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2013/06/03

전복죽, 전복죽 맛있게 만드는법, 전복손질법

 

 

 

0.JPG

 

 

제목이 맛있게 만드는법이라니 누구맘대로.. 싶기는 한데 진짜로 누구에게나 맛있을 그런 만드는 법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검색차원에서 제목 달아봅니다.

 

 

 

 

 

엄마께서 어머님께 보낸 전복을 내가 덥썩 받아와서 구이로 해먹기는 아깝고

내장까지 푹 우려내서 맛있는 전복죽과 전복미역국을 만들기 위해서 손질하고 소분해서 냉동했다.

요즘 전복이 제철이라는데 살도 연하고 선물을 가로채서...그런지 크고 좋았다.

 

 

전복은 살아있으면 손질하기가 어려우니까 뜨거운 물을 껍질에 살짝 끼얹어주면 껍질과 잘 분리되고 다루기도 조금 편하다.

나는 바빠서 갓 사망한.. 전복을 마주하니까 좀 편하기는 했는데 내장이 상할까봐 걱정이 되었다. 

신선도를 위해서는 최대한 싱싱할 때에 손질하는 것이 좋다.

 

전복은 솔로 깨끗하게 씻은 다음

내장이 없고 껍질이 둥근 부분으로 숟가락을 넣어 힘껏 껍질과 분리하고

전복살에서 내장이 터지지 않게 분리한 다음 한쪽 끝에 숨어있는 이빨을 제거하면 손질 끝.

내장을 분리하고 난 전복살은 좀 더 깨끗하게 문질러서 씻었다.

 

내장은 그냥 냉동해도 되고 썰어서 냉동해도 되는데 살짝만 얼린 다음 썰어서 꽁꽁 얼리는 것이 조리도구에 묻어나지 않아 조금 더 편하다.

전복살은 원하는 크기로 썰어서 바로 죽에 쓸 수 있도록 납작하게 펴서 냉동했다.

전복은 바로 다음날 쓸 것이라도 냉동하는 것이 좋고 조개류는 냉동했다 하더라도 냉동실에서 최대 3개월을 넘기지 않는 것이 좋다.

 

 

숟가락을 넣어 껍질을 분리하는데 껖질이 위로 오도록 엎어놓고 뜨거운 물을 끼얹거나 껍질부분이 아래로 가도록 놓고 찜통에서 살짝 찌면 잘 떨어진다.

 

 

 

크기변환_DSC05158.JPG     크기변환_DSC05167.JPG


크기변환_DSC05168.JPG     크기변환_DSC05169.JPG

 

 

 

내장을 분리하고 이빨을 제거 한 다음 전복살은 더 깨끗하게 씻었다.


크기변환_DSC05170.JPG     크기변환_DSC05173.JPG


크기변환_DSC05174.JPG     크기변환_DSC05176.JPG


 

 

이제 전복죽..

 

 

사용한 재료는 2~3인분 정도 되는 양으로

전복 큰 것으로 2마리, 쌀은 180미리 컵에 1.5컵, 멸치다시마육수 9컵(쌀의 6배), 참기름, 소금.

 

전복이 큰 것이 있어서 사용했는데 작은 전복을 4마리정도 넣는 것도 가격절감의 측면에서는 좋은 것 같다.

내돈 주고 전복을 산다면 이렇게 큰 것은 엄두도 못내고 작은 것으로 사서 만들 듯..

전복죽을 만드는 것이 거기서 거기긴 한데 그래도 책에서나 엄마께 조언을 들어서 비싼 전복을 맛있게 하기 위해 고민을 약간 했다.

원래 전통적인 전복죽은 내장을 넣지 않고 만드는데 신선한 내장을 함께 넣으면 독특한 풍미와 고소한 맛이 있다.

 

 

멸치육수는 늘 우려두는 멸치다시마(+대파, 황태, 양파 선택)육수를 사용했다.

평소에 멸치육수는 푹푹 우려서 식혀서 체에 거르고 깨끗하게 씻어서 말린 페트병에 부어서 3~4일 냉장실에 뒀다가

쓸일이 없으면 냉동했다가 해동해서 쓰고, 쓰고 나면 또 우리며 늘 만들어둔다.

페트병은 원래 가정에서 타용도로 재활용하는 것이 좋지 않은데 어쨌든 이렇게 1번만 더 재활용하고 더 재활용 하지는 않는다.

 

 

 

가장 먼저 쌀을 물에 불리고 최소 30분 이상 쌀이 불투명해지면서 손으로 으깨면 부서질 정도로 푹 불린다.

 

전복 내장은 해동하지 않고 바로 참기름에 볶아서 멸치 육수에 섞은 다음 체에 걸러준다.

된장찌개에 된장 거르듯이 체에 걸러 비벼 눌러가며 멸치육수에 담가가며 걸렀다.

쌀을 볶고 있는 냄비 위에서 내장볶은 것 + 육수를 체에 걸러 부어서 바로 조리하면 시간이 덜 걸려서 좋고 따로 맑은 내장육수를 만들어서 써도 편하다.

볶아서 식힌 다음 육수와 함께 믹서기에 갈아서 체에 걸러도 좋기는 한데 어쨌든 내장은 볶아서 고소한 향을 끌어올리는 것이 더 맛있다. 

 

전복살도 해동하지 않고 버터나 참기름에 볶고

불린 쌀은 물을 빼서 참기름에 볶았다.

쌀이 어느정도 투명해지면 전복 내장을 푼 물을 부어 40분정도 간간이 저어가며 약불에 끓였다.

 

 

죽이 거의 다 완성 되면 볶아 둔 전복살을 넣고 한소끔 더 끓여내면 완성.

 

전복죽은 전복의 고소하고 깊은 맛을 느끼기 위해서 딱 소금으로만 간하는 것이 내 입맛에는 더 딱 맞다.

소금은 0.5 티스푼 정도 넣으면 약간 싱거운데 간을 봐서 가감하는 것이 좋다.

소금이 녹아서 골고루 퍼진 다음에 간을 봐서 짜지 않게 먹도록 하는 편이다.

 

 

멸치육수를 만들고 전복을 손질하는 것이 약간 번거롭기는 하지만 미리 재료 준비만 해두면 쉽게 만들 수 있다.

딱, 쌀, 육수, 전복, 참기름, 소금만으로 만든다.

없어서 못 먹지 자주 먹어도 절대 질리지도 않는다. 

 

 

 

위에 내용을 다 쓰고 사진을 올리는거라 내용 중복 시작..

 

가장 먼저 쌀을 물에 불리고 최소 30분 이상 쌀이 불투명해지면서 손으로 으깨면 부서질 정도로 푹 불린다.

 


 

크기변환_DSC05255.JPG     크기변환_DSC05256.JPG

 

 

 

 

전복 내장은 해동하지 않고 바로 참기름에 볶아서 멸치 육수에 섞은 다음 체에 걸러준다.

된장찌개에 된장 거르듯이 체에 걸러 비벼 눌러가며 멸치육수에 담가가며 걸렀다.

쌀을 볶고 있는 냄비 위에서 내장볶은 것 + 육수를 체에 걸러 부어서 바로 조리하면 시간이 덜 걸려서 좋고 따로 맑은 내장육수를 만들어서 써도 편하다.

볶아서 식힌 다음 육수와 함께 믹서기에 갈아서 체에 걸러도 좋기는 한데 어쨌든 내장은 볶아서 고소한 향을 끌어올리는 것이 더 맛있다. 

 

크기변환_DSC05257.JPG     크기변환_DSC05259.JPG
   

크기변환_DSC05262.JPG     크기변환_DSC05264.JPG


크기변환_DSC05265.JPG     크기변환_DSC05266.JPG


크기변환_DSC05288.JPG

 

 

 

 

 

전복살은 버터에도 볶아보고 참기름에도 볶아봤다. (각기 다른 날)

크게 다른 점은 없는데 버터는 굳으니까 바로 두고 먹을 것에만 사용하는 것이 좋겠다.

 


 

크기변환_DSC05269.JPG     크기변환_DSC05271.JPG


크기변환_DSC05286.JPG     크기변환_DSC05290.JPG


 

전복살도 해동하지 않고 바로 버터나 참기름에 볶았다.

해동을 따로 하지 않아도 전복내장을 먼저 볶으면서 어느정도 녹으니까 오래 두지 않고 바로바로 볶았다.

 

 

 

불린 쌀은 물을 빼서 참기름에 볶다가

쌀이 어느정도 투명해지면 전복 내장을 푼 물을 부어 40분정도 간간이 저어가며 약불에 끓였다.


 

크기변환_DSC05258.JPG    크기변환_DSC05260.JPG

 

 

 

크기변환_DSC05274.JPG     크기변환_DSC05275.JPG


크기변환_DSC05276.JPG     크기변환_DSC05277.JPG

 
크기변환_DSC05294.JPG    크기변환_DSC05278.JPG


 

죽이 거의 다 완성 되면 볶아 둔 전복살을 넣고 한소끔 더 끓여내면 완성.

고명으로 올릴 전복 몇 조각을 따로 뒀다가 죽에 올려서 밥상에 올리면 먹는 기분이 1%정도 낫다. 맛은 똑같고..

 

 

 

크기변환_DSC05281.JPG

 

 

 

 


 

크기변환_DSC05283.JPG


 

 

이게 1인분은 아니고 그냥 포토라인에 있는 전복죽..

이러고 나서 소복한 그릇에 담아 듬뿍듬뿍 가족들 다 잘 먹었다.

 

 

 

 

 

  • 헤드린 2022.08.14 06:58
    오늘 새벽에 갑자기 눈이 떠져서;; 이 레시피로 공들여 전복죽 만들었어요. 참기름이랑 내장 풍미가 정말 환상적이었습니다. 쌀도 볶아서 넣어 그런지 평소보다 윤기가 더 차르르한 느낌이었습니다. 누구에게나 맛있을 맛이에요(진짜로요)!!!!!

  1. 기본적인 김밥재료로 김밥

    2014/08/18 기본적인 김밥재료로 김밥 먼저 어머님께 받은 우엉... 감사하긴 하지만 양이 엄청 많아서 일도 많았다. 우엉은 씻은 다음 껍질을 벗기고 채칼에 썰어서 식초를 약간 푼 물에 담아두었다가 물을 두세번 갈아 준 다음 40분~50분 정도 중불에 푹 끓여냈다. 하나씩 채썰어서 냉동하면 해동했을 ...
    Date2014.08.18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4904
    Read More
  2. 꽃게 찌기, 게장볶음밥

    요즘 활암꽃게가 살과 알이 그득하게 찬 계절이라 그냥 쪄서 먹기만 해도 아주 맛있는 철인데 가격이 좀 비싸다.. 어릴 때 엄마께서 해 주던 꽃게찜에는 꽃게를 그득그득 쌓아놓고 먹은 것 같은데 어느새 활암꽃게 1키로에 3.6만원으로(1키로에 3마리) 그냥 사먹기에는 부담스러운 가격이었다. 그래도 ...
    Date2014.05.01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7272
    Read More
  3. 봉구스 밥버거 비슷하게 만든 밥버거, 주먹밥

    2014/04/06 봉구스 밥버거 비슷하게 만든 밥버거, 주먹밥 봉구스 밥버거는 가 본 적은 없는데 며칠 전에 친구가 준 밥버거를 하나 먹고 간단하게 먹기 괜찮네 하고 있다가 주말에 종일 자고 일어나서 몽롱하니 냉장고에 당장 먹을 건 하나도 없고, 시간과 노동을 꽤 들여야 음식이 되는 식재료 뿐이고 ...
    Date2014.04.06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5951
    Read More
  4. 스테이크볶음밥

    2014/03/22 스테이크볶음밥 스테이크를 넣은 볶음밥은 아니고 스테이크를 곁들인 볶음밥.. 오므라이스와 거의 똑같이 굴소스를 넣어 만든 볶음밥에 스테이크와 볶은 채소를 곁들였다. 스테이크용은 아니지만 고기가 남아있고 딱히 아이디어가 없어서 지나가다 본 적 이 있는 것 같은 스테이크 볶음밥과 ...
    Date2014.03.22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6194
    Read More
  5. 새우오므라이스

    2014/03/22 새우오므라이스 굴소스 볶음밥으로 만든 오므라이스에 중국식 새우튀김과 케찹베이스의 오므라이스소스를 곁들였다. 미리 이야기 하자면 새우튀김은 손은 많이 가고 효용은 그렇게 높지 않으니 추천할 만 하지는 않았다. 사용한 재료는 밥 2인분 버터 양파 반개 당근 3분의1개 파프리카 반개...
    Date2014.03.22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3880
    Read More
  6. 닭야채볶음밥, 유가네 볶음밥 따라하기

    2018년 업데이트. 거의 똑같다. https://homecuisine.co.kr/hc10/70512 양념장에 사용한 재료는 그램단위로 간장 85, 청주 15, 양파 70, 대파 30, 마늘 30, 생강 5 을 블렌더나 믹서로 갈고 여기에 고운 고춧가루 60, 설탕 70, 카레가루 10, 미원2 을 넣고 잘 섞어뒀다. 미리 만들어서 하루정도 숙성했...
    Date2014.03.11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46662
    Read More
  7. 유부김밥

    2014/02/22 유부김밥 저녁에 뭘 할지 딱히 생각해둔 것이 없어서 무작정 냉장고를 열었다 닫았다 하고 밥은 안하고 버티다가 아이디어도 없고 뭘 하자니 꼭 하나 재료가 부족하고 시간 오래 걸리는 것도 귀찮고 하며 귀찮음을 발사하고 있으니 남편이 라면이나 먹을까? 스팸구워서 밥이랑 먹을까? 하는...
    Date2014.02.22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4605
    Read More
  8. 햄야채볶음밥

    2013/12/19 햄야채볶음밥 훈제오리 남은 것이 조금 있어서 훈제오리볶음밥을 할까 하다가 햄 남은 것이 냉장고에 있어온 시간이 더 긴 것 같아서...;; 자투리채소를 대충 꺼내 볶음밥을 만들었다. 현미밥2그릇, 햄 몇장 , 양파 1개, 당근 3~4센치, 파프리카 반개, 대파1대, 굴소스, 계란2개, 쪽파, 소금...
    Date2013.12.19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4850
    Read More
  9. 삼계죽, 닭죽

    2013/12/01 삼계죽, 닭죽 삼계탕과 비슷한 삼계죽. 사용한 재료는 약 2인분으로 닭 1마리, 수삼1뿌리, 엄나무, 마늘, 대파, 육수 넉넉히 (쌀의 약 7배), 찹쌀1컵반, 쪽파, 당근, 소금, 후추, 참기름, 깨, 김 닭은 약 800그램정도 되는 닭으로 2인분에 약간 적기는 한데 3900원으로 세일하고 있어서 싼걸...
    Date2013.12.01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6602
    Read More
  10. 김치볶음밥, 김치참치볶음밥

    2013/09/25 김치볶음밥, 김치참치볶음밥 김치볶음밥은 먼저 김치가 맛있어야 하고, 불 앞에 서서 쉬지 않고 열심히 볶아야 하는 것은 당연하고, 그 외에 취향에 따라 김치볶음밥으로 오므라이스를 해도 좋고 여러가지 소스를 곁들여도 좋고.. 김치 맛은 집집마다, 익은 정도에 따라 다 다르니까 간을 보...
    Date2013.09.25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4491
    Read More
  11. 전복죽, 전복죽 맛있게 만드는법, 전복손질법

    2013/06/03 전복죽, 전복죽 맛있게 만드는법, 전복손질법 제목이 맛있게 만드는법이라니 누구맘대로.. 싶기는 한데 진짜로 누구에게나 맛있을 그런 만드는 법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검색차원에서 제목 달아봅니다. 엄마께서 어머님께 보낸 전복을 내가 덥썩 받아와서 구이로 해먹기는 아깝고 내...
    Date2013.06.03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12699
    Read More
  12. 소고기야채죽

    2013/05/18 소고기야채죽 회식에 지쳐서 집에 오자마자 자고 다음날 출근해서 하루종일 속이 아프다는 식구를 위해서 만들었다. 다른건 다 먹고 싶지 않고 죽 할까 하니까 그건 먹을 수 있겠다하여 집에 있는 재료를 급 머리 속에 굴려봤는데 닭죽만한 것이 없어서 닭을 사러 나가야 하나 했다가 냉동실...
    Date2013.05.18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6516
    Read More
  13. 떡갈비 볶음밥

    2013/02/20 떡갈비 볶음밥 요즘 이사준비로 한창 바쁘게 보내고 있어서 집에서 밥을 거의 못먹고 있는데다가 글 쓸 시간도 적어서 포스팅이 조금 뜸해졌다. 이사갈 집의 벽지를 전체적으로 살짝 빛나는 회색톤에 진회색 벽돌벽지로로 한곳만 포인트를 줬는데 주위 어른과 언니가 집은 화사해야 된다며 ...
    Date2013.02.20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4015
    Read More
  14. 훈제오리 볶음밥

    2013/01/28 훈제오리 볶음밥 훈제오리를 1마리 사서 구워 먹으면 자투리 기름이 꽤 많이 남는데 얇게 썰어서 구워 먹어도 맛있지만 그래도 기름을 굽고 싶지는 않고, 구워서 먹을 때는 고기와 기름이 적당히 붙은 부분으로 좋게 먹고 싶고.. 그래서 남은 부분은 볶으면서 따로 기름을 닦아내지 않아도 ...
    Date2013.01.28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6719
    Read More
  15. 캔 닭가슴살 볶음밥, 어린이볶음밥

    2013/01/13 캔 닭가슴살 볶음밥, 어린이볶음밥 얼마전 한국에 잠깐 들어온 조카에게 만들어 준 볶음밥. 아침에 언니가 밥 좀 해올 수 없겠냐고 해서 집에 마침 남아있던 야채와 닭가슴살캔으로 만들었다. 계란을 스크램블 할까 하다가 지단을 부쳐서 만들었는데 계란을 그냥은 잘 안먹어도 이렇게 주니 ...
    Date2013.01.13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4920
    Read More
  16. 베이컨볶음밥, 베이컨김치볶음밥

    2012/12/27 베이컨볶음밥, 베이컨김치볶음밥 재작년에 담은 김장 김치가 아직도 반정도 남아있다. 원래부터 익은 김치나 묵은지로 먹기 위해서 속을 많이 넣지 않고 만들었는데 많이 묵었긴 하지만 아직도 음식에 넣어서 만들면 튀는 맛이 강하지 않으면서 음식에 잘 어우러진다. 둘이 먹으려고 사용한 ...
    Date2012.12.27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4701
    Read More
  17. 불고기김밥, 참치김밥

    2012/11/12 불고기김밥, 참치김밥 시금치 데치기는 귀찮고 뭐 퍼런거는 들어가야 될 것 같고 그래서 깻잎으로 결정했다. 불고기가 메인이니까 햄은 당연히 빼고, 평소에 넣는 오이와 오뎅은 불고기와는 어울리지 않는 것 같아서 제외했다. 깻잎으로 결정하고 보니까 불고기가 모자라면 참치도 잘 어울릴...
    Date2012.11.12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5183
    Read More
  18. 전기압력밥솥으로 약밥, 전기밥솥 약식만드는법

    2012/05/13 전기압력밥솥으로 약밥, 약식 자주하니 할수록 쉬운 음식인 것 같다. 약밥을 할 때는 쌀을 불리면서 소스를 만든다. 일단 컵은 종이컵으로 생각. 미리 양념을 만드는데 약밥을 할때 쓰는 쌀과 비슷한 양으로 양념을 맞춘다. 그러니까 쌀 4컵을 불린다면 그와 같은 컵에 4컵 분량으로 소스를 ...
    Date2012.05.13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1970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