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2012/12/27

베이컨볶음밥, 베이컨김치볶음밥

 

 

 

 0.JPG

 

 

 

 

재작년에 담은 김장 김치가 아직도 반정도 남아있다.

원래부터 익은 김치나 묵은지로 먹기 위해서 속을 많이 넣지 않고 만들었는데

많이 묵었긴 하지만 아직도 음식에 넣어서 만들면 튀는 맛이 강하지 않으면서 음식에 잘 어우러진다.

 

 

둘이 먹으려고 사용한 재료는

묵은김치 1줌 = 180미리컵에 1컵 정도, 양파 반개, 파프리카 4분의1개 , 당근 4분의1개 , 청고추 1개, 대파1대

베이컨은 150그램정도 되는 양이었다. 계란3개에 생크림(우유 대체 가능) 3스푼.

 

이 정도가 집에 있는 재료 중에 볶음밥에 넣을 만 하여 준비했다. 볶음밥이니까 취향에 맞도록, 집에 있는대로 가감해서 만들면 좋다.

베이컨은 유통기한이 조금 지났지만 멀쩡했다. 그래도 부담되니까 볶음밥으로 만들어서 없애버리자..는 마음.

김치볶음밥이긴 한데 김치가 주재료는 아닌 볶음밥이라서 김치가 많으면 '김치볶음밥'이 될 것 같아 아래 김치에서 반만 사용했다.

 


크기변환_DSC01644.JPG     크기변환_DSC01649.JPG


크기변환_DSC01650.JPG     크기변환_DSC01646.JPG

 

 


묵은 김치는 물을 많이 쓰지 않고 조금씩만 받아서 1번 헹굴 때 마다 꼭꼭 짜가면서 물에 3번정도 씻고 마지막으로 물기를 짠 다음 잘게 썰었다.

베이컨과 야채도 잘게 썰고 계란은 알끈을 빼고 소금간을 약간 하고 생크림을 3~4스푼 정도 넣은 다음 충분히 풀어뒀다.

 

 

 


 

먼저 베이컨에서 기름이 나오고 노릇노릇하게 되도록 먼저 볶은 다음 야채를 넣어서 볶고 고슬고슬하게 지은 밥과 대파를 순서대로 볶았다.

베이컨 김치 볶음밥이야 누가 해도 다 똑같은 순서일 듯..

볶음밥에 소금간을 약간 하긴 했지만 소스에도 간이 있기 때문에 약하게 간했다.

 

 



크기변환_DSC01651.JPG     크기변환_DSC01652.JPG


크기변환_DSC01654.JPG     크기변환_DSC01655.JPG


크기변환_DSC01656.JPG


 

 

 

 

 

크기변환_DSC01662.JPG


 

 

 

 

밥을 볶고 난 다음에 계란을 스크램블 했다.

원래는 오믈렛을 만들고 싶었는데 만만하지가 않아서 급 포기하고 스크램블로 했다.

오믈렛은 다음에 많은 연습을 해봐야 할 것 같다.

 

 

 

 

크기변환_DSC01664.JPG     크기변환_DSC01667.JPG


크기변환_DSC01668.JPG     크기변환_DSC01670.JPG


 

 

 

소스는 전에 만들어 둔 함박스테이크/돈가스 소스인데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7756&mid=hc10

소스는 냉장고에 있을 때는 힘들여 만든 소스를 다 못먹게 될까봐 신경쓰여서 부담되는데

먹고나면 맛이 좋아서 떨어지지 않게 꼭 다시 만들게 되는 단점!이 있다.

소스에 물을 조금 넣고 다시 데워서 밥에 얹었다.

 

치즈는 조금 남은 파르마산 치즈를 한 번에 갈아두려고 꺼냈다가 올려봤다. 맛에 영향을 별로 미치지 않았다.

 

 

 

 

크기변환_DSC01672.JPG


 

 

 

 

 

크기변환_DSC01674.JPG


 

 

 

음식을 만들기 전에 어떻게 담아야지 뭐 이런 생각은 별로 안하는 편인데

오늘도 아무 생각 없이 하다가 소스는 옆에 둘러 보면 좋을 것 같아서 이래봤더니 보기는 좋은데 조금씩 떠서 넣는 게 귀찮긴 했다.

다음에는 그냥 소스를 깔고 밥을 얹는게 나을 것 같은데 그럼 또 밥 모양 잡기가 별로인가?

 

그래서 내가 먹을 접시는 팬을 들고 접시 위에 볶음밥 붓고 계란도 팬째로 들이 붓고 소스도 그렇게 했더니 치즈가 살린 모양새..

먹으면 다 똑같은데, 어차피 비벼 먹을건데 하는 생각이 드니까 마지막에 조금 허무했다.

 

그래도 원래 맛있는 베이컨에 아삭아삭한 김치와 야채가 식감을 더하며 고추가 약간 매콤해서 괜찮은 조화를 이루었다.

부드러운 계란과 소스의 맛이 더해지니 볶음밥만 간 봤을 때 보다 더 먹기가 좋았다. 

 

 

 

크기변환_DSC01682.JPG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 반찬 멸치볶음, 멸치호두볶음 2013/09/03 마땅히 만들 밑반찬이 없을 때 편하게 만드는 멸치볶음. 멸치를 볶을 때에는 주로 지리멸치를 사용하고 있다. 멸치는 크기 순으로 대멸 중멸 소멸이 ... file 이윤정 2013.09.03 7565
83 고기 소고기숙주볶음 2013/09/01 소고기숙주볶음 + 오리엔탈드레싱 꽤 자주 해먹고 있는 숙주+고기+오리엔탈드레싱. 오리엔탈드레싱은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docume... file 이윤정 2013.09.01 10118
82 고기 김치두루치기, 김치제육볶음 2013/08/26 김치두루치기, 김치제육볶음 보통 양념장을 만들면 이것저것 찾아보고 계량해서 만들기도 하고 뭐 그냥 대충 만들기도 하는데 계량해서 만드는 것은 ... file 이윤정 2013.08.26 7893
81 한접시, 일품 탕평채, 청포묵무침 2013/08/24 탕평채, 청포묵무침 청포묵은 마트에서 암만 찾아도 없더니 사상이마트에 볼일이 있어 갔다가 바로 옆 사상 홈플러스에서 발견했다. 안그래도 보이면 ... file 이윤정 2013.08.24 6616
80 반찬 감자전 2013/08/19 감자전 강판에 간 체에 거른 다음 남은 감자수분은 가만히 가라앉혀서 윗물을 따라내고, 갈아 둔 감자와 전분을 섞어서 굽는 것이 기본인데 조금 편하... 3 file 이윤정 2013.08.19 7034
79 고기 소불고기, 소불고기양념, 불고기덮밥 2013/08/14 소불고기, 소불고기양념, 불고기덮밥 소불고기를 양념해 놓고 전골이니 뚝배기불고기니 자주 해먹었는데 정작 불고기는 조금 오랜만에 해먹었다. 배와... file 이윤정 2013.08.14 11247
78 한그릇, 면 오리백숙, 오리백숙만드는법 2013/08/12 오리백숙, 오리백숙만드는법 본론에 앞서 오리백숙보다 더 맛있는 오리 소금구이와 주물럭은 아래 링크에 있다. 오리 소금구이, 볶음밥 - http://www.... file 이윤정 2013.08.12 80033
77 한그릇, 면 닭칼국수, 양념장, 닭칼국수만드는법 사용한 재료는 닭 1마리, 대파, 양파, 마늘, 칼국수, 쪽파 양념장으로 청양고추, 고춧가루, 다진마늘, 간장 먼저 칼국수 양념장. 실제로 만들기로는 닭을 삶으면... file 이윤정 2013.08.09 47290
76 반찬 호박볶음, 호박새우젓볶음 2013/08/03 호박볶음, 호박새우젓볶음 호박을 평소에 거의 안먹는 편이지만 여름에 나는 달고 부드러운 여름호박은 전으로 부치거나 볶아서 먹으면 그건 좀 맛이 ... file 이윤정 2013.08.03 7575
75 고기 LA갈비, 갈비구이, 갈비구이양념, 갈비덮밥 이론적으로는 고기에 양념장이 속까지 충분히 스며든다는 전제하에, 조리과정 중 양념장이 팬에 많이 딸려들어가 졸여져서 고기에 배이도록 하는 경우는 제외하고... file 이윤정 2013.07.31 11222
74 반찬 꼬막무침 2013/07/27 꼬막무침 꼬막에 소금물에 넣어 뚜껑을 덮은 다음 하룻밤동안 냉장고에 두고 해감한 다음 자갈 씻듯이 바락바락 씻었다. 꼬막이 살짝 잠기도록 물을 ... file 이윤정 2013.07.27 6877
73 국 찌개 소고기 강된장, 호박잎쌈 2013/07/27 소고기 강된장 호박잎은 데쳐서 호박잎쌈으로 만들었고 거기에는 당연히 강된장이 딱이라 오랜만에 강된장을 만들었다. 강된장을 떠먹을만한 국물이 ... file 이윤정 2013.07.27 6494
72 한그릇, 면 닭죽 2013/07/23 삼계탕이 이어 닭죽. 삼계탕은 한마리씩 그릇에 담아 살을 발라 먹는 맛이 있다면 닭죽은 백숙을 끓여 닭은 건지고 육수에 불린 찹쌀을 넣어 죽으로 ... file 이윤정 2013.07.23 5725
71 전골 탕 삼계탕 삼계-탕蔘鷄湯 : 어린 햇닭의 내장을 빼고 인삼, 대추, 찹쌀 따위를 넣어서 고아 만드는 보양 음식. 삼복에 보신이 되고 원기를 돕는다. - 네이버 국어사전 삼계... file 이윤정 2013.07.22 6249
70 한그릇, 면 오므라이스, 오므라이스 소스 2013/07/20 오므라이스, 오므라이스 소스 미리 소스만 만들어 둔다면 볶음밥이나 오므라이스나 거기서 가기긴 한데 어쨌든 볶음밥보다 계란과 소스가 보기 좋게 ... file 이윤정 2013.07.20 17477
69 국 찌개 바지락된장찌개 2013/07/19 바지락된장찌개 생각없이 재료를 사두고 이걸로 뭘할까 고민하면서 괴로워 하는 것이 취미라 바지락을 한봉투 사두고 순두부찌개? 된장찌개? 미역국? ... file 이윤정 2013.07.19 5914
68 반찬 두부조림 2013/07/18 두부조림 두부조림은 팬에 노릇노릇 지져서 진하게 우려낸 멸치육수와 양념을 넣고 자작하게 조렸다. 두부조림이야 대충 만들면 되니까 그까이꺼 물기... file 이윤정 2013.07.18 7702
67 김치, 장아찌, 무침 마늘종장아찌, 마늘쫑장아찌만드는법 2013/07/18 마늘종장아찌, 마늘쫑장아찌만드는법 열흘정도 식촛물에 노랗게 삭혀서 식촛물의 물기를 뺀 다음 고추장을 베이스로 한 양념을 무쳐서 만들었다. 사용... file 이윤정 2013.07.18 14630
66 고기 소고기샐러드 + 오리엔탈드레싱 2013/07/17 소고기샐러드 + 오리엔탈드레싱 오리엔탈드레싱에 잘 어울리는 소고기샐러드. 샤브샤브용 소고기를 구워서 샐러드채소 위에 얹은 다음 오리엔탈드레싱... file 이윤정 2013.07.17 7736
65 고기 차돌박이 숙주볶음 + 오리엔탈드레싱 2013/07/16 차돌박이 숙주볶음 + 오리엔탈드레싱 앞서 올린 오리엔탈 드레싱만 있다면 굉장히 만들기 쉬우면서 다른 반찬 필요없이 밥만 조금 곁들여서 한끼 식사... 2 file 이윤정 2013.07.16 9158
Board Pagination Prev 1 ... 52 53 54 55 56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