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해물파전

 

 

크기변환_DSC04504.JPG

 

 

 

 

부산에서 유명한 범일 빈대떡의 파전을 좋아하는데 그 파전과 거의 똑같은 점도로 하려니 미숫가루정도 타는 묽기로 반죽해야 적당했다.

여태 만든 파전 중에 반죽을 가장 묽게 했고, 좋아하는 그 파전처럼 4등분을 해야 되집기 편한 정도로 만들었다.

 

 

 

파전의 크기에 따라 약 2~3개 분량으로

 

 

쪽파 (엄지와 검지로 잡은 가득 정도) 큼직하게 2~3줌

 

멸치육수 약 500미리

부침가루 약 1.8컵

 

청양고추 3개

홍고추 1개

감자 중간 것 1개

당근 3분의1개

양파 중간 것 반개

 

데친 오징어 1마리

계란 3개

 

 

 

잘게 채썬 감자, 양파, 당근을 넣어서 달큰하고 쫀득한 맛을 살리면서도 청양고추와 홍고추를 넣어서 심심하지 않고 칼칼하게 했다.

방아잎이나 깻잎을 더 넣으면 향이 더 좋고, 부추를 추가해도 좋다.

파는 흙파를 사서 까서 쓰면 좋지만 힘드니까;;; 시장에서 아주머니들이 갓 까서 파는 것으로 쓰면 신선하고 얇으면서도 힘이 덜 드니까 가장 좋다.

마트에서 파는 것을 사용할 경우는 굵은 쪽파보다는 약간 가는 것을 사면 낫고 그래도 굵으면 반으로 갈라 사용하면 적당하다.

 

 

 

홍합이나 바지락을 삶아서 조개육수를 사용하고 조갯살도 넣으면 좋지만 집에 있는 오징어와 새우를 넣을거라 육수를 우려내서 반죽했다.

멸치, 다시마, 황태, 대파, 무, 표고버섯 육수로 500미리 정도 진하게 우려낸 다음 식혀서 냉장고에 미리 넣어두었다.

 

 

크기변환_DSC04252.JPG     크기변환_DSC04492.JPG    

 

 

 

 

쪽파는 적당히 썰고 고추는 씨를 빼고 잘게 썰었다.

 

청양고추는 손을 최대한 덜 대기 위해서 가로로 된 심을 관통하면서 가로로 썰었다.
이렇게 썰어서 심을 제거하면 반으로 가른 고추 속의 고추 심에 손을 최대한 덜 대면서 손질할 수 있으니까 좀 낫다.
심을 제거한 고추는 물에 헹궈서 씨를 빼고 (고추씨를 좋아하지 않아서 씨를 뺐는데 취향에 따라 통째로 썰어도 좋다) 잘게 썰어서 반죽에 넣었다.

 

 
%C5%A9%B1%E2%BA%AF%C8%AF_DSC09439.jpg     %C5%A9%B1%E2%BA%AF%C8%AF_DSC09440.jpg
 
 

 

 

감자와 당근은 천천히 익으니까 잘 드는 칼로 신경써서 아주 얇게 채썰고 양파도 얇게 채썰었다.

  

  

크기변환_DSC01504.JPG     크기변환_DSC01509.JPG


크기변환_DSC01543.JPG      크기변환_DSC03463.JPG

 

 

 

 

 

얇게 채 썬 채소는 한 줌씩 집어서 부칠 수 있게 미리 섞어두고 오징어는 데쳐서 냉장고에서 완전히 식혀서 얇게 썰고 계란은 적당히 풀어두었다.

파는 깨끗하게 다듬고 씻어서 물기를 탈탈 털어서 냉장고에 넣어두었다가 꺼냈다.

 
 

크기변환_DSC04489.JPG     크기변환_DSC04491.JPG

   

크기변환_DSC03468.JPG    

  
 

 

 

 

 

 
육수는 냉장고에 넣어두었다가 마지막에 꺼내서 차게 준비했다. 
파전 반죽에 글루텐이 형성되지 않아야 촉촉하고 바삭한 감촉이 좋기 때문에 밀가루는 계속 젓지 않고 날가루가 없을 정도로 가볍게 쳐서 반죽을 만들었다.

파전 반죽은 살짝 묽은 스프 느낌이 나도록 주르륵 흐르게 농도를 맞춰서, 되직한 느낌이 없도록 했다. 
이번에는 반죽을 평소보다 약간 더 묽게 해서 잘 익혀도 4등분을 해야 잘 뒤집어질 정도로 농도를 조절했다.
 

 

 크기변환_DSC01545.JPG     

 

 

 

 

 

구울 때는 후라이팬을 사용했는데 잘라서 뒤집으면 되니까 큰 와이드 그릴팬을 사용해도 좋다.


이제 준비는 끝났으니 팬에 기름을 약간 넉넉하게 두르고 파를 펼쳐서 얹은 다음 채썬 채소와 오징어를 한 줌씩 올려서 얇게 펴고 그 위에 국자로 반죽을 올렸다.

너무 많지는 않게 가장자리까지 소스 뿌리듯 휘휘 둘러줬다. 반죽을 너무 많이 부으면 너무 두꺼워서 파떡이 되니까 약간 적다싶게 붓는 것이 좋다.


 

크기변환_DSC04493.JPG     크기변환_DSC04494.JPG


 

 

 

반죽이 적당히 익기를 기다렸다가 팬 가장자리에 기름을 한 번 더 두르고 

익은 반죽이 갈라지지 않고 않고 파와 함께 통째로 익어서 팬을 슬슬 흔들어보았을 때 파전 전체가 앞뒤로 움직이면서 윗면도 살짝 익으면 뒤지개를 깊숙하게 넣어서 뒤집었다.

 

 

 

크기변환_DSC04495.JPG     크기변환_DSC04496.JPG

  

 

 

 

다시 뒤집어서 계란을 뿌리고 가위로 4등분해서 각각 뒤집어서 익히면 완성.

 

 

 

크기변환_DSC04497.JPG     크기변환_DSC04498.JPG


 

 

 

 

 

크기변환_DSC04499.JPG

 

 

 

 


크기변환_DSC04504.JPG

 

 

 

속은 부드럽고 촉촉하면서 겉은 바삭하게 잘 익었다.

고춧가루, 식초, 간장을 섞어서 만든 초간장에 살짝 찍어먹으니 간이 딱 맞으면서

육수로 반죽한 부침개가 심심하지 않게 감칠맛이 있고 쪽파는 달달하고 감자와 양파, 당근은 쫀득하면서 청양고추의 매운 맛이 칼칼하니 좋았다.

파전만 만들면 늘 맛있다 그러는 것 같은데 준비하기가 다소 번거로워서 그렇지 만들 때마다 맛있는 게 파전이라..

 

 

 

 

 

  • 테리 2015.11.21 09:16
    어제 쪽파를 1600원어치 사왔는데
    이걸 보니 파전이 먹고 싶은걸보니
    오징어랑 해물을 사러 나가야 할 판이예요!!!!!ㅋㅋ
  • 이윤정 2015.11.23 00:24

    저는 오늘 시장가서 파 한단 사와서 까고 파김치 만들었어요ㅎㅎㅎ
    요즘 또 시기가 시기다보니까 평소는 아무렇지 않던 김치병이 도져서 엄마나 시할머니부터
    식당하셨던 친구엄마, 시어머니, 아는 언니네 엄마, 언니의 친구엄마;; 저를 모르는 분께도 철판깔고 여쭤보고
    이야기도 듣고 쪽지도 받아서 레시피를 만들어서 맛보고 있는데 계량이 딱 없으니까 계량해가면서 시험해보고 있어요. 배우는 재미도 있고요ㅎㅎ
    파김치는 일단 만들었는데 다음으로는 뭘할까 싶어요ㅎㅎ

  • 테리 2015.11.24 21:35
    주변에 식당 하셨던 분이 그리도 많으세요??? 대박!!!!!
  • 이윤정_ 2015.11.24 21:52

    건너건너까지 동원해서 여쭤보느라 좀 많아보이죠^^:;; 엄마랑 시할머니 빼고 전현직으로 한식하신 어머님들이거든요ㅎㅎ

    특히 한 분은 메주 빚어 된장, 간장에 청국장, 고추장, 젓갈에 온갖 장아찌, 김치까지 정말 꼭 배우고 싶지만 좀 어려운 분이라ㅠㅠ
    당장 직접 여쭤볼 수 없는 분은 건너건너 여쭤봤는데 역시 어머님들 그렇듯이 정확한 계량은 없으셔서 적당히~~ 이러시더라고요ㅎㅎ


    그래서 뭐가 대충 어느정도 파악하고 두세가지 해보고 있어요.
    얻어먹어보니 기본 김치 외에 총각김치하고 열무김치, 물김치가 끝내줬었는데 제가 뭐 그대로 할 수도 없고ㅠㅠ
    레시피 받는다고 제가 그 솜씨 따라갈 수는 없지만 그래도 점점 김치가 편해지고 있어요ㅎㅎ

  • 테리 2015.11.25 01:55
    김치는 배우시려면 직접 가셔서 하실때 보셔야된다고 장담해요!!!!

    저도 아는 집 있음 무채 안 넣고 갈아넣어 양념 치덕치덕 바르는 감칠맛 작렬 잡젓 넣고 담그는 전라도 김장김치 꼭 배우고 싶은데, 전라도 집을 아는 곳이 없다는.ㅜㅜ 워낙 6개월 쯤 된 곰삭은 김치 맛을 좋아하는데 서울이나 이북식으로는 절대로 그 맛이 안나더라구요. 경상도식도 일전에 창원의 어느 김치를 먹어봤는데 짭잘한것이 으아~~맛나더라구요!!!!
    부산식은 어떨지 궁금해요~~
  • 뽁이 2015.11.21 17:11
    뜨아아아아아 ㅠㅠㅠㅠ 맛있겠어요오오오오 !!!!
    대박대박 ㅠㅠㅠ 이것을 제가 어제 밤에 보지 않은 것이
    정말 다행이고 다행이에요 ㅋㅋㅋㅋ
    윤정님 찌짐 좀 디빈다는거 저 알고는 있었지만 ㅠㅜ
    오늘은 특히 가혹 ? 한데요 ㅠㅠㅠ
    땡초 들어간 거 완전 제 스타일이고
    쪽파도 물론이고 저기에다가 계란 저렇게 부어서 ?
    만드는 스타일 너무 좋아요 ㅠㅠㅠ
  • 이윤정 2015.11.23 00:42
    뽁님의 취향을 저격할 수 있다니 영광입니다ㅎㅎㅎㅎ
    요즘 파가 맛있어서 찌짐도 좋고 오늘 만든 파김치도 맛있을거라 기대하고 있어요ㅎㅎ
    찌짐은 이제 디비기 귀찮고 조만간 또 사먹으러 가야겠어요ㅎㅎ

  1. 왕돈까스 만들기

    왕돈까스 만들기 돈까스가 별로 커보이지는 않는데 접시 지름이 35센치이고 돈까스 가로크기는 약 25센치였다. 1인분에 1개씩 튀겼다가 양이 생각보다 많아서 푸드파이터에 빙의해서 겨우 다 먹었다.. 사용한 재료는 1인분당 돼지고기 등심 200그램 소금, 후추, 밀가루 계란1개+우유1스푼 습식빵가루 넉...
    Date2015.12.08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16171
    Read More
  2. 비빔칼국수

    비빔칼국수 겨울이라도 비빔면이 땡기지 않는 건 아니라 비빔칼국수를 해먹었다. 점심에 나가서 비빔밀면을 먹고 싶은데 점심때 나갈 시간이 없어서 비빔칼국수라도.. 하는 심정이었다. 사용한 재료는 칼국수 약 3인분 고명 재료로 오이, 양배추, 당근, 계란지단 양념장으로 (계량스푼사용) 식초+설탕 4...
    Date2015.12.04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Views11706
    Read More
  3. 소고기무국, 끓이는법

    경상도식 소고기뭇국 - https://homecuisine.co.kr/hc10/86423 맑은 소고기뭇국 - https://homecuisine.co.kr/hc10/71007 소고기뭇국이 생각나는 겨울이라 한우양지를 주문해서 소고기뭇국을 끓였다. 맑은 국으로 끓인 다음 3등분해서 냉장해두었다가 데워먹을 때 취향에 따라 고운고춧가루를 넣고 적당...
    Date2015.12.03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19543
    Read More
  4. 핫바만들기, 어묵, 오뎅 만들기

    핫바만들기 핫바를 전에 만들고 마음에 별로 들지 않아서 올리지 않고 그냥 넘어갔었는데 이번에는 잘 되어서 올려본다. 사실 잘 되었다기보다는 밀가루 양을 여러 비율로 조절해보면서 몇 번 더 만들어보고 그 중 가장 나은 것을 올리는 것이 맞다. 여러번 만들고 튀겨서 고생을 좀 했다... 핫바는 무...
    Date2015.12.01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10432
    Read More
  5. 꽈리고추 소고기볶음

    꽈리고추 소고기볶음 꽈리고추찜을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꽈리고추에 손이 가지 않다가 이번에 갑자기 꽂혀서 농산물 시장에 가서 1키로를 샀다... 1키로에 6천원이었는데 1키로를 세어보니 200개쯤 됐다;; 시간을 들여서 고추를 손질해서 주재료와 함께 손질한 꽈리고추를 두세줌씩 듬뿍 볶으니 마음에...
    Date2015.11.30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15925
    Read More
  6. 진짬뽕 후기, 짬뽕라면 끓이기

    요즘 핫하다는 진짬뽕을 사왔다. 5+1이 아니면 안샀을텐데 5+1이라 둘이서 세 개씩ㅎㅎ 두 번 먹으면 괜찮겠다 싶었다. 라면 먹으려고 이것저것 하는 걸 별로 좋아하는 편은 아닌데 그래도 저녁이라고 집에 늘 있는 채소와 냉동실의 해물을 넣어 끓였다. 인스턴드 식품 후기를 홈페이지에 처음 올리는 ...
    Date2015.11.29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11010
    Read More
  7. 파김치, 김치양념

    파김치, 김치양념 양념은 언니네에 나눠주느라 많은 양을 만들었는데 4분의1 정도만 만들어서 파 1단으로 김치를 담고 남은 양념은 배추 등 채소를 간단하게 무쳐 먹으면 적당하다. (파 1단은 도매시장에서 파는 파 1단 기준) 김치양념 황태육수 3컵 찹쌀가루 6스푼 고춧가루 4컵 까나리액젓 1컵+1스푼 ...
    Date2015.11.28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10316
    Read More
  8. 닭도리탕

    닭도리탕 자주 올린 닭도리탕이라 전에 올린 것과 레시피도 같고 내용을 부분적으로 복사했다. 아직까지 랜섬웨어의 고통에서 헤어나오지 못해서 카테고리는 일상으로;; 약 3인분으로 닭도리탕용 닭고기 1키로 양념으로 (밥숟가락 사용) 고운고춧가루 소복하게 3숟가락 고추장 약간 소복하게 2숟가락 간...
    Date2015.11.28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7033
    Read More
  9. 생선까스, 타르타르 소스 만들기

    생선까스, 타르타르 소스 만들기 생선까스로 생선필렛 4조각 소금, 후추 밀가루 적당량 계란 2개 빵가루 넉넉히 튀김기름 약 1리터 타르타르소스로 양파 4분의1개 베이비피클(코니숑)3개 케이퍼 1스푼 레몬즙 1스푼 마요네즈 약 5스푼(+양조절) 소금, 후추 먼저 타르타르소스를 만들었다. 전날 미리 만...
    Date2015.11.23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16559
    Read More
  10. 해물파전 만들기, 레시피

    해물파전 부산에서 유명한 범일 빈대떡의 파전을 좋아하는데 그 파전과 거의 똑같은 점도로 하려니 미숫가루정도 타는 묽기로 반죽해야 적당했다. 여태 만든 파전 중에 반죽을 가장 묽게 했고, 좋아하는 그 파전처럼 4등분을 해야 되집기 편한 정도로 만들었다. 파전의 크기에 따라 약 2~3개 분량으로 ...
    Date2015.11.20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7301
    Read More
  11. 김치두루치기, 김치제육볶음

    김치두루치기, 김치제육볶음 가장 먼저 양념장. 늘 만드는 닭갈비 양념장이라 그대로 복사했다. 양념장에 사용한 재료는 그램 단위로 간장 85, 청주 15, 양파 70, 대파 30, 마늘 30, 생강 5 을 블렌더나 믹서로 갈고 여기에 고운 고춧가루 60, 설탕 70, 카레가루 10, 미원 2그램을 넣고 잘 섞었다. 참기...
    Date2015.11.19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7790
    Read More
  12. 배추김치, 막김치

    배추김치, 막김치 시댁이나 친정에서 주도하는 김장에는 늘 가족들 다 같이 일을 하지만 내 살림에 김장은 딱 한 번 밖에 해보지 않았다. 대신 그냥 막 무쳐 먹는 김치는 가끔 해먹는데 어쨌든 오랜만에 올리는 김치. 경상도에서 나고 자라서 김치를 약간 짜게 먹는데 이번에는 조금 덜 짜게 하려고 했...
    Date2015.11.18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15627
    Read More
  13. 소고기 산적 만드는법

    소고기 산적 보통 산적은 꼬치에 꿴 것을 이야기하고 우리집도 늘 세로로 잘라서 양념한 다음 꼬치에 꿰어서 구웠는데 내 취향으로는 통째로 구워서 잘라 먹는 것을 좋아해서 통째로 구웠다. 산적은 보통 제사나 차례를 지낼 때만 만드니까 늘 식은 것을 먹는 경우밖에는 없는데 이번에는 단지 먹기 위...
    Date2015.11.17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26865
    Read More
  14. 참치김치 순두부찌개

    참치김치 순두부찌개 바지락 순두부찌개를 분명 올린 적이 있는데 지금 보니까 아직도 블로그에 있다;; 다시 만들어서 새로 올려야겠다고 생각하며 간단하게 끓인 참치 김치 순두부 찌개. 멸치육수 약 1리터 김치 2줌 김치국물 약간 다진마늘 1스푼 참치 250그램 1캔 대파 1대 순두부 1봉투 육수는 멸치...
    Date2015.11.15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6151
    Read More
  15. 계란장조림 만드는법, 레시피

    검색해보니 돼지고기나 소고기 메추리알 등의 장조림은 몇 번 올렸었는데 계란장조림을 한 번도 안올려서 간단하게 포스팅(이라서 별 내용은 없다). 사용한 재료는 삶은 계란 10개 간장 100미리 미림 3스푼 설탕 3스푼 계란이 살짝 잠길 정도의 물이나 멸치육수 계란은 찬물에 넣고 끓기 시작하면 7분간...
    Date2015.11.09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12245
    Read More
  16. 닭두루치기

    닭두루치기 부산 몇몇 통닭집에서 닭두루치기를 파는데 국물이 바닥에 깔릴 정도로만 있거나 거의 없고 고추장이 없는 양념으로 닭도리탕보다 더 칼칼하다. 감자와 당면은 사리로 선택해서 넣는 곳도 있고 양파, 대파가 넉넉하게 들었는데 매콤한 닭찜이라고 볼 수 있다. 닭두루치기를 이렇게 만들기도 ...
    Date2015.11.06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7659
    Read More
  17. 김치국 만들기

    돼지고기 김치국 (김칫국이 맞지만 아래에는 그냥 김치국으로 표기했다.) 김치와 돼지고기, 두부를 넣어서 끓인거라 김치찌개와 비슷하지만 어쨌든 육수를 넉넉하게 잡고 시원하게 김치국을 끓였다. 사용한 재료는 약 4~6인분으로 멸치육수 약 1.5리터(+물 약간) 돼지고기 앞다리살 400그램 김치 약 8분...
    Date2015.11.02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9724
    Read More
  18. 등뼈찜 만들기, 만드는법, 레시피

    등뼈찜 만들기, 만드는법, 레시피 이번에 산 35센치(14인치) 접시에 어울리는 등뼈찜. 여태 등뼈찜을 만들면 한 번에 다 담을 그릇이 없어서 불편했는데 생각이상으로 큰 이 그릇에 등뼈찜이 딱 잘 어울렸다. 끓이면서 집안 공기도 훈훈해지고 등뼈가 저렴하니 식재료비에 비해서 결과물이 좋게 나오니 ...
    Date2015.10.29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14550
    Read More
  19. 낙지볶음, 낙지볶음양념 만드는법, 원조할매낙지

    낙지볶음, 낙지볶음양념 만드는법, 원조할매낙지 전에 살던 곳이 범천동이라 범일동 원조할매낙지 라는 낙지볶음집에 10여년 간 꽤 자주 다녔다. 지금도 근처에 가면 가끔 가서 먹는다. 그래서 소스에 맵게 볶은 낙지볶음이나 데친 낙지를 달달 볶은 낙지볶음도 좋아하지만 가장 좋아하는 건 밥상에서 ...
    Date2015.10.26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33722
    Read More
  20. 바지락 칼국수 만들기, 만드는법

    바지락 칼국수 만들기, 만드는법 그저께 올린 수제비에 사용하고 남은 반죽과 육수, 채소, 양념장을 사용해서 사용한 재료나 과정이 겹치는 부분이 많다. 감자수제비 - http://homecuisine.co.kr/index.php?mid=hc10&category=210&document_srl=28871 바지락이 들어가는 음식은 해감한 바지락을 미리 데...
    Date2015.10.24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Views890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