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떡만둣국

 

 

 

0.JPG

 

 

 

 

떡만두국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제목에 떡만두국도 함께 써두었다.

엄마께 설 전에 받은 떡국떡을 소분해서 냉동해두었다가 하나씩 꺼내서 떡만둣국을 해먹고 있다.

두번 먹고 아직도 두번 먹을 것이 더 남았는데 다음에는 떡국떡으로 떡볶이를 해볼까 싶다.

 

 

 

명절에는 이렇게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mid=hc10&category=210&document_srl=9280 양지를 푹 삶아서 고명 신경써서 떡국으로 먹고

평소에는 편하게 멸치육수에다가 떡국을 더 좋아하는 내 취향과 만둣국을 더 좋아하는 남편취향을 반영해서 떡만둣국을 한다.

 

 

 

모르는 사람은 당연히 없겠지만 그래도 재료를 쓰자면

 

멸치육수로 멸치, 황태, 표고, 다시마, 대파

떡국떡 400그램

물만두 적당량

국간장 2스푼

 

계란 2개

대파 흰부분 1대

김 2장

소금 약간

 

 

여기에 엄마께서 주신 참치액을 1티스푼 정도 더 넣었다.

 

 

 

 

분량은 평소 먹는 식성에 따라 다른데 나는 1인당 떡국떡 200그램이면 충분하고 만두까지 넣으니 좀 많았다.

 

 

 

떡과 만두는 전날 냉장 해동했다.

찬 물에 멸치, 황태, 표고, 다시마, 대파를 넣고 끓기 시작하면 중불에 20~30분 정도 육수를 우려냈다.

그동안 떡은 찬물에 넣고 불렸다.

 


 

크기변환_DSC08068.JPG     크기변환_DSC08069.JPG


 

크기변환_DSC08352.JPG     크기변환_DSC08353.JPG

 

 

 

육수 재료를 건진 다음 국물의 양은 최종적으로 1리터 정도로 맞추고 국간장을 2~3스푼 정도 넣어서 간했다.

 

 

예전에도 자주 올린 내용인데

간은 국간장으로 물을 부은 양에 따라 조절하는데 국간장의 염도가 보통 약 25%정도 되니까

국간장의 염도가 25%라 칠 때 국물 염도를 1%정도 맞춘다면 

국을 끓여서 최종적으로 될 국물의 양 1리터당 약 국간장 42미리 (3스푼 조금 못되게)를 넣어야 산술적으로 맞다.

1%면 사람에 따라 짜다고 느낄 수 있으므로 0.7%에 맞추면 30미리(2스푼)가 필요하다.

1시간동안 서서히 국물이 졸아드니까 졸아들 양을 고려해서 물을 넉넉하게 넣고 만들면 간이 맞고,

염도를 생각했다 하더라도 입맛은 다들 다르고 육수에도 염도가 있고 간장의 염도도 다 다르니까 대략적인 양만 생각하고 마지막에는 간을 맞춰야 간이 맞다.

 

 

여기에 불린 떡을 넣고 끓이기 시작했다.

 

 

 
크기변환_DSC08071.JPG     크기변환_DSC08354.JPG

 
 

 

불린 떡을 육수에 넣고 4~5분 정도 있으면 떡 속의 수분이 100도가 되어서 증발로 인해 떡에 부력이 생겨서 위로 떠오른다. 이것이 다 익었다는 이야기.

떡에서 녹아서 나오는 전분으로 국물에 농도가 생기며 떡도 푹 불은 것을 좋아해서 떡이 떠오르고도 중불에 6~7분 정도 더 끓였다.

 

 

 

 

그동안 대파도 잘게 썰고 계란도 풀어서 준비하고 그 동안 떡국에 만두도 넣었다. 그리고 김도 구워서 자르고..

 

 

 

크기변환_DSC08355.JPG     크기변환_DSC08356.JPG


크기변환_DSC08357.JPG     크기변환_DSC08358.JPG

 

 

 

 

마지막으로 간을 보고 취향에 따라 뜨거운 물을 보충하거나 모자란 간을 소금 약간으로 최종적으로 조절하고 계란을 쪼르르 흘려 넣는데

인데 간이 맞아서 따로 더할 것은 없었다.

계란은 국물에서 너무 풀어지지 않도록 쪼르르 흘려넣고 휘젓지 않았다.

 

 

 

 

떡만둣국에 다진 대파, 자른 김을 넣어서 완성. 이랄 것도 없고 늘 그냥 이렇게 해먹는다.

 


 

크기변환_DSC08360.JPG

 

 

 

 


 

크기변환_DSC08361.JPG

 

 

 

 

 

0.JPG

 

 

늘 집에 있는 재료로, 만드는 것도 먹는 것도 마음 편한 떡만둣국이라 맛있게 잘 먹었다.

국물 간도 맞고 물만두도 사온 거니까 당연히 맛있고 떡도 쫀쫀하니 좋았다.

 

 

 

 

 

 

 

  • 테리 2015.03.05 09:08
    저는 불지 않고 얇다란 야들야들 떡국을 좋아하는편이었는데,언젠가 어느 만두국집에서 떡만두국을 먹었을때 도톰하고 찐득찐득,약간 질척한 떡국떡을 먹고는 넘 맛있다고 생각했어요.

    윤정님처럼 오래 끓이면 떡의 식감이 그렇게 몰캉몰캉 해지는건가요? 아니면 가래떡마다 좀 식감이 다른걸까요?
  • 이윤정 2015.03.06 23:17
    저 이번에 떡만둣국 끓이면서 테리님 맑게 드시는 것 생각났는데 익숙하게 해먹게 되더라고요^^;
    테리님이 국물 찐득찐득한 떡국 드시고 너무 맛있다고 생각하신 것처럼 새로운 건 시도해봐야 맛있는지 아닌지 알 수 있을 것 같아요.
    저는 떡 식감은 끓이는 시간도 시간이지만 마트하고 방앗간에서 뽑아온 것이 그렇게 다르게 느껴지던걸요ㅎㅎ
  • 테리 2015.03.07 18:31
    항상 방앗간 떡을 쓰기는 하는데
    가능하면 얇게 써는 떡집만 일부러 멀리서 뚫어온지라

    도톰한데로 다시 뚫어봐야겠어요~ㅋㅋ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2 한접시, 일품 녹두빈대떡, 빈대떡 만들기 녹두빈대떡 6~7장 분량 녹두 500그램 물 3스푼 (불린 녹두에 남은 물 양에 따라 물 조절) 찹쌀가루 2~3스푼 다진 돼지고기 200그램, 소금 숙주 250그램 김치 2줌 ... 11 file 이윤정 2015.04.17 9847
241 고기 돼지갈비구이, 돼지갈비양념 2020년 버전 링크 https://homecuisine.co.kr/hc10/93452 갈비는 구이용으로 손질된 것을 사왔다. 양념은 배 반개 양파 반개 마늘 6개 대파 1대를 갈아서 약 400... 10 file 이윤정 2015.04.16 17471
240 반찬 숙주나물, 오이무침, 두부계란부침, 장조림 요즘 만들어 먹는 반찬들인 숙주나물, 오이무침, 계란두부부침, 장조림 늘 편하게 만드는 반찬이니까 크게 내용은 없는데 그래도 올려본다.. 숙주나물 숙주 한 봉... 2 file 이윤정 2015.04.15 13716
239 밥류 김치볶음밥, 김치참치볶음밥 김치볶음밥, 김치참치볶음밥 밥하기도 귀찮고 뭘 먹을까 생각하는 건 더 귀찮아서 저녁이 되도록 재료준비도 안하고 버티다가 결국에는 김치볶음밥을 만들었다. ... 4 file 이윤정 2015.04.13 9853
238 일상 팥밥, 미역국, 잡채, 참치전으로 생일밥 팥밥, 미역국, 잡채, 참치전으로 생일밥 최근 생일밥 업데이트 팥밥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36760&mid=hc10 아롱사태 미역국 - http... 2 file 이윤정 2015.04.11 8940
237 일상 남편이 만든 파스타들 내가 아프거나 피곤할 때 남편이 만든 파스타 3가지. 안 아프면 나가서 간섭하고 그랬을텐데 아파서 꼼짝 못하니까 주방에서 혼자 막 뭘 하더니 만들어서 이렇게 ... 4 file 이윤정 2015.04.11 7494
236 고기 따닥불고기, 바싹불고기, 떡갈비 따닥불고기, 바싹불고기 따닥불고기라고도 하고 바싹불고기라고도 하던데 엄마께서 좋아하시는 음식이라 시외에 있는 식당에 사먹으러 꽤 자주 다녔다. 거기서 보... 4 file 이윤정 2015.04.09 9061
235 김치, 장아찌, 무침 오이무침 오이무침 오늘 농산물 도매시장에 또 다녀왔다. 여태 언제 햇양파가 나오나 생각했는데 마침 오늘은 올해 처음으로 햇양파가 나와서 반가운 마음에 한바구니 사고... 4 file 이윤정 2015.04.09 13079
234 국 찌개 소고기 강된장 소고기 강된장 강된장은 이미 몇 번 올린 적이 있는데 평소와 다름없이 만들었다. 여기에 취향대로 버섯을 더 추가해도 좋다. 사용한 재료는 디포리, 표고, 다시... 6 file 이윤정 2015.04.03 7092
233 한접시, 일품 고추튀김, 깻잎튀김, 떡볶이 고추튀김, 깻잎튀김, 떡볶이 고추튀김으로 돼지고기 200그램 소금, 후추 양파 1개 양배추 2줌 소금 당면 1줌 대파 1대 쪽파 반줌 다진마늘 1.5스푼 계란 1개 밀가... 8 file 이윤정 2015.04.01 9065
232 국 찌개 꽃게된장찌개 꽃게된장찌개 꽃게철이면 어머니가 늘 해주시던 꽃게된장찌개. 육수에 된장 풀고 게와 대파만 넣고 맛있게 자주 해주셔서 손가락 쪽쪽 빨아가며 늘 정말 맛있었고... 4 file 이윤정 2015.03.30 9674
231 일상 대패삼겹살, 볶음밥 대패삼겹살은 꽤 자주 먹었는데 홈페이지에 올릴 만한 내용도 없고 해서 올린 적이 별로 없다. 그래서 당연히 별 내용은 없고, 대패삼겹살과 대패삼겹살김치볶음... 7 file 이윤정 2015.03.29 13504
230 김치, 장아찌, 무침 풋마늘 장아찌 풋마늘 장아찌 두산백과를 참조하면 풋마늘은 마늘의 마늘통이 굵어지기 전의 어린 잎줄기이다. 수확시기는 2~4월이고 대파와 비슷한 생김새이며 빨리 시드는 특... 2 file 이윤정 2015.03.29 23572
229 한접시, 일품 닭도리탕 닭도리탕 마트에서 마감세일하는 닭다리를 1키로 사와서 손질도 별로 할 것 없이 편하게 닭도리탕을 만들었다. 평소 만드는 것보다 조금 덜 달게 물엿 양을 줄이... 4 file 이윤정 2015.03.26 25948
228 한접시, 일품 해물파전 해물파전 만들기 농산물시장에서 파는 기장쪽파가 양도 많고 좋아보여서 한단 사고 풋고추, 홍고추, 청양고추, 가지, 호박, 오이, 양송이버섯, 감자, 고구마까지 ... 6 file 이윤정 2015.03.23 6515
227 반찬 김치참치볶음, 두부김치 김치참치볶음, 두부김치 시장에서 손두부를 한 모 사와서 어떻게 할까 하다가 별 생각 없이 두부김치. 김치만으로 볶아내거나 김치에 육수만 넣고 푹 끓여 낸 것... 2 file 이윤정 2015.03.19 7745
226 일상 참치생채비빔밥 집에 쌈채소가 많이 남아있을 때 만만하게 먹는 참치생채비빔밥. 양배추, 양상추, 상추, 적겨자, 케일, 치커리 등 있는 대로 듬뿍듬뿍 깨끗하게 씻고 물기를 바짝... 4 file 이윤정 2015.03.19 5048
225 일상 짜장면, 간짜장, 볶음짬뽕 짜장면, 간짜장, 볶음짬뽕 자주 먹게 되는 짜장면과 짬뽕. 이번에 중화생면을 사서 해봤는데 생면이 생각보다 쫄깃한 감촉이 덜해서 그런지 내가 잘 못해서 그런... 8 file 이윤정 2015.03.12 93290
224 한접시, 일품 오리주물럭, 오리주물럭 양념 만드는법 갑자기 오리주물럭이 땡겨서 2주간 4번을 먹었다.. (그래서 별 내용 없이 스크롤 압박이...) 먼저 양념장. 이미 몇번이나 올린 양념장은 이전 내용을 복사했다. ... 7 file 이윤정 2015.03.06 106881
» 한그릇, 면 떡만둣국, 떡만두국 떡만둣국 떡만두국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제목에 떡만두국도 함께 써두었다. 엄마께 설 전에 받은 떡국떡을 소분해서 냉동해두었다가 하나씩 꺼내서 떡만둣국을 ... 3 file 이윤정 2015.03.04 7807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