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DSC07036.JPG

 

 

 

삼계-탕蔘鷄湯 : 어린 햇닭의 내장을 빼고 인삼, 대추, 찹쌀 따위를 넣어서 고아 만드는 보양 음식. 삼복에 보신이 되고 원기를 돕는다. - 네이버 국어사전

 

 

삼계탕이라는 음식이 제철이 있는 채소나 해산물로 만드는 것도 아니고 연중 어느 때나 쉽게 먹을 수 있고, 만들 수 있지만 삼복인 초복, 중복, 말복. 복날에 챙겨 먹는 삼계탕은 각별한 의미가 있는 것도 같다.

 

복날은 그 많은 여름 날 중에 콕 집어서 딱 그 날 보양식을 먹어야 하는 것처럼 집단적인 현상을 가지는데, 집단적임에 우호적이지 않은 나도 이상하게 복날은 그 집단적인 현상이 싫지만은 않다. 발렌타인데이나 크리스마스 등의 떠들썩한 날은 불구경 하듯이 보내도 복날에 든든한 음식을 먹으면 냉정했던 마음이 약간 녹는 것 같기도 하다. 매해 꼬박꼬박 복날을 챙기다 보면 10년전 발렌타인데이에 남자친구에게 줄 초컬릿을 재가공(만드는 것이 아님) 하던 일도 생각이 나고.

 

삼계탕은 토종닭에 약재와 삼을 넣어서 만든 백숙을 만들어 백숙을 먹고 닭죽을 끓여 먹는 걸 가장 좋아하지만 토종닭이 비싸기도 하고...해서

요즘 한창 저렴한 삼계탕용 영계에 속에 찹쌀을 채워 1인 1닭 하는 일반적인 삼계탕을 하고 있는데 경제적이고(돈이 덜 들고) 맛있어서 이것도 좋다.

 

 


사용한 재료는

1인당 삼계탕용 영계 1마리, 찹쌀 5스푼, 마늘 3쪽, 대추, 인삼에

국물에 넣을 대파, 양파와 삼계탕용으로 나온 황기, 헛개나무, 오가피나무.

 

 

 

닭을 손질하기 전에 먼저 찹쌀을 불렸다.

닭 안에 채운 쌀은 푹 불리지 않으면 설익을 수 있으니까 3시간 정도 미리 불려서 만에 하나 설익을 만한 여지를 두지 않는 것이 좋다.

시간이 부족하다면 찹쌀에 물을 조금 적게 잡아 압력밥솥에 고슬고슬하게 밥을 지어서 뭉쳐서 넣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불린 찹쌀은 닭 속에 채우기 좋도록 물기를 빼고..

 

크기변환_DSC07024.JPG     크기변환_DSC07025.JPG


크기변환_DSC07026.JPG     크기변환_DSC07057.JPG

 

 

닭은 깨끗하게 씻고 속에 남은 불순물들도 깨끗하게 제거해서 속에 찹쌀을 채워 넣기 좋을 정도로 손질했다.

꽁지와 꽁지 근처의 기름은 잘라내고 목에 있는 기름도 조금 제거했다.

꽁지 쪽은 기름은 잘라내되 껍질은 그대로 두어야 속에 채운 찹쌀을 고정하기 위해 양발로 꼬는 것을 하기 나으니까 한쪽만 제거하거나 해서 적당히 남겨뒀다.

 

 

물기를 뺀 찹쌀을 닭 속에 채울 때에 목쪽에 찹쌀을 먼저 넣으면 밖으로 목과 가슴살 사이로 쌀이 흐르니까 큰 대추나 마늘로 막은 다음 찹쌀을 채우는 것이 좋다.

대추를 넣으면 밥에 은은하고 달콤한 대추의 맛과 향이 배어서 좋고, 마늘의 알싸하면서 잘 익은 단맛도 잘 어울린다.

찹쌀을 채운 닭은 다리쪽 껍질에 칼집을 내고 다리를 꼬아 고정시키는데 잘 안될 때에는 꼬지를 사용해서 꼬기도 한다.

 

 

 

 

준비가 끝나면 닭에 물을 넉넉하게 붓고 인삼과 황기나 오가피나무 등의 재료를 넣고 국물에 맛을 더해 줄 대파와 양파도 넣었다.

 


크기변환_DSC07027.JPG     크기변환_DSC07029.JPG


크기변환_DSC07030.JPG     크기변환_DSC07031.JPG


크기변환_DSC07033.JPG


 

 

 

물이 팔팔 끓으면 중불~중약불에 40분~1시간 정도 뭉근하게 끓이면

국물이 뽀얗게 우러나고 찹쌀이 익어 닭이 빵빵해진다.

 

잘 익은 삼계탕은 불을 끄고 10분정도 그대로 두어 찹쌀에 뜸을 들였다.

뜨거운 것을 즐길 때에는 그대로 먹어도 좋지만 10분 정도 두면 뜨거움이 가셔서 먹기도 편하고 닭도 조금 더 촉촉해지는 것 같다.

 

 

크기변환_DSC07034.JPG


 

 

 

 

크기변환_DSC07036.JPG

 

 

 

 

 

크기변환_DSC07039.JPG

 

 

 

 


 

크기변환_DSC07045.JPG


 

 

 

 

 

크기변환_DSC07047.JPG


 

어쨌든 먹을 때에는 대파도 곁들이고 소금과 후추도 입맛에 맞게 뿌렸다.

뜨거운 국물이라 소금을 넣어도 싱겁게 느껴지는 느낌이 드는데 그렇다고 소금을 많이 넣으면 짜게 되니까 약간 싱겁게 먹기 시작하면 주로 마지막에 간이 맞다.

그래서 보통 일부러 냄비에 육수를 조금 남기고 식사 그릇에 담아내는데

각자 소금을 넣어 간에 맞춰서 먹다 보면 싱거울 일보다 짜게 되어서 국물이 필요할 일이 가끔 생기고, 

그러다가 먹지 않고 남은 육수는 냉동해두면 쓸일이 꼭 생기게 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낸 육수는 양식보다는 중식에 꽤 잘 어울린다)

 

 

닭도 잘 익었고 찹쌀도 쫀득쫀득하게 잘 익었다.

크게 특별한 음식도, 제철로 계절을 타는 음식도 아닌데 이렇게라도 은근 기분이 좋으면 그걸로 충분한 것 같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한접시, 일품 기본 잡채, 잡채밥, 간짜장 기본 잡채, 잡채밥, 간짜장 잡채밥 2017년 버전 - https://homecuisine.co.kr/hc20/50390 보통 잡채밥은 중국식인지 중국음식점식인지 색이 연한 잡채에 짜장을 ... file 이윤정 2014.03.26 6502
123 밥류 스테이크볶음밥 2014/03/22 스테이크볶음밥 스테이크를 넣은 볶음밥은 아니고 스테이크를 곁들인 볶음밥.. 오므라이스와 거의 똑같이 굴소스를 넣어 만든 볶음밥에 스테이크와 볶... file 이윤정 2014.03.22 8149
122 밥류 새우오므라이스 2014/03/22 새우오므라이스 굴소스 볶음밥으로 만든 오므라이스에 중국식 새우튀김과 케찹베이스의 오므라이스소스를 곁들였다. 미리 이야기 하자면 새우튀김은 ... file 이윤정 2014.03.22 5509
121 일상 치즈돈까스만들기 2014/03/14 치즈돈까스만들기 오랜만에 슈레드모짜렐라치즈를 샀더니 썰지 않아도 되고 새삼 이렇게 편한 물건이.. 하고 생각했다. 슈레드모짜렐라치즈를 샀으면 ... file 이윤정 2014.03.14 12467
120 밥류 닭야채볶음밥, 유가네 볶음밥 따라하기 2018년 업데이트. 거의 똑같다. https://homecuisine.co.kr/hc10/70512 양념장에 사용한 재료는 그램단위로 간장 85, 청주 15, 양파 70, 대파 30, 마늘 30, 생강 ... 4 file 이윤정 2014.03.11 48509
119 국 찌개 소고기 버섯 강된장 2014/03/06 소고기 버섯 강된장 된장찌개, 김치찌개 다 좋아하지만 된장찌개는 꽃게 된장찌개를 가장 좋아하고, 김치찌개는 김치찜처럼 만든 것을 좋아하고, 밥과... file 이윤정 2014.03.06 6211
118 반찬 상어전, 달고기전, 대구전, 명절음식 2014/03/05 상어전, 달고기전, 대구전, 명절음식 친할머니께서 우리 부모님이 결혼하신지 1년만에 돌아가셔서 그로부터 40년을 친정엄마께서 제사를 지내셨는데 ... file 이윤정 2014.03.05 6862
117 반찬 김치참치볶음, 베이컨 숙주볶음 2014/02/25 김치참치볶음, 베이컨 숙주볶음 깐차오뉴허를 하고 숙주가 많이 남아서 숙주볶음을 했다. 밥상 차리는데 반찬이 하나도 없어서 대충 김치하고 참치 볶... file 이윤정 2014.02.25 9953
116 반찬 고기에 곁들이는 파조래기, 파절임, 파무침 2014/02/23 고기에 곁들이는 파조래기, 파절임, 파무침 파절임이나 파무침이라고 하기도 하고 내가 사는 곳에서는 파조래기라고 불렀다. 수육을 하려고 덩어리로 ... file 이윤정 2014.02.23 8418
115 밥류 유부김밥 2014/02/22 유부김밥 저녁에 뭘 할지 딱히 생각해둔 것이 없어서 무작정 냉장고를 열었다 닫았다 하고 밥은 안하고 버티다가 아이디어도 없고 뭘 하자니 꼭 하나 ... file 이윤정 2014.02.22 6395
114 한접시, 일품 부추야채전, 부추전 2014/02/14 부추야채전, 부추전 앞서 올린 만두를 만들고 남은 부추로 찌짐을 만들었다. 묽은 반죽에 주재료인 부추와 얇게 채썬 양파, 당근, 감자, 청양고추를 ... file 이윤정 2014.02.14 9179
113 한접시, 일품 만두, 만둣국, 군만두, 만두속만드는법 2014/02/13 만두, 만둣국, 군만두, 만두속만드는법 집에서 걸어가기는 애매하고 차타고 가기도 애매한 거리의 마트에서 생만두피를 하나 발견해서 만두를 빚었다.... 1 file 이윤정 2014.02.13 8395
112 일상 참치생채비빔밥, 생야채비빔밥, 계란말이 산뜻하고 마음 편한 음식이 뭐 없을까 하다가 참치생채비빔밥이 생각났다. 집에 남은 채소를 대충 모아보니 버터레터스, 양배추, 당근 정도.. 버터레터스는 집에 ... file 이윤정 2014.02.06 7276
111 한그릇, 면 바지락칼국수 2014/02/05 바지락칼국수 -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음식 백가지 국수는 원래 반죽을 손으로 눌러서 풀잎처럼 만들었다는 수인병(手引餠)이었고, 그 후에 반... file 이윤정 2014.02.05 7512
110 한접시, 일품 닭도리탕만드는법, 찜닭만드는법 2014/01/16 닭도리탕만드는법, 찜닭만드는법 이라는 검색형 제목.. 찜닭이나 닭도리탕이나 양념만 조금 다를 뿐이지 전체적으로 들어가는 재료나 만드는 방법이 ... file 이윤정 2014.01.16 9235
109 고기 함박스테이크, 간단소스 2014/01/15 오랜만에 올리는 함박스테이크. 함박스테이크는 지난 봄 이후로 블로그에 올리지는 않았지만 떨어지지 않게 만들어두고 있다. 크게 비율이나 들어가는... file 이윤정 2014.01.15 8118
108 일상 야끼라면, 볶음라면 2014/01/14 야끼라면, 볶음라면 일본음식은 안먹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집에 남은 야끼소바소스와 오꼬노미야끼소스가 있어서 간단하게 야끼라면을 만들었다. 나... file 이윤정 2014.01.14 6637
107 반찬 김치두루치기, 계란말이, 감자볶음, 두부구이 2014/01/04 의식의 흐름에 따라 쓰는 어제저녁밥. 김치두루치기, 계란말이, 감자볶음, 두부구이 어제는 몸이 안좋아서 하루종일 숭늉만 먹고 굶다가 저녁에 급 활... file 이윤정 2014.01.04 5550
106 반찬 전자렌지 계란찜 2014/01/03 전자렌지 계란찜 자주 해먹는 볶음밥을 준비하다가 뜨끈한 게 땡겨서 전자레인지에 계란찜을 만들었다. 계란찜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 체나 그릇을 ... file 이윤정 2014.01.03 7369
105 반찬 참치김치볶음, 두부김치 2014/01/02 참치김치볶음, 두부김치 두부김치는 아니고 두부+김치볶음.. 음식하기가 귀찮아서 메인 밥반찬으로 두부 굽고 참치캔 하나 뜯어서 김치 좀 넣고 얼른 ... file 이윤정 2014.01.02 7208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