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감자수제비

 

 

크기변환_DSC05161.JPG

 

 

날이 추워지니 뜨끈한 국물도 땡기고 해서 감자수제비를 만들었다.

 

 

 

수제비반죽은 약 4인분으로

 

찰밀가루 360그램

강력분 40그램

감자전분 100그램

소금은 1%로 5그램

물은 45%로 225그램

 

을 사용했다.

실내 습도에 따라 반죽상태가 약간 달라지는데 적정습도인 18~20℃에서는 60%에서는 그대로 해도 좋지만

습도가 낮거나 높을 때에는 때에 따라 10미리정도 가감하는 것이 좋다.

 

 

 

사용한 재료는

 

위 반죽의 반(2인분)

 

멸치육수 약 1.2리터

감자 1개

국간장 약 2스푼

애호박 3분의1개

당근 약간

마늘 3개

대파 1대

 

양념장으로

홍고추 1개

청양고추 1개

간장 1스푼

고춧가루 1스푼

참기름, 깨, 쪽파

 

 

 

 

 

수제비 반죽은 반죽기와 제면기를 사용했는데 손으로 반죽할 때는 위 양의 반만 하는 것이 손목에 무리가 덜하다.

반죽기가 커서 2인분은 반죽이 되지 않아서 4인분을 반죽했고 제빵기 등을 사용할 때도 4인분이 더 적합하다.

 

 
 

크기변환_DSC05086.JPG     크기변환_DSC05087.JPG


크기변환_DSC05088.JPG     크기변환_DSC05089.JPG

 

 

 

약 15분간 반죽해서 랩에 싸서 냉장고에 하루이상 숙성하면 적당하다. 냉장실에 최대 5일까지 보관해봤다.

 

 

 

 

 

 

멸치 대신 청어새끼, 황태머리, 다시마, 표고버섯, 대파, 무를 넉넉한 물에 푹 우려냈다. 

 
       

멸치는 내장을 떼고 머리와 몸통을 넉넉하게 사용하고 냉동해 둔 황태, 표고버섯, 두터운 다시마도 각각 꺼냈다.

무는 쌀 때 사두고 적당히 썰어서 냉동한 것을 하나씩 꺼내고 대파도 육수용으로 따로 냉동해 둔 것을 꺼냈다.

육수재료는 냉장보관해도 되지만 멸치나 황태는 냉동보관이 적당하고 채소는 언제든지 꺼내 쓰기 쉽게 늘 냉동보관하고 있다.

 

여기에 정수한 물을 2.5리터이상 넉넉하게 붓고 물이 끓기 시작하면 중불로 줄여서 25~30분정도 푹 우려내고

그대로 완전히 식혀서 체에 거르고 윗물만 따라내서 멸치가루가 남지 않도록 육수를 준비하고 냉장고에 넣어두었다.

이번에도 멸치육수는 시간 있을 때 미리 우려 놓고 뭘 할까 하다가 수제비를 만들었다.

 

 

크기변환_DSC04252.JPG     크기변환_DSC03923.JPG


크기변환_DSC04253.JPG     크기변환_DSC03139.JPG

 

 

육수 재료를 아끼지 말고 넣어서 육수를 우려낸 다음 원하는 것보다 진하면 국수에 붓기 전에 생수를 조금 더 넣으면 되니까 밋밋하기보단 진하게 우려내는 것이 좋다.

 

 

 

 

 

 

위 반죽을 다다음날 반으로 가르니 뽀송뽀송하고 부드러웠다. 그냥 베어 먹고 싶은 느낌.

 


 

크기변환_DSC05151.JPG     크기변환_DSC05155.JPG


 

 

 

감자와 애호박, 당근은 적당히 얇게 썰고 대파는 어슷하게 썰고 마늘은 국물이 탁하지 않게 평소보다 조금 굵게 빻았다.

 

멸치육수에 감자와 국간장을 넣고 감자가 80%정도 익으면 마늘, 애호박, 당근을 넣었다.

모자란 간은 소금으로 맞추고 최종적으로는 양념장을 입맛에 맞게 넣어서 간을 맞췄다.

 

 

크기변환_DSC05152.JPG     크기변환_DSC05153.JPG


크기변환_DSC05154.JPG     크기변환_DSC05158.JPG

 

 

 

감자가 익는 동안 고추, 쪽파, 간장, 고춧가루, 참기름, 깨로 양념장도 만들어두었다.

 

 

      

 

 

 

수제비는 밀대나 제면기로 길게 민 다음 뜯으면 빨리 뜯어 넣을 수 있으니까 골고루 잘 익어서 좋다.

둘이서 냄비 앞에 서서는 마구 뜯어서 국물에 넣었다.

 
  

크기변환_DSC05156.JPG     크기변환_DSC05157.JPG


 

수제비를 뜯어 넣고 서로 달라붙지 않게 이따금씩 저어가며 수제비를 익히는 동안 대파를 넣었다. 4~5분정도 팔팔 끓여서 수제비가 다 떠오르면 완성.

마지막으로 수제비가 다 익었는지 하나 먹어보고 국물도 맛을 보니 간이 아주 약간 싱겁길래 양념장으로 간을 맞추면 적당하겠다 싶었다.

 
 

크기변환_DSC05159.JPG     크기변환_DSC05751.JPG


 

그릇에 담아 김가루와 양념장을 적당히 올렸다.

 

 

크기변환_DSC05161.JPG

 

 

 

 

크기변환_DSC05165.JPG


 

부들부들하고 쫀쫀한 수제비에 칼칼하면서 간이 맞는 멸치육수가 시원하니 좋았다.

남은 반죽으로는 내일 칼국수를 해야겠다.

 

 

 

 

 

  • 뽁이 2015.10.21 10:57
    ㅋㅋㅋㅋㅋㅋ 아 맞아요
    수제비 끓일때는 동시에 익어야하니까
    물 끓고 나면 막막막 빨리 뜯어넣어야함 ㅋㅋㅋ
    저도 항상 동생이랑 같이 막 뜯어요 ㅋㅋㅋ

    근데 저는 밀가루 덩어리 ? 를 좋아해서 그런가
    이상하게 수제비에 밀가루가 두툼한게 좋더라고요 ㅋㅋㅋ

    육수 진 - 하게 내셨으니
    칼국수 당연히 드셔야죠 !
  • 이윤정 2015.10.22 00:30
    역시 어느집이나 다 똑같나봐요ㅎㅎㅎㅎ
    막 빨리 우다다다 뜯어 넣고 나면 뿌듯하고 재밌고 그래요^^
    저는 수제비 중간에는 약간 쫀득하면서 가장자리는 얇고 부들부들한 게 그렇게 좋더라고요ㅎㅎㅎ
  • 테리 2015.10.22 20:51
    저도 담엔 저렇게 할래요!!!! 얇게 뜯기 정말 힘든데!
    제가 제일 좋아하는 멸치수제비!!!!
  • 이윤정 2015.10.23 00:07
    어지간히 밀어 놓지 않으면 수제비 익는 속도를 뜯는 속도가 절대 못따라가더라고요ㅎㅎㅎ
    오늘 칼국수 먹었는데 수제비가 더 맛있었어요!
  • 나는외로움 2016.06.08 02:47

    육수부터 해서 완존 큰손이시네요 ㅎ 

    완전 내스타일 

     

    음식솜씨가 숨은고수정도 되실듯 합니다 ㅎ

    오늘은 늦어서 요기까지만 댓글을 ㅋ

  • 이윤정 2016.06.08 23:51
    제가 손이 아주 약간만ㅎㅎ 큰 편입니다ㅎㅎ 고수라니 과찬 감사해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한그릇, 면 감자수제비 감자수제비 날이 추워지니 뜨끈한 국물도 땡기고 해서 감자수제비를 만들었다. 수제비반죽은 약 4인분으로 찰밀가루 360그램 강력분 40그램 감자전분 100그램 소... 6 file 이윤정 2015.10.20 11115
303 밥류 갈비살 덮밥, 갈비구이 덮밥 구워먹기 좋은 갈빗살을 양념하고 굽고 남은 양념은 졸여서 곁들이는 덮밥을 만들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질기지 않고 딱 좋게 구워먹기 적당한, 질 좋은 갈빗살... 8 file 이윤정 2015.10.14 10821
302 한접시, 일품 김치전 만들기 요즘 이유를 모르겠는데 김치두루치기, 김치찜, 김치국, 김치찌개, 김치전을 자꾸 해먹고 있다.. 그것도 각각 최소 한 번에서 최대 서너번씩 하고 있는데 지금 생... 4 file 이윤정 2015.10.09 10770
301 김치, 장아찌, 무침 쌈무만들기, 만드는법 쌈무 쌈무는 치킨무와 완전히 같은 재료로 무를 얇게 써는 것만 다르다. 치킨무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26681&mid=hc10 물없이 설탕... file 이윤정 2015.10.08 12985
300 국 찌개 우거지 김치국 우거지 김치국 평소에 김치는 찌개나 찜으로 진하게 먹었는데 오랜만에 얼큰한 김치국물이 땡겨서 돼지고기와 육수, 김치, 우거지로 우거지 김치국을 끓였다. 사... 9 file 이윤정 2015.10.05 5768
299 고기 등갈비 김치찜 등갈비 김치찜 등갈비를 2키로 주문했는데 통으로 올 줄 알았더니 한대씩 썰어서 배송받았다. 폭립을 만들려고 주문한 건데 김빠져서 그냥 냅다 김치찜. 등갈비가... 6 file 이윤정 2015.10.04 7745
298 반찬 소세지 야채볶음 소세지 야채볶음 소세지 야채볶음은 블로그 때 일상포스팅으로 대충대충 먹는 식사사진과 함께 올린 것 말고는 따로 올린 것이 없고 무려 2012년 포스팅이 가장 ... 5 file 이윤정 2015.10.04 7892
297 한그릇, 면 라볶이, 레시피, 만들기 라볶이 소스가 꾸덕꾸덕한 떡볶이를 자주 만들었고 올렸는데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24086&mid=hc10 보통은 떡볶이가 남으면 라면사리... 4 file 이윤정 2015.10.01 10749
296 고기 오리 소금구이 오리 소금구이 준비하기도 간단하고 먹고 나면 늘 만족도도 높아서 1달에 1번은 꼬박꼬박 먹고 있는 오리소금구이. 이마트트레이더스에서 1.4키로 오리슬라이스를... 6 file 이윤정 2015.10.01 5044
295 한접시, 일품 잡채, 만드는법, 레시피 잡채 어지간히도 여러번 올린 잡채. 늘 만들듯이 만들고 있는데 추석 전이라 추석느낌으로 올려본다. 분량은 둘이서 반찬으로 서너끼에 나눠먹을 정도였다. 시금... 7 file 이윤정 2015.09.25 10641
294 고기 LA갈비 갈비찜, 갈비찜 만드는법, 레시피 LA갈비 갈비찜 이전에 갈비살로 만들었던 갈비찜과 거의 똑같아서 내용도 비슷하다. 전에는 같은 양념분량에 갈빗살을 1.5키로로 만들었는데 이번에는 뼈를 버릴 ... 4 file 이윤정 2015.09.24 24914
293 한접시, 일품 가지새우냉채, 양장피 가지냉채 가지새우냉채 가지와 새우, 오이, 계란지단에 마늘간장소스로 만드는 가지새우냉채. 가지 굽는 것이 약간 귀찮긴 해도 달달하니 좋고 전체적인 조합이 마음에 들... 2 file 이윤정 2015.09.22 6868
292 한그릇, 면 비빔국수, 양념장 만들기 비빔국수 9월 중순이라 선선한데도 계절이 더 바뀌기 전에 비빔국수나 먹을까 싶었다. 양념장은 사과와 양파를 넉넉하게 갈아서 넣고 이번에는 국수를 건면이 아... 4 file 이윤정 2015.09.18 24432
291 고기 파불고기, 만드는법, 레시피 파불고기 보통 고깃집에서 먹는 파불고기는 돼지불고기를 미리 초벌로 연탄불 등에 익혀서 파를 듬뿍 얹어서 한 번 더 익혀먹는데 집이니까 연탄은 패스하고 대신... 8 file 이윤정 2015.09.15 13090
290 국 찌개 시래기 된장국, 우거지 된장국, 시래기국 시락국 만들기 레시피 배추의 푸른 겉잎을 말린 것이 우거지이고 무청을 말린 것이 시래기이지만 우리집에서는 배추우거지로 끓인 국을 늘 시래기국(시래깃국이지만..)이라고 불렀다. ... 6 file 이윤정 2015.09.14 26618
289 전골 탕 감자탕, 만드는법, 레시피, 재료 감자탕, 만드는법, 레시피, 재료 덥다고 아무리 이야기해도 여름은 때가 되면 끝나고 춥다고 아무리 이갸기 해도 때가 되면 겨울이 끝나더니 이번에도 역시 더위... 10 file 이윤정 2015.09.12 17699
288 반찬 대파 치즈 계란말이 대파 치즈 계란말이 계란말이는 늘 일상반찬을 모아놓은 게시글에 함께 올리곤 해서 따로 올린 적이 무려 2012년 일이었다. 그만큼 딱히 따로 올릴 내용이 없기 ... 4 file 이윤정 2015.09.10 9191
287 한접시, 일품 떡볶이 최근 버전 - https://homecuisine.co.kr/hc10/86247 떡볶이 소스는 고춧가루를 오랫동안 끓이면 나오는 성분과 고추장의 곡물에서 나오는 전분, 떡의 겉면에 있는... 7 file 이윤정 2015.09.08 8710
286 고기 콩나물 불고기, 콩불, 제육볶음 콩나물 불고기, 콩불, 제육볶음 콩나물은 데쳐서 따로 볶고 제육볶음은 미리 만들어 둔 닭갈비양념과 고추장으로 양념해서 따로 볶았다. 최대한 수분이 생기지 않... 6 file 이윤정 2015.09.07 8413
285 일상 볼로네즈, 닭갈비 자주 올린 음식들이라 따로 올릴 것도 없고 일상 카테고리로 묶었다. (부대찌개와 스키야키도 같이 올렸었는데 새로 올린 글로 이동했다.) 라구소스 소고기 다짐... 4 file 이윤정 2015.09.05 7698
Board Pagination Prev 1 ... 41 42 43 44 45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