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류

닭야채볶음밥, 유가네 볶음밥 따라하기

by 이윤정 posted Mar 11,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2018년 업데이트. 거의 똑같다.

 https://homecuisine.co.kr/hc10/70512

 

 

크기변환_DSC00947.JPG

 


  

 

양념장에 사용한 재료는 그램단위로

간장 85, 청주 15, 양파 70, 대파 30, 마늘 30, 생강 5 을 블렌더나 믹서로 갈고 여기에

고운 고춧가루 60, 설탕 70, 카레가루 10, 미원2 을 넣고 잘 섞어뒀다.

미리 만들어서 하루정도 숙성했다. 

 

양념장의 양은 닭갈비를 2~3번 정도 할 분량이고,

제육볶음등 매운 소스가 필요한 고기요리나 닭야채볶음밥에도 어울린다.

닭갈비 양념이긴 하지만 이번에는 4회에 걸쳐서 닭야채볶음밥을 먹었다.

닭갈비로 해도 맛있을 것 같기는 한데 볶음밥이 맛있고 하기 편해서

닭고기에 양념해두었다가 버터, 양파, 대파, 김치, 고슬고슬한 밥, 양념장, 참기름, 라면사리를 얼른 볶아 먹었다.

 

 

 

양념장은 액체 재료인 간장, 청주에 양파, 대파, 마늘, 생강을 넣고 간 다음 설탕, 고춧가루, 카레가루, 미원을 넣어서 만들었다.

 


크기변환_DSC07246.JPG      크기변환_DSC07247.JPG


%C5%A9%B1%E2%BA%AF%C8%AF_DSC00095.jpg     %C5%A9%B1%E2%BA%AF%C8%AF_DSC00097.jpg
 
 
 
 
 
닭고기를 넣은 볶음밥에 여러가지 채소를 넣고 만들 수도 있지만 유가네 닭야채 볶음밥을 좋아해서 그 구성대로 만들었다.
 
 
닭야채볶음밥에 사용한 재료는
닭고기살(가슴살 2개 정도의 분량), 양파 반개, 대파 듬뿍, 버터
밥 2인분, 양념장, 김치약간, 참기름, 깨, 라면사리,
 
 

채소는 대파가 더 들어가야 하는데 집에 남은 대파가 딱 이만큼이라 더 넣지를 못했다.

김치는 물기를 짜서 잘게 썰어서 볶음밥의 맛을 해치지 않을 정도로만 넣었고 김가루도 더 넣는 것이 좋겠다.

 

닭고기는 한마리에서 다리와 가슴살, 아랫날개를 바르고 남은 부분인 안심과 윗날개살을 사용했다.
그냥 안심이나 닭다리살도 좋고 볶음밥에 넣기 적당하게 한줌 정도면 될 듯.
 
양념장의 양을 딱 써두지 않았는데 밥숟가락으로 수북하게 닭고기 양념에 1스푼, 밥에 1.5스푼, 라면사리에 1스푼 정도 사용했다.
고기나 채소, 밥, 사리의 양에 따라 양념장이 들어가는 양이 다르니까 간을 보면서 적당하게 조절하는 것이 좋겠다. 
처음부터 너무 많이 넣지는 말고 간을 보면서 추가하는 것이 낫다.
 
밥은 고슬고슬하게 지어서 김을 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나는 반쯤 깎은 현미와 백미 두가지를 다 사용했는데
쌀의 종류보다는 밥의 물을 약간 적게 잡고 미리 지어서 김을 빼고 식혀서 볶음밥에 맞는 정도의 밥을 준비하는 것이 좋았다.
백미라도 반투명한 맵쌀이 좋고, 하얀색의 찹쌀이 섞인 것은 찰기가 있어서 볶음밥에 잘 어울리지 않는다.
 
 
닭고기는 양념장 1스푼에 양념해두고 양파 반개, 대파 1대(조금 안됨), 버터 크게 1스푼을 준비했다.
약간 된 밥에는 잘게 썬 김치와 양념장을 올리고 참기름을 뿌린 다음 깨도 조금 뿌렸다.
라면사리는 삶아서 찬물에 헹구고 똑같이 양념장, 참기름, 깨를 얹어뒀다.
사먹는 것처럼 준비해두고 팬에 촥촥 넣어가며 볶았다.
 
 

크기변환_DSC07267.JPG     크기변환_DSC07270.JPG

 

크기변환_DSC07271.JPG     크기변환_DSC07279.JPG

 

크기변환_DSC07269.JPG


 



버터를 녹이고

닭고기, 양파, 대파를 볶는데 너무 열심히 뒤적이며 볶지는 않고 센불에서 어느정도 노릇노릇하도록 뒤집어가면서 굽듯이 익혔다.

 

 


크기변환_DSC07272.JPG     크기변환_DSC07273.JPG


 

 

 

 

 

크기변환_DSC07276.JPG

 

 

 

 


 

크기변환_DSC07277.JPG


 

 

 

 

준비해둔 밥과 양념장을 넣고 이제부터는 밥을 쪼개가면서 골고루 양념이 묻도록 열심히 볶았다.

밥에 수분이 남지 않도록 센 불에서 열심히 열심히..

 

 

 

 

 

크기변환_DSC07278.JPG


 

 

 

 

크기변환_DSC07280.JPG

 

 

밥에 간을 본 다음 양념장을 더 넣거나 그만 넣거나 하고,

밥을 한 켠으로 밀어두고 라면사리를 넣고 물을 약간 부은 다음 더 볶았다.

라면사리는 간을 보고 양념장을 약간 더 넣었다.

 

 


크기변환_DSC07281.JPG


 

 

 

완성!

 

이 닭야채볶음밥을 20대초반부터 얼마나 먹어왔으며 집에서 비슷하게 해보려고 꽤 시도했었는데 그 중에 이번이 가장 나았다.

 

 

 

크기변환_DSC07283.JPG

 

 

 

 


 

크기변환_DSC07285.JPG


 

 

 

 

 

크기변환_DSC07286.JPG

 

 

 

 


 

크기변환_DSC07290.JPG

 

 

MSG를 넣어서 그런지 양념장만 맛을 봤을 때에는 조미료의 맛도 느껴졌는데 볶음밥을 해보니 꽤 맛있었다.

프라이팬이 철판도 아니고 크지도 않아서 밥에서 수분이 덜 날아간 것이 조금 단점이기는 했는데,

밥을 더 되게 하거나 반쯤 깎은 현미를 사용하거나 하면 해결 될 것 같고 팬은 확실히 더 넓은데다가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맛은 생각보다 사먹는 맛과 비슷해서 아주 마음에 들었다.

라면사리에 양념을 넣어서 볶은 것도 맛있고, 아래가 약간 눌어서 바삭바삭한 것도 맛있고 간이 딱 맞았다.

아 완전 양념장 잘 만들었다고 식사 중에 폭풍 셀프 칭찬했는데 뭐 잘했다고 칭찬인지ㅎㅎㅎ

 

버터, 양념장, 조미료, 참기름의 조합이 좋은 듯.

 

 

 

 

 

 

그리고 바로 이틀 뒤에 또 만들었다.

 


크기변환_DSC07387.JPG     크기변환_DSC07388.JPG


 

크기변환_DSC07397.JPG


 

 

 

 

 

크기변환_DSC07398.JPG

 

 


 

 

또..

 


크기변환_DSC07473.JPG     크기변환_DSC07476.JPG


크기변환_DSC07494.JPG     크기변환_DSC07495.JPG


크기변환_DSC07496.JPG     크기변환_DSC07497.JPG


크기변환_DSC07501.JPG     크기변환_DSC07502.JPG

 

 

 

 


 

크기변환_DSC07503.JPG

 

 

 

 


 

크기변환_DSC07504.JPG     크기변환_DSC07505.JPG



크기변환_DSC07508.JPG



라면사리 볶을 공간을 조금 더 넓게 주고 밥은 라면사리를 볶는 동안 더 눋도록 두어서 아래가 맛있게 눌었다.

김치도 빼먹지 않았고 간도 딱 맞고 밥도 잘 됐다.

 

맛있다!!

 

 

 

 

이 소스를 다 쓸 때까지 밥 2인분에 사리 1개(마지막에는 제외)를 해서 총 4번을 닭야채볶음밥을 해먹었다.

밥을 고슬고슬하게 하고 버터에 대파 듬뿍, 양파 적당히, 물기를 꽉 짜고 잘게 썬 김치를 닭고기와 함께 센 불에 볶고, 밥에 사리까지 더해 볶으니 이런 말 하기 참 웃긴데..

어떤 사람이 포스팅마다 자기가 한 음식에 자기 만의 비법에 대해 한참을 이야기 하며 사먹는 것 보다 훨씬 더 낫다는 말을 남발하는 걸 보면 자의식과잉이다 싶기도 한데,

내가 하고도 이건 좀 사먹는 것과 비슷했다. (철저하게 내 입맛 기준..)

 

완전히 똑같은, 바리에이션이 거의 없는 음식을 약 열흘동안 4번 먹는 것이면 우리집에서는 정말 엄청나게 자주 먹은 것인데

좋아하는 음식이라 그런지 먹는 내내 질리지도 않고 맛있었다.

 

이렇게 딱 다 볶았을 때 맛있는 냄새가 퍼지면서 딱 밥상에 가져가면서가 기분이 꽤 좋다.

뭘 만들까 따로 고민도 하지 않았고 들어가는 재료도 심플하고 한 일도 별로 없는데도 한끼 식사가 맛있기가 쉽지 않은 일인데 속편해서 좋았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