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감자수제비

 

 

크기변환_DSC05161.JPG

 

 

날이 추워지니 뜨끈한 국물도 땡기고 해서 감자수제비를 만들었다.

 

 

 

수제비반죽은 약 4인분으로

 

찰밀가루 360그램

강력분 40그램

감자전분 100그램

소금은 1%로 5그램

물은 45%로 225그램

 

을 사용했다.

실내 습도에 따라 반죽상태가 약간 달라지는데 적정습도인 18~20℃에서는 60%에서는 그대로 해도 좋지만

습도가 낮거나 높을 때에는 때에 따라 10미리정도 가감하는 것이 좋다.

 

 

 

사용한 재료는

 

위 반죽의 반(2인분)

 

멸치육수 약 1.2리터

감자 1개

국간장 약 2스푼

애호박 3분의1개

당근 약간

마늘 3개

대파 1대

 

양념장으로

홍고추 1개

청양고추 1개

간장 1스푼

고춧가루 1스푼

참기름, 깨, 쪽파

 

 

 

 

 

수제비 반죽은 반죽기와 제면기를 사용했는데 손으로 반죽할 때는 위 양의 반만 하는 것이 손목에 무리가 덜하다.

반죽기가 커서 2인분은 반죽이 되지 않아서 4인분을 반죽했고 제빵기 등을 사용할 때도 4인분이 더 적합하다.

 

 
 

크기변환_DSC05086.JPG     크기변환_DSC05087.JPG


크기변환_DSC05088.JPG     크기변환_DSC05089.JPG

 

 

 

약 15분간 반죽해서 랩에 싸서 냉장고에 하루이상 숙성하면 적당하다. 냉장실에 최대 5일까지 보관해봤다.

 

 

 

 

 

 

멸치 대신 청어새끼, 황태머리, 다시마, 표고버섯, 대파, 무를 넉넉한 물에 푹 우려냈다. 

 
       

멸치는 내장을 떼고 머리와 몸통을 넉넉하게 사용하고 냉동해 둔 황태, 표고버섯, 두터운 다시마도 각각 꺼냈다.

무는 쌀 때 사두고 적당히 썰어서 냉동한 것을 하나씩 꺼내고 대파도 육수용으로 따로 냉동해 둔 것을 꺼냈다.

육수재료는 냉장보관해도 되지만 멸치나 황태는 냉동보관이 적당하고 채소는 언제든지 꺼내 쓰기 쉽게 늘 냉동보관하고 있다.

 

여기에 정수한 물을 2.5리터이상 넉넉하게 붓고 물이 끓기 시작하면 중불로 줄여서 25~30분정도 푹 우려내고

그대로 완전히 식혀서 체에 거르고 윗물만 따라내서 멸치가루가 남지 않도록 육수를 준비하고 냉장고에 넣어두었다.

이번에도 멸치육수는 시간 있을 때 미리 우려 놓고 뭘 할까 하다가 수제비를 만들었다.

 

 

크기변환_DSC04252.JPG     크기변환_DSC03923.JPG


크기변환_DSC04253.JPG     크기변환_DSC03139.JPG

 

 

육수 재료를 아끼지 말고 넣어서 육수를 우려낸 다음 원하는 것보다 진하면 국수에 붓기 전에 생수를 조금 더 넣으면 되니까 밋밋하기보단 진하게 우려내는 것이 좋다.

 

 

 

 

 

 

위 반죽을 다다음날 반으로 가르니 뽀송뽀송하고 부드러웠다. 그냥 베어 먹고 싶은 느낌.

 


 

크기변환_DSC05151.JPG     크기변환_DSC05155.JPG


 

 

 

감자와 애호박, 당근은 적당히 얇게 썰고 대파는 어슷하게 썰고 마늘은 국물이 탁하지 않게 평소보다 조금 굵게 빻았다.

 

멸치육수에 감자와 국간장을 넣고 감자가 80%정도 익으면 마늘, 애호박, 당근을 넣었다.

모자란 간은 소금으로 맞추고 최종적으로는 양념장을 입맛에 맞게 넣어서 간을 맞췄다.

 

 

크기변환_DSC05152.JPG     크기변환_DSC05153.JPG


크기변환_DSC05154.JPG     크기변환_DSC05158.JPG

 

 

 

감자가 익는 동안 고추, 쪽파, 간장, 고춧가루, 참기름, 깨로 양념장도 만들어두었다.

 

 

      

 

 

 

수제비는 밀대나 제면기로 길게 민 다음 뜯으면 빨리 뜯어 넣을 수 있으니까 골고루 잘 익어서 좋다.

둘이서 냄비 앞에 서서는 마구 뜯어서 국물에 넣었다.

 
  

크기변환_DSC05156.JPG     크기변환_DSC05157.JPG


 

수제비를 뜯어 넣고 서로 달라붙지 않게 이따금씩 저어가며 수제비를 익히는 동안 대파를 넣었다. 4~5분정도 팔팔 끓여서 수제비가 다 떠오르면 완성.

마지막으로 수제비가 다 익었는지 하나 먹어보고 국물도 맛을 보니 간이 아주 약간 싱겁길래 양념장으로 간을 맞추면 적당하겠다 싶었다.

 
 

크기변환_DSC05159.JPG     크기변환_DSC05751.JPG


 

그릇에 담아 김가루와 양념장을 적당히 올렸다.

 

 

크기변환_DSC05161.JPG

 

 

 

 

크기변환_DSC05165.JPG


 

부들부들하고 쫀쫀한 수제비에 칼칼하면서 간이 맞는 멸치육수가 시원하니 좋았다.

남은 반죽으로는 내일 칼국수를 해야겠다.

 

 

 

 

 

  • 뽁이 2015.10.21 10:57
    ㅋㅋㅋㅋㅋㅋ 아 맞아요
    수제비 끓일때는 동시에 익어야하니까
    물 끓고 나면 막막막 빨리 뜯어넣어야함 ㅋㅋㅋ
    저도 항상 동생이랑 같이 막 뜯어요 ㅋㅋㅋ

    근데 저는 밀가루 덩어리 ? 를 좋아해서 그런가
    이상하게 수제비에 밀가루가 두툼한게 좋더라고요 ㅋㅋㅋ

    육수 진 - 하게 내셨으니
    칼국수 당연히 드셔야죠 !
  • 이윤정 2015.10.22 00:30
    역시 어느집이나 다 똑같나봐요ㅎㅎㅎㅎ
    막 빨리 우다다다 뜯어 넣고 나면 뿌듯하고 재밌고 그래요^^
    저는 수제비 중간에는 약간 쫀득하면서 가장자리는 얇고 부들부들한 게 그렇게 좋더라고요ㅎㅎㅎ
  • 테리 2015.10.22 20:51
    저도 담엔 저렇게 할래요!!!! 얇게 뜯기 정말 힘든데!
    제가 제일 좋아하는 멸치수제비!!!!
  • 이윤정 2015.10.23 00:07
    어지간히 밀어 놓지 않으면 수제비 익는 속도를 뜯는 속도가 절대 못따라가더라고요ㅎㅎㅎ
    오늘 칼국수 먹었는데 수제비가 더 맛있었어요!
  • 나는외로움 2016.06.08 02:47

    육수부터 해서 완존 큰손이시네요 ㅎ 

    완전 내스타일 

     

    음식솜씨가 숨은고수정도 되실듯 합니다 ㅎ

    오늘은 늦어서 요기까지만 댓글을 ㅋ

  • 이윤정 2016.06.08 23:51
    제가 손이 아주 약간만ㅎㅎ 큰 편입니다ㅎㅎ 고수라니 과찬 감사해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 한그릇, 면 굴수제비, 수제비 만들기 보통 만드는 감자수제비에 굴만 더 넣어서 굴수제비. 굴을 먹는 계절이 거의 끝물인데 이번 겨울에는 굴을 별로 안샀다. 그래도 수제비나 짬뽕 등에 넣으려고 소... 2 file 이윤정 2016.03.22 6656
23 한그릇, 면 떡국, 떡만둣국 떡국, 떡만둣국 어릴 때부터 떡국을 좋아해서 떡도 늘 떨어지지 않게 냉동실에 있고 당연히 설날 말고도 평소에 떡국을 자주 먹는 편이다. 대충 해먹어서 자주 올... 7 file 이윤정 2016.02.03 7317
22 한그릇, 면 야채튀김, 튀김덮밥 야채튀김, 튀김덮밥 텐동을 하려면 새우튀김 정도는 같이 하면 더 좋기는 한데 야채튀김으로도 충분히 정신이 없어서 야채튀김만 밥에 올리고 쯔유를 뿌려서 텐동... 5 file 이윤정 2016.01.18 6963
21 한그릇, 면 비빔칼국수 비빔칼국수 겨울이라도 비빔면이 땡기지 않는 건 아니라 비빔칼국수를 해먹었다. 점심에 나가서 비빔밀면을 먹고 싶은데 점심때 나갈 시간이 없어서 비빔칼국수라... 7 file 이윤정 2015.12.04 11746
20 한그릇, 면 바지락 칼국수 만들기, 만드는법 바지락 칼국수 만들기, 만드는법 그저께 올린 수제비에 사용하고 남은 반죽과 육수, 채소, 양념장을 사용해서 사용한 재료나 과정이 겹치는 부분이 많다. 감자수... 4 file 이윤정 2015.10.24 8951
» 한그릇, 면 감자수제비 감자수제비 날이 추워지니 뜨끈한 국물도 땡기고 해서 감자수제비를 만들었다. 수제비반죽은 약 4인분으로 찰밀가루 360그램 강력분 40그램 감자전분 100그램 소... 6 file 이윤정 2015.10.20 11147
18 한그릇, 면 라볶이, 레시피, 만들기 라볶이 소스가 꾸덕꾸덕한 떡볶이를 자주 만들었고 올렸는데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24086&mid=hc10 보통은 떡볶이가 남으면 라면사리... 4 file 이윤정 2015.10.01 10788
17 한그릇, 면 비빔국수, 양념장 만들기 비빔국수 9월 중순이라 선선한데도 계절이 더 바뀌기 전에 비빔국수나 먹을까 싶었다. 양념장은 사과와 양파를 넉넉하게 갈아서 넣고 이번에는 국수를 건면이 아... 4 file 이윤정 2015.09.18 24477
16 한그릇, 면 잔치국수, 멸치국수, 냉국수 잔치국수, 멸치국수, 냉국수 제목은 잔치국수, 멸치국수, 냉국수인데 음식을 만들고 사진을 찍어서 모아둔 폴더제목은 그냥 국수이다. 어릴 때부터 먹어 본 이 국... 7 file 이윤정 2015.08.31 12355
15 한그릇, 면 골뱅이무침 만들기, 비빔양념 골뱅이무침 만들기 골뱅이는 이마트에서 구매한 동표골뱅이 230그램 캔을 사용했다. 어쨌든 사용한 재료는 초장으로 식초+설탕 8스푼, 고추장 8스푼 식초와 설탕... 2 file 이윤정 2015.08.09 8595
14 한그릇, 면 비빔양념장, 쫄면, 비빔국수 비빔양념장, 쫄면, 비빔국수 비빔양념장 약 10인분 사과 간 것 150그램 마늘 30그램 간장 30그램 물엿+매실액 200그램 식초 90그램 고운고춧가루 90그램 고추장 9... 12 file 이윤정 2015.05.20 13386
13 한그릇, 면 김치말이국수, 냉국수 김치말이국수 멸치육수에 김치국물과 식초로 맛을 맞춘 육수에 김치볶음, 오뎅, 계란지단, 오이, 단무지를 고명으로 올리고 양념장과 김을 얹어서 김치말이국수를... 10 file 이윤정 2015.05.05 12482
12 한그릇, 면 떡만둣국, 떡만두국 떡만둣국 떡만두국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제목에 떡만두국도 함께 써두었다. 엄마께 설 전에 받은 떡국떡을 소분해서 냉동해두었다가 하나씩 꺼내서 떡만둣국을 ... 3 file 이윤정 2015.03.04 6071
11 한그릇, 면 양지 떡국, 떡국 끓이는법 2014/12/30 떡국, 떡국 끓이는법 끓이는법이라고 할 것도 없이 누구나 끓여 먹는 떡국이라 별로 내용은 없지만 그래도 좋아하는 음식이니까 올려본다. 평소에는 ... file 이윤정 2014.12.30 16425
10 한그릇, 면 막국수, 막국수 양념장 2014/08/02 막국수, 막국수 양념장 양념장은 예전에 만든 것을 바탕으로 재료의 양을 조금 수정하고 양파와 사과를 갈아 넣었는데 그렇게 맛있는 건 아니고.. 먹... 2 file 이윤정 2014.08.02 12706
9 한그릇, 면 비빔냉면, 냉면양념장 2014/08/02 비빔냉면 냉면양념장 소고기 양지 250그램은 대파와 함께 1시간이상 약불에 삶았다. 건져내고 남은 육수는 150그램정도로 더 졸이고 식혀서 기름을 걷... 6 file 이윤정 2014.08.02 8923
8 한그릇, 면 멸치육수로 감자수제비 2014/04/15 멸치육수로 감자수제비 생면파스타를 만든다고 제면기를 꺼내서 실패도 해보고 성공도 하면서 제면기를 꺼내놨으니 수제비도 한끼 만들자 싶어서 수제... file 이윤정 2014.04.15 8444
7 한그릇, 면 바지락칼국수 2014/02/05 바지락칼국수 -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음식 백가지 국수는 원래 반죽을 손으로 눌러서 풀잎처럼 만들었다는 수인병(手引餠)이었고, 그 후에 반... file 이윤정 2014.02.05 5838
6 한그릇, 면 떡만둣국 2013/10/31 떡만둣국 날이 추워지니까 당연히 떡국이 생각난다. 나는 떡국을 조금 더, 남편은 만둣국을 조금 더 좋아해서 떡과 만두를 반반씩 넣으면 나눠먹기 알... file 이윤정 2013.10.31 3267
5 한그릇, 면 오므라이스, 오믈렛 데미그라스소스 - https://homecuisine.co.kr/hc20/29624 오므라이스소스 - https://homecuisine.co.kr/hc10/54790 도 있지만 간단한 버전으로 버터 2스푼 밀가루... file 이윤정 2013.10.26 579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