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검색

 

 

 

2013/06/09

삼겹살 김치찜, 돼지고기김치찜

 

 

0.JPG

 

 

 

 

특별한 일이 없어도 주기적으로 먹어주고 있는 김치찜.

김치와 돼지고기와 시간으로 만드는 일종의 시간지향적 음식인 것 같다.

 

 

 

사용한 재료는 김치1쪽(약 4분의 1포기), 돼지고기 삼겹살 (재보지는 않았지만 약 700~800그램), 멸치육수 역시 재보지는 않았지만 약 1리터

(멸치육수는 늘 만들어 두는대로, 멸치 다시마, 황태, 대파, 표고를 찬물에 넣고 푹 우려 거른 것을 사용했는데 멸치와 다시마만으로도 충분하다.

 

 

 

통삼겹살은 각 면을 노릇노릇하게 구워 풍미를 높이면서 미미하게나마 기름을 뺐다.

김치를 한덩이 꺼내어 김치를 싸고 있는 겉대를 풀어보니

속까지 맛있게 잘 익은 김치가 색깔도 예뻤다.

잘 구운 돼지고기를 넣고 멸치육수(대신에 물도 가능)가 있어서 육수를 넣고

뚜껑을 덮은 다음 센불에 끓이다가 끓기 시작하면 중불로 낮추고 중약불, 약불로로 조금씩 불을 낮춰가며 1시간 정도 푹 끓였다.

 

 

고기에 간도 잘 배이고 김치도 부드럽게 잘 갈라졌다.

고기가 푹 익어서 탄력이 줄어들어 썰면서 약간 부서지긴 하는데 마구 부서지는 정도는 아니고 고기와 김치가 사르르 녹는 것이 맛있었다.

나는 그냥 끓이고 썰기만 하고.. 잘익은 김치, 통삼겹살, 물(육수)가 시간을 만나서 알아서 잘 익어주니 먹기만 하면 되는 것 같았다.

끓이고 남는 국물은 아깝기는 하지만 기름이 많이 녹아나와서 먹지는 않았다.

 

 

 

이전에 올린 글에서 복사하자면

 

김치찜에 있는 돼지고기를 핏물이 올라오지 않을 정도로 익혔는데 썰으니 분홍색이라 우리집 식구가 덜익은 것 아니냐고 물어봤다.

보통 고기가 다 익었는지 알기 위해서는 눈으로 색상을 식별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고 분홍색이 없어지면 고기가 다 익은 것이 통상적인 상식인데,

고기가 다 익을 때 까지 1~2시간정도 걸릴 정도로 천천히 익힐 때에는

분홍색을 가진 단백질이 그 색을 잃지 않고도 다른 단백질끼리 익기 때문에 분홍색=덜익음 이라는 개념은 맞지 않다.

고기를 1시간 이상 천천히 익혔을 조건에서는 고기를 써는데 살짝 분홍색이 감돈다 하더라도 다 익은 것으로 간주하면 된다.

 

 

고기를 식힐 때에는 익힌 물에서 건지지 않고 천천히 식히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유실된 수분이 고기에 도로 흡수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고기를 삶을 때에는 최대한 한덩어리로 익히는 것이 좋고 덜 익었을 때에는 반만 썰어서 더 익히고 조각을 많이 내지 않는 것이 육즙 보존에 좋기 때문에 고기의 맛을 더 부드럽게 한다.

고기를 과하게 익히는 것도 좋지 않기 때문에 삶은 고기에 젓가락이 부드럽게 들어갈 정도가 되면 익힘 여부를 확인하고,

나머지 국물을 졸일 필요가 있을 때에는 고기를 건진 다음에 졸이는 것이 좋다.

 

 

 


 

통삽겸살은 노릇노릇 

 

 

크기변환_DSC05531.JPG     크기변환_DSC05532.JPG


 

 

 

 

잘익은 김장김치

 

 

크기변환_DSC05533.JPG     크기변환_DSC05534.JPG


크기변환_DSC05536.JPG     크기변환_DSC05540.JPG


 

 

 

 

김치+삼겹살+육수+1시간

 

 

 

크기변환_DSC05541.JPG     크기변환_DSC05543.JPG


크기변환_DSC05544.JPG     크기변환_DSC05545.JPG


 

 

 

 

접시에 비해서 고기가 커서 1덩이씩 썰어가면서 먹었다.

 

푹 익어서 보들보들한 것이 마음에 들었다.

 

 

 

크기변환_DSC05546.JPG


 

 

 

 

 

크기변환_DSC05549.JPG

 

 

 

 


 

크기변환_DSC05551.JPG

 

 

 

 


 

크기변환_DSC05555.JPG


 

 

김치+고기에게 아 정말 맛있었어.. 라고 하면

맛 없었던 적도 있냐? 하며 내게 되물을 것 같다.

그러면 청개구리라서 아니! 아닌데! 맛없던 적 없는데!

 

 

 

 

 


List of Articles
No. Category Subject Author Date Views
12 고기 소고기샐러드 + 오리엔탈드레싱 2013/07/17 소고기샐러드 + 오리엔탈드레싱 오리엔탈드레싱에 잘 어울리는 소고기샐러드. 샤브샤브용 소고기를 구워서 샐러드채소 위에 얹은 다음 오리엔탈드레싱... file 이윤정 2013.07.17 5800
11 고기 차돌박이 숙주볶음 + 오리엔탈드레싱 2013/07/16 차돌박이 숙주볶음 + 오리엔탈드레싱 앞서 올린 오리엔탈 드레싱만 있다면 굉장히 만들기 쉬우면서 다른 반찬 필요없이 밥만 조금 곁들여서 한끼 식사... 2 file 이윤정 2013.07.16 7470
10 고기 표고버섯전, 완자전 2013/07/08 표고버섯전, 완자전 소고기에 양념을 하고 반죽해서 바로 밀가루 계란옷 입혀 구우면 완자전, 이걸 밑둥 딴 표고버섯에 채워놓고 지져내면 표고버섯전... file 이윤정 2013.07.08 7306
» 고기 삼겹살 김치찜, 돼지고기김치찜 2013/06/09 삼겹살 김치찜, 돼지고기김치찜 특별한 일이 없어도 주기적으로 먹어주고 있는 김치찜. 김치와 돼지고기와 시간으로 만드는 일종의 시간지향적 음식인... file 이윤정 2013.06.09 5695
8 고기 뚝배기불고기 2013/04/28 뚝배기불고기 뚝배기불고기와 불고기전골은 원래의 의미에서는 다른 음식이기는 한데 현대에 와서는 그 둘의 맛의 차이가 현저하게 줄어든 것 같다. ... file 이윤정 2013.04.28 3938
7 고기 돼지갈비 김치찜 2013/04/27 돼지갈비 김치찜 매콤한 돼지갈비찜을 해먹고 안 매콤한 걸로 한 번 더 먹을까? 하고 갈비를 더 사다 뒀다가 급 귀찮아져서 좀 더 편하게 김치찜으로 ... file 이윤정 2013.04.27 6313
6 고기 돼지갈비찜, 매운 돼지갈비찜 2013/04/26 돼지갈비찜, 매운 돼지갈비찜 1.2키로에 8천원대의 돼지갈비를 사서 여태 미뤄왔던 매콤한 돼지갈비찜을 만들었다. 갈비찜이라 이름 붙은 음식이 다 ... file 이윤정 2013.04.26 7270
5 고기 사태찜 2013/04/25 사태찜 진공상태의 한우사태를 1주일 정도 숙성해 뒀다가 사태찜으로 만들었다. 갈비를 턱턱 살만큼 풍요롭지도 않고 명절을 우리집에서 지내는 것도 ... file 이윤정 2013.04.25 5390
4 고기 쭈삼불고기, 쭈꾸미삼겹살볶음 2013/04/06 쭈삼불고기, 쭈꾸미삼겹살볶음 돼지불백 만들면서 해 둔 양념장으로 쭈삼불고기를 만들었다. 삼겹살이 집에 있어서 쭈삼불고기로 만들었는데 굳이 삼... file 이윤정 2013.04.06 6259
3 고기 돼지불백, 돼지불고기만드는법 2013/03/28 돼지불백, 돼지불고기만드는법 무한도전에서 울리는 그 소리 돼지불백 세개요. 돼지불고기나 제육볶음, 두루치기백반은 많이 들었는데(먹었는데) 무한... 2 file 이윤정 2013.03.28 10599
2 고기 소고기전골, 소고기버섯전골, 소불고기전골 2013/01/24 소고기전골, 소고기버섯전골, 소불고기전골 소불고기 만들어 둔 것으로 전골을 해먹었다. 소불고기 -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mid=hc... file 이윤정 2013.01.24 10038
1 고기 떡갈비, 떡갈비 만들기 2013/01/06 떡갈비, 떡갈비 만들기 원래 떡갈비는 갈빗살을 곱게 다져 먹기 좋게 양념한 다음 뼈에 밀가루를 살짝 발라 다시 붙히고 조림장을 발라가며 굽는 것인... file 이윤정 2013.01.06 10615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