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2013/06/03

전복죽, 전복죽 맛있게 만드는법, 전복손질법

 

 

 

0.JPG

 

 

제목이 맛있게 만드는법이라니 누구맘대로.. 싶기는 한데 진짜로 누구에게나 맛있을 그런 만드는 법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검색차원에서 제목 달아봅니다.

 

 

 

 

 

엄마께서 어머님께 보낸 전복을 내가 덥썩 받아와서 구이로 해먹기는 아깝고

내장까지 푹 우려내서 맛있는 전복죽과 전복미역국을 만들기 위해서 손질하고 소분해서 냉동했다.

요즘 전복이 제철이라는데 살도 연하고 선물을 가로채서...그런지 크고 좋았다.

 

 

전복은 살아있으면 손질하기가 어려우니까 뜨거운 물을 껍질에 살짝 끼얹어주면 껍질과 잘 분리되고 다루기도 조금 편하다.

나는 바빠서 갓 사망한.. 전복을 마주하니까 좀 편하기는 했는데 내장이 상할까봐 걱정이 되었다. 

신선도를 위해서는 최대한 싱싱할 때에 손질하는 것이 좋다.

 

전복은 솔로 깨끗하게 씻은 다음

내장이 없고 껍질이 둥근 부분으로 숟가락을 넣어 힘껏 껍질과 분리하고

전복살에서 내장이 터지지 않게 분리한 다음 한쪽 끝에 숨어있는 이빨을 제거하면 손질 끝.

내장을 분리하고 난 전복살은 좀 더 깨끗하게 문질러서 씻었다.

 

내장은 그냥 냉동해도 되고 썰어서 냉동해도 되는데 살짝만 얼린 다음 썰어서 꽁꽁 얼리는 것이 조리도구에 묻어나지 않아 조금 더 편하다.

전복살은 원하는 크기로 썰어서 바로 죽에 쓸 수 있도록 납작하게 펴서 냉동했다.

전복은 바로 다음날 쓸 것이라도 냉동하는 것이 좋고 조개류는 냉동했다 하더라도 냉동실에서 최대 3개월을 넘기지 않는 것이 좋다.

 

 

숟가락을 넣어 껍질을 분리하는데 껖질이 위로 오도록 엎어놓고 뜨거운 물을 끼얹거나 껍질부분이 아래로 가도록 놓고 찜통에서 살짝 찌면 잘 떨어진다.

 

 

 

크기변환_DSC05158.JPG     크기변환_DSC05167.JPG


크기변환_DSC05168.JPG     크기변환_DSC05169.JPG

 

 

 

내장을 분리하고 이빨을 제거 한 다음 전복살은 더 깨끗하게 씻었다.


크기변환_DSC05170.JPG     크기변환_DSC05173.JPG


크기변환_DSC05174.JPG     크기변환_DSC05176.JPG


 

 

이제 전복죽..

 

 

사용한 재료는 2~3인분 정도 되는 양으로

전복 큰 것으로 2마리, 쌀은 180미리 컵에 1.5컵, 멸치다시마육수 9컵(쌀의 6배), 참기름, 소금.

 

전복이 큰 것이 있어서 사용했는데 작은 전복을 4마리정도 넣는 것도 가격절감의 측면에서는 좋은 것 같다.

내돈 주고 전복을 산다면 이렇게 큰 것은 엄두도 못내고 작은 것으로 사서 만들 듯..

전복죽을 만드는 것이 거기서 거기긴 한데 그래도 책에서나 엄마께 조언을 들어서 비싼 전복을 맛있게 하기 위해 고민을 약간 했다.

원래 전통적인 전복죽은 내장을 넣지 않고 만드는데 신선한 내장을 함께 넣으면 독특한 풍미와 고소한 맛이 있다.

 

 

멸치육수는 늘 우려두는 멸치다시마(+대파, 황태, 양파 선택)육수를 사용했다.

평소에 멸치육수는 푹푹 우려서 식혀서 체에 거르고 깨끗하게 씻어서 말린 페트병에 부어서 3~4일 냉장실에 뒀다가

쓸일이 없으면 냉동했다가 해동해서 쓰고, 쓰고 나면 또 우리며 늘 만들어둔다.

페트병은 원래 가정에서 타용도로 재활용하는 것이 좋지 않은데 어쨌든 이렇게 1번만 더 재활용하고 더 재활용 하지는 않는다.

 

 

 

가장 먼저 쌀을 물에 불리고 최소 30분 이상 쌀이 불투명해지면서 손으로 으깨면 부서질 정도로 푹 불린다.

 

전복 내장은 해동하지 않고 바로 참기름에 볶아서 멸치 육수에 섞은 다음 체에 걸러준다.

된장찌개에 된장 거르듯이 체에 걸러 비벼 눌러가며 멸치육수에 담가가며 걸렀다.

쌀을 볶고 있는 냄비 위에서 내장볶은 것 + 육수를 체에 걸러 부어서 바로 조리하면 시간이 덜 걸려서 좋고 따로 맑은 내장육수를 만들어서 써도 편하다.

볶아서 식힌 다음 육수와 함께 믹서기에 갈아서 체에 걸러도 좋기는 한데 어쨌든 내장은 볶아서 고소한 향을 끌어올리는 것이 더 맛있다. 

 

전복살도 해동하지 않고 버터나 참기름에 볶고

불린 쌀은 물을 빼서 참기름에 볶았다.

쌀이 어느정도 투명해지면 전복 내장을 푼 물을 부어 40분정도 간간이 저어가며 약불에 끓였다.

 

 

죽이 거의 다 완성 되면 볶아 둔 전복살을 넣고 한소끔 더 끓여내면 완성.

 

전복죽은 전복의 고소하고 깊은 맛을 느끼기 위해서 딱 소금으로만 간하는 것이 내 입맛에는 더 딱 맞다.

소금은 0.5 티스푼 정도 넣으면 약간 싱거운데 간을 봐서 가감하는 것이 좋다.

소금이 녹아서 골고루 퍼진 다음에 간을 봐서 짜지 않게 먹도록 하는 편이다.

 

 

멸치육수를 만들고 전복을 손질하는 것이 약간 번거롭기는 하지만 미리 재료 준비만 해두면 쉽게 만들 수 있다.

딱, 쌀, 육수, 전복, 참기름, 소금만으로 만든다.

없어서 못 먹지 자주 먹어도 절대 질리지도 않는다. 

 

 

 

위에 내용을 다 쓰고 사진을 올리는거라 내용 중복 시작..

 

가장 먼저 쌀을 물에 불리고 최소 30분 이상 쌀이 불투명해지면서 손으로 으깨면 부서질 정도로 푹 불린다.

 


 

크기변환_DSC05255.JPG     크기변환_DSC05256.JPG

 

 

 

 

전복 내장은 해동하지 않고 바로 참기름에 볶아서 멸치 육수에 섞은 다음 체에 걸러준다.

된장찌개에 된장 거르듯이 체에 걸러 비벼 눌러가며 멸치육수에 담가가며 걸렀다.

쌀을 볶고 있는 냄비 위에서 내장볶은 것 + 육수를 체에 걸러 부어서 바로 조리하면 시간이 덜 걸려서 좋고 따로 맑은 내장육수를 만들어서 써도 편하다.

볶아서 식힌 다음 육수와 함께 믹서기에 갈아서 체에 걸러도 좋기는 한데 어쨌든 내장은 볶아서 고소한 향을 끌어올리는 것이 더 맛있다. 

 

크기변환_DSC05257.JPG     크기변환_DSC05259.JPG
   

크기변환_DSC05262.JPG     크기변환_DSC05264.JPG


크기변환_DSC05265.JPG     크기변환_DSC05266.JPG


크기변환_DSC05288.JPG

 

 

 

 

 

전복살은 버터에도 볶아보고 참기름에도 볶아봤다. (각기 다른 날)

크게 다른 점은 없는데 버터는 굳으니까 바로 두고 먹을 것에만 사용하는 것이 좋겠다.

 


 

크기변환_DSC05269.JPG     크기변환_DSC05271.JPG


크기변환_DSC05286.JPG     크기변환_DSC05290.JPG


 

전복살도 해동하지 않고 바로 버터나 참기름에 볶았다.

해동을 따로 하지 않아도 전복내장을 먼저 볶으면서 어느정도 녹으니까 오래 두지 않고 바로바로 볶았다.

 

 

 

불린 쌀은 물을 빼서 참기름에 볶다가

쌀이 어느정도 투명해지면 전복 내장을 푼 물을 부어 40분정도 간간이 저어가며 약불에 끓였다.


 

크기변환_DSC05258.JPG    크기변환_DSC05260.JPG

 

 

 

크기변환_DSC05274.JPG     크기변환_DSC05275.JPG


크기변환_DSC05276.JPG     크기변환_DSC05277.JPG

 
크기변환_DSC05294.JPG    크기변환_DSC05278.JPG


 

죽이 거의 다 완성 되면 볶아 둔 전복살을 넣고 한소끔 더 끓여내면 완성.

고명으로 올릴 전복 몇 조각을 따로 뒀다가 죽에 올려서 밥상에 올리면 먹는 기분이 1%정도 낫다. 맛은 똑같고..

 

 

 

크기변환_DSC05281.JPG

 

 

 

 


 

크기변환_DSC05283.JPG


 

 

이게 1인분은 아니고 그냥 포토라인에 있는 전복죽..

이러고 나서 소복한 그릇에 담아 듬뿍듬뿍 가족들 다 잘 먹었다.

 

 

 

 

 

  • 헤드린 2022.08.14 06:58
    오늘 새벽에 갑자기 눈이 떠져서;; 이 레시피로 공들여 전복죽 만들었어요. 참기름이랑 내장 풍미가 정말 환상적이었습니다. 쌀도 볶아서 넣어 그런지 평소보다 윤기가 더 차르르한 느낌이었습니다. 누구에게나 맛있을 맛이에요(진짜로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2 밥류 새우오므라이스 2014/03/22 새우오므라이스 굴소스 볶음밥으로 만든 오므라이스에 중국식 새우튀김과 케찹베이스의 오므라이스소스를 곁들였다. 미리 이야기 하자면 새우튀김은 ... file 이윤정 2014.03.22 5698
121 일상 치즈돈까스만들기 2014/03/14 치즈돈까스만들기 오랜만에 슈레드모짜렐라치즈를 샀더니 썰지 않아도 되고 새삼 이렇게 편한 물건이.. 하고 생각했다. 슈레드모짜렐라치즈를 샀으면 ... file 이윤정 2014.03.14 12669
120 밥류 닭야채볶음밥, 유가네 볶음밥 따라하기 2018년 업데이트. 거의 똑같다. https://homecuisine.co.kr/hc10/70512 양념장에 사용한 재료는 그램단위로 간장 85, 청주 15, 양파 70, 대파 30, 마늘 30, 생강 ... 4 file 이윤정 2014.03.11 48667
119 국 찌개 소고기 버섯 강된장 2014/03/06 소고기 버섯 강된장 된장찌개, 김치찌개 다 좋아하지만 된장찌개는 꽃게 된장찌개를 가장 좋아하고, 김치찌개는 김치찜처럼 만든 것을 좋아하고, 밥과... file 이윤정 2014.03.06 6477
118 반찬 상어전, 달고기전, 대구전, 명절음식 2014/03/05 상어전, 달고기전, 대구전, 명절음식 친할머니께서 우리 부모님이 결혼하신지 1년만에 돌아가셔서 그로부터 40년을 친정엄마께서 제사를 지내셨는데 ... file 이윤정 2014.03.05 7034
117 반찬 김치참치볶음, 베이컨 숙주볶음 2014/02/25 김치참치볶음, 베이컨 숙주볶음 깐차오뉴허를 하고 숙주가 많이 남아서 숙주볶음을 했다. 밥상 차리는데 반찬이 하나도 없어서 대충 김치하고 참치 볶... file 이윤정 2014.02.25 10116
116 반찬 고기에 곁들이는 파조래기, 파절임, 파무침 2014/02/23 고기에 곁들이는 파조래기, 파절임, 파무침 파절임이나 파무침이라고 하기도 하고 내가 사는 곳에서는 파조래기라고 불렀다. 수육을 하려고 덩어리로 ... file 이윤정 2014.02.23 8543
115 밥류 유부김밥 2014/02/22 유부김밥 저녁에 뭘 할지 딱히 생각해둔 것이 없어서 무작정 냉장고를 열었다 닫았다 하고 밥은 안하고 버티다가 아이디어도 없고 뭘 하자니 꼭 하나 ... file 이윤정 2014.02.22 6561
114 한접시, 일품 부추야채전, 부추전 2014/02/14 부추야채전, 부추전 앞서 올린 만두를 만들고 남은 부추로 찌짐을 만들었다. 묽은 반죽에 주재료인 부추와 얇게 채썬 양파, 당근, 감자, 청양고추를 ... file 이윤정 2014.02.14 9340
113 한접시, 일품 만두, 만둣국, 군만두, 만두속만드는법 2014/02/13 만두, 만둣국, 군만두, 만두속만드는법 집에서 걸어가기는 애매하고 차타고 가기도 애매한 거리의 마트에서 생만두피를 하나 발견해서 만두를 빚었다.... 1 file 이윤정 2014.02.13 8563
112 일상 참치생채비빔밥, 생야채비빔밥, 계란말이 산뜻하고 마음 편한 음식이 뭐 없을까 하다가 참치생채비빔밥이 생각났다. 집에 남은 채소를 대충 모아보니 버터레터스, 양배추, 당근 정도.. 버터레터스는 집에 ... file 이윤정 2014.02.06 7465
111 한그릇, 면 바지락칼국수 2014/02/05 바지락칼국수 -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음식 백가지 국수는 원래 반죽을 손으로 눌러서 풀잎처럼 만들었다는 수인병(手引餠)이었고, 그 후에 반... file 이윤정 2014.02.05 7673
110 한접시, 일품 닭도리탕만드는법, 찜닭만드는법 2014/01/16 닭도리탕만드는법, 찜닭만드는법 이라는 검색형 제목.. 찜닭이나 닭도리탕이나 양념만 조금 다를 뿐이지 전체적으로 들어가는 재료나 만드는 방법이 ... file 이윤정 2014.01.16 9352
109 고기 함박스테이크, 간단소스 2014/01/15 오랜만에 올리는 함박스테이크. 함박스테이크는 지난 봄 이후로 블로그에 올리지는 않았지만 떨어지지 않게 만들어두고 있다. 크게 비율이나 들어가는... file 이윤정 2014.01.15 8312
108 일상 야끼라면, 볶음라면 2014/01/14 야끼라면, 볶음라면 일본음식은 안먹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집에 남은 야끼소바소스와 오꼬노미야끼소스가 있어서 간단하게 야끼라면을 만들었다. 나... file 이윤정 2014.01.14 6822
107 반찬 김치두루치기, 계란말이, 감자볶음, 두부구이 2014/01/04 의식의 흐름에 따라 쓰는 어제저녁밥. 김치두루치기, 계란말이, 감자볶음, 두부구이 어제는 몸이 안좋아서 하루종일 숭늉만 먹고 굶다가 저녁에 급 활... file 이윤정 2014.01.04 5659
106 반찬 전자렌지 계란찜 2014/01/03 전자렌지 계란찜 자주 해먹는 볶음밥을 준비하다가 뜨끈한 게 땡겨서 전자레인지에 계란찜을 만들었다. 계란찜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 체나 그릇을 ... file 이윤정 2014.01.03 7522
105 반찬 참치김치볶음, 두부김치 2014/01/02 참치김치볶음, 두부김치 두부김치는 아니고 두부+김치볶음.. 음식하기가 귀찮아서 메인 밥반찬으로 두부 굽고 참치캔 하나 뜯어서 김치 좀 넣고 얼른 ... file 이윤정 2014.01.02 7420
104 한접시, 일품 굴전, 굴밥 2013/12/28 굴전, 굴밥 마음껏 해산물을 먹기 어려운 시기이지만 그래도 한번씩 먹어줘야 하는 때가 오니까 이번에 또 굴을 샀다.. 연구기관에서 안전하다는 결과... file 이윤정 2013.12.28 6333
103 밥류 햄야채볶음밥 2013/12/19 햄야채볶음밥 훈제오리 남은 것이 조금 있어서 훈제오리볶음밥을 할까 하다가 햄 남은 것이 냉장고에 있어온 시간이 더 긴 것 같아서...;; 자투리채소... file 이윤정 2013.12.19 7523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