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2013/07/03

마늘쫑무침, 마늘종무침

 

 

 

크기변환_DSC06360.JPG

 

 

 

원래는 마늘종이 맞는 말이긴 한데 글로도 말로도 마늘쫑이 훨씬 자연스럽다.

 

친정엄마와 함께 마트에 갔다가 마늘쫑을 한 단 샀다.

마늘쫑은 누런 빛이 나지 않는 진한 녹색에 탄력이 있는 것을 고르는데

절단부분(양끝)의 색이 붉게 바래지 않고 푸른빛이 나는 것이 신선하다.

 

 

장아찌로 삭혀서 무쳐도 볶아도 맛있고 금세 데쳐서 무쳐도 맛있는데

반은 촛물에 삭혀서 고추장에 대충 덮어뒀다가 먹으려고 소금+설탕+식초+물에 삭히고

반은 살짝 데쳐서 전에 만들어 둔 양념장에 무쳤다. 데쳐서 무치는 마늘쫑무침은 삭히는 것보다 후딱 할 수 있어서 편하고 좋다.

 

 

마늘쫑무침에 양념장은 보통 고추장, 고춧가루, 간장, 마늘, 물엿을 혼합해서 만들고 취향에 따라 새콤하게 식초를 추가해도 되는데

비빔국수를 만들 때 딱 그렇게 만들어 둔 양념장이 있어서 편하게 하기 좋겠다 싶었다.

양념장 -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21395&mid=hc10 

마늘쫑의 양에 따라서 양념장의 양도 달라지니까

비율로 봤을 때 사과1.7  물엿+매실액1.7 고운고춧가루1 고추장1 식초1 간장,마늘,참기름각각0.3 ,통깨 라고 할 수 있다.

 

 

 

마늘쫑은 깨끗하게 씻은 다음 적당한 크기로 썰어서 팔팔 끓는 소금물에 1분정도 데쳤다.

소금은 약 1스푼 정도 넣었는데 소금을 넣으면 아주 살짝 간도 되고 색도 선명하고 질감도 약간 더 아삭아삭하다.

 

 

건져낸 마늘쫑은 찬물에 헹구면 아삭한데, 겉면에 물기를 말리는데에 시간이 조금 더 든다.

데친 마늘쫑의 겉면에 물기가 없어야 양념장이 겉돌지 않고 잘 묻어 있기 때문에 물기는 제거하는 것이 좋다.

마늘쫑을 건져낸 상태에서 그대로 말리면 열기 때문에 겉면의 물기가 금방 마른다.

 

 

미리 만들어 둔 양념장에 마늘쫑을 무치면 끝.

 

 


크기변환_DSC06337.JPG     크기변환_DSC06340.JPG


크기변환_DSC06342.JPG     크기변환_DSC06343.JPG


 

깨끗하게 씻은 마늘쫑을 끓는 소금물에 1분정도 데치는데

동동 뜬 마늘쫑을 체로 눌러가며 1분정도 데쳤다.

 

 

 

 

크기변환_DSC06344.JPG     크기변환_DSC06350.JPG


 

 

양념이 곁면에 물기가 거의 없게 해서 양념이 잘 묻도록 

데친 마늘쫑의 물기를 닦거나 샐러드스피너에 돌리거나 펼쳐서 말리거나 하면 준비 끝.

 

 

 

 

 

준비해 둔 양념장을 넣고 살살 무치면 끝.

나는 냉장고에 있는 양념장을 사옹해서 편했지만 양념장을 만드는 것이 번거롭기도 하고 사과같은 재료가 뜬금 없기는 한데,

마늘쫑에는 사과를 생략하고 더 뻑뻑한 양념으로 만들어서 무치는 것이 더 낫기는 하다.

 

 

 


 

크기변환_DSC06353.JPG     크기변환_DSC06351.JPG


 

 

 

 

 

크기변환_DSC06354.JPG

 

 

 

 


크기변환_DSC06360.JPG

 

 

 

 

맛이 잘 기억이 안나서 냉장고에 있는 마늘쫑무침을 하나 먹고 왔는데 아삭하면서 매콤새콤달콤한 맛이 아직 살아있었다.

맛있다며 열심히 먹을 반찬은 아니어도 아삭한 식감에, 계절에 맞게 먹으면 입맛 살리기에는 괜찮은 반찬이다.

나머지 반은 잘 삭고 있어서 단촛물에 삭혀서 고추장에 무치는 마늘쫑의 맛도 기대하고 있다.

 

 

 

 

 


  1. 문어볶음

    2012/09/24 문어볶음 데친 문어를 채소와 함께 볶은 문어볶음. 고추장 고운고춧가루 간장 물엿 다진파 다진마늘 깨 후추 참기름을 넣어서 만든다. 비율은 대충 다 1로 넣고 마지막에 간을 보면 속 편한데... 고기에는 고추장이나 물엿의 비율을 조금만 더 높히고 물기가 있는 해산물에는 고춧가루의 비율을 조금 더 높힌다. 고춧가루를 추가한 것이 더 뻑뻑하고 칼칼하다. 이미 익은 문어를 넣는 것이기 때문에 양념장의 맛이 재료에 배게끔만 얼른 볶으면 된다. 매콤달콤해서 그냥 밥반찬이고 밥에 비벼 먹어도 잘 어울린다. 마지막에 아예 밥을 넣...
    Date2012.09.24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8804 file
    Read More
  2. 맛살 계란말이

    2012/09/23 맛살과 대파로 맛살계란말이 계란말이는 평소에 가장 자주 먹는 반찬 중에 하나이다. 계란 만으로 마는 계란말이는 김밥할 때 하고 반찬으로 할 때에는 적어도 대파는 있다면 맛살이나 베이컨 정도는 꼭 넣는다. 베이컨은 지져 낸 다음에 기름을 조금 제거하고 썰어서 계란에 넣지만 맛살은 그냥 넣으면 되니까 덜 귀찮은 맛살을 선호하는 편이다. 계란을 풀어서 맛살과 대파를 썰어서 넣으면 되는데 적당히 식감이 좋도록 써는 것이 좋다. 계란 3~4개에 요즘 나오는 크래미나 크라비아 같은 반토막 맛살 2~3개 정도, 대파는 흰부분으로 1...
    Date2012.09.23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4988 file
    Read More
  3. 황태채무침. 황태채볶음

    2012/09/22 황태채무침. 황태채볶음 코스트코에서 구매한 손질한 황태채를 세일 한다고 2팩이나 사서 너무 많이 남았다. 황태계란국이나 콩나물국에 따로 다시 낼 필요없이 잘 쓰고 있긴 한데 반찬으로 하기로 결정. 그런데 이 황태채가 향은 정말 좋은데 맛이 좀 無맛이다. 조미하지 않은 것을 먹었을 때 황태채를 씹어 먹는 맛은 있는데 짜고 달고 이런 맛이 없다. 쥐포나 오징어채는 그 자체의 짭짤하고 달콤한 맛때문에 조미를 대충 해도 맛있는데 이건 맛있게 잘 되지가 않아서 좀 고민했다. 일단 황태채를 물에 살짝 불려 짜는 것이 보통인데 ...
    Date2012.09.22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6616 file
    Read More
  4. 두부조림

    2012/09/17 두부를 지져 양념장에 촉촉하게 졸여내는 두부조림. 두부는 적당히 썰어서 소금을 아주 조금만 뿌리고 키친타올로 물기를 좀 빼두고 지지면서 양념장을 만든다. 양념장은 물에 간장3 고춧가루1 다진대파1.5 다진마늘0.5 꿀0.5에 참기름과 깨소금을 조금 넣었다. 물의 양은 바특하게 하면 5스푼정도 촉촉하게 할 거면 종이컵으로 반컵까지 괜찮다. 촉촉하게 한다고 물은 50미리정도 넣었는데 사진찍다가 적당한 조리시간을 약간 넘겨서 원하는 것 보다 조금 물기가 적다. 청홍고추가 있다면 썰어넣어도 잘 어울린다. 양파를 깔고 생선 지져...
    Date2012.09.17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4093 file
    Read More
  5. 쥐포무침

    2012/08/23 쥐포무침 물에 살짝 헹궈서 마른 팬에 조금 볶고 물에 고추장 물엿을 넣어 끓인 양념을 식혀서 마요네즈를 조금 넣고 무쳤다. 마지막에 참기름 아주 약간과 깨로 마무리.
    Date2012.08.23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5157 file
    Read More
  6. 소세지야채볶음, 소세지케찹볶음.

    2012/08/22 소세지야채볶음, 소세지케찹볶음. 맵지 않게 만든 소세지야채볶음, 소세지케찹볶음. 집에 남은 채소와 소세지를 몰아 넣고 볶다가 케찹과 마늘을 넣으면 끝. 뭐 말할 것도 없이 쉽다. 일단 양파라도 들어가야 소세지야채볶음이 되니까 기본 양파를 생각하고 양배추 피망 파프리카 당근 대파 뭐 있는 대로 쓸어 넣으면 된다. 소세지는 적당히 데치거나 말거나 칼집내거나 썰거나 잘 안익는 야채부터 혹은 좋아하는 식감이 될때까지 볶다가 소세지 넣고 케찹 3스푼에 꿀이나 물엿 약간 마늘 약간 넣으면 된다. 후추도 약간.. 양념을 더 하고...
    Date2012.08.22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8176 file
    Read More
  7. 깻잎무쌈

    2012/08/09 깻잎무쌈 무 1개를 슬라이스하고 깻잎은 깨끗하게 씻어서 물기를 완전히 뺐다. 물, 식초, 설탕에 소금을 약간 넣고 끓여서 식힌 다음 무와 깻잎을 켜켜이 쌓은 것에 부었다. 촛물을 잠기도록 붓지 않아도 무에서 물이 나오기 때문에 찰랑할 정도로만 부으면 된다. 물 대신 탄산수를 사용해도 좋다. 1주일 후 꺼내서 사진을 찍고 먹었는데 시간이 갈수록 맛이 좋아졌다. 그 후로 몇개월간 맛있게 잘 먹었다.
    Date2012.08.09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4365 file
    Read More
  8. 전기압력밥솥으로 약밥, 전기밥솥 약식만드는법

    2012/05/13 전기압력밥솥으로 약밥, 약식 자주하니 할수록 쉬운 음식인 것 같다. 약밥을 할 때는 쌀을 불리면서 소스를 만든다. 일단 컵은 종이컵으로 생각. 미리 양념을 만드는데 약밥을 할때 쓰는 쌀과 비슷한 양으로 양념을 맞춘다. 그러니까 쌀 4컵을 불린다면 그와 같은 컵에 4컵 분량으로 소스를 맞추는 식. 위에 쓴대로 쌀을 4컵을 불린다는 전제하에.. 소스는 총 4컵. 물 3컵에 나머지 1컵은 흑설탕, 간장, 참기름 계피가루로 채운다. 그런데 이 소스에 설탕 간장을 넣고 끓여줘야 하기 때문에 증발하는 수분을 생각해서 3.5컵정도 물을 넣고...
    Date2012.05.13 Category밥류 By이윤정 Reply0 Views19711 file
    Read More
  9. 가자미조림

    2012/05/09 가자미조림 담백하고 부드러운 흰살생선과 무, 대파를 달지도 맵지도 살짝 칼칼한 양념에 푹 조려내는 가자미조림. 보통 조림이라하면 국물이 없게 바짝 조린 것을 뜻하지만 경상도식으로 '찌져' 먹는다. 갈치찌진거 고등어찌진거 두부찌진거 무찌진거.. 그래서 오늘은 가자미 찌진거.. 어릴 때부터 엄마께서 자주 해주셨는데 가자미 찌져 준다 그러시곤 이렇게 양념이 자작한 생선조림을 자주 해주셨다. 생선은 거의 다 좋아하지만 그 중에서도 흰살생선 그 중에서도 가자미는 더 좋아하는데 우리집에 생선을 싫어하는 사람이 있어서 자...
    Date2012.05.09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4852 file
    Read More
  10. 육회

    2011/11/12 육회 한우 우둔살, 간장, 꿀, 참기름, 잘게 썬 쪽파, 다진 마늘, 잣, 계란 노른자, 배 블로그 포스팅을 여기로 옮기는 지금 시간은 2015년 4월 12일. 지금 다시 보니 감회가 새롭다.
    Date2011.11.12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3780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Next
/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