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파김치, 김치양념

 

 

 

크기변환_DSC06241.JPG




양념은 언니네에 나눠주느라 많은 양을 만들었는데

4분의1 정도만 만들어서 파 1단으로 김치를 담고 남은 양념은 배추 등 채소를 간단하게 무쳐 먹으면 적당하다.

(파 1단은 도매시장에서 파는 파 1단 기준)





김치양념


황태육수 3컵

찹쌀가루 6스푼

 

고춧가루 4컵

까나리액젓 1컵+1스푼

다진마늘 6스푼

양파 1개

사과 1개

배 1/4개

생강 1티스푼

조청 4스푼



김치양념은 사과1개, 양파1개의 양에 맞춰서 만든거라 파김치로는 4번정도 담을 분량이 된다.

이 글에 올리는 만큼 쓰고 남은 양념은 지퍼백에 넣어서 냉동보관해서 언니에게 보내고

양념을 담았던 볼에 남은 양념으로는 겉절이도 무쳐서 알뜰하게 사용했다.


이 양념으로 만든 김치는 오래 두고 먹는 김치가 아니라서 양념을 만든 만큼 한번에 김치를 무칠 것이 아니라

길게는 2주일 정도 먹을 분량만 무치고 나머지는 펼쳐서 냉동한 다음 조금씩 해동해서 쓰는 것이 더 낫다.






육수는 황태 양파 대파 무 다시마 표고버섯을 넣어서 물을 붓고 끓기 시작하면 중약불로 낮춰서 1시간정도 푹 끓여서 진하게 우리고 그대로 식혔다.

육수는 전날 우려서 완전히 식힌 다음 걸러서 냉장보관했다가 다음날 사용했다.


 

크기변환_DSC05776.JPG     크기변환_DSC05778.JPG


크기변환_DSC05779.JPG     크기변환_DSC05780.JPG






육수에 찹쌀가루를 날가루가 없도록 잘 풀어서 약불에 올려 계속 저어가며 찹쌀풀을 쑤었다.



크기변환_DSC06126.JPG     크기변환_DSC06130.JPG


크기변환_DSC06127.JPG     크기변환_DSC06132.JPG





찹쌀풀은 실온에 식히고 그동안 나머지 양념을 준비한 다음

육수로 쑨 찹쌀풀에


고춧가루 4컵

까나리액젓 1컵+1스푼

다진마늘 6스푼

양파 1개

사과 1개

배 1/4개

생강 1티스푼

조청 4스푼


을 넣고 김치양념을 만들었다.

조금 덜 짜게 만든거라 위 레시피의 액젓은 최소한의 양이고 간을 보고 까나리액젓을 더 추가해도 괜찮다.




크기변환_DSC06133.JPG     크기변환_DSC06134.JPG



크기변환_DSC06153.JPG







파는 보통 액젓에 살짝 절인 다음에 김치양념에 무치는데 따로 절일 필요가 없도록 가는 파를 사왔다.

사실 이보다 조금 더 굵은 쪽파도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 액젓에 절이는 것에는 의미가 있지만

그대로 김치양념에 무쳐도 김치양념에 익으니까 굵은 것은 굵은 대로 바로 김치양념에 무쳐도 무방하다.

(많이 굵은 것으로는 파김치를 담지 않고 파김치용으로는 가는 것을 사용하는 걸 추천...)




파는 시장에서 까지 않은 것으로 사와서 만들었다.

시장을 전부 한바퀴 돌아보고 대가 얇고 길이가 짧은 것을 파는 집에 안 깐 걸로 사왔다.

조금 번거롭긴 하지만 깨끗하게 까니 절일 필요도 없이 여리여리한 쪽파가 등장했다.

파는 겨울이 되면 끝부분이 시들고 여름에는 단맛이 부족해서 봄가을에 가장 맛있다.

 

쪽파는 깨끗하게 다듬고 씻어서 물기를 바짝 털어냈다.



크기변환_DSC06137.JPG     크기변환_DSC06138.JPG



크기변환_DSC06140.JPG     크기변환_DSC06141.JPG




양념은 흰 부분에 올려서 살짝 버무리고 잎부분은 슬쩍 한 번 쓸어서 파김치를 무쳤다.

다 무친 다음 지퍼백에 넣어서 공기없이 닫아 3~4시간정도 실온에 익힌 다음 냉장보관했다.




크기변환_DSC06144.JPG     크기변환_DSC06147.JPG

 

 

지퍼백에 바로 넣었을 때는 지퍼백 안에서 접히지 않던 파가 실온에 익힌 다음에는 부드럽게 접혀서 다시 한 번 공기를 빼고 냉장했다.

다음날부터 꺼내먹었더니 적당했다.

 


크기변환_DSC06170.JPG





얄팍하니 맛있게 익은 파김치.



크기변환_DSC06241.JPG




크기변환_DSC06244.JPG



여리여리한 파에 잘 어울리는 양념으로 고기와 먹어도 맛있고 맨밥에도 먹기 좋은 파김치가 잘 익었다.






남은 양념으로..


1. 배추겉절이

2. 쌈무김치

3. 과일채김치





1. 배추겉절이


일단 지퍼백에 넉넉하게 만든 김치양념을 담고 나면 볼에 김치양념이 남으니까

알배추 몇 잎을 소금물에 담가 살짝 절이고 물기를 바짝 털어낸 다음 볼에 남은 김치양념에 버무려서 겉절이를 만들었다.



크기변환_DSC06154.JPG     크기변환_DSC06156.JPG




크기변환_DSC06168.JPG




바로 무친 겉절이는 실온에 두었다가 저녁에 바로 밥상에 올렸다.










2. 쌈무김치


쌈무김치는 쌈무를 절이는 것과 똑같이 썰고 절여서 물기를 꽉 짠 다음 앞서 만들어 둔 김치양념에 무쳐서 간단하게 만들었다.


 


무는 껍질을 벗기고  채칼에 얇게 슬라이스했다.

무가 원형을 유지하게 하기보다는 딱 떨어지는 원형이 되지 않고 중간에 반원이 되더라도 팔에 힘을 약간 빼고 가능한 한 가장 얇게 슬라이스했다.

 

무에 설탕 1컵, 소금 1스푼을 넣고 절였다.


 

크기변환_DSC04142.JPG    크기변환_DSC06187.JPG



설탕과 소금이 다 녹고 완전히 절여져서 무에서 나온 수분으로 무가 자작해지면 물에 한 번 헹구고 물기를 최대한 꼭 짠 다음 김치양념을 넣고 무쳤다.

슬라이스한 무 사이사이에 양념이 들어가도록 한장씩 떼가면서 김치양념이 부족하면 1스푼씩 더 넣어가며 무친 다음

쌈무김치 역시 지퍼백에 넣고 공기를 빼서 3~4일정도 지나니 잘 익어 있었다.



크기변환_DSC06188.JPG     크기변환_DSC06189.JPG



크기변환_DSC06238.JPG




쌈무김치는 3일정도 익히니 먹기 좋게 익었다. 시험삼아 콜라비도 똑같이 쌈무김치로 담아봤는데 아직 덜 익었다. 

쌈무김치는 보쌈김치와 비슷한 맛으로 아작거리는 식감이 좋았다.

보쌈김치를 따로 담는 것도 좋지만 있는 양념으로 편하게 만든 점이 마음에 들었고 금방 익는 것도 괜찮았다.







3. 과일채김치


양파, 당근, 사과, 배를 채썰어서 김치양념에 무치고 지퍼백에 넣어서 익혔다.

배에 수분이 많이서  배는 바로 먹을 것에는 어울렸고 조금 더 두고 익혀 먹을 것이면 배는 생략하는게 낫지만

일단 이틀 뒤에 먹은 것으로는 배를 넣은 것이 더 달큰한 맛이 좋았다.



크기변환_DSC06145.JPG     크기변환_DSC06146.JPG


크기변환_DSC06148.JPG     크기변환_DSC06149.JPG


크기변환_DSC06150.JPG     크기변환_DSC06151.JPG






크기변환_DSC06249.JPG




상큼하고 달큰한 과일채김치. 맨밥보다는 고기와 먹기에 산뜻하게 잘 어울리는 맛이라 수육에 가장 좋았다.









수비드 수육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25072&mid=hc10



크기변환_DSC03164.JPG





앞서 올린 막김치도 잘 익었고 세 가지 김치도 한가지 양념으로 담아서 3일정도 익혀 수육과 함께 먹었다.



크기변환_DSC06253.JPG




맨밥에 먹기로는 파김치가 가장 좋았고 고기와는 과일채김치가 그 중에는 가장 잘 어울렸지만 고기에는 김치가 다 잘 어울렸다.









  • 테리 2015.11.29 12:32
    양념을 만들어놓으니 김치 버무리기는 엄청 뚝딱뚝딱 간단하게 하신것 같아요~~
    근데 이 양념이 오래 저장하는 건 안 되는 김치용이라구요??? 무슨 차이일까요? 조청이 들어가서일까요?^^
    아이구 김치는 진짜 잘 모르겠어요~
  • 이윤정 2015.11.29 22:50

    제가 김치를 알아봐야 얼마나 알겠습니까만은^^;;
    조청이나 설탕을 넣은 김치는 오래 익혔더니 질감이 깔끔하게 되지 않고 양념에 점도가 생기더라고요.
    물김치에 설탕 넣고 망한 적도 있어요ㅎㅎㅎㅎ
    단맛 없는 김치양념으로 김치를 담아보니 당장은 달큰한 맛이 덜해도 익으면 시원하니 좋았거든요.
    책이나 알려주시는 말씀마다 다르지만 조청을 넣은 김치양념은 양이 많다고 다 무쳐두기보단 냉동했다가 조금씩 무쳐 먹는 게 좋았어요^^

  • 뽁이 2015.11.29 14:09
    음마야음마야 !
    파김치만 있는 줄 알고 들어왔다가
    이 과일채김치에 배추겉절이에 !!! 아앍 ㅠㅠ
    맛있겠어요 >_<
    역시 수육도 좋긴하지만
    밥이랑 잘 어울리는 김치가 제일 좋은거 같긴 해요 ^^
  • 이윤정 2015.11.29 23:03
    파김치만 하려고 했는데 하나보니 쌈무로 썰어서 무쳐도 어울리겠고 과일이랑 채소 채썰어 담아도 어울리겠고 다 해보자 싶었는데 역시 해보길 잘했다 싶었어요^^
    얼마전 담은 막김치 오늘 꺼내서 먹어보니 입맛에 맞게 잘 익어서 약간 기분 좋았어요ㅎ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국 찌개 해물 순두부찌개 만드는법, 끓이는법 해물 순두부찌개 올리브오일 약간 바지락 약 200그램 새우 약 10마리 주꾸미 2마리 순두부 1봉투 바지락육수+황태육수 약 300미리 양파 반개 대파 반대 청양고추 ... 6 file 이윤정 2016.03.01 20904
363 국 찌개 소고기뭇국, 소고기무국 소고기뭇국. 평소 올린 것과 비슷한데 이번에는 사리를 추가했다. 사리는 많이 넣으면 국물을 흡수하니까 세 젓가락 호로록 먹을 정도로만 준비하는 것이 좋다. ... 6 file 이윤정 2016.02.28 8172
362 국 찌개 돼지고기 김치찌개 + 라면사리, 김치죽 늘 만드는 김치찌개. 김치찌개라는 것이 결국에는 김치+고기+육수+시간이라 김치는 푹 익어서 부들부들하고 목살은 차지게 쫀득쫀득하고 국물도 얼큰하니 맛있었... 2 file 이윤정 2016.02.24 12851
361 국 찌개 뚝배기 계란찜 만드는법 뚝배기 계란찜 메인반찬을 만들면서 국 대신 간단하게 만들어 먹고 있는 뚝배기 계란찜. 뚝배기 계란찜을 약간 봉긋하게 만들려면 뚝배기 양보다 더 많은 양의 육... 4 file 이윤정 2016.02.23 12435
360 김치, 장아찌, 무침 무채김치 무채김치 무생채와 비슷하지만 생채는 아니고 무채김치. 김치에 관한 이야기는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30108&amp;mid=hc10 막김치 하단에 ... 8 file 이윤정 2016.02.18 7305
359 일상 김구이, 맛김 어릴 때는 엄마께서 김에 참기름을 발라 소금을 뿌려서 재어두신 김구이를 자주 먹었는데 나이먹고는 가끔만 만든다. 김가루 날리면 치우기가 힘들어서...ㅠㅠ 남... 2 file 이윤정 2016.02.18 28415
358 일상 김밥 얇게 슬라이스된 샌드위치햄을 사서 김밥을 만들었다. 대충 만든거라 카테고리는 일상으로.. 같은 햄으로 몬테크리스토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 4 file 이윤정 2016.02.14 6182
357 반찬 봄동전 봄동전 데친 봄동을 구워서 만드는 봄동전. 배추전과 비슷한데 잎이 더 얇아서 식감이 더 가볍다. 사용한 재료는 봄동 2포기 부침가루 1.5컵 황태육수 1.5컵 밥새... 4 file 이윤정 2016.02.04 6177
356 한그릇, 면 떡국, 떡만둣국 떡국, 떡만둣국 어릴 때부터 떡국을 좋아해서 떡도 늘 떨어지지 않게 냉동실에 있고 당연히 설날 말고도 평소에 떡국을 자주 먹는 편이다. 대충 해먹어서 자주 올... 7 file 이윤정 2016.02.03 7405
355 일상 김치치즈볶음밥, 햄김치볶음밥 김치치즈볶음밥, 햄김치볶음밥 (별 내용 없음) 볶음밥은 수분이 잘 날아가는 큰 팬에 하는 것이 좋아서 큰 구이팬을 꺼내서 쓰고 있다. 구이팬은 턱이 낮아서 볶... 8 file 이윤정 2016.01.29 6868
354 반찬 숙주나물 숙주나물 나물 중에 좋아하는 걸 고르자면 생각할 것도 없이 무조건 숙주나물을 고르는 정도로 숙주나물을 좋아한다. 숙주나물을 다른 반찬과 함께 올린 적은 있... 11 file 이윤정 2016.01.27 7677
353 일상 닭다리튀김, 후라이드치킨, 치킨 튀김옷 닭튀김 닭튀김 반죽의 최적의 조합은 당연히 아니고 오늘 만든 닭튀김으로 중간보고. 여러가지 전분이나 밀가루의 배합, 베이킹파우더나 베이킹소다의 사용 등 여... 6 file 이윤정 2016.01.26 76489
352 한접시, 일품 찜닭 찜닭 건고추와 다진생강으로 맛을 내고 노두유로 색을 진하게 해서 늘 만들듯이 만들었다. 닭을 한 번 데치는 것이 약간 번거롭지만 양념과 닭고기를 냄비에 넣어... 6 file 이윤정 2016.01.25 15454
351 국 찌개 계란국, 명란젓 주먹밥, 유부초밥 계란국, 명란젓 주먹밥, 유부초밥 명란젓 주먹밥을 만들어서 계란국과 함께 먹었다. 먼저 계란국. 사용한 재료는 황태육수 4컵 국간장 1스푼 소금 약간 (간보고) ... 4 file 이윤정 2016.01.24 9526
350 김치, 장아찌, 무침 봄동김치, 뒷고기수육 봄동김치 봄동의 질감이나 향이 좋은 봄동김치. 배추김치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30108&amp;mid=hc10 와 과정은 거의 비슷하다. 보통 김치... 10 file 이윤정 2016.01.21 8648
349 일상 뒷고기구이, 뒷고기김치찌개 뒷고기구이, 뒷고기김치찌개 대학 다닐 때 친구 어머님께서 학교 근처 뒷고기가게를 하셔서 학교 동아리 회식부터 소소한 술자리까지 늘 뒷고기집에 가곤 했었다.... 14 file 이윤정 2016.01.20 8978
348 한접시, 일품 떡볶이, 야채튀김, 계란튀김, 당면만두 떡볶이, 야채튀김, 계란튀김, 당면만두 평소 만드는 떡볶이에 이번에는 야채튀김과 계란튀김을 곁들이고 당면만두를 구워서 추가했다. 튀김이나 만두를 곁들이는 ... 9 file 이윤정 2016.01.19 8374
347 한그릇, 면 야채튀김, 튀김덮밥 야채튀김, 튀김덮밥 텐동을 하려면 새우튀김 정도는 같이 하면 더 좋기는 한데 야채튀김으로도 충분히 정신이 없어서 야채튀김만 밥에 올리고 쯔유를 뿌려서 텐동... 5 file 이윤정 2016.01.18 7035
346 반찬 아스파라거스 베이컨볶음 아스파라거스 베이컨볶음 보통 아스파라거스에 베이컨을 말아서 만드는 경우가 많은데 마는 것도 귀찮고 아스파라거스가 노릇노릇한 것도 좋아해서 그냥 같이 볶... 14 file 이윤정 2016.01.17 7395
345 반찬 가자미전, 생선전 만들기 (별내용없음주의) 생선전 중에 가장 일반적인 것이 동태전이지만 흰살생선은 전으로 부치면 다 맛있고 그 중에서도 달고기와 가자미를 좋아한다. 이렇게 생긴 패... 10 file 이윤정 2016.01.16 9887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