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부추전 만들기, 정구지찌짐

 

 

 

 

크기변환_DSC01198.JPG

 

 

 

사용한 재료는

부침가루 약 3컵

멸치육수 약 3컵 + 되직하기 보고 추가

육수가 모자랄 때 쓸 생수 약간

 

 

부추와 쪽파 약 1단(취향에 따라)

감자 큰 것 1개

당근 반개

청양고추 약 10개

깐 홍합 약 400그램

 

 

 

 

 

 

 

1단이라고는 했지만 반죽의 양과 부재료의 양을 눈으로 봐가면서 만들어서 정확하지는 않다.

잘게 채썬 감자, 양파, 당근을 넣어서 달큰하고 쫀득한 맛을 살리면서도 청양고추와 홍고추를 넣어서 심심하지 않고 칼칼하게 했다.

 

 

 

 

 

디포리, 표고, 다시마, 무, 황태, 대파로 진하게 육수를 우려내고 체에 거른 다음 윗물만 살살 따라 찌꺼기를 버렸다.

전날 만들어서 냉장고에 넣고 차게 보관했다.

이번에는 육수에 가쓰오부시도 한 줌 넣었다.

 

 

크기변환_DSC09262.JPG      크기변환_DSC01174.JPG

 

 

 

깐홍합은 사오자마자 수염을 떼고 씻어서 냉장고에 넣어두었다.

 

 

 

 

양념장을 먼저 만들었다. 정해진 분량은 없고 채소의 양에 따라 간장과 참기름을 붓는데

그릇에 잘게 썬 쪽파를 넉넉하게 넣고, 다진마늘, 다진 고추, 고춧가루를 넣고 참기름을 먼저 약간 부은 다음 간장을 다른 재료가 잠기지 않고 살짝 보일 정도로 뻑뻑하게 만들었다.

참기름을 먼저 부어야 간장의 양을 가늠하기가 쉽다. 깨도 약간..

 


 

크기변환_DSC00759.JPG     크기변환_DSC00760.JPG


크기변환_DSC00761.JPG     크기변환_DSC00767.JPG

 

 


 

 

 

 

부추는 찬물에 담가 흔들어 씻고 사이사이를 헹군 다음 잎 끝을 하나하나 깔끔하게 다듬었는데 부추 다듬는 일이 가장 빡쳤다.

 

 

크기변환_DSC01507.JPG    크기변환_DSC01176.JPG

 

 

 

 

 

 

감자와 당근은 두꺼우면 천천히 익으니까 신경써서 아주 얇게 채썰었다.

 

 

크기변환_DSC01164.JPG    크기변환_DSC01165.JPG

 

크기변환_DSC01159.JPG    크기변환_DSC01160.JPG

 

크기변환_DSC01161.JPG     크기변환_DSC01162.JPG    

 

 

 청양고추는 비닐장갑을 끼고 씨를 뺀다음 잘게 썰었다.

 

 

 

 

 

 

멸치육수에 생수를 부어서 간을 맞추고 반죽의 양도 조절했다. 얼음을 몇 개 넣고 반죽을 차게 만들었다.

찬물이나 차가운 육수로 반죽하고, 밀가루는 날가루가 없을 정도로 가볍게 치면 찌짐반죽에 글루텐이 덜 생성되어서 바삭하게  되니까
두가지 조건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만들었다.

반죽은 살짝 묽은 스프 느낌이 나도록 주르륵 흐르게 농도를 맞춰서, 되직한 느낌이 전혀 없도록 해서 얇고 바삭하게 부칠 수 있도록 농도를 조절했다.

 

 크기변환_DSC01172.JPG     크기변환_DSC01173.JPG


 

 

 

​부추는 대충 4~5등분 해서 반죽에 넣고 나머지 재료도 다 털어넣었다.
 
 
 

크기변환_DSC01175.JPG     크기변환_DSC01177.JPG

 

크기변환_DSC01182.JPG     크기변환_DSC01180.JPG

 

 

 

반죽의 양은 채소에 전체적으로 반죽이 묻고, 반죽이 묻은 채소 전체를 들어봐서 바닥이 약간 보일정도로 반죽이 남으면 끝까지 딱 떨어진다. 

반죽의 양이 좀 모자란가 싶기도 했는데 남는 것 보다는 나으니까 모자라도 그냥 부쳤더니 마지막에 거의 딱 맞았다.

 

 

 

 

 

 

 

기름은 살짝 넉넉하게 붓고 팬을 달군 다음 찌짐을 구울 때에는 채소를 먼저 집게로 덜어서 얇게 펴고 모자란 부분만 바닥에 고인 반죽을 떠서 채우는 정도로 메웠다.
그리고 앞뒤로 바삭하게 지져냈다.


 

크기변환_DSC01183.JPG    크기변환_DSC01193.JPG


크기변환_DSC01187.JPG    크기변환_DSC01189.JPG

 


 

하나 부쳐서 부치자마자 젓가락으로 대충 찢어서 양념장을 곁들여 먹었다.

 

 

그리고 계속 구워나갔다.

 


크기변환_DSC01194.JPG     크기변환_DSC01196.JPG

 

 

 

 


 

크기변환_DSC01197.JPG


 

크기변환_DSC01198.JPG

 

 

 

 

육수로 반죽해서 심심하지 않은 맛에 고추도 넉넉하게 넣어서 칼칼하고 부추와 채소도 겉은 바삭하고 속은 부드럽게 잘 익었다.

역시 부추전에는 홍합이라 홍합의 맛과 향이 잘 어울렸다.

 

 

남은 반죽도 전부 부쳐서 식힌 다음 다음날 먹었는데 식어도 맛있고 팬에 기름 없이 다시 구워먹어도 맛있었다.

 

 

 

 

  • 뽁이 2015.05.29 00:33
    우오오오오 찌짐디비는 녀자(?) 윤정님 ~~~ 히히
    얼마전에 안그래도 고향친구들 ? 이랑 만났는데
    다들 마마막 두꺼운 해물파전보다 ...
    집에서 엄마가 해준거 같은 얄쌍한 정구지찌짐이좋다고 ㅋㅋㅋㅋ
    가격이 반밖에 안하는 정구지찌짐을 엄청 시켜서 먹었네요
    대신 두배보다 더 많이 시켜먹은 듯 ?
    캬 땡초 잘라 넣거나 아님 땡초랑 양파랑 있는 간장에
    찍어서 먹으면 최고인데 ㅜㅜㅜ
  • 이윤정 2015.05.29 23:58
    진짜 엄마께서 이렇게 해주셨다보니 나이 먹고도 이런게 좋은가봐요ㅎㅎㅎ
    정구지찌짐이 가격이 반이라면 파전 안먹고 정구지찌짐 먹을래요! 정구지 다듬는 거 정말 귀찮아요ㅠㅠ
    아 그러게 땡초 양파 간장을 곁들였어야 하는데 말입니다!
  • 레드지아 2015.05.29 14:46
    [부추 다듬는 일이 가장 빡쳤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완전 공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윤정님도 이런 단어를 쓰시는구나...ㅋㅋㅋ 저만 쓰는줄 알았어요 ㅋㅋㅋ
  • 이윤정 2015.05.29 23:59
    진짜 물에 담가 흔들어 몇번을 씻고도 또 골라냈는지 모르겠어요. 그날 신선한 걸 사와서 바로 만들었는데도 말입니다ㅠㅠ
    빡치다는 말 밖에는 어울리는 단어가 없었어요ㅎㅎㅎㅎ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04 고기 돼지갈비구이, 돼지갈비양념 2020년 버전 링크 https://homecuisine.co.kr/hc10/93452 갈비는 구이용으로 손질된 것을 사왔다. 양념은 배 반개 양파 반개 마늘 6개 대파 1대를 갈아서 약 400... 10 file 이윤정 2015.04.16 15316
903 한접시, 일품 녹두빈대떡, 빈대떡 만들기 녹두빈대떡 6~7장 분량 녹두 500그램 물 3스푼 (불린 녹두에 남은 물 양에 따라 물 조절) 찹쌀가루 2~3스푼 다진 돼지고기 200그램, 소금 숙주 250그램 김치 2줌 ... 11 file 이윤정 2015.04.17 7967
902 밥류 닭죽 닭죽 아버지한테 토종닭을 받아왔다. 농축산물 시장에 갔더니 백숙하면 좋겠다싶어서 사서는 딸내미 챙겨주셨는데 닭죽이 먹기 편해서 죽으로 만들었다. 약 3인분... 4 file 이윤정 2015.04.23 5046
901 고기 등갈비 김치찜 등갈비 김치찜 간단하게 김치, 등갈비로 푹 끓여내기만 하면 되니까 편하고 맛있다. 사용한 재료는 멸치육수 약 1리터 김치 4분의 1포기 김치국물 1~2국자 등갈비... 4 file 이윤정 2015.04.25 6741
900 한접시, 일품 밀떡볶이, 김말이튀김, 고추튀김, 야채튀김 밀떡볶이, 김말이튀김, 고추튀김, 야채튀김 김말이가 먹고 싶다고 해서 그러지 뭐 하고 떡볶이에 튀김을 또 만들었다. 귀찮... 다른 지역에서는 김말이에 당면을 ... 6 file 이윤정 2015.04.25 26338
899 고기 등갈비강정 등갈비강정 사용한 재료는 등갈비 약 800그램 삶을 때 쓸 채소로 대파, 마늘, 후추, 월계수잎 튀김기름, 감자전분 소스로 양파 4분의1개 물 3스푼 간장 3스푼 물... 8 file 이윤정 2015.04.30 6723
898 고기 소갈비찜, 갈비찜 만드는 법 소갈비찜, 갈비찜 만드는 법 갈비찜은 보통 뼈가 있는 갈비로 만드는데 갈빗살로 하면 핏물을 빼지 않고 핏물만 닦아내고 만들면 되고, 먹기도 편하지 싶어서 갈... 4 file 이윤정 2015.05.04 14206
897 한그릇, 면 김치말이국수, 냉국수 김치말이국수 멸치육수에 김치국물과 식초로 맛을 맞춘 육수에 김치볶음, 오뎅, 계란지단, 오이, 단무지를 고명으로 올리고 양념장과 김을 얹어서 김치말이국수를... 10 file 이윤정 2015.05.05 12446
896 밥류 닭야채철판볶음밥 닭야채철판볶음밥 늘 만드는 똑같은 닭갈비 양념으로 또 닭야채철판볶음밥 이미 몇번이나 올린 양념장은 이전 내용을 복사했다. 양념장에 사용한 재료는 그램 단... 4 file 이윤정 2015.05.14 34074
895 밥류 충무김밥 충무김밥, 오징어무침, 오뎅무침, 무김치 전에 올린 충무김밥과 거의 비슷한 충무김밥. 사용한 재료는 먼저 무침 양념으로(계량스푼 사용) 홍고추 간 것3개 고춧... 9 file 이윤정 2015.05.14 6976
894 한접시, 일품 닭강정 닭강정, 후라이드 치킨 만들기 닭강정이라고 생각하고 만들어서 제목이 닭강정이긴 한데 소스는 닭강정이고 튀김은 그냥 후라이드 치킨이었다. 치킨은 여러번 만... 6 file 이윤정 2015.05.15 9537
893 한접시, 일품 오리소금구이 오리소금구이, 소금구이양념, 오리 소금구이 만드는 법 평소에 조미료를 따로 쓸 일은 없지만 사먹는 것과 비슷한 맛을 내려면 조미료가 있어야 한다. 조미료 없... 6 file 이윤정 2015.05.17 8583
892 한그릇, 면 비빔양념장, 쫄면, 비빔국수 비빔양념장, 쫄면, 비빔국수 비빔양념장 약 10인분 사과 간 것 150그램 마늘 30그램 간장 30그램 물엿+매실액 200그램 식초 90그램 고운고춧가루 90그램 고추장 9... 12 file 이윤정 2015.05.20 13353
891 국 찌개 돼지고기 두부찌개 돼지고기 두부찌개 돼지고기에 양념을 해서 육수를 넣어 팔팔 끓이고 두부를 넣어서 칼칼하게 먹는 돼지고기 두부찌개. 남편이 학생 때 아르바이트하며 자주 주문... 10 file 이윤정 2015.05.21 12938
» 한접시, 일품 부추전 만들기, 정구지찌짐 부추전 만들기, 정구지찌짐 사용한 재료는 부침가루 약 3컵 멸치육수 약 3컵 + 되직하기 보고 추가 육수가 모자랄 때 쓸 생수 약간 부추와 쪽파 약 1단(취향에 따... 4 file 이윤정 2015.05.29 16832
889 고기 돼지갈비 김치찜 돼지갈비 김치찜 김치찌개를 할까 하고 찌갯거리를 사러 갔다가 찌개나 갈비나 만드는 건 거기서 거기니까 싶어서 또 갈비를 사왔다. 신선한 고기에 잘 익은 김치... 6 file 이윤정 2015.06.06 10014
888 한접시, 일품 오리엔탈드레싱, 차돌박이숙주볶음 오리엔탈드레싱, 차돌박이숙주볶음 먼저 오리엔탈 드레싱. 재작년에 올린 오리엔탈드레싱과 거의 똑같다. 오리엔탈 드레싱은 늘 이렇게 만들고 있어서 다를 것은 ... 11 file 이윤정 2015.06.07 7990
887 한접시, 일품 순대볶음 순대볶음 하도 자주 올려서 별로 감흥없는 순대볶음... 늘 만드는 닭갈비 양념장과 고추장을 3:1로 대충 넣어서 만들었다. 순대볶음을 좋아해서 순대가 떨어지면 ... 8 file 이윤정 2015.06.10 6854
886 밥류 통마늘 볶음밥, 된장찌개 통마늘 볶음밥, 베이컨 마늘 아스파라거스 볶음밥, 된장찌개 올해 들어 햇마늘을 두번 샀는데 그 중에 하나는 마늘이 동글동글하면서도 꽤 작아서 통마늘로 볶음... 4 file 이윤정 2015.06.16 7739
885 일상 일상밥상, 2015.06.20 블로그에서도 전에 올린 적이 있거나 너무 일상식이라서 따로따로 포스팅 할 것 까지는 없고 그냥 밀린 일기쓰듯이 줄줄 이어서 포스팅을 했는데 이번에는 꽤 오... 12 file 이윤정 2015.06.20 7211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