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2013/09/03

소고기무국, 경상도식 얼큰한 소고기무국

 

 

 크기변환_DSC08484.JPG

 

 

 

뭇국이 맞는 표기이기는 하나 내 입도 뭇국이 익숙치 않아서 제목은 무국으로 올려본다.

 

 

평소에도 밥, 국, 반찬의 식단은 주로 1주일에 1번정도이고 여름이라 국은 거의 만들지 않았는데

아무 생각 없이 언젠가는 해먹겠지하고 사다 둔 소고기국거리를 냉동실에 넣어두니

언젠가는 해먹겠지 했던 내가 얼마나 거슬리는지 3주만에 항복하고 해동해서 뭇국을 만들었다.

요즘 날씨도 여름을 벗어나고 있어서 오랜만에 국 끓이기에 적당했다.

 

 

 

어릴 때부터 먹어온 소고기뭇국이 맑은 국이 아니고 고춧가루를 푼 얼큰한 뭇국이라

맑은 국의 깔끔하고 한 맛도 좋아하지만 좋아하는 것과는 다른 차원으로 얼큰한 소고기뭇국에는 태생적인 향수가 느껴진다.

한국사람이 김치 좋아하고 부산사람이 얼큰한 소고기뭇국을 좋아하는 건 너무 당연하니까 달리 복잡하게 생각하지 않으려고 한다.

 

 

 

 

사용한 재료는 약 3~4인분으로

다시마육수로 큼직한 다시마 2조각,

소고기국거리 300그램, 무 5분의1토막(두터운 무로 약 5~6센치), 소금, 후추

국간장, 다진마늘, 고춧가루, 대파 이다.

 

약 3~4인분 치고 소고기가 좀 많이 들어갔는데 소고기가 많이 든 국을 먹는 것에 목적도 있지만

딱히 오래 끓이는 재료가 없기 때문에 육수를 나름대로 진하게 내고 싶어서 고기가 조금 넉넉하다. 

   

 


크기변환_DSC08462.JPG     크기변환_DSC08463.JPG


크기변환_DSC08464.JPG     크기변환_DSC08466.JPG

 

 

먼저 볼에 물을 약 1리터 정도 넣고 큼직한 다시마를 두조각 넣어서 다시마물을 만들었다.

 

냉장실에서 해동한 소고기국거리를 살짝 헹군 다음 물기를 살짝 닦아냈다.

따로 밑간 하지 않고 센불로 달달달 볶아 노릇노릇하게 잘 익히면서 소금과 후추 약간으로 간을 했다.

이때 볶으면서 냄비에 달라붙는 갈색들이 국의 풍미를 더해준다.

 

 

 


크기변환_DSC08469.JPG     크기변환_DSC08470.JPG


크기변환_DSC08472.JPG     크기변환_DSC08473.JPG

 

 

 


 

충분히 볶은 소고기에 다시마 우린 물을 넣고 팔팔 끓였다.

20분쯤 끓이다가 나박하게 썬 무를 넣고 다시 30분 정도 끓였다.

 

 

 

 

 

무가 무르도록 잘 익으면 다진마늘 듬뿍 1스푼, 국간장 듬뿍 1스푼, 고춧가루 듬뿍 1스푼을 넣고 조금 더 끓였다.

고기를 볶을 때 고춧가루를 넣고 볶을 때도 있고 이번에는 마지막에 고춧가루를 풀어서 넣었다.

 


크기변환_DSC08475.JPG     크기변환_DSC08480.JPG

 

 

막 불을 껐을 때는 무가 조금 덜 익은 것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한데 그대로 냄비에 두고 조금 있으면 무가 투명하게 변한다.

이렇게 미리 끓여 둔 다음 식사시간 직전에 대파를 넣고 한소끔 더 끓여냈다.

애초에 물을 넣는 양이나, 소고기나 무의 양이 국을 만들 때 마다 제각각이기 때문에

반드시 간을 보는 편이고 간에 따라 국간장을 추가하거나 맛이 좀 덜 감칠맛이 난다 싶을 때에는 그 외에 집에 있는 조미료 (MSG나, 참치액이나 연두 등을) 넣기도 했다.

이번에는 고기를 많이 넣고 다시마육수를 써서 그나마 맛이 괜찮게 나오기는 했는데 가끔은 그렇게 조미료로 부족한 맛을 채우는 것도 나쁘게 생각하지는 않는다.

 

 

 

 

숙주를 넣는 것도 좋아하는데 이번에는 없어서 넣지는 못했지만 마지막에 숙주를 한 줌 넣으면 아주 잘 어울린다.

 

 

 


크기변환_DSC08484.JPG

 

 

 

 

 

 

한 번 데워서 먹을 때에 더 입맛에 착 붙는 느낌이 있었다.

 

 

 

 


 

크기변환_DSC08497.JPG

 

 

 

 


 

크기변환_DSC08506.JPG


 

  

 

반찬 두어가지 새로 만들긴 했지만 반찬은 따로 밥과 함께 조금씩 전채음식처럼 먹고, 그 다음 메인이 국밥인 것처럼 얼큰한 소고기뭇국에 밥을 푹 푹 말아서 훌훌 먹었다.

내 유전자에 새겨진 소고기뭇국 평가 체계에 따르면 딱히 맛있다!기 보다는 익숙하게 먹어줄 만하고

그래서 이 소고기뭇국이 우와 맛이 있고 그렇다기보다는

몸이 조금 좋지 않은 날이었음에도 기분이 어쩌건 입맛이 어쩌건 익숙한 느낌으로 밥이 꿀꺽꿀꺽 잘 넘어가기는 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한접시, 일품 굴전, 굴밥 2013/12/28 굴전, 굴밥 마음껏 해산물을 먹기 어려운 시기이지만 그래도 한번씩 먹어줘야 하는 때가 오니까 이번에 또 굴을 샀다.. 연구기관에서 안전하다는 결과... file 이윤정 2013.12.28 4181
103 밥류 햄야채볶음밥 2013/12/19 햄야채볶음밥 훈제오리 남은 것이 조금 있어서 훈제오리볶음밥을 할까 하다가 햄 남은 것이 냉장고에 있어온 시간이 더 긴 것 같아서...;; 자투리채소... file 이윤정 2013.12.19 4845
102 일상 간단수육 2013/12/15 간단수육 요즘 한식보다 외국음식을 부쩍 많이 올리게 되는데 요즘 보는 요리책이 외국음식책이라 그런 이유도 있고 그러다보니 한식에 아이디어가 없... file 이윤정 2013.12.15 5412
101 고기 불고기양념, 소불고기, 돼지불고기 2013/12/03 불고기양념, 소불고기, 돼지불고기 불고기 양념은 배나 양파를 갈아 넣는 것이 맛있는데 불고기 양념 조금 하자고 배 하나를 쪼개자니 참 애매하고 해... file 이윤정 2013.12.03 10267
100 밥류 삼계죽, 닭죽 2013/12/01 삼계죽, 닭죽 삼계탕과 비슷한 삼계죽. 사용한 재료는 약 2인분으로 닭 1마리, 수삼1뿌리, 엄나무, 마늘, 대파, 육수 넉넉히 (쌀의 약 7배), 찹쌀1컵... file 이윤정 2013.12.01 6601
99 탕평채, 청포묵무침 2013/11/17 탕평채, 청포묵무침 녹두묵이 은근히 잘 발견하기가 힘든데 이마트트레이더스에서 하나 발견해서 업어왔다. 원래 탕평채는 녹두묵(청포묵)에 갖은 양... file 이윤정 2013.11.17 3503
98 김치, 장아찌, 무침 깻잎무침 2013/11/16 깻잎무침 농협에서 깻잎순이 한봉투 천원이라 아무 생각 없이 사와서 집에서 풀어보니 다듬을 일이 구만리였다.. 일일이 꼭지따고 정렬해서 씻고 터는... file 이윤정 2013.11.16 6145
97 한접시, 일품 잡채, 잡채만드는법 2013/10/31 잡채, 잡채만드는법 이번에 만든 것은 약 2~3끼 반찬으로 적당한 양이다. 불고기용 소고기 약 200그램에 밑간으로 간장, 설탕, 다진마늘, 후추, 참기... file 이윤정 2013.10.31 6697
96 한그릇, 면 떡만둣국 2013/10/31 떡만둣국 날이 추워지니까 당연히 떡국이 생각난다. 나는 떡국을 조금 더, 남편은 만둣국을 조금 더 좋아해서 떡과 만두를 반반씩 넣으면 나눠먹기 알... file 이윤정 2013.10.31 3236
95 한그릇, 면 오므라이스, 오믈렛 데미그라스소스 - https://homecuisine.co.kr/hc20/29624 오므라이스소스 - https://homecuisine.co.kr/hc10/54790 도 있지만 간단한 버전으로 버터 2스푼 밀가루... file 이윤정 2013.10.26 5751
94 반찬 산적꼬지, 명절음식 2013/10/08 산적꼬지, 명절음식 남편이 평소에는 명절음식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 올해 추석에 이상하게 산적꼬지를 맛있게 잘 먹길래 한 번 더 해야지 생각하고... file 이윤정 2013.10.08 14378
93 반찬 오징어야채전, 오징어동그랭땡 2013/10/07 오징어야채전, 오징어동그랭땡 대충 다져서 지져내면 동그랭땡(돈저냐)이고 전이고 그러니까 제목은 일단 이렇다. 자투리 채소와 오징어, 소고기를 다... file 이윤정 2013.10.07 4165
92 반찬 배추겉절이 2013.10.02 배추겉절이 겉절이가 대충 만들면 되는 말그대로 겉절이인데 만들면서 계량을 하는 게 크게 의미가 없어서 늘 손가는대로 무치다가 오랜만에 계량을 ... file 이윤정 2013.10.02 4768
91 반찬 마카로니 샐러드 2013/09/30 지금 먹고 있는 마카로니 샐러드. 계란 두 개는 완숙이 되도록 약 10분간 삶고, 파스타 약 200그램정도 소금을 넣은 넉넉한 물에 삶고, 소세지 하나 ... file 이윤정 2013.09.30 6177
90 고기 양곱창, 특양구이, 양볶음밥 2013/09/28 양곱창, 특양구이, 양볶음밥 양곱창 양+곱창을 말하는데 양은 소의 1위를 이야기 하고 곱창은 소의 소창을 이야기한다. 오늘 먹은 건 곱창은 아니고 ... file 이윤정 2013.09.28 14235
89 고기 매운돼지갈비찜, 돼지갈비찜 2013/09/27 매운돼지갈비찜, 돼지갈비찜 사용한 재료는 돼지갈비 1키로 국간장약간 월계수잎 배, 양파, 마늘 간 것 합해서 300그램 간장, 고운고춧가루, 설탕, 다... file 이윤정 2013.09.27 4102
88 국 찌개 꽁치통조림 김치찌개 2013/09/26 꽁치통조림 김치찌개 꽁치캔이 집에 하나 생겨서 별 고민없이 꽁치통조림김치찌개를 만들기로 하고 김치와 꽁치통조림만 사용해서 푹 끓여냈다. 국물... file 이윤정 2013.09.26 10125
87 밥류 김치볶음밥, 김치참치볶음밥 2013/09/25 김치볶음밥, 김치참치볶음밥 김치볶음밥은 먼저 김치가 맛있어야 하고, 불 앞에 서서 쉬지 않고 열심히 볶아야 하는 것은 당연하고, 그 외에 취향에 ... file 이윤정 2013.09.25 4483
86 고기 소꼬리 꼬리찜 2013/09/15 소꼬리 꼬리찜 소의 꼬리는 꼬리반골과 소꼬리, 흔히 말하는 알꼬리로 나뉘는데 꼬리반골은 주로 사골국을 만들 때 쓰고 알꼬리는 꼬리곰탕이나 꼬리... file 이윤정 2013.09.15 13337
» 국 찌개 소고기무국, 경상도식 얼큰한 소고기무국 2013/09/03 소고기무국, 경상도식 얼큰한 소고기무국 뭇국이 맞는 표기이기는 하나 내 입도 뭇국이 익숙치 않아서 제목은 무국으로 올려본다. 평소에도 밥, 국, ... file 이윤정 2013.09.03 7053
Board Pagination Prev 1 ... 51 52 53 54 55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