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밥류
2013.05.18 17:23

소고기야채죽

조회 수 5424 추천 수 1 댓글 0

 

 

2013/05/18

소고기야채죽

 

 

 

0.JPG

 

 

 

회식에 지쳐서 집에 오자마자 자고 다음날 출근해서 하루종일 속이 아프다는 식구를 위해서 만들었다.

다른건 다 먹고 싶지 않고 죽 할까 하니까 그건 먹을 수 있겠다하여

집에 있는 재료를 급 머리 속에 굴려봤는데 닭죽만한 것이 없어서 닭을 사러 나가야 하나 했다가

냉동실에 딱 하나, 국거리나 고명 용으로 쓰려고 둔 100그램짜리 한우불고기감을 발견하고 표적변경하여 나가지 않았다.

소고기가 있으니 나머지 재료는 야채로 채운 소고기야채죽이 그 상황에 딱 맞았다.

 

 

죽을 만들 때는 

쌀 불리기, 부재료와 쌀 볶기, 육수 붓기, 푹 끓이기 순서면 끝인데

타지 않게 두터운 냄비에 하면 좋고 엄마께서는 나무주걱을 쓰는 것이 좋다고 하셨다. 실리콘주걱은 안되나? 어쨌든 나무 주걱을 사용했다.

 

 

먼저 멸치다시마 육수를 내는데 시간날 때 늘 한병씩 만들어 두는데, 이번에는 멸치, 다시마, 황태, 대파, 표고를 넣은 육수를 사용했다.

육수의 양은 쌀의 6~7배 정도 잡는데 센불에 쌀과 부재료를 볶고 팔팔 끓인 다음 불을 낮춰서 만들거라 넉넉하게 쌀의 7배정도 잡아서 1.6리터를 만들었다.

표고버섯 불린 물도 버리지 않고 육수와 함께 죽에 넣었다.

 

 

쌀 밥솥에 든 180미리 계량컵으로 1.3컵 정도 사용했는데 본죽에 나오는 죽의 양으로 쳐서 2인분 정도 된다. 속 안좋을 때 먹기에는 3인분정도 되는 것 같다.

 

 

사용한 재료는

쌀 1.3컵, 

소고기 100그램, 

다진마늘,

소금, 후추, 참기름, 쌀(230ml)의 약 7배인 멸치육수 1.6리터


마른표고버섯 2개 정도, 애호박, 당근, 양파, 팽이버섯, 쪽파

각각 손가락3개정도 분량씩

국간장, 소금, 참기름, 계란노른자, 김, 깨

 

 

쌀은 1~2시간정도 불려서 손톱으로 깨뜨리면 쪼개질 정도로 불리고 표고버섯도 물에 불렸다.

잘게 썬 소고기 100그램에 마늘 1티스푼, 참기름 1티스푼, 소금 후추 약간으로 밑간했다.

애호박, 양파, 당근, 불린 표고는 되도록이면 쌀알 크기에 가깝도록 작게 썰었다. 쪽파와 팽이버섯도 썰어두고 김도 잘라두고 랩을 씌워놨다.

 

 


크기변환_DSC04733.JPG     크기변환_DSC04734.JPG



크기변환_DSC04738.JPG     크기변환_DSC04737.JPG


크기변환_DSC04740.JPG     크기변환_DSC04741.JPG


 

 

 

 

고기, 채소, 고명을 준비하고 퇴근시간에 딱 맞춰서 완성되게 시작했다.

재료만 준비하면 만드는 거야 가스가 알아서 하니까 오가며 뒤적여 주면 끝..

 

 

 

쌀은 체에 받쳐 물을 빼고

소고기를 볶다가, 단단한 채소를 넣어서 볶고, 쌀을 넣어서 노릇노릇하게 더 볶았다.

바닥에 약간씩 눋도록 볶으면 죽에 풍미가 더 좋아진다.

죽을 만들기 위해 식재료를 볶을 때에 보통은 참기름에 볶는데 참기름은 무침에 적당해서 열을 오래 가하면 좋지 않고

참기름보다 비교적 발연점이 높은 들기름은 볶음요리에 적합한데 들기름만으로는 고소한 향이 부족해서 참기름과 들기름을 반씩 넣어서 볶았다.

 

 

 

크기변환_DSC04746.JPG     크기변환_DSC04750.JPG


크기변환_DSC04751.JPG     크기변환_DSC04753.JPG


크기변환_DSC04754.JPG     크기변환_DSC04755.JPG

 

 

 

소고기, 채소, 쌀을 볶은 것에 표고버섯을 우린 물과 멸치육수를 쌀의 7배 정도 되는 양으로 잡아 붓고

 


크기변환_DSC04756.JPG     크기변환_DSC04757.JPG


크기변환_DSC04758.JPG     크기변환_DSC04762.JPG

 

 

 

바빠서 중약불에 40분정도로 자주 저어가며 빨리 끓였는데 보통은 50분에서 1시간정도 약불에 쌀이 푹 퍼지고 무르면서 먹기 좋도록 부드럽게 될 때까지 천천히 익힌다.

팽이버섯과 쪽파는 거의 마지막에 넣었다.

 


크기변환_DSC04764.JPG     크기변환_DSC04765.JPG


 

국간장과 소금을 넣어서 간하고 불을 끈 다음 참기름을 넣었다.

 

계란노른자를 아래처럼 그릇에 바로 넣을 대는 죽이 뜨거울 때 넣어서 익히거나 아니면 냄비에서 같이 익혀도 좋다.

 

크기변환_DSC04768.JPG

 

 

 


 

크기변환_DSC04769.JPG


 

 

 

 

크기변환_DSC04772.JPG

 

 

 

 


0.JPG

 

마지막에 소금간은 맨김을 넣을 거라면 약간 싱겁게, 조미김을 넣을거라면 조금 더 싱겁게 한다.

식으면서 짠맛이 약간 강해지고 김을 넣을 것을 고려해서 간을 해야 마지막에 짜지 않다(=짜게 된 죽을 먹어봤음..)

보는 것 만으로도 속이 편안해지는 것 같고 쌀알이 푹 퍼져서 부담없이 포근한 목넘김도 좋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4 일상 사리곰탕면으로 부대찌개라면 file 이윤정 2022.09.12 2261
513 전골 탕 사태 곱창전골, 레시피, 만들기 2 file 이윤정 2019.12.30 4390
512 전골 탕 사태 된장전골, 전골이야기 6 file 이윤정 2019.02.25 3732
511 전골 탕 사태 스지 된장전골 4 file 이윤정 2018.11.22 6215
510 고기 사태찜 file 이윤정 2013.04.25 4026
509 일상 사태편육 비빔면 file 이윤정 2022.05.14 1214
508 고기 사태편육, 사태수육 file 이윤정 2021.11.16 2773
507 반찬 산적꼬지, 명절음식 file 이윤정 2013.10.08 13157
506 고기 삼겹살 김치찜, 돼지고기김치찜 file 이윤정 2013.06.09 4827
505 고기 삼겹살 수육, 배추겉절이, 쌈무무침 file 이윤정 2014.10.23 9601
504 고기 삼겹살 오븐구이 4 file 이윤정 2017.11.23 36992
503 일상 삼겹살, 파무침, 된장라면 6 file 이윤정 2015.06.29 6514
502 밥류 삼계죽, 닭죽 file 이윤정 2013.12.01 5664
501 한그릇, 면 삼계죽, 닭죽, 닭백숙, 삼계탕, 만들기, 재료, 레시피 6 file 이윤정 2020.07.01 6074
500 전골 탕 삼계탕 file 이윤정 2013.07.22 3454
499 반찬 삼치구이, 양념장 2 file 이윤정 2017.03.06 11654
498 반찬 삼치조림 4 file 이윤정 2018.06.28 3490
497 반찬 상어전, 달고기전, 대구전, 명절음식 file 이윤정 2014.03.05 4123
496 반찬 상추무침 4 file 이윤정 2017.11.10 22043
495 일상 새로 산 밥상과 쌈밥 6 file 이윤정 2016.03.13 4856
494 반찬 새송이버섯 무침 4 file 이윤정 2019.03.28 57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55 Next
/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