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2012.12.24

만두, 만두속만들기

 

 

 

크기변환_DSC01740.JPG

 

 

 

 

만두소가 맞는 말이긴 한데 일단 제목은 이렇게 붙혀본다.

 

 

4년전부터 겨울이면 만두를 빚어왔다.

어릴 때 부터 만두를 집에서 빚는 건 생각도 해본 적이 없었다.

그래서 당연히 배울 기회도 없었는데 우리집 식구가 만두를 좋아해서 빚기 시작하다가 이제는 그렇게 특별한 일도 아니게 되었다.

 

 

아래는 2009년 겨울에 빚은 만두들...


크기변환_7a4b03dc7e592d91.jpg     크기변환_6512f97d12b15d92.jpg


크기변환_c29474a1f48aaa13.jpg

 

 

 

 

 

김치를 만드는 것에 있어서 가장 고된 일이 배추를 절이고 물빼고 헹궈서 또 물빼는 거라면

만두를 만드는 것에 있어서 가장 고된 일은 만두피 반죽을 하고 치대서 부드럽게 해서 길게 굴려서 자르고 밀대로 미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만두피 하기가 싫어서 마트에서 파는 냉장만두피를 사용했다.

집에서 만드는 것에 비해서 늘어나지도 않고(그래서 만두 주름을 보기 좋게 빚기는 불가능) 만두소도 조금만 들어가지만

큰일을 만들지 않고 소꿉놀이처럼 몇십개만 빚으면 되니까 가장 편한 방법이다.

 

  

 

찜통은 일반 냄비에 있는 것 부터 전기찜기까지 여러 종류를 사서 써봤는데

층으로 쌓을 수 있는 것이 대용량으로 찔 수 있고 만두집 분위기가 나기 때문에ㅎㅎ 내가 써 본 것 중에는 만두에는 이 만두찜솥이 제격이다.

찜통에 까는 천으로는 젖은 면보나 배춧잎도 괜찮지만 실리콘 시루밑이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이 찜통은 얇기 때문에 직화로 했다가 물이 졸아들면 타기 십상이고 인덕션에 하는 것이 가장 낫다.

여러모로 불편한 인덕션이지만 이럴때만 딱 좋다. 그래도 물이 너무 적게 남지는 않았는지 체크해주어야 한다.


 

크기변환_DSC01688.JPG     크기변환_DSC01690.JPG

 

 

 

 

 

이제야 본론.. 만두소 만들기.

 

 

시판 만두피 60장(2팩)

 

돼지고기 간 것 400g에 밑간으로 소금 약간, 마늘 맛술 후추

큰 양배추 8분의1통 정도, 부추 1줌, 두부 반모, 묵은무김치 몇쪽(생략가능), 당면 한줌, 계란1개

전체적인 간으로 간장과 참기름을 약간 넣었다. 

 

집에 있는 재료들로 썼는데 취향에 따라 대파, 숙주, 배추김치 등도 잘 어울린다.

 

 

만두소를 만드는 것은 생각보다 쉽다.

물기를 빼는 것이 조금 귀찮기는 한데 만두피를 미는 것에 비해서 일감이 훨씬 적기 때문에

일이 많아보여도 생각보다 금방 만들고 짜지 않게 간만 잘 맞추면 된다.

싱거우면 간장에라도 찍어먹지만 짜면 양배추나 당면으로 조절하면 되지만 일단 찐 것 만큼은 답이 없다..

 

 

돼지고기 밑간은 소금과 후추를 약간 넣고 마늘과 맛술을 1스푼씩 넣었다.

 

 

나머지는 잘게 썰고 물기가 많은 재료를 물만 짜면 된다. 

 

양배추는 소금을 살짝 뿌려서 물이 배어나오게 뒀다가 물에 한 번 담가 소금기를 빼고 소창에 넣고 꼭 짜서 물기 제거했다.

두부는 단단한 것으로 사면 물기가 덜 나온다. 이것도 면보에 넣고 짜서 물기를 뺐다.

묵은무김치는 집에 남아서 넣은 건데 당연히 생략가능하다. 동치미 무도 물기를 빼고 넣으면 시원한 맛을 더해준다. 이것도 헹궈서 썰어서 물기를 짜면 제법 나온다.

 

크기변환_DSC01715.JPG     크기변환_DSC01716.JPG


크기변환_DSC01718.JPG     크기변환_DSC01720.JPG


크기변환_DSC01721.JPG    


크기변환_DSC01722.JPG     크기변환_DSC01724.JPG


크기변환_DSC01726.JPG     크기변환_DSC01728.JPG

 

 

 

 

당면은 부들부들하게 삶아서 참기름에 살짝 비벼서 썰어두고 부추도 잘게 썬다. 쪽파나 대파도 있을 때는 넣는다.

준비한 재료에 밑간한 돼지고기와 함께 계란1개 넣고 생강가루를 약간 뿌린 다음 간장으로 간을 하고(1스푼 정도) 참기름 후추 약간씩을 넣고 믹스한다.

 

 

닭육수를 넣어서 고기를 부드럽게 하는 방법도 있는데 그건 야채를 더 심플하게 넣고 만드니까 다음에 하기로 하고..

 

 

이번 만두 반죽은 처음에는 당면 없이 만들다가 만두피가 애매하게 남아서 피와 반죽의 양을 맞추기 위해 마지막에 당면을 추가했다.

당면을 넣고 나면 간장으로 간을 약간 더 하는 것이 낫다.


크기변환_DSC01731.JPG     크기변환_DSC01732.JPG

 

 

 

 

 

시판 만두피에 만두소를 넣고 반을 접어 양끝을 붙히면 쉽게 완성 된다.

주름 잡는 다른 방법도 있지만 바쁘고 정신 없을 때는 이렇게 하는게 편하다.

 

 

김이 오른 찜통에 만두를 3판 넣어서 10분정도 찌면 다 익는다.

찐 만두 중에 반으로 접어서 만든 것은 구워서 군만두로 해 먹었다.

이렇게 만들어서 두끼에 걸쳐서 다 먹었다.

 

 


 

크기변환_DSC01734.JPG

 

 

 

 


크기변환_DSC01737.JPG


 

 

 

 

 

크기변환_DSC01739.JPG


 

 

 

 

 

크기변환_DSC01740.JPG

 

 

 

 

군만두로 할 것은 반으로 접어서 빚은 다음 찌고 냉장고에 넣어두었다가 팬에 구웠다.

 


 

크기변환_DSC01744.JPG

 

 

 

 


 

크기변환_DSC01745.JPG


 

 

 

 

 

크기변환_DSC01748.JPG

 

 

 

 

 

 

아래는 당면을 넣은 것..

 


 

크기변환_DSC01752.JPG

 

 


 

크기변환_DSC01753.JPG

 

 

 

 


 

크기변환_DSC01754.JPG

 

 

 

 


 

크기변환_DSC01757.JPG


 

둘이서 만두찜판 앞에 갖다 놓고 하나씩 빚어 올린 다음 찜통에 넣고 10분 후에 열어보면

갓 익어 김이 펄펄 나는 만두는 빚었을 때보다 조금 더 커져 있고 만두피는 약간 투명하면서 재료에 착 달라붙어 쫀득해져있다.

뜨끈뜨끈한 만두를 하나씩 집어서 접시에 옮기고 조금 식힌 다음 간장에 살짝 찍어 입에 쏙 넣고 보면 앞에서 금방 만두 빚던 아저씨와 눈빛이 오고 간다.

맛있다는 말은 하지 않고 눈빛 교환만 한 후에 한 판을 다 먹고나서야 맛이 있네, 깊은 곳에서 찜기를 꺼낸 보람이 있네 하는 대화가 오고간다.

 

 

한판에 만두가 대략 7개 정도 들어가니까 20개 남짓 먹고 나면 또 만두를 빚는다.

만두를 쪄서 먹는 건 김밥을 말면서, 파전을 부치면서 먹는 것과 비슷해서

누가 만들어주지 않는 이상은 이렇게 만들다 먹다 만들다를 반복할 수 밖에 없지만

이렇게 같이 빚는 것도 재미있고 갓 나온 만두를 먹는 즐거움이 크니까 마지막 정리까지 즐거운 마음으로 하게 된다.

 

 

 

 

 

  • 만두장수 2019.09.27 23:36
    세상에...ㅋㅋㅋ
    무슨 가정집에 저런 채반까지 구비해 두세요....
    맞아요, 가정에선 아무리 수분제거를 해도 질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저 이쁜 만두좀 보세요. 역시 쌤....금손이세요. 글고 전 굴소스도 넣습니다^^;;
  • 이윤정 2019.09.30 03:14
    저 찜판 사놓고 10번도 안쓰고 보관만하고 있어요ㅎㅎㅎㅎ
    시판 만두피로 빚으니 이쁠래야 이쁘기 어려운데 금손 발언 거두어주세요ㅎㅎㅎ
    만두에 굴소스 완전 대맞말이네요!
  • 만두장수 2019.10.03 23:33
    이쁘니까 이쁘다고 한 것흘 거두라고 히사면 어찌하란 말씀이옵...

    건글코~
    대맞말?? 한참 생객했는데도 아리송 ㅡㅡ??
  • 이윤정 2019.10.04 02:03

    완전 크게 맞는 말씀이라는 이야기에요ㅎㅎㅎㅎ

  • 만두장수 2019.10.04 22:46
    아...이런 센스없는...ㅋㅋㅋ

  1. 멸치볶음, 멸치호두볶음

    2013/09/03 마땅히 만들 밑반찬이 없을 때 편하게 만드는 멸치볶음. 멸치를 볶을 때에는 주로 지리멸치를 사용하고 있다. 멸치는 크기 순으로 대멸 중멸 소멸이 있고 그것 보다 작은 것으로 자멸, 세멸(=지리멸치)이 있는데 대멸(오주바/오바) : 7.7㎝ 이상 중멸(고주바/주바) : 4.6~7.6㎝ 소멸(가이리...
    Date2013.09.03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5914
    Read More
  2. 소고기숙주볶음

    2013/09/01 소고기숙주볶음 + 오리엔탈드레싱 꽤 자주 해먹고 있는 숙주+고기+오리엔탈드레싱. 오리엔탈드레싱은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5232&mid=hc20 이 포스팅에 올린 것인데 아침식사에 채소가 없을 때 양상추, 방울토마토에 뿌려서 금방 밥상에 올리기도 하고 바로 ...
    Date2013.09.01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7794
    Read More
  3. 김치두루치기, 김치제육볶음

    2013/08/26 김치두루치기, 김치제육볶음 보통 양념장을 만들면 이것저것 찾아보고 계량해서 만들기도 하고 뭐 그냥 대충 만들기도 하는데 계량해서 만드는 것은 주로 한끼 음식의 양에 맞추는 것이 아니라 재료들간에 조합이 맞도록 만들게 되어서 늘 소스가 조금 많이 만들어진다. 그 소스들은 하나만 ...
    Date2013.08.26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6304
    Read More
  4. 탕평채, 청포묵무침

    2013/08/24 탕평채, 청포묵무침 청포묵은 마트에서 암만 찾아도 없더니 사상이마트에 볼일이 있어 갔다가 바로 옆 사상 홈플러스에서 발견했다. 안그래도 보이면 늘 사고 싶었는데 반값세일까지 하고 있어서 잘 됐다 싶어서 2팩을 사들고 왔다. 탕평채는 어릴적 가정시간에 들은 바로 탕평책을 논의하는...
    Date2013.08.24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5301
    Read More
  5. 감자전

    2013/08/19 감자전 강판에 간 체에 거른 다음 남은 감자수분은 가만히 가라앉혀서 윗물을 따라내고, 갈아 둔 감자와 전분을 섞어서 굽는 것이 기본인데 조금 편하게 하려면 믹서에 갈아서 쓰는 것도 좋다. 나는 사서 고생 하는 것이 취미라 강판에 열심히 문대서..갈았다. 감자는 취급과정에서 충격에 ...
    Date2013.08.19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5291
    Read More
  6. 소불고기, 소불고기양념, 불고기덮밥

    2013/08/14 소불고기, 소불고기양념, 불고기덮밥 소불고기를 양념해 놓고 전골이니 뚝배기불고기니 자주 해먹었는데 정작 불고기는 조금 오랜만에 해먹었다. 배와 양파를 갈아넣었기 때문에 고기를 구울 때에 바특하지 않고 국물이 조금 자작한데 밥에 올려서 덮밥으로 먹기에 간이나 촉촉함 정도가 알...
    Date2013.08.14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9090
    Read More
  7. 오리백숙, 오리백숙만드는법

    2013/08/12 오리백숙, 오리백숙만드는법 본론에 앞서 오리백숙보다 더 맛있는 오리 소금구이와 주물럭은 아래 링크에 있다. 오리 소금구이, 볶음밥 -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23597&mid=hc10 매콤한 오리 주물럭 -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1...
    Date2013.08.12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Views76992
    Read More
  8. 닭칼국수, 양념장, 닭칼국수만드는법

    사용한 재료는 닭 1마리, 대파, 양파, 마늘, 칼국수, 쪽파 양념장으로 청양고추, 고춧가루, 다진마늘, 간장 먼저 칼국수 양념장. 실제로 만들기로는 닭을 삶으면서 만들었지만 흐름상 먼저 올려본다. 사용한 재료는 청양고추, 고춧가루, 다진마늘, 간장 찬물에 양파, 대파, 마늘을 넣고 끓기 시작하면 ...
    Date2013.08.09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Views45985
    Read More
  9. 호박볶음, 호박새우젓볶음

    2013/08/03 호박볶음, 호박새우젓볶음 호박을 평소에 거의 안먹는 편이지만 여름에 나는 달고 부드러운 여름호박은 전으로 부치거나 볶아서 먹으면 그건 좀 맛이 좋다. 씨를 빼고 나박썰어서 새우젓과 마늘에 볶으면 달콤하고 보드라우면서 촉촉한 맛이 있다. 사용한 재료는 여름호박, 소금, 새우젓, 마...
    Date2013.08.03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5729
    Read More
  10. LA갈비, 갈비구이, 갈비구이양념, 갈비덮밥

    이론적으로는 고기에 양념장이 속까지 충분히 스며든다는 전제하에, 조리과정 중 양념장이 팬에 많이 딸려들어가 졸여져서 고기에 배이도록 하는 경우는 제외하고. 고기를 재우는 양념장의 염도에 따라 고기가 짜게 될 수는 있어도 양념장의 염도가 일정하다면 양념장의 양이 아무리 많다고 해서 고기가...
    Date2013.07.31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9620
    Read More
  11. 꼬막무침

    2013/07/27 꼬막무침 꼬막에 소금물에 넣어 뚜껑을 덮은 다음 하룻밤동안 냉장고에 두고 해감한 다음 자갈 씻듯이 바락바락 씻었다. 꼬막이 살짝 잠기도록 물을 붓고 센불로 팔팔 끓이는데 너무 질겨지지 않게 끓고나서 3분정도 끓였다. 3분도 조금 길기는한데 싱싱한 꼬막은 살짝만 익히는 것이 더 부...
    Date2013.07.27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5237
    Read More
  12. 소고기 강된장, 호박잎쌈

    2013/07/27 소고기 강된장 호박잎은 데쳐서 호박잎쌈으로 만들었고 거기에는 당연히 강된장이 딱이라 오랜만에 강된장을 만들었다. 강된장을 떠먹을만한 국물이 없을 정도로 다글다글 끓여서 밥에 비벼먹거나 쌈에 곁들여 먹으면 요즘 같은 계절에 보양식 못지 않게 입맛이 도는 맛있는 밥상이 된다. 사...
    Date2013.07.27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4962
    Read More
  13. 닭죽

    2013/07/23 삼계탕이 이어 닭죽. 삼계탕은 한마리씩 그릇에 담아 살을 발라 먹는 맛이 있다면 닭죽은 백숙을 끓여 닭은 건지고 육수에 불린 찹쌀을 넣어 죽으로 만들고, 살만 발라낸 닭과 채소를 넣고 만들어서 먹기도 편하고 부드럽게 찰진 맛이 있다. 사용한 재료는 2~3인분으로 삼계탕용 영계 2마리,...
    Date2013.07.23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Views4422
    Read More
  14. 삼계탕

    삼계-탕蔘鷄湯 : 어린 햇닭의 내장을 빼고 인삼, 대추, 찹쌀 따위를 넣어서 고아 만드는 보양 음식. 삼복에 보신이 되고 원기를 돕는다. - 네이버 국어사전 삼계탕이라는 음식이 제철이 있는 채소나 해산물로 만드는 것도 아니고 연중 어느 때나 쉽게 먹을 수 있고, 만들 수 있지만 삼복인 초복, 중복, ...
    Date2013.07.22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4787
    Read More
  15. 오므라이스, 오므라이스 소스

    2013/07/20 오므라이스, 오므라이스 소스 미리 소스만 만들어 둔다면 볶음밥이나 오므라이스나 거기서 가기긴 한데 어쨌든 볶음밥보다 계란과 소스가 보기 좋게 추가되었다는 이유로 더 맛있게 느껴지는 오므라이스. 소스는 먼저 만들어 두는 것이 편하다. 돈가스소스나 함박스테이크소스 , 오므라이스 ...
    Date2013.07.20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Views16083
    Read More
  16. 바지락된장찌개

    2013/07/19 바지락된장찌개 생각없이 재료를 사두고 이걸로 뭘할까 고민하면서 괴로워 하는 것이 취미라 바지락을 한봉투 사두고 순두부찌개? 된장찌개? 미역국? 칼국수? 봉골레? 클램차우더? 하다가 음식솜씨도 대단하시고 식당도 오래 하신 안사장어른께서 직접 만들어 주신 된장을 아직 한번도 쓰지 ...
    Date2013.07.19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4831
    Read More
  17. 두부조림

    2013/07/18 두부조림 두부조림은 팬에 노릇노릇 지져서 진하게 우려낸 멸치육수와 양념을 넣고 자작하게 조렸다. 두부조림이야 대충 만들면 되니까 그까이꺼 물기를 충분히 뺀 두부에 소금간 약간 하고 기름 두른 팬에 노릇노릇. 자작하게 육수 붓고 고춧가루 간장 물엿 마늘 대파 대충 던져넣고.. 간이...
    Date2013.07.18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5104
    Read More
  18. 마늘종장아찌, 마늘쫑장아찌만드는법

    2013/07/18 마늘종장아찌, 마늘쫑장아찌만드는법 열흘정도 식촛물에 노랗게 삭혀서 식촛물의 물기를 뺀 다음 고추장을 베이스로 한 양념을 무쳐서 만들었다. 사용한 재료는 마늘종, 식촛물, 고추장, 물엿, 다진마늘, 참기름, 깨소금 마늘종은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서 식촛물에 담가 두는데 식촛물은 물...
    Date2013.07.18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12881
    Read More
  19. 소고기샐러드 + 오리엔탈드레싱

    2013/07/17 소고기샐러드 + 오리엔탈드레싱 오리엔탈드레싱에 잘 어울리는 소고기샐러드. 샤브샤브용 소고기를 구워서 샐러드채소 위에 얹은 다음 오리엔탈드레싱과 함께 먹었다. 차돌박이나 스테이크등 구워서 먹기에 좋은 부위라면 다 잘 어울린다. 이 드레싱에 타이피쉬소스를 넣으면 타이식의 비프...
    Date2013.07.17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5935
    Read More
  20. 차돌박이 숙주볶음 + 오리엔탈드레싱

    2013/07/16 차돌박이 숙주볶음 + 오리엔탈드레싱 앞서 올린 오리엔탈 드레싱만 있다면 굉장히 만들기 쉬우면서 다른 반찬 필요없이 밥만 조금 곁들여서 한끼 식사로 훌륭한 차돌박이 숙주볶음 (+오리엔탈 드레싱) 아주 예전에 서핑하다가 차돌박이숙주찜이라는 제목만 보고 지나친 적이 있었는데, 어디...
    Date2013.07.16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761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2 53 54 55 56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