냉장실에 최대 2일정도만 보관하고 나머지는 냉동하는 게 좋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고등어는 신선한 걸 쓰는게 가장 좋고, 냉동한 ... 7 이윤정 2015.07.14 9540
66 반찬 감자 고등어조림, 고갈비 감자 고등어조림 싱싱한 생물고등어로 고등어조림을 했다. 평소에 무를 넣어서 미리 푹 익히고 양념을 한 다음 고등어를 넣고 끓이는 고등어무조림을 자주 하는데... 2 file 이윤정 2015.07.02 6746
65 반찬 우엉조림, 유부초밥 우엉조림 우엉은 얼른 졸여내서 아삭아삭한 맛으로 먹기도 하지만 나는 오래 끓이고 오래 볶아서 만든 것을 좋아해서 시간이 좀 걸리는 편이다. 사용한 재료는 우... 4 file 이윤정 2015.06.26 11120
64 반찬 숙주나물, 오이무침, 두부계란부침, 장조림 요즘 만들어 먹는 반찬들인 숙주나물, 오이무침, 계란두부부침, 장조림 늘 편하게 만드는 반찬이니까 크게 내용은 없는데 그래도 올려본다.. 숙주나물 숙주 한 봉... 2 file 이윤정 2015.04.15 11345
63 반찬 김치참치볶음, 두부김치 김치참치볶음, 두부김치 시장에서 손두부를 한 모 사와서 어떻게 할까 하다가 별 생각 없이 두부김치. 김치만으로 볶아내거나 김치에 육수만 넣고 푹 끓여 낸 것... 2 file 이윤정 2015.03.19 5445
62 반찬 야채볶음 야채볶음 돼지고기 장조림을 다 먹고 소고기 장조림을 만들었는데 간장이 맛이 좋아서 구운 김에 밥과 함께 싸먹으니 맛있었다. 소고기 장조림은 다음에 올리고..... 2 file 이윤정 2015.02.27 4204
61 반찬 돼지고기 메추리알 장조림 돼지고기 메추리알 장조림 사용한 재료는 돼지고기 안심 1개 메추리알 약 30~40개 육수 - 멸치, 새우, 황태, 표고버섯, 대파, 다시마 간장 100미리, 미림 50미리,... 8 file 이윤정 2015.02.25 9899
60 반찬 참치전 참치전 참치 250그램 1캔 대파 반대, 파프리카 4분의1개, 다진마늘 1티스푼 부침가루 1스푼, 계란2개, 후추약간, 소금 아주 약간 참치캔은 수분을 꾹 짜내지 않고... 2 file 이윤정 2015.02.23 5466
59 반찬 나물비빔밥, 된장찌개, 잡채 나물비빔밥, 된장찌개, 잡채 마트에서 콩나물 큰 봉투로 하나 집어오고, 무 하나 집어오고.. 아 그럼 시금치도 있어야 하나? 그러다가 당근도 볶고 비빔밥이니까 ... 10 file 이윤정 2015.02.09 5894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