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2012.12.10

굴전, 굴파전, 굴부추전

 

 

 

 크기변환_DSC01562.JPG

 

 

 

제철인 굴.. 엄마께서 주신 굴과 바지락을 덥썩 받아왔다.

코스트코에서 산 굴인데 알이 크고 신선해서 질이 꽤나 좋았다.

 

이 굴로 굴국밥을 할까 짬뽕이나 수제비에 넣을까 하다가 바지락탕도 먹었겠다, 집에 남은 부추와 쪽파를 한 번에 같이 쓸 수 있는 굴전과 굴파전으로 정했다.

 

 

굴전의 진정한 맛은 옷을 얇게 입혀 속은 따뜻하게 데워진 상태라 부들부들하고 즙이 가득하게 먹는 맛에 있겠지만 조금 더 잘 익은 굴을 좋아한다.

굴전이나 굴 튀김보다 더 좋아하는게 굴파전인데 부전시장 건너편의 허름한 굴 전문점에서 사먹는 굴파전은 정말 맛있다.

굴을 파전에 열몇개씩 띄엄띄엄 줄을 세워서 놓고 한입에 파전 한입과 굴하나가 그득하게 씹히도록 만든 굴파전 또한 굴의 또 다른 진정한 맛인 듯 하다.

이런 찌짐에 레시피라는 게 참 애매하긴 하다. 집에 그날 있는 야채와 해물을 넣고 묽게 반죽하여 바삭하게 지져내면 끝인 것이 찌짐이라...

 

 

일단 굴전은

굴, 부추, 밀가루, 계란, 고추를 사용했다.

 

당연히 굴을 그냥 계란에 넣으면 계란옷이 만들어지지 않으니까

밀가루(부침가루)에 살짝 굴려서 계란과 부추, 고추를 섞은 것에 넣어 계란을 입힌 다음

팬에 열이 오르면 기름을 두르고 굴을 하나씩 올리고 부추도 조금 더 집어서 올려 약간 센불에서 굽다가 약한 불로 내려 속까지 따뜻하도록 구우면 끝.

 


크기변환_DSC01550.JPG     크기변환_DSC01551.JPG


크기변환_DSC01552.JPG     크기변환_DSC01553.JPG


크기변환_DSC01554.JPG     크기변환_DSC01557.JPG


 

 

 

 

 

크기변환_DSC01561.JPG

 

 

 

 


 

크기변환_DSC01566.JPG

 

 

 

 

속까지 따뜻하게 덥혀진 굴전에 간장을 살짝 찍어 먹었다.

맛보기로 조금만 먹고 숨 돌린 다음에 바로 굴파전(굴부추전)에 돌입했다.

 

 

 

 

 

 

 

 

 

굴파전(굴부추전)에 사용한 재료는

굴, 쪽파, 부추, 굴전에 남은 계란(선택), 풋고추, 홍고추, 청양고추, 부침가루 이다.

부추나 쪽파 둘 중에 하나만 들어가도 되지만 어느 것에나 고추는 필수이고 계란은 남아서 넣었는데 취향에 따라 넣지 않거나 하나 정도 넣으면 좋다.

 

 

 

굴은 소금물에 살짝 조물거려 씻고 껍질이 있는지 만져보아 확인하여 건져내고 물에 슬쩍만 헹궜다.

볼에 담은 굴은 다른 재료를 준비하는 동안 물기가 점점 차오르는데 그 물을 그대로 반죽에 사용한다.

쪽파와 부추는 적당히 썰고 고추는 작게 다진다. 씨의 식감을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통으로 썰지 않은 것은 씨를 뺐다. 

홍고추는 이쁘라고 넣은 거니까 생략가능하고 청양고추는 살짝 매콤한 맛이 감돌면서 포인트가 되니까 넣는 것이 더 맛있다.

 

 

 


 

크기변환_DSC01542.JPG


크기변환_DSC01544.JPG     크기변환_DSC01546.JPG


크기변환_DSC01548.JPG     크기변환_DSC01549.JPG


 

 

 

 

묽은 계란물에 부침가루를 붓고 날가루가 없게 섞는데 묽기는 미숫가루 정도 아니면 시판하는 냉장 옥수수스프 정도?

부추와 쪽파에 적당히 반죽이 묻을 정도면 충분하니까 너무 많지 않게 반죽을 만들고 야채를 넣는다.

 


크기변환_DSC01556.JPG     크기변환_DSC01559.JPG


크기변환_DSC01560.JPG     크기변환_DSC01565.JPG

 

 

 


 

 

 

부추, 쪽파를 젓가락으로 집어서 팬에 얇게 펴고 사이의 빈 부분에 반죽을 흘려 넣어서 메운 다음 아랫부분이 바삭바삭 하게 익지 않고 뒤집어 질 정도만 되면 뒤집는다.

 

 

굴파전에 굴을 잘게 썰어 넣으면 굴이 톡 터지면서 육즙이 꿀꺽 넘어가는 맛을 즐길 수가 없으니까 되도록이면 통째로 사용한다.

잘게 썰어서 해본 적이 있는데 굴의 맛과 향이 반감되면서 굴파전의 느낌이 덜 나서 그 후로는 통으로 쓰고 있다.

 

 

굴을 반죽에 바로 올리면 굴과 파전이 닿는 부분은 굴에서 나오는 육즙으로 반죽이 잘 익지 않는다.

굴을 생으로도 잘 먹는 사람은 사진처럼 굴과 함께 처음부터 익힐 필요는 없고 전을 적당히 익힌 다음에 바로 올리면 되는데

나는 생굴을 좋아하지 않고 익은 걸 좋아해서 반죽을 넣으면서 주변에 굴을 넣어서 겉을 먼저 익혔다. 파전을 뒤집을때 마다 굴도 뒤집어 주었다.


 

크기변환_DSC01579.JPG     크기변환_DSC01581.JPG


 

 

 


 

홍고추를 올린 면이 살짝 바삭바삭하게 되면 굴을 하나씩 올려서 반죽을 살짝 더 부은 다음 (뒤집을 때 붙어있으라고) 조금 눌러주고

아랫면이 바삭하게 익으면 뒤집게를 깊숙하게 넣어 재빨리 뒤집는다.

 

 

크기변환_DSC01583.JPG     크기변환_DSC01584.JPG


크기변환_DSC01586.JPG

 

 

 

 

이 다음부터는 다시 뒤집기가 쉽지 않게 때문에 접시를 팬에 바로 엎어 넣고 그대로 함께 뒤집어서 그릇에 안착.

가위로 1섹션당 1굴이 되도록 잘라주면 끝이다.

굴이 커서 파전이 상대적으로 작아보이는데 지름은 20센치 정도 된다.

 

 


크기변환_DSC01587.JPG


 

 

 

 

크기변환_DSC01588.JPG


 

 

 

 

 

크기변환_DSC01590.JPG


 

 

 

찌짐부분을 굴 위로 올려 말아 감아서 젓가락으로 쥔 다음 양념간장에 찍어 먹으면

겉이 노릇노릇 바삭하게 구워진 굴이 터지면서 육즙이 흘러나오고

반죽은 바삭하고 쫀득하면서 간은 짭짤하며 부추와 쪽파의 향긋함에 청양고추의 매운 맛이 아주 약간 코끝을 스친다.

 

아 이거 굴파전에 대한 찬사가 너무 심한가..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 반찬 멸치볶음, 멸치호두볶음 2013/09/03 마땅히 만들 밑반찬이 없을 때 편하게 만드는 멸치볶음. 멸치를 볶을 때에는 주로 지리멸치를 사용하고 있다. 멸치는 크기 순으로 대멸 중멸 소멸이 ... file 이윤정 2013.09.03 5875
83 고기 소고기숙주볶음 2013/09/01 소고기숙주볶음 + 오리엔탈드레싱 꽤 자주 해먹고 있는 숙주+고기+오리엔탈드레싱. 오리엔탈드레싱은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docume... file 이윤정 2013.09.01 7752
82 고기 김치두루치기, 김치제육볶음 2013/08/26 김치두루치기, 김치제육볶음 보통 양념장을 만들면 이것저것 찾아보고 계량해서 만들기도 하고 뭐 그냥 대충 만들기도 하는데 계량해서 만드는 것은 ... file 이윤정 2013.08.26 6263
81 한접시, 일품 탕평채, 청포묵무침 2013/08/24 탕평채, 청포묵무침 청포묵은 마트에서 암만 찾아도 없더니 사상이마트에 볼일이 있어 갔다가 바로 옆 사상 홈플러스에서 발견했다. 안그래도 보이면 ... file 이윤정 2013.08.24 5203
80 반찬 감자전 2013/08/19 감자전 강판에 간 체에 거른 다음 남은 감자수분은 가만히 가라앉혀서 윗물을 따라내고, 갈아 둔 감자와 전분을 섞어서 굽는 것이 기본인데 조금 편하... 3 file 이윤정 2013.08.19 5232
79 고기 소불고기, 소불고기양념, 불고기덮밥 2013/08/14 소불고기, 소불고기양념, 불고기덮밥 소불고기를 양념해 놓고 전골이니 뚝배기불고기니 자주 해먹었는데 정작 불고기는 조금 오랜만에 해먹었다. 배와... file 이윤정 2013.08.14 9033
78 한그릇, 면 오리백숙, 오리백숙만드는법 2013/08/12 오리백숙, 오리백숙만드는법 본론에 앞서 오리백숙보다 더 맛있는 오리 소금구이와 주물럭은 아래 링크에 있다. 오리 소금구이, 볶음밥 - http://www.... file 이윤정 2013.08.12 76818
77 한그릇, 면 닭칼국수, 양념장, 닭칼국수만드는법 사용한 재료는 닭 1마리, 대파, 양파, 마늘, 칼국수, 쪽파 양념장으로 청양고추, 고춧가루, 다진마늘, 간장 먼저 칼국수 양념장. 실제로 만들기로는 닭을 삶으면... file 이윤정 2013.08.09 45933
76 반찬 호박볶음, 호박새우젓볶음 2013/08/03 호박볶음, 호박새우젓볶음 호박을 평소에 거의 안먹는 편이지만 여름에 나는 달고 부드러운 여름호박은 전으로 부치거나 볶아서 먹으면 그건 좀 맛이 ... file 이윤정 2013.08.03 5662
75 고기 LA갈비, 갈비구이, 갈비구이양념, 갈비덮밥 이론적으로는 고기에 양념장이 속까지 충분히 스며든다는 전제하에, 조리과정 중 양념장이 팬에 많이 딸려들어가 졸여져서 고기에 배이도록 하는 경우는 제외하고... file 이윤정 2013.07.31 9552
74 반찬 꼬막무침 2013/07/27 꼬막무침 꼬막에 소금물에 넣어 뚜껑을 덮은 다음 하룻밤동안 냉장고에 두고 해감한 다음 자갈 씻듯이 바락바락 씻었다. 꼬막이 살짝 잠기도록 물을 ... file 이윤정 2013.07.27 5179
73 국 찌개 소고기 강된장, 호박잎쌈 2013/07/27 소고기 강된장 호박잎은 데쳐서 호박잎쌈으로 만들었고 거기에는 당연히 강된장이 딱이라 오랜만에 강된장을 만들었다. 강된장을 떠먹을만한 국물이 ... file 이윤정 2013.07.27 4916
72 한그릇, 면 닭죽 2013/07/23 삼계탕이 이어 닭죽. 삼계탕은 한마리씩 그릇에 담아 살을 발라 먹는 맛이 있다면 닭죽은 백숙을 끓여 닭은 건지고 육수에 불린 찹쌀을 넣어 죽으로 ... file 이윤정 2013.07.23 4375
71 전골 탕 삼계탕 삼계-탕蔘鷄湯 : 어린 햇닭의 내장을 빼고 인삼, 대추, 찹쌀 따위를 넣어서 고아 만드는 보양 음식. 삼복에 보신이 되고 원기를 돕는다. - 네이버 국어사전 삼계... file 이윤정 2013.07.22 4737
70 한그릇, 면 오므라이스, 오므라이스 소스 2013/07/20 오므라이스, 오므라이스 소스 미리 소스만 만들어 둔다면 볶음밥이나 오므라이스나 거기서 가기긴 한데 어쨌든 볶음밥보다 계란과 소스가 보기 좋게 ... file 이윤정 2013.07.20 16039
69 국 찌개 바지락된장찌개 2013/07/19 바지락된장찌개 생각없이 재료를 사두고 이걸로 뭘할까 고민하면서 괴로워 하는 것이 취미라 바지락을 한봉투 사두고 순두부찌개? 된장찌개? 미역국? ... file 이윤정 2013.07.19 4802
68 반찬 두부조림 2013/07/18 두부조림 두부조림은 팬에 노릇노릇 지져서 진하게 우려낸 멸치육수와 양념을 넣고 자작하게 조렸다. 두부조림이야 대충 만들면 되니까 그까이꺼 물기... file 이윤정 2013.07.18 5063
67 김치, 장아찌, 무침 마늘종장아찌, 마늘쫑장아찌만드는법 2013/07/18 마늘종장아찌, 마늘쫑장아찌만드는법 열흘정도 식촛물에 노랗게 삭혀서 식촛물의 물기를 뺀 다음 고추장을 베이스로 한 양념을 무쳐서 만들었다. 사용... file 이윤정 2013.07.18 12826
66 고기 소고기샐러드 + 오리엔탈드레싱 2013/07/17 소고기샐러드 + 오리엔탈드레싱 오리엔탈드레싱에 잘 어울리는 소고기샐러드. 샤브샤브용 소고기를 구워서 샐러드채소 위에 얹은 다음 오리엔탈드레싱... file 이윤정 2013.07.17 5899
65 고기 차돌박이 숙주볶음 + 오리엔탈드레싱 2013/07/16 차돌박이 숙주볶음 + 오리엔탈드레싱 앞서 올린 오리엔탈 드레싱만 있다면 굉장히 만들기 쉬우면서 다른 반찬 필요없이 밥만 조금 곁들여서 한끼 식사... 2 file 이윤정 2013.07.16 7581
Board Pagination Prev 1 ... 52 53 54 55 56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