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검색

 

찜닭에 대한 검색형 제목을 달아봤는데 검색이 될지는 모르겠다..

 

 

크기변환_DSC07650.JPG

 

 

여태 여러번 올린 찜닭. 안동찜닭이 마른고추와 생강으로 맛을 낸다고 해서 늘 그렇게 만들고 있다.

어제 닭고기 양념해두고 채소도 다 준비해놨으니까 낮에 분주할 것 없이 양념한 닭고기 불에 올리고 채소 차례대로 넣으면 되겠네 하고 있는데 엄마께 전화가 왔다.

말복에 잘 챙겨 먹으라는 이야기를 듣고서 오늘이 말복인 걸 그 때 알았다. 

 

 

 

사용한 재료는 3~4인분으로

 

닭1키로,

간장 100미리

청주 50미리

조청 50미리

노두유 1스푼

후추

물 적당량

 

다진 마늘 2스푼

다진 생강 1티스푼

고운 고춧가루 0.5스푼

마른홍고추 2개

청양고추 3개

 

감자 2개

양파1개

양배추 몇 잎

대파 1대

 

납작당면 한 줌

참기름 약간

 

 

 

 

양념은 계량스푼으로

간장 7스푼

청주 3.5스푼

조청 3스푼 정도 넣어도 비슷하다.

조청은 쌀올리고당 정도로 대체가능하고, 설탕을 사용하면 당도가 (높게)달라지니까 그 때는 입맛에 맞게 조절하는 것이 좋다.

노두유는 색을 내기 위한 재료라 생략가능한데 생략하면 색이 진하게 되지는 않는다.

 

 

매운 끝맛이 느껴지도록 청양고추와 고춧가루를 넣었는데 매운 것이 싫다면 생략해도 괜찮다.

납작당면은 미리 전날 찬물에 불려 냉장고에 넣어두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닭도리탕이나 찜닭은 닭뼈에서 우려나오는 육수로 맛을 내는 것이기 때문에 닭다리살정육이나 가슴살보다는 뼈째로 조각낸 닭도리탕용 닭고기를 사용하고,

목이나 등뼈 등 먹을 것이 거의 없는 부위도 육수를 위해 다 넣는 것이 좋다.

 

닭고기는 전처리로 데칠 때도 있고 구울 때도 있는데 고기가 신선할 때는 굽는 것이 주로 더 나았다.

이번에 산 닭도리탕용 닭고기는 약간 냄새가 나서 데쳤다.

 

 

크기변환_DSC04748.JPG     크기변환_DSC04750.JPG

 

 

닭고기는 깨끗하게 씻고 뜨거운 물에 담가 데치고 식혀서 응고된 피를 씻어낸 다음 냄비에 담았다.

닭고기에 간장, 청주, 미림, 조청을 분량대로 붓고 노두유와 후추를 약간 넣은 다음 닭이 잠기지는 않을 정도로 물을 부었다.

  

 

 

 

 

닭고기에 양념을 해서 하룻밤 냉장해두었다가 사용하면 닭에 간이 잘배이는데 닭이 그렇게 간이 안드는 식재료도 아니고 하니까 바로 해도 크게 다르지 않다.

물조절이 중요한데 물이 적으면 더 부어도 되지만 처음에 물을 많이 잡으면 닭이 다 익고도 더 끓여서 수분을 날려야 하고 마지막에 감자가 다 부스러지니까

졸여지는 시간을 고려해서 양념과 합해서 닭이 잠기지는 않은 아래 사진 정도가 적당하다.

사진에 보이는 정도로 물을 넣고 조리 중간에 뚜껑을 10분정도 닫고 조리하고 불린 당면을 약간 넉넉하게 넣으니 수분감이 딱 좋았다.


 

크기변환_DSC03338.JPG     크기변환_DSC03339.JPG

 

 

 

닭고기는 일단 센불에 올리고 여기에 다진마늘, 다진생강, 고운고춧가루를 넣고 끓는 동안 건고추, 청양고추를 적당히 썰어 넣고 끓기 시작하면 중불로 줄였다.

총 30분가량 조리하는데 그동안 부재료를 차례로 넣었다.

 
 

크기변환_DSC03340.JPG    크기변환_DSC03341.JPG


 


감자, 양파는 도톰하게 썰고 마늘은 통으로 한 줌 넣었다.

 
 

크기변환_DSC03344.JPG     크기변환_DSC04983.JPG  

 

 

 

총 30분쯤 중불에 익히는 동안 물이 많으면 뚜껑을 열고 센불로 졸이고 모자라면 물을 약간 넣는 정도로 찜닭의 수분감을 조절하는 것이 좋다.

찜닭을 끓이면서 밥도 짓고 음식하면서 어질어진 주방을 정리하고 식기를 챙기니 시간이 금방 다 됐다.

 

 

크기변환_DSC03343.JPG    크기변환_DSC03345.JPG


크기변환_DSC03347.JPG     크기변환_DSC03348.JPG

 

 

크기변환_DSC03349.JPG     크기변환_DSC03350.JPG

 

 

닭다리의 힘줄이 말랑하게 익어서 닭다리 발목의 뼈가 드러나도록 고기가 다 익으면 양배추와 대파를 넣고,

불린 당면을 넣어서 당면이 찜닭 국물에 푹 잠기도록 밀어 넣고 당면이 부들부들하게 잘 익을 정도로 더 익혔다.

당면이 양념장을 꽤 흡수하기 때문에 국물이 너무 많으면 당면이라 라면을 넣으면 적당하다.

 

 

 

사용한 채소나 당면의 양이나 물을 잡은 양에 따라서 간이 부족할 수 있으니까 마지막으로 간을 보고 취향에 따라 간장이나 설탕을 약간 넣어서 딱 맞게 조절하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참기름을 약간 뿌리고 간을 봐서 완성.

짭쪼름하고 달큰하면서 마지막으로 매콤한 맛이 돌았다. 닭고기와 채소에 간이 잘 배고 감자도 부스러지지 않지만 젓가락을 갖다대면 반으로 팍 쪼개졌다.

 


 

크기변환_DSC03352.JPG


 

 

찜닭 속에 묻혀 있는, 보들보들하고 쫀득쫀득한 납작당면을 집게로 집어서 먹기 좋게 위로 딱 올릴 때 기분이 꽤 좋았다.

 

 

 

크기변환_DSC03354.JPG

 

 

 

 

크기변환_DSC03356.JPG

 

 

 

 

찜닭의 양이 많다보니까 적당히 담을 그릇이 없어서 국자와 집게로 알아서 떠먹었다.

 


 

크기변환_DSC03358.JPG

 

 

 

 

둘이서 여기에 밥까지 비벼 먹기에는 먹기에는 양이 많아서 양념과 채소를 꽤 남겼다.

 

남은 것은 식혀서 냉장고에 넣어두었다가 다음 끼니를 해결했다.

당면도 한 줌 불려두고 한 김 빠진 밥도 준비했다.

 

 

졸아들면서 간이 진해지니까 생수를 약간 붓고 불린 당면을 넣어서 익히고 당면을 호로록 한 다음 남은 양념에 있는 마늘을 으깨고 밥을 비볐다.

 


 

크기변환_DSC03383.JPG     크기변환_DSC03384.JPG

 

크기변환_DSC03389.JPG     크기변환_DSC03391.JPG



김치볶음과 어쩌다가 집에 있는 (구운고구마 으깬 것 +생크림) 고구마무스을 밥상에 올려 함께 먹었다.

달달하고 고소한 고구마에 칼칼한 끝맛에 짭짤하고 단맛이 도는 찜닭소스가 맛있게 잘 어울렸다.

 

 

 

 

 

 

 

 

 

 

  • 행복배 2015.08.12 23:17
    찜닭보다도 이튿날 먹는 찬밥볶음이 더 맛있는 이유를 아직도 모르겠어요......
  • 이윤정 2015.08.14 00:38
    저라면 그 이유를 누가 해 준 것 같아서 라고 결론 내리겠습니다ㅎㅎㅎㅎ
  • 뽁이 2015.08.13 01:03
    으흐흐 역시 ... 찜닭 같은건 ?
    남겨도 되어요 ㅋㅋㅋ
    다음날 먹으면 되니까 ㅋㅋㅋ 푸힛
    아 볶음밥 ... 짭쪼름한 당면이랑 양념 ... 아 ...
    먹고 싶은 밤 ? 입니다 ㅋㅋㅋㅋ
  • 이윤정 2015.08.14 00:39
    찜닭은 사리만 일단 다 먹고 나면 얼마든지 남겨도 되죠ㅎㅎㅎ
    저는 닭보다 채소나 사리, 볶음밥이 더 좋아요! ㅎㅎㅎ
  • 레드지아 2015.08.13 09:23
    닭찜에는 당면이죠!!!!!!
    크아악.... 저 윤기 반질반질한 닭찜과 당면...^^ 윤정님은 왜 맛있는것만 자꾸 해드세요~ㅋㅋㅋㅋㅋ 저 괴롭게요 ㅎㅎㅎㅎㅎ
  • 이윤정 2015.08.14 00:40
    납작당면은 쫀쫀해서 좋고 일반 당면은 부들부들해서 좋고 말입니다ㅎㅎ
    오늘은 점심에 너무 밥하기 귀찮아서 라면 끓여 먹었는데 라면 끓인 걸 올릴 수는 없지 않겠어요ㅎㅎㅎㅎ

  1. 왕돈까스 만들기

    왕돈까스 만들기 돈까스가 별로 커보이지는 않는데 접시 지름이 35센치이고 돈까스 가로크기는 약 25센치였다. 1인분에 1개씩 튀겼다가 양이 생각보다 많아서 푸드파이터에 빙의해서 겨우 다 먹었다.. 사용한 재료는 1인분당 돼지고기 등심 200그램 소금, 후추, 밀가루 계란1개+우유1스푼 습식빵가루 넉...
    Date2015.12.08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16326
    Read More
  2. 비빔칼국수

    비빔칼국수 겨울이라도 비빔면이 땡기지 않는 건 아니라 비빔칼국수를 해먹었다. 점심에 나가서 비빔밀면을 먹고 싶은데 점심때 나갈 시간이 없어서 비빔칼국수라도.. 하는 심정이었다. 사용한 재료는 칼국수 약 3인분 고명 재료로 오이, 양배추, 당근, 계란지단 양념장으로 (계량스푼사용) 식초+설탕 4...
    Date2015.12.04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Views11864
    Read More
  3. 소고기무국, 끓이는법

    경상도식 소고기뭇국 - https://homecuisine.co.kr/hc10/86423 맑은 소고기뭇국 - https://homecuisine.co.kr/hc10/71007 소고기뭇국이 생각나는 겨울이라 한우양지를 주문해서 소고기뭇국을 끓였다. 맑은 국으로 끓인 다음 3등분해서 냉장해두었다가 데워먹을 때 취향에 따라 고운고춧가루를 넣고 적당...
    Date2015.12.03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19690
    Read More
  4. 핫바만들기, 어묵, 오뎅 만들기

    핫바만들기 핫바를 전에 만들고 마음에 별로 들지 않아서 올리지 않고 그냥 넘어갔었는데 이번에는 잘 되어서 올려본다. 사실 잘 되었다기보다는 밀가루 양을 여러 비율로 조절해보면서 몇 번 더 만들어보고 그 중 가장 나은 것을 올리는 것이 맞다. 여러번 만들고 튀겨서 고생을 좀 했다... 핫바는 무...
    Date2015.12.01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10670
    Read More
  5. 꽈리고추 소고기볶음

    꽈리고추 소고기볶음 꽈리고추찜을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꽈리고추에 손이 가지 않다가 이번에 갑자기 꽂혀서 농산물 시장에 가서 1키로를 샀다... 1키로에 6천원이었는데 1키로를 세어보니 200개쯤 됐다;; 시간을 들여서 고추를 손질해서 주재료와 함께 손질한 꽈리고추를 두세줌씩 듬뿍 볶으니 마음에...
    Date2015.11.30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16122
    Read More
  6. 진짬뽕 후기, 짬뽕라면 끓이기

    요즘 핫하다는 진짬뽕을 사왔다. 5+1이 아니면 안샀을텐데 5+1이라 둘이서 세 개씩ㅎㅎ 두 번 먹으면 괜찮겠다 싶었다. 라면 먹으려고 이것저것 하는 걸 별로 좋아하는 편은 아닌데 그래도 저녁이라고 집에 늘 있는 채소와 냉동실의 해물을 넣어 끓였다. 인스턴드 식품 후기를 홈페이지에 처음 올리는 ...
    Date2015.11.29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11161
    Read More
  7. 파김치, 김치양념

    파김치, 김치양념 양념은 언니네에 나눠주느라 많은 양을 만들었는데 4분의1 정도만 만들어서 파 1단으로 김치를 담고 남은 양념은 배추 등 채소를 간단하게 무쳐 먹으면 적당하다. (파 1단은 도매시장에서 파는 파 1단 기준) 김치양념 황태육수 3컵 찹쌀가루 6스푼 고춧가루 4컵 까나리액젓 1컵+1스푼 ...
    Date2015.11.28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10496
    Read More
  8. 닭도리탕

    닭도리탕 자주 올린 닭도리탕이라 전에 올린 것과 레시피도 같고 내용을 부분적으로 복사했다. 아직까지 랜섬웨어의 고통에서 헤어나오지 못해서 카테고리는 일상으로;; 약 3인분으로 닭도리탕용 닭고기 1키로 양념으로 (밥숟가락 사용) 고운고춧가루 소복하게 3숟가락 고추장 약간 소복하게 2숟가락 간...
    Date2015.11.28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7182
    Read More
  9. 생선까스, 타르타르 소스 만들기

    생선까스, 타르타르 소스 만들기 생선까스로 생선필렛 4조각 소금, 후추 밀가루 적당량 계란 2개 빵가루 넉넉히 튀김기름 약 1리터 타르타르소스로 양파 4분의1개 베이비피클(코니숑)3개 케이퍼 1스푼 레몬즙 1스푼 마요네즈 약 5스푼(+양조절) 소금, 후추 먼저 타르타르소스를 만들었다. 전날 미리 만...
    Date2015.11.23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16701
    Read More
  10. 해물파전 만들기, 레시피

    해물파전 부산에서 유명한 범일 빈대떡의 파전을 좋아하는데 그 파전과 거의 똑같은 점도로 하려니 미숫가루정도 타는 묽기로 반죽해야 적당했다. 여태 만든 파전 중에 반죽을 가장 묽게 했고, 좋아하는 그 파전처럼 4등분을 해야 되집기 편한 정도로 만들었다. 파전의 크기에 따라 약 2~3개 분량으로 ...
    Date2015.11.20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7474
    Read More
  11. 김치두루치기, 김치제육볶음

    김치두루치기, 김치제육볶음 가장 먼저 양념장. 늘 만드는 닭갈비 양념장이라 그대로 복사했다. 양념장에 사용한 재료는 그램 단위로 간장 85, 청주 15, 양파 70, 대파 30, 마늘 30, 생강 5 을 블렌더나 믹서로 갈고 여기에 고운 고춧가루 60, 설탕 70, 카레가루 10, 미원 2그램을 넣고 잘 섞었다. 참기...
    Date2015.11.19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7950
    Read More
  12. 배추김치, 막김치

    배추김치, 막김치 시댁이나 친정에서 주도하는 김장에는 늘 가족들 다 같이 일을 하지만 내 살림에 김장은 딱 한 번 밖에 해보지 않았다. 대신 그냥 막 무쳐 먹는 김치는 가끔 해먹는데 어쨌든 오랜만에 올리는 김치. 경상도에서 나고 자라서 김치를 약간 짜게 먹는데 이번에는 조금 덜 짜게 하려고 했...
    Date2015.11.18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15769
    Read More
  13. 소고기 산적 만드는법

    소고기 산적 보통 산적은 꼬치에 꿴 것을 이야기하고 우리집도 늘 세로로 잘라서 양념한 다음 꼬치에 꿰어서 구웠는데 내 취향으로는 통째로 구워서 잘라 먹는 것을 좋아해서 통째로 구웠다. 산적은 보통 제사나 차례를 지낼 때만 만드니까 늘 식은 것을 먹는 경우밖에는 없는데 이번에는 단지 먹기 위...
    Date2015.11.17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27037
    Read More
  14. 참치김치 순두부찌개

    참치김치 순두부찌개 바지락 순두부찌개를 분명 올린 적이 있는데 지금 보니까 아직도 블로그에 있다;; 다시 만들어서 새로 올려야겠다고 생각하며 간단하게 끓인 참치 김치 순두부 찌개. 멸치육수 약 1리터 김치 2줌 김치국물 약간 다진마늘 1스푼 참치 250그램 1캔 대파 1대 순두부 1봉투 육수는 멸치...
    Date2015.11.15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6297
    Read More
  15. 계란장조림 만드는법, 레시피

    검색해보니 돼지고기나 소고기 메추리알 등의 장조림은 몇 번 올렸었는데 계란장조림을 한 번도 안올려서 간단하게 포스팅(이라서 별 내용은 없다). 사용한 재료는 삶은 계란 10개 간장 100미리 미림 3스푼 설탕 3스푼 계란이 살짝 잠길 정도의 물이나 멸치육수 계란은 찬물에 넣고 끓기 시작하면 7분간...
    Date2015.11.09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12609
    Read More
  16. 닭두루치기

    닭두루치기 부산 몇몇 통닭집에서 닭두루치기를 파는데 국물이 바닥에 깔릴 정도로만 있거나 거의 없고 고추장이 없는 양념으로 닭도리탕보다 더 칼칼하다. 감자와 당면은 사리로 선택해서 넣는 곳도 있고 양파, 대파가 넉넉하게 들었는데 매콤한 닭찜이라고 볼 수 있다. 닭두루치기를 이렇게 만들기도 ...
    Date2015.11.06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7784
    Read More
  17. 김치국 만들기

    돼지고기 김치국 (김칫국이 맞지만 아래에는 그냥 김치국으로 표기했다.) 김치와 돼지고기, 두부를 넣어서 끓인거라 김치찌개와 비슷하지만 어쨌든 육수를 넉넉하게 잡고 시원하게 김치국을 끓였다. 사용한 재료는 약 4~6인분으로 멸치육수 약 1.5리터(+물 약간) 돼지고기 앞다리살 400그램 김치 약 8분...
    Date2015.11.02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9908
    Read More
  18. 등뼈찜 만들기, 만드는법, 레시피

    등뼈찜 만들기, 만드는법, 레시피 이번에 산 35센치(14인치) 접시에 어울리는 등뼈찜. 여태 등뼈찜을 만들면 한 번에 다 담을 그릇이 없어서 불편했는데 생각이상으로 큰 이 그릇에 등뼈찜이 딱 잘 어울렸다. 끓이면서 집안 공기도 훈훈해지고 등뼈가 저렴하니 식재료비에 비해서 결과물이 좋게 나오니 ...
    Date2015.10.29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14705
    Read More
  19. 낙지볶음, 낙지볶음양념 만드는법, 원조할매낙지

    낙지볶음, 낙지볶음양념 만드는법, 원조할매낙지 전에 살던 곳이 범천동이라 범일동 원조할매낙지 라는 낙지볶음집에 10여년 간 꽤 자주 다녔다. 지금도 근처에 가면 가끔 가서 먹는다. 그래서 소스에 맵게 볶은 낙지볶음이나 데친 낙지를 달달 볶은 낙지볶음도 좋아하지만 가장 좋아하는 건 밥상에서 ...
    Date2015.10.26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33918
    Read More
  20. 바지락 칼국수 만들기, 만드는법

    바지락 칼국수 만들기, 만드는법 그저께 올린 수제비에 사용하고 남은 반죽과 육수, 채소, 양념장을 사용해서 사용한 재료나 과정이 겹치는 부분이 많다. 감자수제비 - http://homecuisine.co.kr/index.php?mid=hc10&category=210&document_srl=28871 바지락이 들어가는 음식은 해감한 바지락을 미리 데...
    Date2015.10.24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Views904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