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2013/05/02

설렁탕만드는법, 사골국끓이는법

 

 

 

 

크기변환_DSC04389.JPG

 

 

 

 

한우 사골과 잡뼈로 만든 사골국.

 

5월인데도 밖에는 자주 나가지 않으니 따뜻한지 아닌지도 잘 모르겠다.

아까 밤에 밖에 잠깐 나가니 아직도 약간 쌀쌀하던데 아마 올해 냉동실에 사골국을 넣어 둘 마지막 타이밍 정도 되지 않을까 싶다.

 

 

 

어릴 때부터 곰국이라고 불렀는데 엄마께서 해마다 겨울이면 이삼일씩 오래도록 고아서 몸에 좋다며 해주셨다.

어릴 때는 고기 냄새에 조금 약해서 크게 좋아하지 않았는데 크고 보니 맛도, 어머니의 정성도 알게 됐다.

그리고 조금 커서 보니 설렁탕이라 부르는 것을 알게 되고 나서

남포동에 있는 서울깍두기에서 설렁탕도 많이 먹었고 우리집 식구가 양지탕을 좋아해서 양지탕도 많이 먹었다.

그곳의 설렁탕과 양지탕의 차이는 양지를 삶은 고기고명의 차이 밖에 없어보이긴 했는데..

설렁탕이랑 곰탕이 어떻게 다를까 문득 궁금했다.

그래서 조금 찾아본 아래 내용.

 

 

---------------------------------------------------------------------------------------------------------------------------------------------------------

요즘에는 곰탕과 설렁탕의 구분이 점점 없어지고 있다. 하지만 사용하는 고기 부위와 간을 맞추는 법에서도 차이가 있다.

설렁탕은 사골과 도가니, 양지머리 또는 사태를 넣고, 우설(牛舌), 허파, 지라 등과 잡육을 뼈째 모두 한 솥에 넣고 끓인다. 이에 비하여 곰탕은 소의 내장 중 곱창, 양, 곤자소니 등을 많이 넣고 끓인다. 설렁탕에 허파나 창자를 넣기도 하나 곰탕보다 뼈가 많이 들어가서 국물이 한결 뽀얗다. 곤자소니는 소의 창자 끝에 달린 기름기 많은 부분이고, 도가니는 무릎도가니와 소의 볼깃살 두 가지인데 보통 무릎도가니를 말한다. 곰탕은 다시마나 무를 넣어 끓이며, 국물이 진하고 기름지다. 또 설렁탕은 먹는 사람이 소금과 파를 넣고 간을 맞추어 먹지만, 곰탕은 국을 끓일 때 간장(진간장)으로 간을 맞추어서 낸다. 하지만 요즘은 설렁탕이든 곰탕이든 대부분 먹을 때 소금으로 간을 맞추어 먹는다.

설렁탕은 선농단에서 끓여 선농탕이라 하다가 나중에 음운이 바뀌어 설렁탕이 되었다고도 하며, 설농탕(雪農湯)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국물 색깔이 눈처럼 흰색이라 나중에 붙여진 듯하다. 설렁탕이라는 음식 이름이 처음 나온 문헌은 『조선요리학』(1940년)이고, 만드는 법에 대해서는 옛날 책에는 전혀 나오지 않는다.

곰탕은 곰국이라고도 하는데, 1800년대 말의 『시의전서』에 처음 나온다. 이 책에 나오는 ‘고음국(膏飮(고음))’은 “큰 솥에 물을 많이 붓고 다리뼈, 사태, 도가니, 홀때기, 꼬리, 양, 곤자소니, 전복, 해삼을 넣고 은근한 불로 푹 고아야 국물이 진하고 뽀얗다”고 하였다. 이후의 음식책에도 모두 ‘곰국’으로 나오며 일반 가정에서도 곰탕보다는 곰국이라는 말을 더 많이 썼다.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의 ‘곰국’은 “고기를 데친 쇠족, 꼬리털, 무를 통으로 넣어 곤 후 꺼내어 네모지게 썰어 진장 간을 하고, 고기는 육개장같이 썰어 장, 기름, 후춧가루, 깨소금을 쳐서 한참 주무른 후에 먹을 때 고기를 넣어 먹는다”고 하였다. - 우리가 정말 알아야할 백가지 음식, 한복진

---------------------------------------------------------------------------------------------------------------------------------------------------------

 

 

 

 

 

이번에 만든 국은 내장없이 사골과 잡뼈를 넣었으니 설렁탕이라 할 만하겠다. .

사골을 고를 때에는 붉은색 얼룩이 선명한 것이 좋다.

 

 

 

 

 

사골은 엄마께서 늘 말씀하시는 방법대로 하지만 그래도 조금 더 정확하게 하려고 찾아본 바에 의하면

 

 

 

 

 

---------------------------------------------------------------------------------------------------------------------------------------------------------

1, 전통적으로 가정에서 보양식으로 많이 애용되고 있는 탕류를 만드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사골을 우려내는 방법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 및 소비자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 한우사골을 4회(1회당 6시간)에 걸쳐 우려내어 가장 적정한 회수를 파악하고자 회수별로 우려낸 국물을 비교 분석하였습니다.

2,  한우 사골을 우려내는 회수별(총 4회/1회당 6시간)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우려낸 국물의 탁한 정도를 평가하는 탁도는 2번째(1.30%) 우려낸 이후 탁도가 급격히 낮아졌고, 점도는 2번째(8.57CP)까지 높아지다가 3번째(6.26CP)부터 낮아졌다. 단백질의 일종인 콜라겐은 3번째(36.33mg/100ml)까지 증가하다가 줄어들었고 영양분도 회수 가 많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번 끓이는 것이 적당하며 1,2번째 끓인 것과 3번째 끓인 것을 혼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련주제축산관련법령민원사무처리에 관한 법률제15조(처리결과의 통지)작성부서농촌진흥청 농촌지원국 식량축산과|1544-8572

 

 

아래는 뉴스에 나온 내용으로

 

농촌진흥청 관계자

"이 붉은 색 경계가 뚜렷한 것이 좋습니다. (나쁜 사골은) 붉은 색 얼룩이 거의 없습니다."
한 번 끓일 때, 6시간 정도 우려내는 사골 국물은 피부 재생에 좋은 콜라켄과 칼슘 흡수를 돕는 콘드로이친 황산이 가득합니다. 

조수현/농촌진흥청 축산물이용과 연구사
"너무 많이 우려내면, 인 성분의 용출을 증가시켜서 오히려 칼슘의 흡수를 저해합니다.".

4번 이상 끓일 경우, 연골조직에 함유된 콘드로이친 황산과 칼슘 함량 등이 크게 줄기 때문.

"3번 이상 우려내면 좋은 영양소보다 인의 용출이 많아집니다. 인의 성분은 칼슘의 흡수를 저해하기 때문에"
끓이면서 뜨는 기름을 걷어내면 지방이 1% 대로 줄고 총열량이 저지방 우유 수준까지 내려가 건강식이 될 수 있습니다.
 "(사골을) 잡뼈와 같이 끓이면 국물이 더 뽀얗게 우러나고 영양적으로도 더 많은 성분이 나오기 때문에 더 맛있고 우수한 사골국이 됩니다."

 

열량이 높다고 알려진 사골국은 실제로 저지방우유 수준으로 열량이 낮은 편이다.
농촌진흥청의 영양성분 분석 결과 6시간씩 3회 정도 우려낸 사골을 실온에 식히면 지방함량은 약 3% 수준이다. 저온에서 식히면 위에 떠 있는 지방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데 2~3차례걷어내면 지방 함량이 1% 이하로 낮아진다. 지방을 걷어낸 사골국의 열량은 100㎖ 당 47㎉ 정도에 불과하다. 또 콜라겐과 콘드로이친황산, 칼슘, 마그네슘, 칼륨, 나트륨 및 철분 등 각종 무기물이 고루 함유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콜라겐과 콘드로이틴황산은 피부의 탄력이나 뼈의 성장, 골절 회복, 골다공증 방지 등에 도움이 돼 여성이나 성장기 어린이, 노약자들에게 모두 좋은 성분들이다. 또 한우사골은 단면에 붉은색 얼룩이 선명하고 연골부분이 많이 남아 있으며 뼈와 골수사이에 붉은색 경계가 뚜렷해야 좋다. 사골을 너무 여러 번 우릴 경우 좋은 영양소보다 인 성분이 높아져 오히려 칼슘의 흡수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3회 정도만 우려먹는 것이 좋다.
--------------------------------------------------------------------------------------------------------------------------------------------------------- 

 

 

 

 

 

인터뷰 내용에 3번이상 인지 4번 이상인지 약간 애매하긴 한데 3번까지는 우리는 것이 괜찮겠다고 자체적으로 결론내렸다.

무조건 여러번 국물을 내는 것도 마냥 좋을것 같지 않고 그렇다고 사골국을 1번만 끓일 수도 없고 어느정도까지 끓일지에 대해 모호한 느낌이 있었는데

농촌진흥청에서 발표한 자료를 토대로 이정도로 하면 되겠지 하고 생각했다. 결론 = 6시간씩 3번 우려내기

 

4탕째로 우려낸 국물을 국이나 찌개의 밑국물로 쓰려는 아이디어는 좋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사용한 재료는 사골3키로, 잡뼈2키로, 대파, 마늘, 생강,

 

  

 

뼈는 찬물을 갈아주며 최소 6시간 이상 길게는 24시간까지 핏물을 빼는 것이 좋다.

그리고 깨끗하게 씻은 다음 뜨거운 물을 붓고 15분 정도 팔팔 끓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다시 씻은 다음 찬물을 부어 국물을 우려내기 시작한다.

뼈의 3~5배 정도 되는 물을 넣고 삶으면 좋은데 곰솥이 작아서 2배가 조금 넘는 양을 끓이기 시작해서 뼈가 살짝 잠길 정도가 될 때까지 6시간 이상정도 중불에 끓였다.

첫번째에 국물을 우릴 때에는 고기 냄새를 제거하게 위해서 대파, 마늘, 생강을 넣고 끓였다.

채소는 너무 오래 끓이면 뭉개지고 휘발성의 향도 날아가기 때문에 때문에 1시간정도만 끓이고 건져낸다.

마지막에 고기냄새가 조금 나는 것 같아서 마지막 국물을 우릴 때 월계수잎도 1시간정도 넣었다가 뺐다.

 

 

이렇게 6시간씩 3번 우려내는데 중간중간 보관하고 있던 국물이 식으면 걷어낼 수 있는 기름은 걷어냈다.

마지막에 우려낸 국물이 좀 식으면 뼈는 건져서 버리고 앞의 1,2,3 국물을 다 합친 다음 한번 팔팔 끓이고 식으면 냉장고에 넣어서 기름을 최종적으로 걷어냈다.

국물에 섞여 있는 기름과 뼈조각 살점 등도 다 꼼꼼하게 걸러내고 한팩씩 포장해서 냉동보관했다.

 

 

아.. 마지막에 우려낼 때에 핏물 뺀 사태나 양지를 넣어서 2시간정도 익혀서 식힌다음 고명으로 쓰면 좋다. 이번에는 사태를 사용했다.

젓가락으로 푹 들어갈만큼 부드럽게 익는데 살찍 식혀서 찢거나 냉장고에서 굳힌 다음 썰어서 고명으로 쓰면 좋다.

 

 

 

사골과 잡뼈 해동 후 찬물에 담가 12시간 이상 핏물을 빼준다. 시간적인 여유가 있다면 24시간까지 핏물을 빼면 좋다. 중간중간에 물도 갈아주고..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4101.JPG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4134.JPG


 

 

처음 뼈를 데쳐낼 때에는 끓인 물을 버릴 것이기 때문에 뜨거운 물을 붓고 데쳤다.

뜨거운 물을 넣고 국물이 끓어오르면(=10분이상 소요) 5분정도 삶았다.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4135.JPG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4138.JPG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4142.JPG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4143.JPG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4145.JPG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4146.JPG


 

곰솥과 사골, 잡뼈를 깨끗하게 씻은 다음 뼈가 완전히 잠기고도 훨씬 남을 정도로 곰솥 가득 물을 붓고 국물을 내기 시작했다.

곰솥의 크기가 크다면 뼈 무게의 3배 정도 되는 물을 넣고 끓이면 되는데 6시간정도, 물을 잡은 양에 따라 중불에서 중약불 사이로 끓여냈다.

끓는 도중에 중간중간 확인하면서 두껍게 층진 기름은 국자로 떠내가며 끓였다.

물이 모자라면 중간에 추가해가면서 끓이면 되니까 딱히 분량을 신경쓸 필요는 없으니까 그건 편하다.

시간이 많이 걸려서 중간중간 신경쓰고 있어야 되는 것과 끓는 물과 함께 온 주방으로 튄 기름을 닦는 것이 제일 번거롭다.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4178.JPG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4184.JPG

 

 

 

푹 우려낸 국물은 큰 볼에 따로 담아 식히는데 시간이 늦어서 다음 국물은 다음날 내기로 하고 국물 따로, 뼈 따로 하룻밤 식혔다.

다음날 아침에 보니 날이 춥지는 않아서 기름이 딱딱하게 굳지는 않았지만 어느 정도 걷어낼 수 있도록 굳었다.

기름을 걷은 국물은 냉장고에 넣고 뼈와 곰솥의 기름도 대충 제거한 다음 다시 물을 붓고 2번째 끓이기 시작.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4185.JPG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4234.JPG

 

 

 

 

 

2번째 끓인 국물도 큰 볼에 부어서 따로 식히고 다시 찬물을 부어서 3번째 끓이기 시작.

3번째 끓이는 국에는 국물이 끓는 동안 핏물을 뺀 사태를 함께 넣어서 고명으로 올릴 고기를 삶아냈다.

굳이 3번째일 필요는 없는데 미루다 보니까 3번째까지 밀려나서 이때 같이 익히게 됐다.

건지면서 젓가락으로 힘줘서 드니 젓가락이 푹 들어갈 정도로 푹 익었다.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4221.JPG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4235.JPG


 

3번 우려낸 뼈는 버리고 1,2,3,번 우려낸 국물은 중간중간 기름을 걷어낼만 하면 다 걷은 다음 한곳에 모아 다시 한 번 팔팔 끓였다.

팔팔 끓인 사골국을 냉장고에 넣을 수 있을 정도로 식혔다. 냉장고에 곰솥 넣을 자리 마련 하는 것도 일이긴 한데 나눠 넣으면 좀 나으려나 싶었다.

냉장고 정리를 싹 하고 곰솥을 넣어서 기름을 굳히는데 국물도 겔형태로 같이 굳기는 했다.

그래도 체를 넣어서 휘휘 저어가며 남은 뼈조각이나 잡뼈에 있던 고기, 굳은 기름을 거의 다 걸렀다.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4276.JPG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4278.JPG


 

600그램씩 10팩으로 소포장해서 냉동하고 남은 국은 당장 먹을거라 냉동하지 않았다.

총 8키로정도 나왔다. 곰솥이 조금 더 컸으면 10키로에서 많게는 15키로 까지도 나왔을 것 같다.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4381.JPG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4240.JPG


 

사태는 푹 삶아서 아주 부드럽기 때문에 냉장실에서 굳히지 않으면 이렇게 썰기도 전에 다 부서진다.

썰어둔 사태는 반은 냉동하고 반은 바로 국과 함께 데워서 먹었다. 데우니 젓가락으로 힘만 조금 줘도 푹 갈라졌다.

 

 

국은 딱 먹을 정도의 양만 데우고, 국수 삶고..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4384.JPG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4385.JPG


 

 

국수는 좋아하니까 설렁탕집에 나오는 것보다 많은 양의 국수를 삶았다.

국수는 찬물에 헹군 다음 바로 국에 넣으면 국물과 함께 서로 서로 미지근해져서 뜨끈한 설렁탕의 감동을 느끼기 힘드니까

뜨거운 국물에 두어번 담갔다가 건져서 토렴해준다. 귀찮다고 토렴 안하고 먹었다가 미지근한 게 마음에 안 들어서 국물만 따라내고 다시 데워서 말아 먹은 적도 있다..

 

 

 

 

크기변환_DSC04389.JPG


 

 

 

밥에 고기, 대파, 국수를 얹은 다음 국물을 붓고 소금 후추로 간해서 푹푹 말아 먹었다. 

 

 

 

크기변환_DSC04395.JPG


 

 

 

 

 

크기변환_DSC04397.JPG


 

 

 

깍국, 그러니까 깍두기와 깍두기 국물을 넣어 먹어도 맛있고, 넣지 않고 소금 후추로 간해서 깔끔하게 먹어도 맛있다.

이때는 오랜만에 만든 설렁탕의 진한 맛을 느끼고자 깍두기는 따로 먹었다.

 

 

구수하고 진한 맛의 설렁탕..

 

 

 

사골국이 몸을 보하는 보양식으로 좋다는 것은 모두다 알고 있는 사실인데

최근에 혈중 칼슘 농도를 떨어뜨리는 인의 햠유량과 칼로리때문에 논란이 있었던 것을 봤다.

그렇기 때문에 적정한 수준인 3번 정도만 우려내고, 기름을 꼼꼼하게 걷어서 칼로리는 저지방우유에 가깝게 만드는 것이

고생해서 푹 고아낸 설렁탕을 건강하게 먹는 방법이라고 볼 수 있겠다.

기껏 고생해서 만들었는데 건강에 안좋네 살찌네 하는 소리에 휩쓸리고 싶지가 않다.. 그래서 찾아보고 미리 차단!

 

그리고 딱히 식당이나 업체를 옹호하고 싶은 마음은 없지만 그냥 내 생각을 이야기 하자면..

성분이나 자료를 찾다보니까 불만제로에 나온 내용을 접하게 됐는데,

원산지나 성분표기를 어긴 것이나 분말, 조미료등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하면서 사용하는 것은 당연히 잘 못 된 것이지만

설렁탕에 돼지 유전자가 발견 됐다거나  심지어는 돼지뼈, 닭등을 육수에 넣는 현장을 발견했다고 고발하는 내용이 있었다.

그런데 한국요리해법이라는 책을 참고하자면 돼지고기를 사골 육수에 넣으면 깊은 맛이 난다거나

닭뼈 및 닭발을 생강, 마늘과 함께 삶은 물을 혼합하면 묘한 맛이 난다는 내용이 있는 것을 보았다.

다른 프로그램에서는 비법이라며 모자이크 하고 방송 되고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고발프로그램을 곧이 곧대로 믿는 것도 개인적으로 별로 탐탁치 않아 하는 편이다.

고발프로그램은 좋은 점도 분명히 있지만.. 요즘같이 정보가 과잉된 상태라면 정보는 개인이 걸러서 습득해야 하는거니까...

 

 

물론 내 입맛에는 한우를 우리는 것이 정말 가장 맛있고, 호주산 고기로 국을 끓여봤더니 깜짝 놀라게 맛없어서 다시는 한우가 아닌 고기로는 국물도 내지 않는데

언론에 의해 사골국 자체나, 나쁘지 않은 식당이 호도되고 있는 것이 마음에 안들어서 대충 써봤다.

 

 

 

이런 이야기는 이까지 하고,

고생해서 만들어서 냉동실에 두었더니 마음이 든든하다.

만두국, 떡국에 밑국물로 넣어도 맛있고 2배이상 희석해서 부대찌개나 된장찌개 밑국물로 써도 맛있다.

단배추 데쳐서 된장양념해 냉동해둔 것이 있는데 사골우거지국부터 한 번 만들고 넘어가야겠다.

 

 

 

 

 


  1. 그냥 밥상

    테이블세팅에는 별로 소질이 없어서 대충 차려놓고 밥 먹는 경우가 많은데 그래서 홈페이지에 올릴 생각은 사진 찍을 당시에는 전혀 없었던; 가끔 밥상 기록용으로 찍어둔 밥상사진을 올려본다. 엄마께서 물려주신 그릇이 전부인데 그릇에 욕심도 없고 밥상에 소품은 전혀 없고 밥 반찬 뿐이라 보기에 화려하고 이쁜 맛도 전혀 없고.. 따로 포스팅 할 것 없는 밑반찬이나 이미 올렸던 것 위주라 특별할 것 없는 일상 밥상이다. (각각의 레시피는 이름이나 재료로 검색하면 나옵니다^^) 김장아찌, 보쌈김치, 스팸구이, 장조림, 물김치에 밥은 머슴밥. ...
    Date2017.03.22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4 Views57315 file
    Read More
  2. 배추 김치 (1포기 한포기 기준)

    약 3년간 프리랜서였던 남편이 지난달부터 다시 출근하게 됐다. 집에서 일하느라 편했는데 갑자기 출근하려니 출근하는 사람이 제일 힘들고 출근 시키는 건 그나마 낫지만 편했던 시절만은 못하다. 아침밥과 도시락을 챙기느라 요즘은 바로 만들어 먹는 요리보다는 아침에 훌훌 먹고 나가기 좋은 국이나 샌드위치, 도시락으로 싸가기 좋은 반찬을 만드는데 늘 만드는 국에 반찬이라 그냥 손 가는대로 만들고 있다. 평소 요리로 해먹는 음식이 김치없이 먹을 것이 많아서 김치를 자주는 만들지 않다가 아침에 밥반찬으로 먹거나 도시락반찬으로는 또 ...
    Date2016.11.15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4 Views54516 file
    Read More
  3. 파래무침

    어릴적부터 겨울만 되면 늘 달고 살았고 또 너무도 좋아하는 파래무침. 엄마께서 해주시던 음식 중에 정말 좋아한 것이 꼬막무침, 파래무침, 숙주나물, 꽃게된장찌개인데 그 중에 파래는 겨울에만 먹을 수 있어서 더 각별하다. 늘 친정에가서 먹다가 이번에는 파래무침도 주시고 파래도 또 받아와서 무침을 했다. 보통 파란 파래에 무채를 넣고 초무침으로 하는 경우가 많은데 우리집은 엄마께서 늘 김파래를 사오셔서 살짝 매콤하고 짭짤하게 파래무침을 해먹었다. (경상도식?) 파래무침은 만든 당일(최대 이틀까지) 먹어야 수분이 생기지 않고 가장...
    Date2017.01.02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4 Views54472 file
    Read More
  4. 고추 삭히기, 삭힌 청양고추

    소금물에 고추를 넣어 그대로 1달정도 삭힌 청양고추. 고추는 20%의 소금물에 잠기도록 담가 그대로 실온에 보관하기만 하면 삭힌 고추가 된다. 급할 때에는 소금물을 1번 팔팔 끓여서 거기에 고추를 넣으면 빨리 익는데 급한대로 3일정도 후에는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뜨거운 물로 만든 삭힌 고추는 오래보관할 용도가 아니라서 딱 사용할만큼만 만들어 쓰면 적당하다. 고추는 깨끗하게 씻어서 꼭지를 짧게 깎은 다음 꼭지를 덮은 부분을 떼어내고 완전히 말려서 준비했다. 고추에 생수를 붓고 생수를 부은 무게의 4분의1만큼 소금을 넣으면 딱 20...
    Date2016.07.09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0 Views52882 file
    Read More
  5. 닭야채볶음밥, 베이컨김치볶음밥, 마늘스팸볶음밥, 훈제오리볶음밥, 파프리카김밥, 아보카도김밥, 진미채김밥

    평소에 자주 만들어 먹는 볶음밥과 김밥을 모았다. 그냥 일기. 닭야채철판볶음밥 늘 만들어 두는 닭갈비 양념으로 만들었다. 닭갈비양념 - https://homecuisine.co.kr/hc10/70512 미농감자사리를 사용했다. 닭갈비집에서 먹는 감자사리 1인분의 양은 미농감자사리 반개의 양이다. 버터에 닭고기, 양파, 대파를 볶다가 밥, 김치, 김가루, 참기름을 넣어서 달달 볶고 감자사리를 삶아서 한쪽에 볶았다. 치즈를 넉넉하게 뿌려서 볶음밥의 열로 치즈를 녹였다. 치즈가 듬뿍 든 닭야채철판볶음밥에 매콤달콤한 감자사리도 좋아해서 듬뿍듬뿍 맛있었다. 베...
    Date2017.08.03 Category밥류 By이윤정 Reply2 Views52868 file
    Read More
  6. 설렁탕만드는법, 사골국끓이는법

    2013/05/02 설렁탕만드는법, 사골국끓이는법 한우 사골과 잡뼈로 만든 사골국. 5월인데도 밖에는 자주 나가지 않으니 따뜻한지 아닌지도 잘 모르겠다. 아까 밤에 밖에 잠깐 나가니 아직도 약간 쌀쌀하던데 아마 올해 냉동실에 사골국을 넣어 둘 마지막 타이밍 정도 되지 않을까 싶다. 어릴 때부터 곰국이라고 불렀는데 엄마께서 해마다 겨울이면 이삼일씩 오래도록 고아서 몸에 좋다며 해주셨다. 어릴 때는 고기 냄새에 조금 약해서 크게 좋아하지 않았는데 크고 보니 맛도, 어머니의 정성도 알게 됐다. 그리고 조금 커서 보니 설렁탕이라 부르는 것...
    Date2013.05.02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0 Views52298 file
    Read More
  7. 두부계란부침

    두부를 굽고 계란물을 부어서 구운 두부계란부침. 자주 해먹는 반찬 중의 하나인데 글을 따로 올릴 것도 없고 해서 사진도 안찍고 먹다가 오랜만에 사진을 찍었다. 만만하게 해먹기 좋다. 사용한 재료는 두부 1모(550그램) 계란 3개 소금약간 쪽파 몇 대 간장, 고춧가루, 참기름, 깨 큰 초당두부를 사용해서 계란이 3개 들어갔는데 보통 파는 330그램 두부면 계란 2개로 충분하다. 두부는 적당히 썰어서 키친타올에 깔고 소금을 뿌려서 5분정도 두었다. 간장을 곁들일거니까 소금은 평소 두부부침의 반정도만 뿌렸다. 계란은 잘 풀어두고 쪽파는 송송...
    Date2016.04.04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8 Views49388 file
    Read More
  8. 대패목살 숙주 배추찜

    숙주를 아주 좋아하는데 다듬기가 귀찮아서 좋아하는 것만큼 자주 먹지는 않는다. 그런 와중에도 되도록이면 숙주를 일단 준비하면 그 다음부터는 완전 편한 대패 숙주찜. (마조앤새디의 부타나베로도 잘 알려져있다.) 대패삼겹살이나 대패목살 중 있는 걸로 사용하면 적당하고 얇게 썰린 것을 고르는 것이 좋다. 대패삼겹보다는 대패목살을 더 좋아해서 대패목살로 자주 해먹었다. 이번에는 숙주가 조금 모자라기도 하고 얼마전 올린 차돌박이 알배추찜을 떠올리면서 배추도 추가로 깔았는데 배추도 아주 잘 어울렸다. 비슷하게 만드는 차돌박이 알...
    Date2018.02.27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14 Views49256 file
    Read More
  9. 한입 오이소박이

    보통 오이소박이는 세로로 갈라 소를 채워 넣어 만드는 김치인데 먹을 때 베어먹거나, 끝을 자르거나 해야 한입 사이즈가 되는 점이 조금 불편하다. 그래서 한입에 딱 넣기 좋게 만들었다. 세로로 만든 것에 비해 오이소박이 소가 덜 빠져나오게 먹을 수 있어서 다 먹고 나면 김치통에 소가 거의 남지 않는다. ㅡㅡㅡㅡㅡ 음식을 먹을 때 베어먹는 것이 불편하기도 하고 베어먹는 걸 좋아하지 않아서 밥상에 음식을 올릴 때 한입사이즈로 만드는 것을 좋아한다. 그러다보니 밥상 차릴 때 한입사이즈에 먹기 좋은지 신경을 쓰는 편이라 밥상 차릴 때 ...
    Date2017.04.21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4 Views47827 file
    Read More
  10. 오이무침

    오이무침은 간단하게 무쳐서 밥상에 올리면 매콤하고 아삭 상쾌하게 늘 맛있다. 봄을 지나 한여름에 오이가 조금 비쌌는데 가을이 되고 오이가 저렴해져서 한두개 사오게 된다. 오이의 가시가 바삭바삭하게 서 있고 단단한 것이 좋은 것은 기본이고 오이는 아랫쪽의 씨부분이 너무 두꺼우면 속에 씨가 단단하고 가득 들었으니까 아랫부분이 불룩하지 않은 것으로 고르면 좋다. 사용한 재료는 오이 2개 소금 1티스푼 고춧가루 1스푼 다진마늘 0.5스푼 다진대파 1스푼 간장 약간 (간보고) 참기름, 깨 약간 오이만 무쳐도 좋고 양파나 부추가 있으면 조...
    Date2017.10.18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2 Views47819 file
    Read More
  11. 일상밥상 2016 12

    바쁜 아침에 아침도 간단히 준비하고 도시락도 싸고 하는데 사진찍을 시간은 없어서 아침과 도시락 사진은 거의 없지만 그래도 그동안 기록 해 둔 일상과, 편하게 만들어 먹거나 예전에 올린 것과 중복되는 저녁밥들. 계속 만들어 두는 불고기 양념장. https://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40715&mid=hc10 몇번이나 만들어서 주위에도 나눠주고 또 만들고 있다. 소스는 냉동보관도 가능하다. 전날 밤에 고기에 무쳐두고 아침에 얼른 볶아 도시락으로 싸서 보내기도 좋고, 여태 올린 것처럼 두루두루 사용하고 있다. 늘 만들어 두는 고...
    Date2016.12.17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14 Views47257 file
    Read More
  12. 꼬막무침 만들기, 만드는법, 양념장, 레시피

    꼬막비빔밥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71912 꼬막을 삶아서 양념장에 무친거라 별 내용은 없지만 늘 맛있는 꼬막무침. 오랜만에 만들었다. 뻘이 아예 없는 꼬막무침을 좋아해서 껍질도 벗기고 삶은 꼬막도 한 번 헹궈서 만들었다. 사용한 재료는 꼬막 약 1키로당 간장 2스푼, 고춧가루 1스푼, 다진마늘 1스푼 다진파 적당량, 참기름, 깨 양념장을 써두긴 했지만 딱 저만큼 넣은 건 아니고 양념장은 꼬막에 넣어가며 간을 보고 조절했다. 꼬막은 2키로를 사와서 전부 삶아두고 그때 그때 먹을 만큼의 꼬막에 간장, 고춧가루, 다진마늘,...
    Date2016.12.11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4 Views46253 file
    Read More
  13. 닭야채볶음밥, 유가네 볶음밥 따라하기

    2018년 업데이트. 거의 똑같다. https://homecuisine.co.kr/hc10/70512 양념장에 사용한 재료는 그램단위로 간장 85, 청주 15, 양파 70, 대파 30, 마늘 30, 생강 5 을 블렌더나 믹서로 갈고 여기에 고운 고춧가루 60, 설탕 70, 카레가루 10, 미원2 을 넣고 잘 섞어뒀다. 미리 만들어서 하루정도 숙성했다. 양념장의 양은 닭갈비를 2~3번 정도 할 분량이고, 제육볶음등 매운 소스가 필요한 고기요리나 닭야채볶음밥에도 어울린다. 닭갈비 양념이긴 하지만 이번에는 4회에 걸쳐서 닭야채볶음밥을 먹었다. 닭갈비로 해도 맛있을 것 같기는 한데 볶음밥이...
    Date2014.03.11 Category밥류 By이윤정 Reply4 Views44571 file
    Read More
  14. 닭칼국수, 양념장, 닭칼국수만드는법

    사용한 재료는 닭 1마리, 대파, 양파, 마늘, 칼국수, 쪽파 양념장으로 청양고추, 고춧가루, 다진마늘, 간장 먼저 칼국수 양념장. 실제로 만들기로는 닭을 삶으면서 만들었지만 흐름상 먼저 올려본다. 사용한 재료는 청양고추, 고춧가루, 다진마늘, 간장 찬물에 양파, 대파, 마늘을 넣고 끓기 시작하면 닭을 넣고 1시간 정도 푹 끓여 뽀얀 육수를 냈다. 살을 바르느라 껍질을 거의 제거하기는 했는데 그래도 피하에 있던 지방때문에 둥둥 뜨는 기름이 생기니까 식혀서 걷어내면 더 좋고 시간이 없을 때는 스푼으로 윗기름만 적당히 걷어냈다. 닭뼈에서...
    Date2013.08.09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Reply0 Views44237 file
    Read More
  15. 두부두루치기

    2020년 2월 곱창두부루치기 업데이트 - https://homecuisine.co.kr/hc10/89372 대전에서 유명한 두부두루치기. 두부에 육수를 적당히 붓고 칼칼한 양념을 해서 자작하게 졸여냈다. 사용한 재료는 약 3인분으로 두부 600그램 1모 진한 육수 450미리 고운고춧가루 3스푼 고춧가루 2스푼 간장 3스푼 다진마늘 3스푼 다진대파 3스푼 청주 1스푼 미림 1스푼 설탕 약간 양파 1개 대파 1대 청양고추 2개 쪽파 약간, 깨 약간, 참기름 약간 두부는 시장에서 직접 만들고 파는 손두부를 사용해야 맛있다. 부평시장 어묵골목 끝에 있는 두부집에서 두부를 구입했...
    Date2016.05.11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4 Views44204 file
    Read More
  16. 나박김치, 레시피, 담그는법

    배추와 무에 김치국물을 잡아 잘 익힌 나박김치. 염도를 계산해서 소금 양을 딱 맞춰서 짜기 않게 담았다. 개인적으로는 배추와 무만으로 깔끔하게 먹는 걸 더 좋아하는데 쪽파나 당근 등 추가재료는 취향에 맞는 것으로 넣으면 적당하다. 오이나 미나리 같은 재료는 다 익힌 다음 먹기 직전에 넣는 것이 더 낫다. 주재료인 무와 배추를 절이는 것과 김치국물을 잡는 것이 분리해서 생각하면 김치국물은 딱 정해진 만큼 담기보다는 원하는 만큼으로 담되 소금의 양만 맞추면 적당하다. 배추나 무의 소금양, 전체 국물의 소금양의 비율만 그대로 하면 ...
    Date2016.04.25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2 Views43322 file
    Read More
  17. 일상밥상 2017 10

    오랜만에 올리는 일상밥상. 정말 편하게 밥 먹을 때는 바쁘기도 해서 사진을 별로 찍지 않는다. 그 와중에서도 어쩌다 찍어놓은 사진도 있고.. 그 중에 편한 일상밥상을 모아봤다. 올린 적이 있는 건 링크로 연결되어 있고 링크가 없는 것도 있고 그렇다. 반찬도 있고 라면도 있고 그렇다. 양념족발볶음 - https://homecuisine.co.kr/hc10/54657 맛초킹 비슷하게 만들어 본 간장치킨은 아직 레시피 정리가 덜 됐다. 육개장 - https://homecuisine.co.kr/hc10/49582 닭개장 - https://homecuisine.co.kr/hc10/49953 닭죽 - https://homecuisine.co.kr/...
    Date2017.10.15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4 Views43199 file
    Read More
  18. 부드러운 계란찜 만들기, 푸딩 계란찜 레시피, 일식계란찜

    부드러운 계란찜 만들기, 푸딩 계란찜 레시피, 일식계란찜 일식 계란찜은 아니지만 질감이 비슷하니까 제목에 넣어봤다. 계란찜에 종류가 많지만 내가 가장 좋아하고 귀찮아 하는 계란찜은 푸딩계란찜이라고도 불리는 부드러운 계란찜이다. 일시계란찜인 차왕무시와 비슷하지만 차왕무시는 1인용으로 소분하고 고명을 올리는데 그보다는 좀 더 한식 식사용에 가깝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계란찜은 재료가 너무너무 단순해서 편한 음식이긴 하지만 또 나름대로 불편한 점이 있는 것이 1. 찜을 할 수 있는 크기의 냄비를 꺼내야 함 2. 찜이 다 그...
    Date2019.06.28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11 Views42794 file
    Read More
  19. 떡볶이들

    최근에 떡볶이 수정레시피를 올렸는데 그 소스로 만들던 떡볶이의 면면들. 레시피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85428 간장 100그램 물 50그램 고운고춧가루 100그램 물엿 100그램 조청 300그램 고추장 200그램 설탕 150그램 맛선생/산들애 소고기맛 60그램 후추 1티스푼 (취향껏) 맵다는 민원이 있어서 마지막으로 만든 양념에는 후추를 1티스푼으로 줄였다. 떡볶이 양념을 만들고 유리반찬통에 담았다. 열심히 반찬그릇에 싹싹 담았지만 그래도 볼에 양념이 조금 남았다. 만두를 조금 구워서 떡볶이양념을 곁들였다. 볼에 남은 양념에 ...
    Date2019.11.17 Category소스 By이윤정 Reply14 Views42590 file
    Read More
  20. 라면전골

    집에 전골 재료를 잔뜩 사두고는 귀찮아서 라면이나 먹을까 하다가 몇 번 해 먹은 라면전골. 전골이라는게 원래 재료 준비가 가장 큰 일이라 라면에 넣으나 육수에 넣으나 하는 일은 거기서 거긴데 육수 만드는 수고를 조금 줄여준다 생각하고 가볍게 먹기 좋다. 결국에는 라면이긴 하니까 마음은 가볍게! 라면은 풀무원 육칼을 사용했다. 육칼을 그냥 끓이면 국물이 진해서 그냥 먹기로는 좀 무거운 감이 있는데 전골로 만들면서 라면물을 조금 넉넉하게 맞춰서 간을 하면 하면 짜지 않고 약간 매콤한 샤브칼국수와 비슷하다. 이전에 올린 소고기 버...
    Date2018.01.23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10 Views42188 file
    Read More
  21. 우리집 밥상 2017 06

    평소에 음식 완성사진을 찍고나면 미리 준비한 음식이 식을까봐 나머지 밥상 차리기에 급급해서 밥상사진을 잘 찍지 않다가 지난번에 이어 그나마 힘내서 몇 번 찍었다. 한그릇 요리나 음식은 그대로 밥상이니까 따로 밥상 찍을 일이 잘 없고 늘 만드는 국이나 찌개, 반찬으로 차린 밥상사진이다. 떡 벌어지게 차리지는 않고 두어가지 해서 금방 먹는 밥상이라 단출하지만 귀찮은 와중에 나름대로 차려먹었다. 자세한 레시피는 거의 링크에 있지만 앞으로 올릴 것도 몇개 있어서 링크가 없는 것도 있다. 뭐 먹었나 기록용으로 찍은거라 밥상을 다 세...
    Date2017.06.30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2 Views41151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5 Next
/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