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2013/08/19

감자전

 

 

 

크기변환_DSC08127.JPG

 

 

 

 

강판에 간 체에 거른 다음 남은 감자수분은 가만히 가라앉혀서 윗물을 따라내고, 갈아 둔 감자와 전분을 섞어서 굽는 것이 기본인데

조금 편하게 하려면 믹서에 갈아서 쓰는 것도 좋다. 나는 사서 고생 하는 것이 취미라 강판에 열심히 문대서..갈았다.

 

 

감자는 취급과정에서 충격에 의해 속에 얼룩이 생기기도 하는데 이것은 일종의 갈변반응이다.

감자를 깎아두거나 감자에 흠집에 생기면 금방 색이 변하는 것 또한 갈변반응인데 식물이 산화되며 방어기제를 발현시키는 효소에 의한 것으로

레몬즙 등을 뿌려 산성조건을 만들거나 찬물에 담가두는 것으로 이를 방지할 수 있다.

 

 

감자를 갈아두면 이 갈변반응으로 인해 금방 색이 짙어지며

감자수분을 가라앉히는 동안에도 갈아 둔 감자의 색이 부분적으로 검어지는데 먹는데에 딱히 큰 문제는 없지만

레몬즙이나 식초를 뿌리면 색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는 그냥 내버려둬서 마지막 사진에서 알 수 있듯이 감자전의 색이 약간 짙어졌다.

 

 

 

 

사용한 재료는

감자 중간것 10개, 쪽파 3~4뿌리, 홍고추1개, 다진마늘0.5스푼, 소금, 후추, 참기름

 

 


크기변환_DSC08109.JPG     크기변환_DSC08110.JPG


크기변환_DSC08111.JPG     크기변환_DSC08114.JPG


크기변환_DSC08116.JPG     크기변환_DSC08118.JPG


크기변환_DSC08120.JPG    

 

 

 

감자는 강판에 갈아서 체에 걸러서 물기를 뺐다.

체에 가만히 거르는 정도로 충분하기는 한데 성질이 급해서 면보에 넣고 조금 눌러줬다.

 

 

 

 

물기를 걸러낸 감자에 다진 홍고추, 다진마늘, 쪽파, 소금, 후추, 참기름을 넣고

감자에서 걸러낸 수분은 1시간 이상 가라 앉혀서 윗물은 따라내고 아래에 고인 전분은 감자전에 넣었다.

굳이 이렇게 할 필요는 없고 갈아 둔 감자만 걸러서 전으로 부쳐도 되고 쫀득한 맛을 더하고 싶으면 감자전분을 조금 넣어도 무방하다.

 

소금은 이정도 감자를 찍어먹기에 어느정도 소금이 필요한가를 생각해서 그것보다 약간 적게 넣고

후추와 참기름은 대충 살짝 뿌려서 넣었다.

 

 

 

 

크기변환_DSC08117.JPG    크기변환_DSC08121.JPG    

 

 

 

 

 

감자전 반죽을 잘 섞은 다음 원하는 크기로 하나씩 빚어서 앞뒤로 노릇노릇하게 지져냈다.

 

 

 

크기변환_DSC08124.JPG     크기변환_DSC08125.JPG

 

 

 

 

 

크기변환_DSC08127.JPG

 

 

 

 


 

크기변환_DSC08130.JPG


 

 

감자는 집에 있는데 고로케를 하자니 튀기기가 귀찮고 쪄먹자니 너무 평범하고 갑자기 급 땡겨서 만들었는데 쫀득쫀득한 맛이 괜찮았다.

감자 가는 것이 조금 빡치..기는 했다. 강판에 다친 적이 있어서 강판을 조금 무서워 하는데 감자는 많고.. 해서 영혼을 빼놓고 갈면서도 다치지 않도록 장갑을 끼고 갈았다. (그럼에도 유쾌하지는 않았다)

 

 

감자전이 다른 메인반찬;에 비해서 결코 적은 시간이 드는 반찬이 아닌데 고생하는 것에 비해 결과물의 양이 꽤 적어서 다른 음식을 하나 더 만들어야 저녁식사에 적당했다.

이 음식을 위해 나를 소모하는 것에 비해서 결과물의 양이 만족스럽거나 하지는 않는 것이 단점이지만 일년에 한두번쯤 별식으로 먹기에는 괜찮은 것 같다.

 

 

 

  • ichbinyul 2017.06.30 19:24
    감자 10개를.... 존경스러워요..ㅋㅋ 지금 저는 3개를 갈아 전분 가라앉히면서 쉬는 중입니다.. 저도 사서 고생이 취미인데 인내심은 다소 부족합니다..ㅋㅋ
  • 이윤정 2017.07.01 00:00
    어우 몇 년 지났다고 지금 보니 어째 저걸 다 갈고 있냐 싶은거 있죠ㅎㅎㅎㅎ
    저도 인내심 부족한데 이 땐 제가 아니었나봐요ㅎㅎㅎㅎ
  • 만두장수 2019.11.04 00:11
    아~이렇게도 하시는군요. 울 딸들 아빠표 감자전 최고라고 하는데...초딩 때 얘기고 이미 중3이 됐어요. 애들한테 미안해 집니다...그게 뭐라고 그거 한번 못해주네요 ㅠㅠ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 반찬 김치두루치기, 계란말이, 감자볶음, 두부구이 2014/01/04 의식의 흐름에 따라 쓰는 어제저녁밥. 김치두루치기, 계란말이, 감자볶음, 두부구이 어제는 몸이 안좋아서 하루종일 숭늉만 먹고 굶다가 저녁에 급 활... file 이윤정 2014.01.04 4048
37 반찬 전자렌지 계란찜 2014/01/03 전자렌지 계란찜 자주 해먹는 볶음밥을 준비하다가 뜨끈한 게 땡겨서 전자레인지에 계란찜을 만들었다. 계란찜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 체나 그릇을 ... file 이윤정 2014.01.03 5574
36 반찬 참치김치볶음, 두부김치 2014/01/02 참치김치볶음, 두부김치 두부김치는 아니고 두부+김치볶음.. 음식하기가 귀찮아서 메인 밥반찬으로 두부 굽고 참치캔 하나 뜯어서 김치 좀 넣고 얼른 ... file 이윤정 2014.01.02 4746
35 반찬 산적꼬지, 명절음식 2013/10/08 산적꼬지, 명절음식 남편이 평소에는 명절음식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 올해 추석에 이상하게 산적꼬지를 맛있게 잘 먹길래 한 번 더 해야지 생각하고... file 이윤정 2013.10.08 14384
34 반찬 오징어야채전, 오징어동그랭땡 2013/10/07 오징어야채전, 오징어동그랭땡 대충 다져서 지져내면 동그랭땡(돈저냐)이고 전이고 그러니까 제목은 일단 이렇다. 자투리 채소와 오징어, 소고기를 다... file 이윤정 2013.10.07 4179
33 반찬 배추겉절이 2013.10.02 배추겉절이 겉절이가 대충 만들면 되는 말그대로 겉절이인데 만들면서 계량을 하는 게 크게 의미가 없어서 늘 손가는대로 무치다가 오랜만에 계량을 ... file 이윤정 2013.10.02 4779
32 반찬 마카로니 샐러드 2013/09/30 지금 먹고 있는 마카로니 샐러드. 계란 두 개는 완숙이 되도록 약 10분간 삶고, 파스타 약 200그램정도 소금을 넣은 넉넉한 물에 삶고, 소세지 하나 ... file 이윤정 2013.09.30 6190
31 반찬 멸치볶음, 멸치호두볶음 2013/09/03 마땅히 만들 밑반찬이 없을 때 편하게 만드는 멸치볶음. 멸치를 볶을 때에는 주로 지리멸치를 사용하고 있다. 멸치는 크기 순으로 대멸 중멸 소멸이 ... file 이윤정 2013.09.03 5703
» 반찬 감자전 2013/08/19 감자전 강판에 간 체에 거른 다음 남은 감자수분은 가만히 가라앉혀서 윗물을 따라내고, 갈아 둔 감자와 전분을 섞어서 굽는 것이 기본인데 조금 편하... 3 file 이윤정 2013.08.19 5055
29 반찬 호박볶음, 호박새우젓볶음 2013/08/03 호박볶음, 호박새우젓볶음 호박을 평소에 거의 안먹는 편이지만 여름에 나는 달고 부드러운 여름호박은 전으로 부치거나 볶아서 먹으면 그건 좀 맛이 ... file 이윤정 2013.08.03 5447
28 반찬 꼬막무침 2013/07/27 꼬막무침 꼬막에 소금물에 넣어 뚜껑을 덮은 다음 하룻밤동안 냉장고에 두고 해감한 다음 자갈 씻듯이 바락바락 씻었다. 꼬막이 살짝 잠기도록 물을 ... file 이윤정 2013.07.27 5033
27 반찬 두부조림 2013/07/18 두부조림 두부조림은 팬에 노릇노릇 지져서 진하게 우려낸 멸치육수와 양념을 넣고 자작하게 조렸다. 두부조림이야 대충 만들면 되니까 그까이꺼 물기... file 이윤정 2013.07.18 4876
26 반찬 돼지고기로 속을 채운 파프리카전 2013/07/06 돼지고기로 속을 채운 파프리카전 사용한 재료는 속을 채우는 돼지고기소로 돼지고기 다짐육 400그램, 계란2개, 빵가루 1컵, 다진 마늘1T, 다진 생강 ... file 이윤정 2013.07.06 4131
25 반찬 콩조림 2013/07/03 콩조림 시장에서 소복하게 쌓아 두고 파는 콩이 알록달록 이뻐서 절로 눈길이 갔다. 밥에도 넣어 먹지만 콩조림을 해둬도 잘 먹어서 한바가지 샀다. ... file 이윤정 2013.07.03 4347
24 반찬 두부김치 2013/07/01 두부김치 어머님께서 퇴근길에 손두부를 한모 주시고 가셨다. 담백하고 파스라지는 질감의 손두부인데 따뜻하게 데워 먹으면 부드러운 맛이 아주 좋다... file 이윤정 2013.07.01 3157
23 반찬 스팸파전 2013/06/17 스팸파전 어머님께 여리여리하고 맛있게 생긴 쪽파를 받았다. 얘네는 한 눈에 봐도 파전으로 딱인데 파를 다듬고나니 냉동실에 있는 해물을 해동하는 ... file 이윤정 2013.06.17 3784
22 반찬 우엉조림만드는법 2013/05/24 우엉조림만드는법 눈 감고도 만드는 우엉조림.. 우엉조림은 건강에도 좋(다고하)고 한 번 만들어두면 저장성이 좋아 1~2주는 너끈히 보관할 수 있어서... file 이윤정 2013.05.24 4062
21 반찬 김무침 2013/05/15 김무침 사용한 재료는 김 약 25장 양념장은 계량스푼으로 간장4T, 꿀(물엿)3T, 청주3T, 다진마늘1T, 다진파1T, 참기름약간, 깨약간 김은 달군 후라이... file 이윤정 2013.05.15 9283
20 반찬 새우전 2013/05/01 새우전 앞서 올린 깻잎무침 만들면서 쪽파 써는 김에 뭐 할거 없나 생각했더니 여기다가 새우만 해동하면 되는 새우전이 생각났다. 깻잎무침에 쓴 재... file 이윤정 2013.05.01 3551
19 반찬 뚝배기 계란찜 2013/04/29 뚝배기 계란찜 먼저 멸치 다시마 육수로 - 멸치, 다시마, 새우, 양파, 대파, 무 찬물에 육수재료를 넣고 물을 충분히 부어서 20분이상 길게는 40분정... file 이윤정 2013.04.29 5344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