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2013/04/14

감자탕

 

 

 

0.JPG

 

 

 

어디서 보니까 등뼈 600그램이 4인분이라는데 그건 왜 그렇게 정했는지 모르겠다.

2키로 하니까 넷이서 먹으면 다 먹겠던데... 라고 생각한 내가 이상한가?

어쨌든 사리와 밥을 넉넉하게 해서 먹으면 6인분도 가능할 것 같고 타이트하게 고기 먹고 국물먹고 하면 4인분인것 같은데..

취향에 맞춰서 드세요...

 

 

 

사용한 재료는

등뼈를 삶을 때 - 돼지등뼈 2키로, 무, 대파, 양파, 마늘, 생강, 월계수잎, 다시마우린물

끓이는 도중 넣는 야채로 - 감자 작은 것 6~7개 정도, 우거지 넉넉하게,

양념장은 밥숟가락으로 소복하게 - 시판된장1스푼, 국간장 4스푼, 고춧가루4스푼, 다진마늘4스푼, 생강 0.5스푼, 청주약간

마지막에 넣는 - 깻잎 대파 들깨

 

 

우거지는 따로 불리지 않고 솎음배추를 데쳐서 된장에 살짝 무친 다음 냉동해 둔 것을 사용했다.

 

 

 

 

 

 

일단 냉동실에서 꺼내서 방바닥에 마른 행주 깔고 던져둔 다음에 다 녹았다 싶어서 헹궜다. 

뼈가루와 기름을 헹궈내고 찬물에 담가 핏물을 뺐다.

물은 3번 정도 갈았고, 핏물은 3시간 정도만 빼도 되는데 시간이 넉넉하면 냉장실이나 서늘한 곳에서 10시간 정도 빼는 것이 피냄새가 거의 안난다.

일단 어떻게든 되겠지 하는 마인드로 던져뒀다가 다음날 하게 되어서 밤새 핏물을 뺐다.

어쩌다보니 12시간정도 담가두었는데 끓이면서 뼈에서 국물에 우러나는 피가 거의 없을 정도로 잘 빠졌다.

 

 

 

 크기변환_DSC03029.JPG     크기변환_DSC03030.JPG


크기변환_DSC03062.JPG     크기변환_DSC03063.JPG


크기변환_DSC03065.JPG     크기변환_DSC03066.JPG

 

 

1차로 센 불에 한 번 끓여내면 불순물이 제거되니까 팔팔 끓인 다음 뼈와 냄비를 싹 한 번 씻었다.

이때는 뼈의 국물을 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뜨거운 물에 삶는 것이 좋다.

 

 

 

 

 

 

 

 

다시 찬물을 붓고 끓기 시작하면 중약불로 줄여서 뽀얗게 국물이 우러나도록 2시간~3시간 정도 푹 고으는데

중간중간에 물이 모자랄 때마다 따뜻하게 데운 다시마 우린 물을 1리터씩 추가해줬다. 한 3번정도..

거품과 기름은 오며가며 보일 때마다 한번씩 걷어줬다.

마지막에는 다시마 우린 물이 없어서 끓인 물을 바로 추가했다.

다시마우린물을 추가해가는 것이 확실히 국물에 감칠맛을 더해주는 효과가 있는 것 같다.

 

 

 


 

크기변환_DSC03070.JPG     크기변환_DSC03072.JPG


크기변환_DSC03073.JPG     크기변환_DSC03082-.JPG


 

 

시간이 남아돌아서 3시간쯤 고은 다음 무, 대파, 양파, 마늘, 월계수잎을 넣고 40분정도 더 끓였다. 마른고추나 생강이 있다면 넣으면 좋다.

마른 홍고추가 있을건데 암만 찾아도 안보여서 패스.. 

 

무와 양파가 충분히 물렀을 때 야채들을 다 건져냈다. 마늘도 으깨지 말고 가능한한 건져내는 것이 좋다. 돼지고기냄새가 배어있어서 딱히 맛있지도 않다..

보통 오랫동안 육수를 고을 때는, 그 때 넣는 향이 나는 채소의 향이 휘발성이기 때문에 처음부터 넣는 것 보다 육수를 다 우려내는 시점에서 40분정도 전에 넣으면 좋다.

 

 

 

 

양념장은 위에 쓴 분량 - 시판된장1스푼, 국간장 4스푼, 고춧가루4스푼, 다진마늘4스푼, 생강 1스푼, 청주약간- 대로 만들어

뼈를 고으던 국물을 한국자 넣고 국물에 풀리기 좋게 살짝 풀어 뒀다.

 

 


크기변환_DSC03074.JPG     크기변환_DSC03075.JPG


크기변환_DSC03076.JPG     크기변환_DSC03077.JPG


크기변환_DSC03078.JPG     크기변환_DSC03081.JPG


 

 

 

 

감자, 데친 우거지, 양념장을 넣어서 감자가 충분히 무르고 배춧잎도 부들부들해질 때 까지 끓이면 끝.

 

 

크기변환_DSC03082.JPG     크기변환_DSC03083.JPG


크기변환_DSC03084.JPG     크기변환_DSC03085.JPG


크기변환_DSC03091.JPG     크기변환_DSC03092.JPG

 

 

크기변환_DSC03094.JPG     크기변환_DSC03096.JPG


 

 

총 4시간 조금 넘게 끓여서 완성했다.

뼈에서 살이 부드럽게 분리가 되고 국물에도 깊고 고소한 맛이 나는 것이 괜찮게 완성됐다.

단점이 있다면 살짝만 밀어도 살이 부드럽게 떨어져서 살점이 국물에 섞이는 점이었다.

감자탕집의 등뼈보다 조금 더 잘게 커팅된 등뼈라 더 작아보이기도 하고..

물론 음식점보다 잘게 커팅된 것이라 가정에서 만들기에는 더 편했다.

 

 

 

 

 

크기변환_DSC03098.JPG

 

 

 

 


 

0.JPG


마지막으로 깻잎과 대파, 그리고 들깨가루.

 

 

 

들깨가루를 사러 가려다가 퇴근길에 사오라고 했더니

미리 오시기로 한 어머님께서 집에 들깨가루 있으면 가져 오신다고 우리집 식구한테 이야기하시기로 하고

감자탕 양이 좀 되니까 이모님, 사촌동생과 같이 먹으려고 퇴근길에 이모님댁에 전화를 해보라고 우리집 식구한테 이야기를 했더니

카톡으로

 

- 이모 전화 안받네 (1) 

=사촌동생은?

=들깨가루는?

=들깨가루도 전화 안받아?

 

이걸 개드립이랍시고 하고 있다. 바보같이..

 

 

 

가족들과 함께 먹어서 그릇에 담거나 사리를 곁들인 사진은 없지만 시간을 많이 잡아 먹은 만큼 맛은 괜찮았다.

그렇게 손이 많이! 가는 것은 아닌데 중간중간에 확인해줘야 하니까 신경을 끌 수가 없다는 게 가장 큰 단점..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 김치, 장아찌, 무침 깻잎무침 2013/04/30 깻잎무침 생깻잎에 양념장만 대충 부으면 깻잎무침.. 사용한 재료는 깻잎, 쪽파, 청고추, 홍고추, 다진마늘, 고춧가루, 간장, 참기름, 깨 양념장은 쪽... file 이윤정 2013.04.30 5913
43 국 찌개 바지락미역국 2013/04/30 바지락미역국 생일이라고 와인잔에 맥주 부어서 마시면서 쓰고 있다(고 임시저장 해두고 며칠 지났다). 내일 아침에는 바쁘니까 전날 미리 만든 내 생... file 이윤정 2013.04.30 4245
42 반찬 뚝배기 계란찜 2013/04/29 뚝배기 계란찜 먼저 멸치 다시마 육수로 - 멸치, 다시마, 새우, 양파, 대파, 무 찬물에 육수재료를 넣고 물을 충분히 부어서 20분이상 길게는 40분정... file 이윤정 2013.04.29 5333
41 고기 뚝배기불고기 2013/04/28 뚝배기불고기 뚝배기불고기와 불고기전골은 원래의 의미에서는 다른 음식이기는 한데 현대에 와서는 그 둘의 맛의 차이가 현저하게 줄어든 것 같다. ... file 이윤정 2013.04.28 3907
40 고기 돼지갈비 김치찜 2013/04/27 돼지갈비 김치찜 매콤한 돼지갈비찜을 해먹고 안 매콤한 걸로 한 번 더 먹을까? 하고 갈비를 더 사다 뒀다가 급 귀찮아져서 좀 더 편하게 김치찜으로 ... file 이윤정 2013.04.27 6269
39 고기 돼지갈비찜, 매운 돼지갈비찜 2013/04/26 돼지갈비찜, 매운 돼지갈비찜 1.2키로에 8천원대의 돼지갈비를 사서 여태 미뤄왔던 매콤한 돼지갈비찜을 만들었다. 갈비찜이라 이름 붙은 음식이 다 ... file 이윤정 2013.04.26 7248
38 고기 사태찜 2013/04/25 사태찜 진공상태의 한우사태를 1주일 정도 숙성해 뒀다가 사태찜으로 만들었다. 갈비를 턱턱 살만큼 풍요롭지도 않고 명절을 우리집에서 지내는 것도 ... file 이윤정 2013.04.25 5341
37 반찬 뱅어포무침, 뱅어포구이 2013/04/24 뱅어포무침, 뱅어포구이 뱅어포볶음도 아니고 구이무침도 아니고 뭐 어쨌든 익숙한 이름으로 뱅어포무침. 뱅어포를 할 때는 양념에 발라 오븐에 굽기... file 이윤정 2013.04.24 7112
36 반찬 꼬막무침 2013/04/16 꼬막무침 꼬막은 바닷물 정도의 소금물에 해감하고 자갈 씻듯이 바락바락 씻어서 끓는 물에 삶는다. 칫솔로 문질러서 닦아도 되는데 일일이 하기가 귀... file 이윤정 2013.04.16 4011
35 반찬 숙주나물, 시금치나물, 머위나물, 동초나물 2013/04/15 숙주나물, 시금치나물, 머위나물, 동초나물 머위는 어릴 때부터 밥상에 올라와 있는 건 많이 봤는데 집에서 해본 건 처음이었다. 쌉쌀한 맛에 아버지... file 이윤정 2013.04.15 6177
34 김치, 장아찌, 무침 풋마늘장아찌 2013/04/15 풋마늘장아찌 마늘쫑이나 통마늘과는 달리 꼭 제철에만 맛볼 수 있기 때문에 제철에 장아찌를 담아야만 한다. 봄에 나는 나물도 좋지만 이런 풋마늘과... file 이윤정 2013.04.15 4388
» 전골 탕 감자탕 2013/04/14 감자탕 어디서 보니까 등뼈 600그램이 4인분이라는데 그건 왜 그렇게 정했는지 모르겠다. 2키로 하니까 넷이서 먹으면 다 먹겠던데... 라고 생각한 내... file 이윤정 2013.04.14 3787
32 한접시, 일품 홍합파전, 쪽파전 2013.04.13 홍합파전, 쪽파전 이사온 집이 시장이 멀어서 온통 엄마나 어머니께서 주신 어떤 식재료 이야기가 자주 나온다. 딸내미가, 며느리가 걸어서는 시장도 ... file 이윤정 2013.04.13 4604
31 반찬 유채나물 무침 2013/04/09 유채나물 무침 유채는 엄마께 여쭤보니 된장무침을 하면 된다고 하셔서 젓갈이나 간장을 사용하지 않고 된장으로 무쳤다. 그냥 데쳐도 부드럽다고 하... file 이윤정 2013.04.09 6204
30 반찬 우엉조림, 우엉채볶음 2013/04/09 우엉조림, 우엉채볶음 언제나 마트에 가면 신경쓰이는 식재료인 우엉.. 사고 싶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고 그런 생각에 아예 사고 싶거나 아예 싫거나 ... 2 file 이윤정 2013.04.09 8280
29 고기 쭈삼불고기, 쭈꾸미삼겹살볶음 2013/04/06 쭈삼불고기, 쭈꾸미삼겹살볶음 돼지불백 만들면서 해 둔 양념장으로 쭈삼불고기를 만들었다. 삼겹살이 집에 있어서 쭈삼불고기로 만들었는데 굳이 삼... file 이윤정 2013.04.06 6216
28 고기 돼지불백, 돼지불고기만드는법 2013/03/28 돼지불백, 돼지불고기만드는법 무한도전에서 울리는 그 소리 돼지불백 세개요. 돼지불고기나 제육볶음, 두루치기백반은 많이 들었는데(먹었는데) 무한... 2 file 이윤정 2013.03.28 10563
27 한접시, 일품 해물파전 2013.03.26 해물파전 좋아하는 빈대떡집의 재료(해물, 채소) 스타일로, 점도나 부친 모양은 평소에 하듯이..를 모토로 시작했다. 요즘은 부침가루에 시즈닝이 다 ... file 이윤정 2013.03.26 4357
26 밥류 떡갈비 볶음밥 2013/02/20 떡갈비 볶음밥 요즘 이사준비로 한창 바쁘게 보내고 있어서 집에서 밥을 거의 못먹고 있는데다가 글 쓸 시간도 적어서 포스팅이 조금 뜸해졌다. 이사... file 이윤정 2013.02.20 4007
25 반찬 감자조림, 간장감자조림 2013/02/02 감자조림, 간장감자조림 감자가 싹이 올라와서 도려낼 건 도려내고 감자조림을 했다. 멸치, 황태, 다시마, 대파를 넣어서 만든 육수가 있어서 육수에 ... file 이윤정 2013.02.02 6259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