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2013/06/09

삼겹살 김치찜, 돼지고기김치찜

 

 

0.JPG

 

 

 

 

특별한 일이 없어도 주기적으로 먹어주고 있는 김치찜.

김치와 돼지고기와 시간으로 만드는 일종의 시간지향적 음식인 것 같다.

 

 

 

사용한 재료는 김치1쪽(약 4분의 1포기), 돼지고기 삼겹살 (재보지는 않았지만 약 700~800그램), 멸치육수 역시 재보지는 않았지만 약 1리터

(멸치육수는 늘 만들어 두는대로, 멸치 다시마, 황태, 대파, 표고를 찬물에 넣고 푹 우려 거른 것을 사용했는데 멸치와 다시마만으로도 충분하다.

 

 

 

통삼겹살은 각 면을 노릇노릇하게 구워 풍미를 높이면서 미미하게나마 기름을 뺐다.

김치를 한덩이 꺼내어 김치를 싸고 있는 겉대를 풀어보니

속까지 맛있게 잘 익은 김치가 색깔도 예뻤다.

잘 구운 돼지고기를 넣고 멸치육수(대신에 물도 가능)가 있어서 육수를 넣고

뚜껑을 덮은 다음 센불에 끓이다가 끓기 시작하면 중불로 낮추고 중약불, 약불로로 조금씩 불을 낮춰가며 1시간 정도 푹 끓였다.

 

 

고기에 간도 잘 배이고 김치도 부드럽게 잘 갈라졌다.

고기가 푹 익어서 탄력이 줄어들어 썰면서 약간 부서지긴 하는데 마구 부서지는 정도는 아니고 고기와 김치가 사르르 녹는 것이 맛있었다.

나는 그냥 끓이고 썰기만 하고.. 잘익은 김치, 통삼겹살, 물(육수)가 시간을 만나서 알아서 잘 익어주니 먹기만 하면 되는 것 같았다.

끓이고 남는 국물은 아깝기는 하지만 기름이 많이 녹아나와서 먹지는 않았다.

 

 

 

이전에 올린 글에서 복사하자면

 

김치찜에 있는 돼지고기를 핏물이 올라오지 않을 정도로 익혔는데 썰으니 분홍색이라 우리집 식구가 덜익은 것 아니냐고 물어봤다.

보통 고기가 다 익었는지 알기 위해서는 눈으로 색상을 식별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고 분홍색이 없어지면 고기가 다 익은 것이 통상적인 상식인데,

고기가 다 익을 때 까지 1~2시간정도 걸릴 정도로 천천히 익힐 때에는

분홍색을 가진 단백질이 그 색을 잃지 않고도 다른 단백질끼리 익기 때문에 분홍색=덜익음 이라는 개념은 맞지 않다.

고기를 1시간 이상 천천히 익혔을 조건에서는 고기를 써는데 살짝 분홍색이 감돈다 하더라도 다 익은 것으로 간주하면 된다.

 

 

고기를 식힐 때에는 익힌 물에서 건지지 않고 천천히 식히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유실된 수분이 고기에 도로 흡수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고기를 삶을 때에는 최대한 한덩어리로 익히는 것이 좋고 덜 익었을 때에는 반만 썰어서 더 익히고 조각을 많이 내지 않는 것이 육즙 보존에 좋기 때문에 고기의 맛을 더 부드럽게 한다.

고기를 과하게 익히는 것도 좋지 않기 때문에 삶은 고기에 젓가락이 부드럽게 들어갈 정도가 되면 익힘 여부를 확인하고,

나머지 국물을 졸일 필요가 있을 때에는 고기를 건진 다음에 졸이는 것이 좋다.

 

 

 


 

통삽겸살은 노릇노릇 

 

 

크기변환_DSC05531.JPG     크기변환_DSC05532.JPG


 

 

 

 

잘익은 김장김치

 

 

크기변환_DSC05533.JPG     크기변환_DSC05534.JPG


크기변환_DSC05536.JPG     크기변환_DSC05540.JPG


 

 

 

 

김치+삼겹살+육수+1시간

 

 

 

크기변환_DSC05541.JPG     크기변환_DSC05543.JPG


크기변환_DSC05544.JPG     크기변환_DSC05545.JPG


 

 

 

 

접시에 비해서 고기가 커서 1덩이씩 썰어가면서 먹었다.

 

푹 익어서 보들보들한 것이 마음에 들었다.

 

 

 

크기변환_DSC05546.JPG


 

 

 

 

 

크기변환_DSC05549.JPG

 

 

 

 


 

크기변환_DSC05551.JPG

 

 

 

 


 

크기변환_DSC05555.JPG


 

 

김치+고기에게 아 정말 맛있었어.. 라고 하면

맛 없었던 적도 있냐? 하며 내게 되물을 것 같다.

그러면 청개구리라서 아니! 아닌데! 맛없던 적 없는데!

 

 

 

 

 


  1. 문어볶음

    2012/09/24 문어볶음 데친 문어를 채소와 함께 볶은 문어볶음. 고추장 고운고춧가루 간장 물엿 다진파 다진마늘 깨 후추 참기름을 넣어서 만든다. 비율은 대충 다 1로 넣고 마지막에 간을 보면 속 편한데... 고기에는 고추장이나 물엿의 비율을 조금만 더 높히고 물기가 있는 해산물에는 고춧가루의 비율을 조금 더 높힌다. 고춧가루를 추가한 것이 더 뻑뻑하고 칼칼하다. 이미 익은 문어를 넣는 것이기 때문에 양념장의 맛이 재료에 배게끔만 얼른 볶으면 된다. 매콤달콤해서 그냥 밥반찬이고 밥에 비벼 먹어도 잘 어울린다. 마지막에 아예 밥을 넣...
    Date2012.09.24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8804 file
    Read More
  2. 맛살 계란말이

    2012/09/23 맛살과 대파로 맛살계란말이 계란말이는 평소에 가장 자주 먹는 반찬 중에 하나이다. 계란 만으로 마는 계란말이는 김밥할 때 하고 반찬으로 할 때에는 적어도 대파는 있다면 맛살이나 베이컨 정도는 꼭 넣는다. 베이컨은 지져 낸 다음에 기름을 조금 제거하고 썰어서 계란에 넣지만 맛살은 그냥 넣으면 되니까 덜 귀찮은 맛살을 선호하는 편이다. 계란을 풀어서 맛살과 대파를 썰어서 넣으면 되는데 적당히 식감이 좋도록 써는 것이 좋다. 계란 3~4개에 요즘 나오는 크래미나 크라비아 같은 반토막 맛살 2~3개 정도, 대파는 흰부분으로 1...
    Date2012.09.23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4988 file
    Read More
  3. 황태채무침. 황태채볶음

    2012/09/22 황태채무침. 황태채볶음 코스트코에서 구매한 손질한 황태채를 세일 한다고 2팩이나 사서 너무 많이 남았다. 황태계란국이나 콩나물국에 따로 다시 낼 필요없이 잘 쓰고 있긴 한데 반찬으로 하기로 결정. 그런데 이 황태채가 향은 정말 좋은데 맛이 좀 無맛이다. 조미하지 않은 것을 먹었을 때 황태채를 씹어 먹는 맛은 있는데 짜고 달고 이런 맛이 없다. 쥐포나 오징어채는 그 자체의 짭짤하고 달콤한 맛때문에 조미를 대충 해도 맛있는데 이건 맛있게 잘 되지가 않아서 좀 고민했다. 일단 황태채를 물에 살짝 불려 짜는 것이 보통인데 ...
    Date2012.09.22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6616 file
    Read More
  4. 두부조림

    2012/09/17 두부를 지져 양념장에 촉촉하게 졸여내는 두부조림. 두부는 적당히 썰어서 소금을 아주 조금만 뿌리고 키친타올로 물기를 좀 빼두고 지지면서 양념장을 만든다. 양념장은 물에 간장3 고춧가루1 다진대파1.5 다진마늘0.5 꿀0.5에 참기름과 깨소금을 조금 넣었다. 물의 양은 바특하게 하면 5스푼정도 촉촉하게 할 거면 종이컵으로 반컵까지 괜찮다. 촉촉하게 한다고 물은 50미리정도 넣었는데 사진찍다가 적당한 조리시간을 약간 넘겨서 원하는 것 보다 조금 물기가 적다. 청홍고추가 있다면 썰어넣어도 잘 어울린다. 양파를 깔고 생선 지져...
    Date2012.09.17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4093 file
    Read More
  5. 쥐포무침

    2012/08/23 쥐포무침 물에 살짝 헹궈서 마른 팬에 조금 볶고 물에 고추장 물엿을 넣어 끓인 양념을 식혀서 마요네즈를 조금 넣고 무쳤다. 마지막에 참기름 아주 약간과 깨로 마무리.
    Date2012.08.23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5157 file
    Read More
  6. 소세지야채볶음, 소세지케찹볶음.

    2012/08/22 소세지야채볶음, 소세지케찹볶음. 맵지 않게 만든 소세지야채볶음, 소세지케찹볶음. 집에 남은 채소와 소세지를 몰아 넣고 볶다가 케찹과 마늘을 넣으면 끝. 뭐 말할 것도 없이 쉽다. 일단 양파라도 들어가야 소세지야채볶음이 되니까 기본 양파를 생각하고 양배추 피망 파프리카 당근 대파 뭐 있는 대로 쓸어 넣으면 된다. 소세지는 적당히 데치거나 말거나 칼집내거나 썰거나 잘 안익는 야채부터 혹은 좋아하는 식감이 될때까지 볶다가 소세지 넣고 케찹 3스푼에 꿀이나 물엿 약간 마늘 약간 넣으면 된다. 후추도 약간.. 양념을 더 하고...
    Date2012.08.22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8176 file
    Read More
  7. 깻잎무쌈

    2012/08/09 깻잎무쌈 무 1개를 슬라이스하고 깻잎은 깨끗하게 씻어서 물기를 완전히 뺐다. 물, 식초, 설탕에 소금을 약간 넣고 끓여서 식힌 다음 무와 깻잎을 켜켜이 쌓은 것에 부었다. 촛물을 잠기도록 붓지 않아도 무에서 물이 나오기 때문에 찰랑할 정도로만 부으면 된다. 물 대신 탄산수를 사용해도 좋다. 1주일 후 꺼내서 사진을 찍고 먹었는데 시간이 갈수록 맛이 좋아졌다. 그 후로 몇개월간 맛있게 잘 먹었다.
    Date2012.08.09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4365 file
    Read More
  8. 전기압력밥솥으로 약밥, 전기밥솥 약식만드는법

    2012/05/13 전기압력밥솥으로 약밥, 약식 자주하니 할수록 쉬운 음식인 것 같다. 약밥을 할 때는 쌀을 불리면서 소스를 만든다. 일단 컵은 종이컵으로 생각. 미리 양념을 만드는데 약밥을 할때 쓰는 쌀과 비슷한 양으로 양념을 맞춘다. 그러니까 쌀 4컵을 불린다면 그와 같은 컵에 4컵 분량으로 소스를 맞추는 식. 위에 쓴대로 쌀을 4컵을 불린다는 전제하에.. 소스는 총 4컵. 물 3컵에 나머지 1컵은 흑설탕, 간장, 참기름 계피가루로 채운다. 그런데 이 소스에 설탕 간장을 넣고 끓여줘야 하기 때문에 증발하는 수분을 생각해서 3.5컵정도 물을 넣고...
    Date2012.05.13 Category밥류 By이윤정 Reply0 Views19711 file
    Read More
  9. 가자미조림

    2012/05/09 가자미조림 담백하고 부드러운 흰살생선과 무, 대파를 달지도 맵지도 살짝 칼칼한 양념에 푹 조려내는 가자미조림. 보통 조림이라하면 국물이 없게 바짝 조린 것을 뜻하지만 경상도식으로 '찌져' 먹는다. 갈치찌진거 고등어찌진거 두부찌진거 무찌진거.. 그래서 오늘은 가자미 찌진거.. 어릴 때부터 엄마께서 자주 해주셨는데 가자미 찌져 준다 그러시곤 이렇게 양념이 자작한 생선조림을 자주 해주셨다. 생선은 거의 다 좋아하지만 그 중에서도 흰살생선 그 중에서도 가자미는 더 좋아하는데 우리집에 생선을 싫어하는 사람이 있어서 자...
    Date2012.05.09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4852 file
    Read More
  10. 육회

    2011/11/12 육회 한우 우둔살, 간장, 꿀, 참기름, 잘게 썬 쪽파, 다진 마늘, 잣, 계란 노른자, 배 블로그 포스팅을 여기로 옮기는 지금 시간은 2015년 4월 12일. 지금 다시 보니 감회가 새롭다.
    Date2011.11.12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3780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Next
/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