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2013/07/20

오므라이스, 오므라이스 소스

 

 

 

크기변환_DSC06692.JPG

 

 

미리 소스만 만들어 둔다면 볶음밥이나 오므라이스나 거기서 가기긴 한데

어쨌든 볶음밥보다 계란과 소스가 보기 좋게 추가되었다는 이유로 더 맛있게 느껴지는 오므라이스.

 

 

 

소스는 먼저 만들어 두는 것이 편하다.

돈가스소스나 함박스테이크소스 , 오므라이스 소스가 다 다르겠지만 여러가지 만들기도 귀찮고 하나 만들어서 여기저기 쓰고 있는데,

오므라이스소스를 돈가스소스나 함박소스에 비해 약간 묽게 만든다.

묽게 일부러 만든다기 보다 갓 만든 소스는 농도가 묽기 때문에 오므라이스에 가장 잘 어울린다.

이렇게 만들어서 오므라이스를 먹고 난 다음에 냉장고에 넣어두면 이렇게까지 묽지는 않고 조금 농도가 진해진다.

뜨거울 때에는 오므라이스에 먹기에 딱인데 식으면 농도가 조금 더 되직해져서 돈가스나 함박스테이크 햄버거 등등 두루두루 잘 어울리게 된다.

 

 

기본적인 데미그라스 소스에서 변형하여 만든 것인데 늘 이렇게만 만들다 보니까 너무 같은 맛만 내는 것 같은 느낌이 들어 

오꼬노미야끼 소스 대신에 우스터 소스 등을 넣거나 해서 두어번 변경해봤는데  마음에 딱 들지는 않았다.

내 입맛에는 이렇게 만드는 게 가장 나았다. 이 소스 때문에 오꼬노미야끼소스 댓병;을 또 샀다.

 

 

사용한 재료는 계량스푼, 200미리 계량컵으로

버터 3T, 밀가루3T,  레드와인 1C, 물 2C, 오꼬노마야끼소스 1C, 400g짜리 토마토캔 1개 혹은 다진 토마토 눌러 담아서 2C.

 

 

메모에 보면 버터3 밀가루3 와인1 토마토캔1 오꼬노1 물2 이런식으로 휘갈겨 적어놨다.

누가 보면 바로 실패하기 좋게 적힌 레시피..이긴 한데 하여튼 이런식으로 푹푹 퍼넣고 푹 졸여서 만든다.

 

 

녹인 버터에 밀가루를 넣어서 루roux를 만든 다음 나머지 재료를 다 넣고 중불~약불에 원하는 농도가 될 때까지 푹 끓이면 완성.

총 1시간 20분 정도 조리했다. 치킨스톡이나 비프스톡 큐브 1개 정도 넣는 것도 좋다. 이번에는 깜빡하고 넣지 않았다.

  

  


크기변환_DSC06644.JPG     크기변환_DSC06645.JPG


크기변환_DSC06647.JPG     크기변환_DSC06648.JPG


크기변환_DSC06650.JPG     크기변환_DSC06651.JPG


크기변환_DSC06676.JPG     크기변환_DSC06701.JPG


 

밀가루와 버터를 볶은 다음 재료를 한방에 다 넣고 중약불에 1시간 20분 정도 뭉근하게 끓였다.

손에 익고 자주 만들어서 그런지 내입맛에는 딱 맞다.

 

 

 

 

 사진 순서는 오므라이스소스를 먼저 올렸지만 실제로는 소스를 만들면서 오므라이스를 만들었다.

 

 

채소는 적당히 집에 있는 걸로, 주로 양파, 당근, 파프리카, 피망, 대파를 자주 넣고,

닭가슴살이나 팽이버섯, 양송이버섯, 청경채, 부추, 쪽파, 마늘 등 구색에 대충 맞춰서 사용한다.

볶음밥 소스로, 오므라이스에 들어가는 볶음밥은 소스를 올릴 것이기 때문에 약하게 했고

굴소스를 사용해서 간을 했지만 우스터소스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 날은 자투리로 남은 파프리카 3종류, 양파, 당근, 팽이버섯, 대파를 준비하고 모짜렐라치즈와 비엔나 소세지를 토핑으로 올렸다.

 

 

 

 

어쨌든 사용한 재료는 위에 쓴 파프리카 3종류, 양파, 당근, 팽이버섯, 대파, 밥2인분, 치즈, 소세지, 계란, 굴소스, 소금, 후추, 오므라이소스

 

 

 

크기변환_DSC06663.JPG     크기변환_DSC06668.JPG

 

 

 

1인당 계란은 2개로, 우유를 약간 섞어서 채친 다음 체에 내렸다.

볶음밥을 넉넉하게 하고 있어서 계란물이 찢어질까봐 물+전분을 1:1로 넣은 물전분도 약간 넣었다.

물전분을 넣으면 계란물에 탄력이 생겨서 잘 찢어지지 않는다. 

 


크기변환_DSC06654.JPG     크기변환_DSC06655.JPG


크기변환_DSC06657.JPG     크기변환_DSC06660.JPG


크기변환_DSC06661.JPG     크기변환_DSC06662.JPG


 

 

 

바쁘니까, 채소는 더디게 익는 채소부터 차례로 넣는 것은 하지 않고 한번에 팬에 넣고 달달달달 볶다가 밥을 넣고 또 달달달달, 대파는 마지막에 생각나서 넣었다.

오므라이스는 오므라이스소스를 곁들일 것이기 때문에 볶음밥에 케찹으로 간을 하지 않고

소금과 굴소스 아주 약간으로 간을 하고 후추약간, 참기름 약간 넣었다.

  

 

볶은 밥은 일단 팬에서 내려서 볼에 담아 두고 토핑으로 올릴 비엔나를 꼬치에 끼워서 가스불에 겉을 살짝 구웠다.

사이즈가 좀 큰 비엔나라 달군 팬에서 빨리 익지를 않아 시간이 약간 걸렸는데 여유가 있다면 3분정도 데쳐서 볶거나 구우면 더 낫다.

 

  

 

크기변환_DSC06671.JPG     크기변환_DSC06672.JPG


크기변환_DSC06674.JPG


크기변환_DSC06675.JPG     크기변환_DSC06679.JPG

  

크기변환_DSC06680.JPG


 

 

 

달군 팬에 기름을 두르고 슬쩍 닦아내고(팬에 얇고 넓게 기름을 코팅하고) 체친 계란을 넣어 팬을 한 번 돌려준 다음

계란이 반숙 정도로 익으면 불을 끄고 모짜렐라치즈를 넣고 볶은 밥을 넣은 다음

뒤지개로 살살 모양을 잡고 팬과 접시를 양손에 들어 모양을 잡았다.

모양을 잡는다고 잡았는데 마음에 딱 들지는 않지만 봐줄만은 하게 됐다.

    


크기변환_DSC06684.JPG     크기변환_DSC06685.JPG


크기변환_DSC06682.JPG    크기변환_DSC06686.JPG


 

 

 

 

 

크기변환_DSC06692.JPG

 

 

 

 


 

크기변환_DSC06695.JPG


 

 

조금 묽지만 막 완성된 소스를 오므라이스에 붓고 미리 준비해 둔 비엔나소세지를 올려서 완성.

크게 보면 단순한 볶음밥이지만 볶음밥, 치즈, 계란, 구운비엔나, 소스의 조합이 꽤 괜찮다.

 

 

 

 

 

 

 

 

 

 

  

  

하고 열흘쯤 지난 오늘 또 오므라이스를 만들었다.

아침밥으로 먹기 위해서 채소는 미리 작게 썰어서 냉장고에 두고 아침에 일어나서 야채 볶고 밥 넣고 굴소스 약간을 넣어서 볶음밥을 만들었다.

밖은 이상하게 어둡고 야채를 볶으면서 밥솥을 열었더니 전기밥솥이 고장 났는지 예약취사 해 둔 밥은 시간이 지났는데도 쌀+물이었다. 아오.....-_- 

부랴부랴 쾌속취사 누르고 곁들여 먹을 오이미역냉국(어제 불리고 남은 그 미역...)을 만들면서 계란도 풀어두었다.

일찍 일어났지만 밥이 늦게 되는 바람에 마지막에 엄청 바빠져서 굴소스를 조금 적게, 소금간 약간, 후추 약간, 참기름 이런 디테일은 다 빼먹고 대충 만들었다.

 

 

팬에 계란물을 붓고 볶음밥을 얹은 다음 오믈렛 모양으로 만들어서 접시에 담았다.

 

  

 

크기변환_DSC07360.JPG


 

 

 

 

 

크기변환_DSC07365.JPG


 

 

오므라이스를 다 만들고 소스를 뿌리기 직전에 남편을 깨웠다.

일어나.. 밥먹어야지..

하니 남편 말이 4시반인데????

 

 

 

Aㅏ.................

 

갑자기 잠에서 깨서 알람때문에 깬 줄 착각하고 어? 시간됐네? 벌떡!

요즘같은 여름에 밖이 어두운데도 왜 어둡지? 왜 예약취사한 밥이 안됐지? 하며 7시반에 먹을 볶음밥을 새벽 4시에 만들고 있었다..

아 이제 해가 짧아지려나? 하다니 그정도 깜깜하면 알 만도 한데,

밥이 늦게 되어서 중간중간에 시계를 10번도 더 봤는데도 4시반인줄 몰랐다니 나도 참 바보다 바보..

그래서 다시 자다가 7시반에 일어나 오므라이스는 전자레인지에 데우고 소스만 뿌려서 아침밥을 차렸다.

 

 

 

소스를 만들면서 오므라이스도 만들 때에는 바빴는데 만들어둔 소스를 올리니 여유가 있었다.

식어서 위보다 묽지 않게 된 소스는 역시 두루두루 잘 어울리는 정도의 농도가 되어 있었다.

며 멀쩡한척?

 

 

어쨌든 오므라이스는 볶음밥+계란이니까 대충 만들면 되고 소스는 입맛에 딱 맞아서 맛있게 먹을 수 있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 반찬 멸치볶음, 멸치호두볶음 2013/09/03 마땅히 만들 밑반찬이 없을 때 편하게 만드는 멸치볶음. 멸치를 볶을 때에는 주로 지리멸치를 사용하고 있다. 멸치는 크기 순으로 대멸 중멸 소멸이 ... file 이윤정 2013.09.03 5694
83 고기 소고기숙주볶음 2013/09/01 소고기숙주볶음 + 오리엔탈드레싱 꽤 자주 해먹고 있는 숙주+고기+오리엔탈드레싱. 오리엔탈드레싱은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docume... file 이윤정 2013.09.01 7582
82 고기 김치두루치기, 김치제육볶음 2013/08/26 김치두루치기, 김치제육볶음 보통 양념장을 만들면 이것저것 찾아보고 계량해서 만들기도 하고 뭐 그냥 대충 만들기도 하는데 계량해서 만드는 것은 ... file 이윤정 2013.08.26 6110
81 한접시, 일품 탕평채, 청포묵무침 2013/08/24 탕평채, 청포묵무침 청포묵은 마트에서 암만 찾아도 없더니 사상이마트에 볼일이 있어 갔다가 바로 옆 사상 홈플러스에서 발견했다. 안그래도 보이면 ... file 이윤정 2013.08.24 5058
80 반찬 감자전 2013/08/19 감자전 강판에 간 체에 거른 다음 남은 감자수분은 가만히 가라앉혀서 윗물을 따라내고, 갈아 둔 감자와 전분을 섞어서 굽는 것이 기본인데 조금 편하... 3 file 이윤정 2013.08.19 5045
79 고기 소불고기, 소불고기양념, 불고기덮밥 2013/08/14 소불고기, 소불고기양념, 불고기덮밥 소불고기를 양념해 놓고 전골이니 뚝배기불고기니 자주 해먹었는데 정작 불고기는 조금 오랜만에 해먹었다. 배와... file 이윤정 2013.08.14 8842
78 한그릇, 면 오리백숙, 오리백숙만드는법 2013/08/12 오리백숙, 오리백숙만드는법 본론에 앞서 오리백숙보다 더 맛있는 오리 소금구이와 주물럭은 아래 링크에 있다. 오리 소금구이, 볶음밥 - http://www.... file 이윤정 2013.08.12 76475
77 한그릇, 면 닭칼국수, 양념장, 닭칼국수만드는법 사용한 재료는 닭 1마리, 대파, 양파, 마늘, 칼국수, 쪽파 양념장으로 청양고추, 고춧가루, 다진마늘, 간장 먼저 칼국수 양념장. 실제로 만들기로는 닭을 삶으면... file 이윤정 2013.08.09 45751
76 반찬 호박볶음, 호박새우젓볶음 2013/08/03 호박볶음, 호박새우젓볶음 호박을 평소에 거의 안먹는 편이지만 여름에 나는 달고 부드러운 여름호박은 전으로 부치거나 볶아서 먹으면 그건 좀 맛이 ... file 이윤정 2013.08.03 5433
75 고기 LA갈비, 갈비구이, 갈비구이양념, 갈비덮밥 이론적으로는 고기에 양념장이 속까지 충분히 스며든다는 전제하에, 조리과정 중 양념장이 팬에 많이 딸려들어가 졸여져서 고기에 배이도록 하는 경우는 제외하고... file 이윤정 2013.07.31 9370
74 반찬 꼬막무침 2013/07/27 꼬막무침 꼬막에 소금물에 넣어 뚜껑을 덮은 다음 하룻밤동안 냉장고에 두고 해감한 다음 자갈 씻듯이 바락바락 씻었다. 꼬막이 살짝 잠기도록 물을 ... file 이윤정 2013.07.27 5009
73 국 찌개 소고기 강된장, 호박잎쌈 2013/07/27 소고기 강된장 호박잎은 데쳐서 호박잎쌈으로 만들었고 거기에는 당연히 강된장이 딱이라 오랜만에 강된장을 만들었다. 강된장을 떠먹을만한 국물이 ... file 이윤정 2013.07.27 4774
72 한그릇, 면 닭죽 2013/07/23 삼계탕이 이어 닭죽. 삼계탕은 한마리씩 그릇에 담아 살을 발라 먹는 맛이 있다면 닭죽은 백숙을 끓여 닭은 건지고 육수에 불린 찹쌀을 넣어 죽으로 ... file 이윤정 2013.07.23 4213
71 전골 탕 삼계탕 삼계-탕蔘鷄湯 : 어린 햇닭의 내장을 빼고 인삼, 대추, 찹쌀 따위를 넣어서 고아 만드는 보양 음식. 삼복에 보신이 되고 원기를 돕는다. - 네이버 국어사전 삼계... file 이윤정 2013.07.22 4590
» 한그릇, 면 오므라이스, 오므라이스 소스 2013/07/20 오므라이스, 오므라이스 소스 미리 소스만 만들어 둔다면 볶음밥이나 오므라이스나 거기서 가기긴 한데 어쨌든 볶음밥보다 계란과 소스가 보기 좋게 ... file 이윤정 2013.07.20 15895
69 국 찌개 바지락된장찌개 2013/07/19 바지락된장찌개 생각없이 재료를 사두고 이걸로 뭘할까 고민하면서 괴로워 하는 것이 취미라 바지락을 한봉투 사두고 순두부찌개? 된장찌개? 미역국? ... file 이윤정 2013.07.19 4684
68 반찬 두부조림 2013/07/18 두부조림 두부조림은 팬에 노릇노릇 지져서 진하게 우려낸 멸치육수와 양념을 넣고 자작하게 조렸다. 두부조림이야 대충 만들면 되니까 그까이꺼 물기... file 이윤정 2013.07.18 4851
67 김치, 장아찌, 무침 마늘종장아찌, 마늘쫑장아찌만드는법 2013/07/18 마늘종장아찌, 마늘쫑장아찌만드는법 열흘정도 식촛물에 노랗게 삭혀서 식촛물의 물기를 뺀 다음 고추장을 베이스로 한 양념을 무쳐서 만들었다. 사용... file 이윤정 2013.07.18 12667
66 고기 소고기샐러드 + 오리엔탈드레싱 2013/07/17 소고기샐러드 + 오리엔탈드레싱 오리엔탈드레싱에 잘 어울리는 소고기샐러드. 샤브샤브용 소고기를 구워서 샐러드채소 위에 얹은 다음 오리엔탈드레싱... file 이윤정 2013.07.17 5760
65 고기 차돌박이 숙주볶음 + 오리엔탈드레싱 2013/07/16 차돌박이 숙주볶음 + 오리엔탈드레싱 앞서 올린 오리엔탈 드레싱만 있다면 굉장히 만들기 쉬우면서 다른 반찬 필요없이 밥만 조금 곁들여서 한끼 식사... 2 file 이윤정 2013.07.16 7422
Board Pagination Prev 1 ... 52 53 54 55 56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