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비빔칼국수

   

   

0.JPG

 

 

겨울이라도 비빔면이 땡기지 않는 건 아니라 비빔칼국수를 해먹었다.

점심에 나가서 비빔밀면을 먹고 싶은데 점심때 나갈 시간이 없어서 비빔칼국수라도.. 하는 심정이었다.

 



사용한 재료는 

 

칼국수 약 3인분

 

고명 재료로

오이, 양배추, 당근, 계란지단

 

양념장으로 (계량스푼사용)

식초+설탕 4스푼
간장 1.5스푼
고운고춧가루 2스푼
고추장 1.5스푼
다진마늘 0.5스푼
사과 작은 것 반개 (약간 크면 4분의1개)
조청 약간 (간보고)

참기름

 

 

식초는 미리 설탕과 1컵씩 섞어서 설탕을 녹여두고 냉장고에 넣어서 사용하는데 그 중에 4스푼을 사용했다.

실초+설탕에 간장, 고운고춧가루, 고추장, 다진마늘을 넣고 사과를 블렌더에 갈아서 넣었다.

비빔양념장은 4인분정도 분량이라 칼국수면 3인분에 비비니 약간 남았다.


양념장은 전에 만든 비빔국수 양념장에서 양파만 빼서 조금 더 되직하게 만들었다.

육수나 물을 넣지는 않고 집에 아직도 많이 있는 사과로 국수에 비비기 좋은 묽기의 양념장을 만들고 하룻동안 숙성했다.

매콤하고 짭짤한 간이 맞는지 양념장을 먹어보니 약간 덜 달아서 조청을 아주 약간 넣고 국수에 비비기 직전에 참기름을 넣었다.

 

 

크기변환_DSC04132.JPG     크기변환_DSC04133.JPG




 

전분이 들어가서 약간 차지면서 매끈매끈한 느낌이 있는 칼국수인데

칼국수 반죽은 약 3인분으로

 

찰밀가루 270그램

강력분 30그램

감자전분 75그램

소금은 1%로 약 3.5그램

물은 45%로 170그램

 

을 반죽해서 냉장숙성했다.

반죽기로 반죽을 했는데 손반죽이 힘들 때는 물을 최대 190미리까지 늘여서 만들어도 괜찮다.



 

 

크기변환_DSC05088.JPG     크기변환_DSC05089.JPG

 

크기변환_DSC05151.JPG     크기변환_DSC05155.JPG

 

 

 

약 15분간 반죽해서 랩에 싸서 냉장고에 하루이상 숙성하면 적당하다. 냉장실에 최대 5일까지 보관해봤다.

 



면은 밀어서 썰지 않고 제면기에 뽑았는데 밀가루를 묻혀가며 밀어서 칼로 썰어서 해도 똑같다.



크기변환_DSC05735.JPG     크기변환_DSC05736.JPG





비빔칼국수에 넣을 양배추는 채칼로 곱게 썰고 취청오이는 소금으로 문질러 씻은 다음 반으로 갈라 심을 썰어내고 어슷하게 썰고 당근은 얇게 채썰었다.

계란지단도 부쳐서 얇게 썰고 조미김을 부순 것도 준비했다.

 

 


크기변환_DSC05761.JPG     크기변환_DSC05762.JPG





칼국수는 끓는 물에 넣고 5~6분간 삶았다. 냄비안에서 대류하며 면이 정리가 되면 거의 다 익은 것..

겉면의 전분이 씻기도록 찬물에 바락바락 헹구고 생수에 한 번 더 헹궈서 물기를 뺐다. 

요즘 날씨가 추워서 물이 차니까 면 씻기는 좋았다.



크기변환_DSC05764.JPG     크기변환_DSC05763.JPG


크기변환_DSC05767.JPG     크기변환_DSC05768.JPG


 


면에 물기를 바짝 털고 비빔양념장과 채소, 김을 넣고 참기름을 살짝 넣어서 면을 비빈 다음 계란지단을 올려서 완성.

 

 

 

 크기변환_DSC05771.JPG

 

 

면뽑고 양념장 만들고 하다보니 그냥 비빔밀면 사먹을 걸 하는 생각이 잠깐 들기도 했지만 점심에 시원하게 비빔칼국수 먹는 맛은 괜찮았다.

특별한 양념장은 아니지만 새콤달콤매콤한 비빔장에 쫄깃쫄깃한 칼국수면이 겨울에도 좋았다.

 

 



  • 해마니 2015.12.05 04:14
    칼국수면으로 비빔국수하는건 첨보네요 벌써 새콤달콤함ㅋㅋ 저는 비빔면이랑 간장양념한고기 먹는거 너무너무너무 좋아해요 진짜 베스트!!!
  • 이윤정 2015.12.06 00:28
    고기에 비빔면이면 세상에 어떤 밥상이 부럽겠습니까ㅎㅎㅎㅎ
    저는 비빔칼국수 많이 사먹었는데 제가 만든 것보다 좀 달달하게 해서 김가루 듬뿍 넣은 것이 좋더라고요ㅎㅎ
  • 테리 2015.12.05 10:01
    오~~~칼국수면으로 비빔국수를 해도 맛있군요~
    저 대학다닐때 학교앞 유명 분식집에서 비빔국수는 꼭 납작하고 3밀리 폭 쯤 되는 건조 칼국수면으로 해줬는데.
    요새는다른데는 다 소면 아니면 중면으로만 해주더라구요?  생칼국수면으로 된 것도 식감이 차갑고 쫄깃하면서 씹는맛도 더 강조되고 맛날것 같아요!!!!!  흐미~~~~~
  • 이윤정 2015.12.06 00:29
    건조칼국수면으로 비빔국수라니 이건 또 새로운 느낌이네요ㅎㅎ 집에 국수며 파스타등 면이 넘쳐나는데 건조칼국수면 또 사러다니게 생겼어요ㅎㅎㅎ
  • 테리 2015.12.06 01:10
    ㅋㅋㅋ 그게 80년대 풍이었던것 같아요.
    가미분식 이라는 그때도 오래되고 유명한 집인데,지금은 메뉴가 넘 많아졌어요. 그 느낌이 좀 안 나는듯.
  • 뽁이 2015.12.05 10:25
    오옹 암요암요 아무리추워도 ㅋㅋ
    또 비빌건 비벼줘야죠 >_<
    전 지난번에 양념장을 너무 적게 잡았더니
    먹을떄 좀 퍽퍽해서 별로더라고요 ㅠ
    담엔 저도 넉넉하게 해서 먹어야징 히히
    아 맛있겠다 !!!
  • 이윤정 2015.12.06 00:30
    양념장이 남으면 상관없는데 모자라면 더 만들기도 애매하고 그렇죠ㅎㅎ
    그래서 전 남아서 버린 적도 있고 하긴 한데ㅠㅠ 그래도 좀 넉넉하게 만드는 게 음식할 땐 편한 것 같아요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국 찌개 해물 순두부찌개 만드는법, 끓이는법 해물 순두부찌개 올리브오일 약간 바지락 약 200그램 새우 약 10마리 주꾸미 2마리 순두부 1봉투 바지락육수+황태육수 약 300미리 양파 반개 대파 반대 청양고추 ... 6 file 이윤정 2016.03.01 20776
363 국 찌개 소고기뭇국, 소고기무국 소고기뭇국. 평소 올린 것과 비슷한데 이번에는 사리를 추가했다. 사리는 많이 넣으면 국물을 흡수하니까 세 젓가락 호로록 먹을 정도로만 준비하는 것이 좋다. ... 6 file 이윤정 2016.02.28 8062
362 국 찌개 돼지고기 김치찌개 + 라면사리, 김치죽 늘 만드는 김치찌개. 김치찌개라는 것이 결국에는 김치+고기+육수+시간이라 김치는 푹 익어서 부들부들하고 목살은 차지게 쫀득쫀득하고 국물도 얼큰하니 맛있었... 2 file 이윤정 2016.02.24 12597
361 국 찌개 뚝배기 계란찜 만드는법 뚝배기 계란찜 메인반찬을 만들면서 국 대신 간단하게 만들어 먹고 있는 뚝배기 계란찜. 뚝배기 계란찜을 약간 봉긋하게 만들려면 뚝배기 양보다 더 많은 양의 육... 4 file 이윤정 2016.02.23 12268
360 김치, 장아찌, 무침 무채김치 무채김치 무생채와 비슷하지만 생채는 아니고 무채김치. 김치에 관한 이야기는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30108&amp;mid=hc10 막김치 하단에 ... 8 file 이윤정 2016.02.18 7235
359 일상 김구이, 맛김 어릴 때는 엄마께서 김에 참기름을 발라 소금을 뿌려서 재어두신 김구이를 자주 먹었는데 나이먹고는 가끔만 만든다. 김가루 날리면 치우기가 힘들어서...ㅠㅠ 남... 2 file 이윤정 2016.02.18 28308
358 일상 김밥 얇게 슬라이스된 샌드위치햄을 사서 김밥을 만들었다. 대충 만든거라 카테고리는 일상으로.. 같은 햄으로 몬테크리스토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 4 file 이윤정 2016.02.14 6051
357 반찬 봄동전 봄동전 데친 봄동을 구워서 만드는 봄동전. 배추전과 비슷한데 잎이 더 얇아서 식감이 더 가볍다. 사용한 재료는 봄동 2포기 부침가루 1.5컵 황태육수 1.5컵 밥새... 4 file 이윤정 2016.02.04 6080
356 한그릇, 면 떡국, 떡만둣국 떡국, 떡만둣국 어릴 때부터 떡국을 좋아해서 떡도 늘 떨어지지 않게 냉동실에 있고 당연히 설날 말고도 평소에 떡국을 자주 먹는 편이다. 대충 해먹어서 자주 올... 7 file 이윤정 2016.02.03 7307
355 일상 김치치즈볶음밥, 햄김치볶음밥 김치치즈볶음밥, 햄김치볶음밥 (별 내용 없음) 볶음밥은 수분이 잘 날아가는 큰 팬에 하는 것이 좋아서 큰 구이팬을 꺼내서 쓰고 있다. 구이팬은 턱이 낮아서 볶... 8 file 이윤정 2016.01.29 6776
354 반찬 숙주나물 숙주나물 나물 중에 좋아하는 걸 고르자면 생각할 것도 없이 무조건 숙주나물을 고르는 정도로 숙주나물을 좋아한다. 숙주나물을 다른 반찬과 함께 올린 적은 있... 11 file 이윤정 2016.01.27 7502
353 일상 닭다리튀김, 후라이드치킨, 치킨 튀김옷 닭튀김 닭튀김 반죽의 최적의 조합은 당연히 아니고 오늘 만든 닭튀김으로 중간보고. 여러가지 전분이나 밀가루의 배합, 베이킹파우더나 베이킹소다의 사용 등 여... 6 file 이윤정 2016.01.26 76364
352 한접시, 일품 찜닭 찜닭 건고추와 다진생강으로 맛을 내고 노두유로 색을 진하게 해서 늘 만들듯이 만들었다. 닭을 한 번 데치는 것이 약간 번거롭지만 양념과 닭고기를 냄비에 넣어... 6 file 이윤정 2016.01.25 15347
351 국 찌개 계란국, 명란젓 주먹밥, 유부초밥 계란국, 명란젓 주먹밥, 유부초밥 명란젓 주먹밥을 만들어서 계란국과 함께 먹었다. 먼저 계란국. 사용한 재료는 황태육수 4컵 국간장 1스푼 소금 약간 (간보고) ... 4 file 이윤정 2016.01.24 9411
350 김치, 장아찌, 무침 봄동김치, 뒷고기수육 봄동김치 봄동의 질감이나 향이 좋은 봄동김치. 배추김치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30108&amp;mid=hc10 와 과정은 거의 비슷하다. 보통 김치... 10 file 이윤정 2016.01.21 8555
349 일상 뒷고기구이, 뒷고기김치찌개 뒷고기구이, 뒷고기김치찌개 대학 다닐 때 친구 어머님께서 학교 근처 뒷고기가게를 하셔서 학교 동아리 회식부터 소소한 술자리까지 늘 뒷고기집에 가곤 했었다.... 14 file 이윤정 2016.01.20 8914
348 한접시, 일품 떡볶이, 야채튀김, 계란튀김, 당면만두 떡볶이, 야채튀김, 계란튀김, 당면만두 평소 만드는 떡볶이에 이번에는 야채튀김과 계란튀김을 곁들이고 당면만두를 구워서 추가했다. 튀김이나 만두를 곁들이는 ... 9 file 이윤정 2016.01.19 8234
347 한그릇, 면 야채튀김, 튀김덮밥 야채튀김, 튀김덮밥 텐동을 하려면 새우튀김 정도는 같이 하면 더 좋기는 한데 야채튀김으로도 충분히 정신이 없어서 야채튀김만 밥에 올리고 쯔유를 뿌려서 텐동... 5 file 이윤정 2016.01.18 6951
346 반찬 아스파라거스 베이컨볶음 아스파라거스 베이컨볶음 보통 아스파라거스에 베이컨을 말아서 만드는 경우가 많은데 마는 것도 귀찮고 아스파라거스가 노릇노릇한 것도 좋아해서 그냥 같이 볶... 14 file 이윤정 2016.01.17 7269
345 반찬 가자미전, 생선전 만들기 (별내용없음주의) 생선전 중에 가장 일반적인 것이 동태전이지만 흰살생선은 전으로 부치면 다 맛있고 그 중에서도 달고기와 가자미를 좋아한다. 이렇게 생긴 패... 10 file 이윤정 2016.01.16 9727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