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검색

 

 

 

2013/06/09

삼겹살 김치찜, 돼지고기김치찜

 

 

0.JPG

 

 

 

 

특별한 일이 없어도 주기적으로 먹어주고 있는 김치찜.

김치와 돼지고기와 시간으로 만드는 일종의 시간지향적 음식인 것 같다.

 

 

 

사용한 재료는 김치1쪽(약 4분의 1포기), 돼지고기 삼겹살 (재보지는 않았지만 약 700~800그램), 멸치육수 역시 재보지는 않았지만 약 1리터

(멸치육수는 늘 만들어 두는대로, 멸치 다시마, 황태, 대파, 표고를 찬물에 넣고 푹 우려 거른 것을 사용했는데 멸치와 다시마만으로도 충분하다.

 

 

 

통삼겹살은 각 면을 노릇노릇하게 구워 풍미를 높이면서 미미하게나마 기름을 뺐다.

김치를 한덩이 꺼내어 김치를 싸고 있는 겉대를 풀어보니

속까지 맛있게 잘 익은 김치가 색깔도 예뻤다.

잘 구운 돼지고기를 넣고 멸치육수(대신에 물도 가능)가 있어서 육수를 넣고

뚜껑을 덮은 다음 센불에 끓이다가 끓기 시작하면 중불로 낮추고 중약불, 약불로로 조금씩 불을 낮춰가며 1시간 정도 푹 끓였다.

 

 

고기에 간도 잘 배이고 김치도 부드럽게 잘 갈라졌다.

고기가 푹 익어서 탄력이 줄어들어 썰면서 약간 부서지긴 하는데 마구 부서지는 정도는 아니고 고기와 김치가 사르르 녹는 것이 맛있었다.

나는 그냥 끓이고 썰기만 하고.. 잘익은 김치, 통삼겹살, 물(육수)가 시간을 만나서 알아서 잘 익어주니 먹기만 하면 되는 것 같았다.

끓이고 남는 국물은 아깝기는 하지만 기름이 많이 녹아나와서 먹지는 않았다.

 

 

 

이전에 올린 글에서 복사하자면

 

김치찜에 있는 돼지고기를 핏물이 올라오지 않을 정도로 익혔는데 썰으니 분홍색이라 우리집 식구가 덜익은 것 아니냐고 물어봤다.

보통 고기가 다 익었는지 알기 위해서는 눈으로 색상을 식별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고 분홍색이 없어지면 고기가 다 익은 것이 통상적인 상식인데,

고기가 다 익을 때 까지 1~2시간정도 걸릴 정도로 천천히 익힐 때에는

분홍색을 가진 단백질이 그 색을 잃지 않고도 다른 단백질끼리 익기 때문에 분홍색=덜익음 이라는 개념은 맞지 않다.

고기를 1시간 이상 천천히 익혔을 조건에서는 고기를 써는데 살짝 분홍색이 감돈다 하더라도 다 익은 것으로 간주하면 된다.

 

 

고기를 식힐 때에는 익힌 물에서 건지지 않고 천천히 식히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유실된 수분이 고기에 도로 흡수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고기를 삶을 때에는 최대한 한덩어리로 익히는 것이 좋고 덜 익었을 때에는 반만 썰어서 더 익히고 조각을 많이 내지 않는 것이 육즙 보존에 좋기 때문에 고기의 맛을 더 부드럽게 한다.

고기를 과하게 익히는 것도 좋지 않기 때문에 삶은 고기에 젓가락이 부드럽게 들어갈 정도가 되면 익힘 여부를 확인하고,

나머지 국물을 졸일 필요가 있을 때에는 고기를 건진 다음에 졸이는 것이 좋다.

 

 

 


 

통삽겸살은 노릇노릇 

 

 

크기변환_DSC05531.JPG     크기변환_DSC05532.JPG


 

 

 

 

잘익은 김장김치

 

 

크기변환_DSC05533.JPG     크기변환_DSC05534.JPG


크기변환_DSC05536.JPG     크기변환_DSC05540.JPG


 

 

 

 

김치+삼겹살+육수+1시간

 

 

 

크기변환_DSC05541.JPG     크기변환_DSC05543.JPG


크기변환_DSC05544.JPG     크기변환_DSC05545.JPG


 

 

 

 

접시에 비해서 고기가 커서 1덩이씩 썰어가면서 먹었다.

 

푹 익어서 보들보들한 것이 마음에 들었다.

 

 

 

크기변환_DSC05546.JPG


 

 

 

 

 

크기변환_DSC05549.JPG

 

 

 

 


 

크기변환_DSC05551.JPG

 

 

 

 


 

크기변환_DSC05555.JPG


 

 

김치+고기에게 아 정말 맛있었어.. 라고 하면

맛 없었던 적도 있냐? 하며 내게 되물을 것 같다.

그러면 청개구리라서 아니! 아닌데! 맛없던 적 없는데!

 

 

 

 

 


List of Articles
No. Category Subject Author Date Views
124 한접시, 일품 기본 잡채, 잡채밥, 간짜장 기본 잡채, 잡채밥, 간짜장 잡채밥 2017년 버전 - https://homecuisine.co.kr/hc20/50390 보통 잡채밥은 중국식인지 중국음식점식인지 색이 연한 잡채에 짜장을 ... file 이윤정 2014.03.26 5000
123 밥류 스테이크볶음밥 2014/03/22 스테이크볶음밥 스테이크를 넣은 볶음밥은 아니고 스테이크를 곁들인 볶음밥.. 오므라이스와 거의 똑같이 굴소스를 넣어 만든 볶음밥에 스테이크와 볶... file 이윤정 2014.03.22 6365
122 밥류 새우오므라이스 2014/03/22 새우오므라이스 굴소스 볶음밥으로 만든 오므라이스에 중국식 새우튀김과 케찹베이스의 오므라이스소스를 곁들였다. 미리 이야기 하자면 새우튀김은 ... file 이윤정 2014.03.22 4047
121 일상 치즈돈까스만들기 2014/03/14 치즈돈까스만들기 오랜만에 슈레드모짜렐라치즈를 샀더니 썰지 않아도 되고 새삼 이렇게 편한 물건이.. 하고 생각했다. 슈레드모짜렐라치즈를 샀으면 ... file 이윤정 2014.03.14 11049
120 밥류 닭야채볶음밥, 유가네 볶음밥 따라하기 2018년 업데이트. 거의 똑같다. https://homecuisine.co.kr/hc10/70512 양념장에 사용한 재료는 그램단위로 간장 85, 청주 15, 양파 70, 대파 30, 마늘 30, 생강 ... 4 file 이윤정 2014.03.11 47001
119 국 찌개 소고기 버섯 강된장 2014/03/06 소고기 버섯 강된장 된장찌개, 김치찌개 다 좋아하지만 된장찌개는 꽃게 된장찌개를 가장 좋아하고, 김치찌개는 김치찜처럼 만든 것을 좋아하고, 밥과... file 이윤정 2014.03.06 4411
118 반찬 상어전, 달고기전, 대구전, 명절음식 2014/03/05 상어전, 달고기전, 대구전, 명절음식 친할머니께서 우리 부모님이 결혼하신지 1년만에 돌아가셔서 그로부터 40년을 친정엄마께서 제사를 지내셨는데 ... file 이윤정 2014.03.05 5237
117 반찬 김치참치볶음, 베이컨 숙주볶음 2014/02/25 김치참치볶음, 베이컨 숙주볶음 깐차오뉴허를 하고 숙주가 많이 남아서 숙주볶음을 했다. 밥상 차리는데 반찬이 하나도 없어서 대충 김치하고 참치 볶... file 이윤정 2014.02.25 8101
116 반찬 고기에 곁들이는 파조래기, 파절임, 파무침 2014/02/23 고기에 곁들이는 파조래기, 파절임, 파무침 파절임이나 파무침이라고 하기도 하고 내가 사는 곳에서는 파조래기라고 불렀다. 수육을 하려고 덩어리로 ... file 이윤정 2014.02.23 7174
115 밥류 유부김밥 2014/02/22 유부김밥 저녁에 뭘 할지 딱히 생각해둔 것이 없어서 무작정 냉장고를 열었다 닫았다 하고 밥은 안하고 버티다가 아이디어도 없고 뭘 하자니 꼭 하나 ... file 이윤정 2014.02.22 4791
114 한접시, 일품 부추야채전, 부추전 2014/02/14 부추야채전, 부추전 앞서 올린 만두를 만들고 남은 부추로 찌짐을 만들었다. 묽은 반죽에 주재료인 부추와 얇게 채썬 양파, 당근, 감자, 청양고추를 ... file 이윤정 2014.02.14 7746
113 한접시, 일품 만두, 만둣국, 군만두, 만두속만드는법 2014/02/13 만두, 만둣국, 군만두, 만두속만드는법 집에서 걸어가기는 애매하고 차타고 가기도 애매한 거리의 마트에서 생만두피를 하나 발견해서 만두를 빚었다.... 1 file 이윤정 2014.02.13 6991
112 일상 참치생채비빔밥, 생야채비빔밥, 계란말이 산뜻하고 마음 편한 음식이 뭐 없을까 하다가 참치생채비빔밥이 생각났다. 집에 남은 채소를 대충 모아보니 버터레터스, 양배추, 당근 정도.. 버터레터스는 집에 ... file 이윤정 2014.02.06 5881
111 한그릇, 면 바지락칼국수 2014/02/05 바지락칼국수 -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음식 백가지 국수는 원래 반죽을 손으로 눌러서 풀잎처럼 만들었다는 수인병(手引餠)이었고, 그 후에 반... file 이윤정 2014.02.05 5969
110 한접시, 일품 닭도리탕만드는법, 찜닭만드는법 2014/01/16 닭도리탕만드는법, 찜닭만드는법 이라는 검색형 제목.. 찜닭이나 닭도리탕이나 양념만 조금 다를 뿐이지 전체적으로 들어가는 재료나 만드는 방법이 ... file 이윤정 2014.01.16 7708
109 고기 함박스테이크, 간단소스 2014/01/15 오랜만에 올리는 함박스테이크. 함박스테이크는 지난 봄 이후로 블로그에 올리지는 않았지만 떨어지지 않게 만들어두고 있다. 크게 비율이나 들어가는... file 이윤정 2014.01.15 6792
108 일상 야끼라면, 볶음라면 2014/01/14 야끼라면, 볶음라면 일본음식은 안먹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집에 남은 야끼소바소스와 오꼬노미야끼소스가 있어서 간단하게 야끼라면을 만들었다. 나... file 이윤정 2014.01.14 5075
107 반찬 김치두루치기, 계란말이, 감자볶음, 두부구이 2014/01/04 의식의 흐름에 따라 쓰는 어제저녁밥. 김치두루치기, 계란말이, 감자볶음, 두부구이 어제는 몸이 안좋아서 하루종일 숭늉만 먹고 굶다가 저녁에 급 활... file 이윤정 2014.01.04 4201
106 반찬 전자렌지 계란찜 2014/01/03 전자렌지 계란찜 자주 해먹는 볶음밥을 준비하다가 뜨끈한 게 땡겨서 전자레인지에 계란찜을 만들었다. 계란찜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 체나 그릇을 ... file 이윤정 2014.01.03 5931
105 반찬 참치김치볶음, 두부김치 2014/01/02 참치김치볶음, 두부김치 두부김치는 아니고 두부+김치볶음.. 음식하기가 귀찮아서 메인 밥반찬으로 두부 굽고 참치캔 하나 뜯어서 김치 좀 넣고 얼른 ... file 이윤정 2014.01.02 4951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