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2013/07/19

바지락된장찌개

 

 

 

크기변환_DSC07227.JPG

 

 

 

 

생각없이 재료를 사두고 이걸로 뭘할까 고민하면서 괴로워 하는 것이 취미라

바지락을 한봉투 사두고 순두부찌개?  된장찌개? 미역국? 칼국수? 봉골레? 클램차우더?  하다가

 

음식솜씨도 대단하시고 식당도 오래 하신 안사장어른께서 직접 만들어 주신 된장을 아직 한번도 쓰지 않고 모셔둔 생각이 나서 된장찌개를 만들었다.

집된장이라는 것이 정성이 정말 많이 들어가는 장이고, 받아먹을 때는 쉬워보여도 그 가치가 정말 크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그 귀한 된장을 받아 된장찌개에 썼다. 역시 집된장이라 그런지 구수하면서도 풍부한 향이 느껴졌다.

 

 

 

 

 

사용한 재료는

바지락 300그램 정도 1봉투, 멸치육수 1.5리터,

집된장 1스푼, 시판된장 1스푼, 마늘 1스푼, 고춧가루 0.7스푼정도

애호박, 청양고추, 대파, 두부

 

 

 

신선한 바지락은 소금물에 담가 어두운 곳에서 해감을 시키고 깨끗하게 씻은 다음

된장찌개를 하기 위해 미리 우려내어 두었던 멸치육수를 부어 바지락을 익혔다.

바지락이 푹 잠기도록 멸치육수를 부은 다음 뚜껑을 닫아 육수가 팔팔 끓어오르고 바지락이 입을 벌리도록 끓였다.

바지락은 건져서 껍질에서 떨어져 나간 것은 껍질을 버리고, 껍질의 양이 너무 많으니까 반정도는 껍질을 벗기고 반정도는 그냥 두었다.

 

조개를 내가 해감을 잘 못하는 건지, 조개류는 아무리 해감을 해도 그 육수를 쓰려면  조개에서 나온 뻘 등을 걸러야 그나마 좀 나았다.

그래서 바지락 삶은 물은 면보에 걸러서 맑은 육수만 따로 두었다.

 

 

바지락을 삶은 육수에 멸치육수도 더 채워 넣고 집된장, 시판된장, 다진마늘, 고춧가루를 미리 혼합해 둔 장을 넣고 구수한 맛이 우러나도록 팔팔 팔팔 끓였다.

 

된장을 충분히 푼 국물을 간을 본 다음 중불에 끓여서 된장찌개의 향과 맛을 내면 애호박, 대파, 청양고추를 넣고 조금 끓이다가

적당히 썬 두부를 넣고 두부에 된장찌개가 배이도록 끓어오른 다음 먹기 직전에 바지락을 넣어서 한소끔 더 끓이면 완성.

 

 

 


크기변환_DSC06486.JPG     %C5%A9%B1%E2%BA%AF%C8%AF_DSC05395.jpg 


 

 

다시마는 따로 찬물에 불리느라 사진에 안보이는데 이렇게 여러가지 넣지 않아도 멸치와 다시마를 넣어 우린 육수로도 충분하다.

중불에 20분 정도 푹 끓여서 우려냈다가 쓸일이 당장 없어 냉동실에 넣어 둔 것을 해동해서 사용했다.

 

 

 

 

소금물에서 반나절 정도 해감한 바지락에 멸치육수를 자작하게 붓고 뚜껑을 닫은 다음 바지락이 입을 벌리도록 3~4분정도 푹 끓였다.

 

 

바지락은 건져내고 껍질이 부서진 것이나 껍질에서 떨어진 것은 골라 내고, 껍질이 너무 많으면 불편하니까 반정도는 껍질에서 떼냈다.

보기에 좋게 하거나 기분상 바지락 까먹는 것이 좋을 때에는 이정도 껍질을 남기고 보통은 껍질을 다 떼어 바지락살만 넣기도 한다.

바지락살을 사용할 때에는 이 과정이 필요없이 가장 마지막에 바지락살을 넣으면 된다.

애초에 바지락살을 사면 이런 과정 필요없이 편하지만 활바지락을 끓여서 육수를 만들면 조금 더 깊은 맛이 나기는 한다.

 

 

 

크기변환_DSC07202.JPG     크기변환_DSC07203.JPG


크기변환_DSC07208.JPG     크기변환_DSC07209.JPG


크기변환_DSC07216.JPG     크기변환_DSC07217.JPG


크기변환_DSC07211.JPG     크기변환_DSC07212.JPG


크기변환_DSC07213.JPG


 

 

 

 

 

 

바지락육수+멸치육수에 된장, 고춧가루, 마늘을 풀고

국물에 된장맛이 잘 배이게 조금 오래, 중약불에 10분~15분 정도 끓였다.

끓이는 동안 애호박, 청양고추, 대파도 썰어두고 두부도 썰어뒀다.

 

 

 

크기변환_DSC07205.JPG     크기변환_DSC07207.JPG


크기변환_DSC07218.JPG     크기변환_DSC07220.JPG


크기변환_DSC07215.JPG     크기변환_DSC07219.JPG


크기변환_DSC07221.JPG     크기변환_DSC07223.JPG


 

야채 넣고 한소끔 끓으면 두부 넣고, 두부에 된장찌개가 배이도록 끓여낸 다음 바지락 넣고 한번 끓으면 완성. 

 

 

 

 

 

 

크기변환_DSC07226.JPG


 

 

 

 

 

크기변환_DSC07227.JPG


 

 

역시 된장찌개는 육수가 제일 중요하다.

아무리 맛있는 된장이라도 물로만 끓이면 밋밋하고

멸치나 바지락 꽃게 등 해물육수 아니면 고기육수, 하다못해 다시다같은 조미료라도 들어가야 제맛이 나는 것 같다.

밥에 말아서 먹으니 전체적인 맛을 좌우하지는 않지만 향이나 끝맛에서 느껴지는 구수한 집된장의 투박한 맛이 마음에 들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한접시, 일품 기본 잡채, 잡채밥, 간짜장 기본 잡채, 잡채밥, 간짜장 잡채밥 2017년 버전 - https://homecuisine.co.kr/hc20/50390 보통 잡채밥은 중국식인지 중국음식점식인지 색이 연한 잡채에 짜장을 ... file 이윤정 2014.03.26 4935
123 밥류 스테이크볶음밥 2014/03/22 스테이크볶음밥 스테이크를 넣은 볶음밥은 아니고 스테이크를 곁들인 볶음밥.. 오므라이스와 거의 똑같이 굴소스를 넣어 만든 볶음밥에 스테이크와 볶... file 이윤정 2014.03.22 6331
122 밥류 새우오므라이스 2014/03/22 새우오므라이스 굴소스 볶음밥으로 만든 오므라이스에 중국식 새우튀김과 케찹베이스의 오므라이스소스를 곁들였다. 미리 이야기 하자면 새우튀김은 ... file 이윤정 2014.03.22 4004
121 일상 치즈돈까스만들기 2014/03/14 치즈돈까스만들기 오랜만에 슈레드모짜렐라치즈를 샀더니 썰지 않아도 되고 새삼 이렇게 편한 물건이.. 하고 생각했다. 슈레드모짜렐라치즈를 샀으면 ... file 이윤정 2014.03.14 11000
120 밥류 닭야채볶음밥, 유가네 볶음밥 따라하기 2018년 업데이트. 거의 똑같다. https://homecuisine.co.kr/hc10/70512 양념장에 사용한 재료는 그램단위로 간장 85, 청주 15, 양파 70, 대파 30, 마늘 30, 생강 ... 4 file 이윤정 2014.03.11 46859
119 국 찌개 소고기 버섯 강된장 2014/03/06 소고기 버섯 강된장 된장찌개, 김치찌개 다 좋아하지만 된장찌개는 꽃게 된장찌개를 가장 좋아하고, 김치찌개는 김치찜처럼 만든 것을 좋아하고, 밥과... file 이윤정 2014.03.06 4363
118 반찬 상어전, 달고기전, 대구전, 명절음식 2014/03/05 상어전, 달고기전, 대구전, 명절음식 친할머니께서 우리 부모님이 결혼하신지 1년만에 돌아가셔서 그로부터 40년을 친정엄마께서 제사를 지내셨는데 ... file 이윤정 2014.03.05 5201
117 반찬 김치참치볶음, 베이컨 숙주볶음 2014/02/25 김치참치볶음, 베이컨 숙주볶음 깐차오뉴허를 하고 숙주가 많이 남아서 숙주볶음을 했다. 밥상 차리는데 반찬이 하나도 없어서 대충 김치하고 참치 볶... file 이윤정 2014.02.25 8037
116 반찬 고기에 곁들이는 파조래기, 파절임, 파무침 2014/02/23 고기에 곁들이는 파조래기, 파절임, 파무침 파절임이나 파무침이라고 하기도 하고 내가 사는 곳에서는 파조래기라고 불렀다. 수육을 하려고 덩어리로 ... file 이윤정 2014.02.23 7144
115 밥류 유부김밥 2014/02/22 유부김밥 저녁에 뭘 할지 딱히 생각해둔 것이 없어서 무작정 냉장고를 열었다 닫았다 하고 밥은 안하고 버티다가 아이디어도 없고 뭘 하자니 꼭 하나 ... file 이윤정 2014.02.22 4747
114 한접시, 일품 부추야채전, 부추전 2014/02/14 부추야채전, 부추전 앞서 올린 만두를 만들고 남은 부추로 찌짐을 만들었다. 묽은 반죽에 주재료인 부추와 얇게 채썬 양파, 당근, 감자, 청양고추를 ... file 이윤정 2014.02.14 7579
113 한접시, 일품 만두, 만둣국, 군만두, 만두속만드는법 2014/02/13 만두, 만둣국, 군만두, 만두속만드는법 집에서 걸어가기는 애매하고 차타고 가기도 애매한 거리의 마트에서 생만두피를 하나 발견해서 만두를 빚었다.... 1 file 이윤정 2014.02.13 6935
112 일상 참치생채비빔밥, 생야채비빔밥, 계란말이 산뜻하고 마음 편한 음식이 뭐 없을까 하다가 참치생채비빔밥이 생각났다. 집에 남은 채소를 대충 모아보니 버터레터스, 양배추, 당근 정도.. 버터레터스는 집에 ... file 이윤정 2014.02.06 5754
111 한그릇, 면 바지락칼국수 2014/02/05 바지락칼국수 -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음식 백가지 국수는 원래 반죽을 손으로 눌러서 풀잎처럼 만들었다는 수인병(手引餠)이었고, 그 후에 반... file 이윤정 2014.02.05 5928
110 한접시, 일품 닭도리탕만드는법, 찜닭만드는법 2014/01/16 닭도리탕만드는법, 찜닭만드는법 이라는 검색형 제목.. 찜닭이나 닭도리탕이나 양념만 조금 다를 뿐이지 전체적으로 들어가는 재료나 만드는 방법이 ... file 이윤정 2014.01.16 7676
109 고기 함박스테이크, 간단소스 2014/01/15 오랜만에 올리는 함박스테이크. 함박스테이크는 지난 봄 이후로 블로그에 올리지는 않았지만 떨어지지 않게 만들어두고 있다. 크게 비율이나 들어가는... file 이윤정 2014.01.15 6743
108 일상 야끼라면, 볶음라면 2014/01/14 야끼라면, 볶음라면 일본음식은 안먹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집에 남은 야끼소바소스와 오꼬노미야끼소스가 있어서 간단하게 야끼라면을 만들었다. 나... file 이윤정 2014.01.14 5049
107 반찬 김치두루치기, 계란말이, 감자볶음, 두부구이 2014/01/04 의식의 흐름에 따라 쓰는 어제저녁밥. 김치두루치기, 계란말이, 감자볶음, 두부구이 어제는 몸이 안좋아서 하루종일 숭늉만 먹고 굶다가 저녁에 급 활... file 이윤정 2014.01.04 4158
106 반찬 전자렌지 계란찜 2014/01/03 전자렌지 계란찜 자주 해먹는 볶음밥을 준비하다가 뜨끈한 게 땡겨서 전자레인지에 계란찜을 만들었다. 계란찜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 체나 그릇을 ... file 이윤정 2014.01.03 5895
105 반찬 참치김치볶음, 두부김치 2014/01/02 참치김치볶음, 두부김치 두부김치는 아니고 두부+김치볶음.. 음식하기가 귀찮아서 메인 밥반찬으로 두부 굽고 참치캔 하나 뜯어서 김치 좀 넣고 얼른 ... file 이윤정 2014.01.02 4893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