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한그릇, 면
2013.07.23 00:29

닭죽

조회 수 3212 추천 수 0 댓글 0

 

 

2013/07/23

삼계탕이 이어 닭죽.

 

 

크기변환_DSC07472.JPG

 

 

 

 

삼계탕은 한마리씩 그릇에 담아 살을 발라 먹는 맛이 있다면

닭죽은 백숙을 끓여 닭은 건지고 육수에 불린 찹쌀을 넣어 죽으로 만들고, 살만 발라낸 닭과 채소를 넣고 만들어서 먹기도 편하고 부드럽게 찰진 맛이 있다.

 

 

사용한 재료는 2~3인분으로

삼계탕용 영계 2마리, 찹쌀 1.5컵, 양파, 마늘, 대파, 황기, 오가피, 쪽파

 

 

쌀이나 닭 등의 양을 보면 (밥으로 쳤을 때에)2인분이지만 죽으로 만들고, 그릇에 담아내면 3그릇 정도 나온다.

여기에 수삼만 한뿌리 넣으면 삼계죽이고.. 뭐 어쨌든 삼보다는 닭이 메인!

 

 

 

 

가장 먼저 찹쌀을 씻어서 불렸다. 그리고 나서 닭손질.

 

 


 

 

닭은 꽁지와 꽁지 근처의 기름은 잘라내고 목에 있는 기름도 제거했다.

깨끗하게 씻고 특히 속에 남은 불순물들을 깨끗하게 씻었다. 

육수에 닭냄새를 줄이고 맛을 더해 줄 황기, 가시오가피, 양파, 대파, 마늘, 무.

 

 

 

크기변환_DSC07435.JPG     크기변환_DSC07436.JPG


크기변환_DSC07437.JPG     크기변환_DSC07439.JPG


 

닭이 충분히 잠기도록 물을 붓고 물이 팔팔 끓으면 불을 낮춰 중약불로 1시간이 조금 넘게 뭉근하게 끓였다.

중불에 40분만 해도 출분히 잘 익는데 저녁시간이 늦어져서 천천히 익혔다.

 

중간에 육수가 졸아들면 물을 보충해가면서 끓이는데 닭은 건져내고 남은 육수가 쌀의 6~7배정도 되어야 알맞다.

이번에는 고기가 다 익은 다음에 보니 죽을 끓이기에 육수가 조금 모자랐다.

닭을 건져낸 육수는 양파, 대파, 마늘, 황기 등을 체로 거른 다음 끓는 물을 붓고 다시 한 번 끓어 올랐을 때 불린 찹쌀을 넣었다.

 

 

크기변환_DSC07440.JPG     크기변환_DSC07441.JPG


크기변환_DSC07442.JPG     크기변환_DSC07443.JPG


 

 

죽을 끓이면서 닭도 찢고 파도 썰었다.

닭은 대충 찢어서 먹어도 되는데 성격상 껍질, 기름, 핏줄 등을 꼼꼼하게 제거했다.

 

채소는 쪽파가 모자라서 대파와 반반 준비했다.

닭죽에는 물이 많거나 익히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채소는 넣지 않는 것이 좋지만

양파, 당근 등의 채소를 넣어도 무방하고 이렇게 파 정도만 넣어도 충분하다. 

  

 

 

크기변환_DSC07444.JPG     크기변환_DSC07445.JPG


 

 

찹쌀을 넣고 나서는 중약불에 약 25~30분 정도,눌어붙지 않게 가끔 저어주면서 쌀알이 부드러워 질 때까지 끓였다.

완성하고 싶은 정도의 되기가 있다면 그것보다 살짝 질게 되었을 때 불을 끄는 것이 좋다. (다른 죽 들도..)

여열로 인해 계속 익기도 하고 쌀이 계속 수분을 흡수해서 막상 불을 끌 때에는 이것보다 조금 더 푹 퍼지는게 좋겠다 싶어도

닭살과 파 등의 나머지 재료를 넣은 다음 조금 더 끓이고 간을 하고 그릇에 담고 하는 동안에 더 퍼지게 된다.

 

  

 

 

크기변환_DSC07446.JPG


 

 

 

 

 

크기변환_DSC07447.JPG

 

 

식사시간보다 조금 일찍 완성 되어서 10분정도 뜸들인다 생각하고 두었더니 그 사이에 찹쌀이 육수를 거의 다 흡수했다.

찢어둔 닭살과 파를 넣고, 식은 닭과 섞인 죽이 전체적으로 따뜻해질 때까지 조금 더 끓였다. 

 

 

 

각자 입맛에 맞게 그릇에 담아 각자 간을 하는 것도 좋고, 남기지 않을 것이라면 바로 먹기 좋도록 그릇에 나눠 담기 직전에 간을 하는 것도 좋다.

죽이 남을 것 같을 때에는 남을 만큼 정도의 죽은 덜어내고 간을 하고 있다.

소금, 후추로 간을 하고 통깨도 약간 뿌려서 간을 맞췄다.

 

 

 

 


크기변환_DSC07458.JPG

 

 

 

 


 

크기변환_DSC07468.JPG


 

 

 

 

 

크기변환_DSC07462.JPG


 

 

 

닭죽은 20대 초반부터 참 많이 해먹었는데 해먹을 때마다 맛있고

미리 닭뼈를 다 발라서 죽에 넣으니 보드라운 죽과 함께 닭을 푹푹 퍼먹기에 너무 편하고

그릇을 비워가며 다 먹을 때까지 닭살이 빼곡하게 있어서 맛있다.

 

시간이 조금 많이 걸리고 먹기 편하게 하기 위해서 잔손이 조금 가기는 하지만 복잡하지도 않고,

일단 식사로 정해두기만 하면 손에 완전히 익었기 때문에 빠뜨린 건 없나 하는 걱정없이 포근한 한끼 식사를 할 수 있어서 마음이 편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81 전골 탕 감자탕 file 이윤정 2013.04.14 2629
1080 전골 탕 감자탕, 등뼈해장국, 레시피, 만드는법 4 file 이윤정 2016.10.31 12534
1079 전골 탕 감자탕, 레시피 8 file 이윤정 2019.12.06 6069
1078 전골 탕 감자탕, 만드는법, 레시피, 재료 10 file 이윤정 2015.09.12 16169
1077 반찬 갑오징어 양념구이, 오징어두루치기, 갑오징어요리, 오징어볶음 file 이윤정 2014.10.20 11242
1076 반찬 강낭콩 삶기, 강낭콩조림 6 file 이윤정 2019.03.07 17767
1075 전골 탕 개미집 낙곱새 만들기, 레시피 8 file 이윤정 2020.08.09 27195
1074 한그릇, 면 경상도식 물국수 만들기, 멸치국수, 잔치국수, 레시피 2 file 이윤정 2021.07.01 9059
1073 국 찌개 경상도식 소고기뭇국 10 file 이윤정 2015.02.27 96621
1072 국 찌개 경상도식 소고기뭇국 4 file 이윤정 2018.10.20 7729
1071 국 찌개 경상도식 소고기뭇국, 소고기무국, 소고기국 4 file 이윤정 2021.02.17 5158
1070 국 찌개 경상도식 소고기뭇국, 얼큰한 소고기무국 2 file 이윤정 2022.05.23 2485
1069 일상 경상도식 순대막장, 순대쌈장 2 file 이윤정 2018.07.12 16712
1068 국 찌개 계란국, 명란젓 주먹밥, 유부초밥 4 file 이윤정 2016.01.24 7904
1067 밥류 계란볶음밥, 달걀볶음밥 7 file 이윤정 2018.02.10 79599
1066 일상 계란샐러드, 에그샐러드 4 file 이윤정 2016.04.14 18501
1065 반찬 계란장조림 만드는법, 레시피 5 file 이윤정 2015.11.09 10716
1064 반찬 고갈비, 고갈비양념 2 file 이윤정 2014.09.28 7022
1063 고기 고구마 돈까스 8 file 이윤정 2017.11.06 6626
1062 반찬 고구마순 조림 2 file 이윤정 2020.06.08 4147
1061 반찬 고구마순볶음 고구마줄기볶음, 고구마줄기 손질하기 4 file 이윤정 2019.07.22 927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5 Next
/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