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부추전 만들기, 정구지찌짐

 

 

 

 

크기변환_DSC01198.JPG

 

 

 

사용한 재료는

부침가루 약 3컵

멸치육수 약 3컵 + 되직하기 보고 추가

육수가 모자랄 때 쓸 생수 약간

 

 

부추와 쪽파 약 1단(취향에 따라)

감자 큰 것 1개

당근 반개

청양고추 약 10개

깐 홍합 약 400그램

 

 

 

 

 

 

 

1단이라고는 했지만 반죽의 양과 부재료의 양을 눈으로 봐가면서 만들어서 정확하지는 않다.

잘게 채썬 감자, 양파, 당근을 넣어서 달큰하고 쫀득한 맛을 살리면서도 청양고추와 홍고추를 넣어서 심심하지 않고 칼칼하게 했다.

 

 

 

 

 

디포리, 표고, 다시마, 무, 황태, 대파로 진하게 육수를 우려내고 체에 거른 다음 윗물만 살살 따라 찌꺼기를 버렸다.

전날 만들어서 냉장고에 넣고 차게 보관했다.

이번에는 육수에 가쓰오부시도 한 줌 넣었다.

 

 

크기변환_DSC09262.JPG      크기변환_DSC01174.JPG

 

 

 

깐홍합은 사오자마자 수염을 떼고 씻어서 냉장고에 넣어두었다.

 

 

 

 

양념장을 먼저 만들었다. 정해진 분량은 없고 채소의 양에 따라 간장과 참기름을 붓는데

그릇에 잘게 썬 쪽파를 넉넉하게 넣고, 다진마늘, 다진 고추, 고춧가루를 넣고 참기름을 먼저 약간 부은 다음 간장을 다른 재료가 잠기지 않고 살짝 보일 정도로 뻑뻑하게 만들었다.

참기름을 먼저 부어야 간장의 양을 가늠하기가 쉽다. 깨도 약간..

 


 

크기변환_DSC00759.JPG     크기변환_DSC00760.JPG


크기변환_DSC00761.JPG     크기변환_DSC00767.JPG

 

 


 

 

 

 

부추는 찬물에 담가 흔들어 씻고 사이사이를 헹군 다음 잎 끝을 하나하나 깔끔하게 다듬었는데 부추 다듬는 일이 가장 빡쳤다.

 

 

크기변환_DSC01507.JPG    크기변환_DSC01176.JPG

 

 

 

 

 

 

감자와 당근은 두꺼우면 천천히 익으니까 신경써서 아주 얇게 채썰었다.

 

 

크기변환_DSC01164.JPG    크기변환_DSC01165.JPG

 

크기변환_DSC01159.JPG    크기변환_DSC01160.JPG

 

크기변환_DSC01161.JPG     크기변환_DSC01162.JPG    

 

 

 청양고추는 비닐장갑을 끼고 씨를 뺀다음 잘게 썰었다.

 

 

 

 

 

 

멸치육수에 생수를 부어서 간을 맞추고 반죽의 양도 조절했다. 얼음을 몇 개 넣고 반죽을 차게 만들었다.

찬물이나 차가운 육수로 반죽하고, 밀가루는 날가루가 없을 정도로 가볍게 치면 찌짐반죽에 글루텐이 덜 생성되어서 바삭하게  되니까
두가지 조건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만들었다.

반죽은 살짝 묽은 스프 느낌이 나도록 주르륵 흐르게 농도를 맞춰서, 되직한 느낌이 전혀 없도록 해서 얇고 바삭하게 부칠 수 있도록 농도를 조절했다.

 

 크기변환_DSC01172.JPG     크기변환_DSC01173.JPG


 

 

 

​부추는 대충 4~5등분 해서 반죽에 넣고 나머지 재료도 다 털어넣었다.
 
 
 

크기변환_DSC01175.JPG     크기변환_DSC01177.JPG

 

크기변환_DSC01182.JPG     크기변환_DSC01180.JPG

 

 

 

반죽의 양은 채소에 전체적으로 반죽이 묻고, 반죽이 묻은 채소 전체를 들어봐서 바닥이 약간 보일정도로 반죽이 남으면 끝까지 딱 떨어진다. 

반죽의 양이 좀 모자란가 싶기도 했는데 남는 것 보다는 나으니까 모자라도 그냥 부쳤더니 마지막에 거의 딱 맞았다.

 

 

 

 

 

 

 

기름은 살짝 넉넉하게 붓고 팬을 달군 다음 찌짐을 구울 때에는 채소를 먼저 집게로 덜어서 얇게 펴고 모자란 부분만 바닥에 고인 반죽을 떠서 채우는 정도로 메웠다.
그리고 앞뒤로 바삭하게 지져냈다.


 

크기변환_DSC01183.JPG    크기변환_DSC01193.JPG


크기변환_DSC01187.JPG    크기변환_DSC01189.JPG

 


 

하나 부쳐서 부치자마자 젓가락으로 대충 찢어서 양념장을 곁들여 먹었다.

 

 

그리고 계속 구워나갔다.

 


크기변환_DSC01194.JPG     크기변환_DSC01196.JPG

 

 

 

 


 

크기변환_DSC01197.JPG


 

크기변환_DSC01198.JPG

 

 

 

 

육수로 반죽해서 심심하지 않은 맛에 고추도 넉넉하게 넣어서 칼칼하고 부추와 채소도 겉은 바삭하고 속은 부드럽게 잘 익었다.

역시 부추전에는 홍합이라 홍합의 맛과 향이 잘 어울렸다.

 

 

남은 반죽도 전부 부쳐서 식힌 다음 다음날 먹었는데 식어도 맛있고 팬에 기름 없이 다시 구워먹어도 맛있었다.

 

 

 

 

  • 뽁이 2015.05.29 00:33
    우오오오오 찌짐디비는 녀자(?) 윤정님 ~~~ 히히
    얼마전에 안그래도 고향친구들 ? 이랑 만났는데
    다들 마마막 두꺼운 해물파전보다 ...
    집에서 엄마가 해준거 같은 얄쌍한 정구지찌짐이좋다고 ㅋㅋㅋㅋ
    가격이 반밖에 안하는 정구지찌짐을 엄청 시켜서 먹었네요
    대신 두배보다 더 많이 시켜먹은 듯 ?
    캬 땡초 잘라 넣거나 아님 땡초랑 양파랑 있는 간장에
    찍어서 먹으면 최고인데 ㅜㅜㅜ
  • 이윤정 2015.05.29 23:58
    진짜 엄마께서 이렇게 해주셨다보니 나이 먹고도 이런게 좋은가봐요ㅎㅎㅎ
    정구지찌짐이 가격이 반이라면 파전 안먹고 정구지찌짐 먹을래요! 정구지 다듬는 거 정말 귀찮아요ㅠㅠ
    아 그러게 땡초 양파 간장을 곁들였어야 하는데 말입니다!
  • 레드지아 2015.05.29 14:46
    [부추 다듬는 일이 가장 빡쳤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완전 공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윤정님도 이런 단어를 쓰시는구나...ㅋㅋㅋ 저만 쓰는줄 알았어요 ㅋㅋㅋ
  • 이윤정 2015.05.29 23:59
    진짜 물에 담가 흔들어 몇번을 씻고도 또 골라냈는지 모르겠어요. 그날 신선한 걸 사와서 바로 만들었는데도 말입니다ㅠㅠ
    빡치다는 말 밖에는 어울리는 단어가 없었어요ㅎㅎㅎㅎ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4 한그릇, 면 감자수제비 감자수제비 날이 추워지니 뜨끈한 국물도 땡기고 해서 감자수제비를 만들었다. 수제비반죽은 약 4인분으로 찰밀가루 360그램 강력분 40그램 감자전분 100그램 소... 6 file 이윤정 2015.10.20 11251
303 밥류 갈비살 덮밥, 갈비구이 덮밥 구워먹기 좋은 갈빗살을 양념하고 굽고 남은 양념은 졸여서 곁들이는 덮밥을 만들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질기지 않고 딱 좋게 구워먹기 적당한, 질 좋은 갈빗살... 8 file 이윤정 2015.10.14 10940
302 한접시, 일품 김치전 만들기 요즘 이유를 모르겠는데 김치두루치기, 김치찜, 김치국, 김치찌개, 김치전을 자꾸 해먹고 있다.. 그것도 각각 최소 한 번에서 최대 서너번씩 하고 있는데 지금 생... 4 file 이윤정 2015.10.09 10933
301 김치, 장아찌, 무침 쌈무만들기, 만드는법 쌈무 쌈무는 치킨무와 완전히 같은 재료로 무를 얇게 써는 것만 다르다. 치킨무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26681&mid=hc10 물없이 설탕... file 이윤정 2015.10.08 13087
300 국 찌개 우거지 김치국 우거지 김치국 평소에 김치는 찌개나 찜으로 진하게 먹었는데 오랜만에 얼큰한 김치국물이 땡겨서 돼지고기와 육수, 김치, 우거지로 우거지 김치국을 끓였다. 사... 9 file 이윤정 2015.10.05 5893
299 고기 등갈비 김치찜 등갈비 김치찜 등갈비를 2키로 주문했는데 통으로 올 줄 알았더니 한대씩 썰어서 배송받았다. 폭립을 만들려고 주문한 건데 김빠져서 그냥 냅다 김치찜. 등갈비가... 6 file 이윤정 2015.10.04 7883
298 반찬 소세지 야채볶음 소세지 야채볶음 소세지 야채볶음은 블로그 때 일상포스팅으로 대충대충 먹는 식사사진과 함께 올린 것 말고는 따로 올린 것이 없고 무려 2012년 포스팅이 가장 ... 5 file 이윤정 2015.10.04 8011
297 한그릇, 면 라볶이, 레시피, 만들기 라볶이 소스가 꾸덕꾸덕한 떡볶이를 자주 만들었고 올렸는데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24086&mid=hc10 보통은 떡볶이가 남으면 라면사리... 4 file 이윤정 2015.10.01 10899
296 고기 오리 소금구이 오리 소금구이 준비하기도 간단하고 먹고 나면 늘 만족도도 높아서 1달에 1번은 꼬박꼬박 먹고 있는 오리소금구이. 이마트트레이더스에서 1.4키로 오리슬라이스를... 6 file 이윤정 2015.10.01 5193
295 한접시, 일품 잡채, 만드는법, 레시피 잡채 어지간히도 여러번 올린 잡채. 늘 만들듯이 만들고 있는데 추석 전이라 추석느낌으로 올려본다. 분량은 둘이서 반찬으로 서너끼에 나눠먹을 정도였다. 시금... 7 file 이윤정 2015.09.25 10757
294 고기 LA갈비 갈비찜, 갈비찜 만드는법, 레시피 LA갈비 갈비찜 이전에 갈비살로 만들었던 갈비찜과 거의 똑같아서 내용도 비슷하다. 전에는 같은 양념분량에 갈빗살을 1.5키로로 만들었는데 이번에는 뼈를 버릴 ... 4 file 이윤정 2015.09.24 25082
293 한접시, 일품 가지새우냉채, 양장피 가지냉채 가지새우냉채 가지와 새우, 오이, 계란지단에 마늘간장소스로 만드는 가지새우냉채. 가지 굽는 것이 약간 귀찮긴 해도 달달하니 좋고 전체적인 조합이 마음에 들... 2 file 이윤정 2015.09.22 6995
292 한그릇, 면 비빔국수, 양념장 만들기 비빔국수 9월 중순이라 선선한데도 계절이 더 바뀌기 전에 비빔국수나 먹을까 싶었다. 양념장은 사과와 양파를 넉넉하게 갈아서 넣고 이번에는 국수를 건면이 아... 4 file 이윤정 2015.09.18 24589
291 고기 파불고기, 만드는법, 레시피 파불고기 보통 고깃집에서 먹는 파불고기는 돼지불고기를 미리 초벌로 연탄불 등에 익혀서 파를 듬뿍 얹어서 한 번 더 익혀먹는데 집이니까 연탄은 패스하고 대신... 8 file 이윤정 2015.09.15 13254
290 국 찌개 시래기 된장국, 우거지 된장국, 시래기국 시락국 만들기 레시피 배추의 푸른 겉잎을 말린 것이 우거지이고 무청을 말린 것이 시래기이지만 우리집에서는 배추우거지로 끓인 국을 늘 시래기국(시래깃국이지만..)이라고 불렀다. ... 6 file 이윤정 2015.09.14 26748
289 전골 탕 감자탕, 만드는법, 레시피, 재료 감자탕, 만드는법, 레시피, 재료 덥다고 아무리 이야기해도 여름은 때가 되면 끝나고 춥다고 아무리 이갸기 해도 때가 되면 겨울이 끝나더니 이번에도 역시 더위... 10 file 이윤정 2015.09.12 17871
288 반찬 대파 치즈 계란말이 대파 치즈 계란말이 계란말이는 늘 일상반찬을 모아놓은 게시글에 함께 올리곤 해서 따로 올린 적이 무려 2012년 일이었다. 그만큼 딱히 따로 올릴 내용이 없기 ... 4 file 이윤정 2015.09.10 9354
287 한접시, 일품 떡볶이 최근 버전 - https://homecuisine.co.kr/hc10/86247 떡볶이 소스는 고춧가루를 오랫동안 끓이면 나오는 성분과 고추장의 곡물에서 나오는 전분, 떡의 겉면에 있는... 7 file 이윤정 2015.09.08 8793
286 고기 콩나물 불고기, 콩불, 제육볶음 콩나물 불고기, 콩불, 제육볶음 콩나물은 데쳐서 따로 볶고 제육볶음은 미리 만들어 둔 닭갈비양념과 고추장으로 양념해서 따로 볶았다. 최대한 수분이 생기지 않... 6 file 이윤정 2015.09.07 8554
285 일상 볼로네즈, 닭갈비 자주 올린 음식들이라 따로 올릴 것도 없고 일상 카테고리로 묶었다. (부대찌개와 스키야키도 같이 올렸었는데 새로 올린 글로 이동했다.) 라구소스 소고기 다짐... 4 file 이윤정 2015.09.05 7801
Board Pagination Prev 1 ... 41 42 43 44 45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