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2013/05/18

소고기야채죽

 

 

 

0.JPG

 

 

 

회식에 지쳐서 집에 오자마자 자고 다음날 출근해서 하루종일 속이 아프다는 식구를 위해서 만들었다.

다른건 다 먹고 싶지 않고 죽 할까 하니까 그건 먹을 수 있겠다하여

집에 있는 재료를 급 머리 속에 굴려봤는데 닭죽만한 것이 없어서 닭을 사러 나가야 하나 했다가

냉동실에 딱 하나, 국거리나 고명 용으로 쓰려고 둔 100그램짜리 한우불고기감을 발견하고 표적변경하여 나가지 않았다.

소고기가 있으니 나머지 재료는 야채로 채운 소고기야채죽이 그 상황에 딱 맞았다.

 

 

죽을 만들 때는 

쌀 불리기, 부재료와 쌀 볶기, 육수 붓기, 푹 끓이기 순서면 끝인데

타지 않게 두터운 냄비에 하면 좋고 엄마께서는 나무주걱을 쓰는 것이 좋다고 하셨다. 실리콘주걱은 안되나? 어쨌든 나무 주걱을 사용했다.

 

 

먼저 멸치다시마 육수를 내는데 시간날 때 늘 한병씩 만들어 두는데, 이번에는 멸치, 다시마, 황태, 대파, 표고를 넣은 육수를 사용했다.

육수의 양은 쌀의 6~7배 정도 잡는데 센불에 쌀과 부재료를 볶고 팔팔 끓인 다음 불을 낮춰서 만들거라 넉넉하게 쌀의 7배정도 잡아서 1.6리터를 만들었다.

표고버섯 불린 물도 버리지 않고 육수와 함께 죽에 넣었다.

 

 

쌀 밥솥에 든 180미리 계량컵으로 1.3컵 정도 사용했는데 본죽에 나오는 죽의 양으로 쳐서 2인분 정도 된다. 속 안좋을 때 먹기에는 3인분정도 되는 것 같다.

 

 

사용한 재료는

쌀 1.3컵, 

소고기 100그램, 

다진마늘,

소금, 후추, 참기름, 쌀(230ml)의 약 7배인 멸치육수 1.6리터


마른표고버섯 2개 정도, 애호박, 당근, 양파, 팽이버섯, 쪽파

각각 손가락3개정도 분량씩

국간장, 소금, 참기름, 계란노른자, 김, 깨

 

 

쌀은 1~2시간정도 불려서 손톱으로 깨뜨리면 쪼개질 정도로 불리고 표고버섯도 물에 불렸다.

잘게 썬 소고기 100그램에 마늘 1티스푼, 참기름 1티스푼, 소금 후추 약간으로 밑간했다.

애호박, 양파, 당근, 불린 표고는 되도록이면 쌀알 크기에 가깝도록 작게 썰었다. 쪽파와 팽이버섯도 썰어두고 김도 잘라두고 랩을 씌워놨다.

 

 


크기변환_DSC04733.JPG     크기변환_DSC04734.JPG



크기변환_DSC04738.JPG     크기변환_DSC04737.JPG


크기변환_DSC04740.JPG     크기변환_DSC04741.JPG


 

 

 

 

고기, 채소, 고명을 준비하고 퇴근시간에 딱 맞춰서 완성되게 시작했다.

재료만 준비하면 만드는 거야 가스가 알아서 하니까 오가며 뒤적여 주면 끝..

 

 

 

쌀은 체에 받쳐 물을 빼고

소고기를 볶다가, 단단한 채소를 넣어서 볶고, 쌀을 넣어서 노릇노릇하게 더 볶았다.

바닥에 약간씩 눋도록 볶으면 죽에 풍미가 더 좋아진다.

죽을 만들기 위해 식재료를 볶을 때에 보통은 참기름에 볶는데 참기름은 무침에 적당해서 열을 오래 가하면 좋지 않고

참기름보다 비교적 발연점이 높은 들기름은 볶음요리에 적합한데 들기름만으로는 고소한 향이 부족해서 참기름과 들기름을 반씩 넣어서 볶았다.

 

 

 

크기변환_DSC04746.JPG     크기변환_DSC04750.JPG


크기변환_DSC04751.JPG     크기변환_DSC04753.JPG


크기변환_DSC04754.JPG     크기변환_DSC04755.JPG

 

 

 

소고기, 채소, 쌀을 볶은 것에 표고버섯을 우린 물과 멸치육수를 쌀의 7배 정도 되는 양으로 잡아 붓고

 


크기변환_DSC04756.JPG     크기변환_DSC04757.JPG


크기변환_DSC04758.JPG     크기변환_DSC04762.JPG

 

 

 

바빠서 중약불에 40분정도로 자주 저어가며 빨리 끓였는데 보통은 50분에서 1시간정도 약불에 쌀이 푹 퍼지고 무르면서 먹기 좋도록 부드럽게 될 때까지 천천히 익힌다.

팽이버섯과 쪽파는 거의 마지막에 넣었다.

 


크기변환_DSC04764.JPG     크기변환_DSC04765.JPG


 

국간장과 소금을 넣어서 간하고 불을 끈 다음 참기름을 넣었다.

 

계란노른자를 아래처럼 그릇에 바로 넣을 대는 죽이 뜨거울 때 넣어서 익히거나 아니면 냄비에서 같이 익혀도 좋다.

 

크기변환_DSC04768.JPG

 

 

 


 

크기변환_DSC04769.JPG


 

 

 

 

크기변환_DSC04772.JPG

 

 

 

 


0.JPG

 

마지막에 소금간은 맨김을 넣을 거라면 약간 싱겁게, 조미김을 넣을거라면 조금 더 싱겁게 한다.

식으면서 짠맛이 약간 강해지고 김을 넣을 것을 고려해서 간을 해야 마지막에 짜지 않다(=짜게 된 죽을 먹어봤음..)

보는 것 만으로도 속이 편안해지는 것 같고 쌀알이 푹 퍼져서 부담없이 포근한 목넘김도 좋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 고기 표고버섯전, 완자전 2013/07/08 표고버섯전, 완자전 소고기에 양념을 하고 반죽해서 바로 밀가루 계란옷 입혀 구우면 완자전, 이걸 밑둥 딴 표고버섯에 채워놓고 지져내면 표고버섯전... file 이윤정 2013.07.08 7264
63 반찬 돼지고기로 속을 채운 파프리카전 2013/07/06 돼지고기로 속을 채운 파프리카전 사용한 재료는 속을 채우는 돼지고기소로 돼지고기 다짐육 400그램, 계란2개, 빵가루 1컵, 다진 마늘1T, 다진 생강 ... file 이윤정 2013.07.06 4110
62 김치, 장아찌, 무침 마늘쫑무침, 마늘종무침 2013/07/03 마늘쫑무침, 마늘종무침 원래는 마늘종이 맞는 말이긴 한데 글로도 말로도 마늘쫑이 훨씬 자연스럽다. 친정엄마와 함께 마트에 갔다가 마늘쫑을 한 단... file 이윤정 2013.07.03 10060
61 반찬 콩조림 2013/07/03 콩조림 시장에서 소복하게 쌓아 두고 파는 콩이 알록달록 이뻐서 절로 눈길이 갔다. 밥에도 넣어 먹지만 콩조림을 해둬도 잘 먹어서 한바가지 샀다. ... file 이윤정 2013.07.03 4323
60 반찬 두부김치 2013/07/01 두부김치 어머님께서 퇴근길에 손두부를 한모 주시고 가셨다. 담백하고 파스라지는 질감의 손두부인데 따뜻하게 데워 먹으면 부드러운 맛이 아주 좋다... file 이윤정 2013.07.01 3142
59 국 찌개 차가운 콩나물국, 콩나물냉국 2013/06/28 차가운 콩나물국, 콩나물냉국 평소에 국을 자주 먹는 편은 아닌데 여름에 먹는 냉국류는 꽤 즐기는 편이다. 종류가 많지는 않지만 콩나물냉국이나 오... file 이윤정 2013.06.28 9443
58 한접시, 일품 기본잡채 2013.06.18 기본잡채, 잡채만드는법 오랜만에 다음에서 만화를 보는데 거기에 나오는 인물이 하도 잡채에 면많이!를 강조해서 나도 모르게 잡채를 만들었다. 는 ... file 이윤정 2013.06.18 3770
57 반찬 스팸파전 2013/06/17 스팸파전 어머님께 여리여리하고 맛있게 생긴 쪽파를 받았다. 얘네는 한 눈에 봐도 파전으로 딱인데 파를 다듬고나니 냉동실에 있는 해물을 해동하는 ... file 이윤정 2013.06.17 3763
56 김치, 장아찌, 무침 깻잎장아찌 2013/06/16 깻잎장아찌 부평시장에 갔다가 깻잎을 파는 아주머니를 봤는데 구루마에 깻잎만 가득 실려 있는 것이 신선해보여서 충동구매해버렸다. 오랜만에 깻잎... 2 file 이윤정 2013.06.16 9707
55 국 찌개 뚝배기불고기 2013/06/14 뚝배기불고기 전에도 올렸는데 조금 덜 달게 만들었다. 이전에 올린 것 -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mid=hc10&document_srl=14827 전에... file 이윤정 2013.06.14 3671
54 김치, 장아찌, 무침 나박김치, 나박김치담그는법 2013/06/13 나박김치, 나박김치담그는법 나박김치는 계절을 타지 않고 먹을 수 있는 김치로 젓갈을 넣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고춧가루를 국물에 직접 넣지 않고 ... file 이윤정 2013.06.13 7834
53 고기 삼겹살 김치찜, 돼지고기김치찜 2013/06/09 삼겹살 김치찜, 돼지고기김치찜 특별한 일이 없어도 주기적으로 먹어주고 있는 김치찜. 김치와 돼지고기와 시간으로 만드는 일종의 시간지향적 음식인... file 이윤정 2013.06.09 5662
52 밥류 전복죽, 전복죽 맛있게 만드는법, 전복손질법 2013/06/03 전복죽, 전복죽 맛있게 만드는법, 전복손질법 제목이 맛있게 만드는법이라니 누구맘대로.. 싶기는 한데 진짜로 누구에게나 맛있을 그런 만드는 법인지... 1 file 이윤정 2013.06.03 12690
51 김치, 장아찌, 무침 오이소박이 사용한 재료는 계량스푼으로 오이5개, 절임물로 물3000미리+소금225미리 (7%) 양념에 넣을 채소로 당근 3분의1개, 부추 6분의 1단(=국수 1인분 정도의 양) 홍고추... file 이윤정 2013.06.02 5047
50 한접시, 일품 찜닭 2013.05.31 찜닭 먼저 닭은 깨끗하게 씻고 살짝 데쳤다. 데친 닭을 식히면서 양념을 만드는데 양념의 양은 야채나 당면의 양에 따라 가감해야겠지만 약 3인분정도... file 이윤정 2013.05.31 3398
49 반찬 우엉조림만드는법 2013/05/24 우엉조림만드는법 눈 감고도 만드는 우엉조림.. 우엉조림은 건강에도 좋(다고하)고 한 번 만들어두면 저장성이 좋아 1~2주는 너끈히 보관할 수 있어서... file 이윤정 2013.05.24 4043
» 밥류 소고기야채죽 2013/05/18 소고기야채죽 회식에 지쳐서 집에 오자마자 자고 다음날 출근해서 하루종일 속이 아프다는 식구를 위해서 만들었다. 다른건 다 먹고 싶지 않고 죽 할... file 이윤정 2013.05.18 6500
47 반찬 김무침 2013/05/15 김무침 사용한 재료는 김 약 25장 양념장은 계량스푼으로 간장4T, 꿀(물엿)3T, 청주3T, 다진마늘1T, 다진파1T, 참기름약간, 깨약간 김은 달군 후라이... file 이윤정 2013.05.15 9266
46 전골 탕 설렁탕만드는법, 사골국끓이는법 2013/05/02 설렁탕만드는법, 사골국끓이는법 한우 사골과 잡뼈로 만든 사골국. 5월인데도 밖에는 자주 나가지 않으니 따뜻한지 아닌지도 잘 모르겠다. 아까 밤에 ... file 이윤정 2013.05.02 54250
45 반찬 새우전 2013/05/01 새우전 앞서 올린 깻잎무침 만들면서 쪽파 써는 김에 뭐 할거 없나 생각했더니 여기다가 새우만 해동하면 되는 새우전이 생각났다. 깻잎무침에 쓴 재... file 이윤정 2013.05.01 3533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