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2018년 업데이트. 거의 똑같다.

 https://homecuisine.co.kr/hc10/70512

 

 

크기변환_DSC00947.JPG

 


  

 

양념장에 사용한 재료는 그램단위로

간장 85, 청주 15, 양파 70, 대파 30, 마늘 30, 생강 5 을 블렌더나 믹서로 갈고 여기에

고운 고춧가루 60, 설탕 70, 카레가루 10, 미원2 을 넣고 잘 섞어뒀다.

미리 만들어서 하루정도 숙성했다. 

 

양념장의 양은 닭갈비를 2~3번 정도 할 분량이고,

제육볶음등 매운 소스가 필요한 고기요리나 닭야채볶음밥에도 어울린다.

닭갈비 양념이긴 하지만 이번에는 4회에 걸쳐서 닭야채볶음밥을 먹었다.

닭갈비로 해도 맛있을 것 같기는 한데 볶음밥이 맛있고 하기 편해서

닭고기에 양념해두었다가 버터, 양파, 대파, 김치, 고슬고슬한 밥, 양념장, 참기름, 라면사리를 얼른 볶아 먹었다.

 

 

 

양념장은 액체 재료인 간장, 청주에 양파, 대파, 마늘, 생강을 넣고 간 다음 설탕, 고춧가루, 카레가루, 미원을 넣어서 만들었다.

 


크기변환_DSC07246.JPG      크기변환_DSC07247.JPG


%C5%A9%B1%E2%BA%AF%C8%AF_DSC00095.jpg     %C5%A9%B1%E2%BA%AF%C8%AF_DSC00097.jpg
 
 
 
 
 
닭고기를 넣은 볶음밥에 여러가지 채소를 넣고 만들 수도 있지만 유가네 닭야채 볶음밥을 좋아해서 그 구성대로 만들었다.
 
 
닭야채볶음밥에 사용한 재료는
닭고기살(가슴살 2개 정도의 분량), 양파 반개, 대파 듬뿍, 버터
밥 2인분, 양념장, 김치약간, 참기름, 깨, 라면사리,
 
 

채소는 대파가 더 들어가야 하는데 집에 남은 대파가 딱 이만큼이라 더 넣지를 못했다.

김치는 물기를 짜서 잘게 썰어서 볶음밥의 맛을 해치지 않을 정도로만 넣었고 김가루도 더 넣는 것이 좋겠다.

 

닭고기는 한마리에서 다리와 가슴살, 아랫날개를 바르고 남은 부분인 안심과 윗날개살을 사용했다.
그냥 안심이나 닭다리살도 좋고 볶음밥에 넣기 적당하게 한줌 정도면 될 듯.
 
양념장의 양을 딱 써두지 않았는데 밥숟가락으로 수북하게 닭고기 양념에 1스푼, 밥에 1.5스푼, 라면사리에 1스푼 정도 사용했다.
고기나 채소, 밥, 사리의 양에 따라 양념장이 들어가는 양이 다르니까 간을 보면서 적당하게 조절하는 것이 좋겠다. 
처음부터 너무 많이 넣지는 말고 간을 보면서 추가하는 것이 낫다.
 
밥은 고슬고슬하게 지어서 김을 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나는 반쯤 깎은 현미와 백미 두가지를 다 사용했는데
쌀의 종류보다는 밥의 물을 약간 적게 잡고 미리 지어서 김을 빼고 식혀서 볶음밥에 맞는 정도의 밥을 준비하는 것이 좋았다.
백미라도 반투명한 맵쌀이 좋고, 하얀색의 찹쌀이 섞인 것은 찰기가 있어서 볶음밥에 잘 어울리지 않는다.
 
 
닭고기는 양념장 1스푼에 양념해두고 양파 반개, 대파 1대(조금 안됨), 버터 크게 1스푼을 준비했다.
약간 된 밥에는 잘게 썬 김치와 양념장을 올리고 참기름을 뿌린 다음 깨도 조금 뿌렸다.
라면사리는 삶아서 찬물에 헹구고 똑같이 양념장, 참기름, 깨를 얹어뒀다.
사먹는 것처럼 준비해두고 팬에 촥촥 넣어가며 볶았다.
 
 

크기변환_DSC07267.JPG     크기변환_DSC07270.JPG

 

크기변환_DSC07271.JPG     크기변환_DSC07279.JPG

 

크기변환_DSC07269.JPG


 



버터를 녹이고

닭고기, 양파, 대파를 볶는데 너무 열심히 뒤적이며 볶지는 않고 센불에서 어느정도 노릇노릇하도록 뒤집어가면서 굽듯이 익혔다.

 

 


크기변환_DSC07272.JPG     크기변환_DSC07273.JPG


 

 

 

 

 

크기변환_DSC07276.JPG

 

 

 

 


 

크기변환_DSC07277.JPG


 

 

 

 

준비해둔 밥과 양념장을 넣고 이제부터는 밥을 쪼개가면서 골고루 양념이 묻도록 열심히 볶았다.

밥에 수분이 남지 않도록 센 불에서 열심히 열심히..

 

 

 

 

 

크기변환_DSC07278.JPG


 

 

 

 

크기변환_DSC07280.JPG

 

 

밥에 간을 본 다음 양념장을 더 넣거나 그만 넣거나 하고,

밥을 한 켠으로 밀어두고 라면사리를 넣고 물을 약간 부은 다음 더 볶았다.

라면사리는 간을 보고 양념장을 약간 더 넣었다.

 

 


크기변환_DSC07281.JPG


 

 

 

완성!

 

이 닭야채볶음밥을 20대초반부터 얼마나 먹어왔으며 집에서 비슷하게 해보려고 꽤 시도했었는데 그 중에 이번이 가장 나았다.

 

 

 

크기변환_DSC07283.JPG

 

 

 

 


 

크기변환_DSC07285.JPG


 

 

 

 

 

크기변환_DSC07286.JPG

 

 

 

 


 

크기변환_DSC07290.JPG

 

 

MSG를 넣어서 그런지 양념장만 맛을 봤을 때에는 조미료의 맛도 느껴졌는데 볶음밥을 해보니 꽤 맛있었다.

프라이팬이 철판도 아니고 크지도 않아서 밥에서 수분이 덜 날아간 것이 조금 단점이기는 했는데,

밥을 더 되게 하거나 반쯤 깎은 현미를 사용하거나 하면 해결 될 것 같고 팬은 확실히 더 넓은데다가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맛은 생각보다 사먹는 맛과 비슷해서 아주 마음에 들었다.

라면사리에 양념을 넣어서 볶은 것도 맛있고, 아래가 약간 눌어서 바삭바삭한 것도 맛있고 간이 딱 맞았다.

아 완전 양념장 잘 만들었다고 식사 중에 폭풍 셀프 칭찬했는데 뭐 잘했다고 칭찬인지ㅎㅎㅎ

 

버터, 양념장, 조미료, 참기름의 조합이 좋은 듯.

 

 

 

 

 

 

그리고 바로 이틀 뒤에 또 만들었다.

 


크기변환_DSC07387.JPG     크기변환_DSC07388.JPG


 

크기변환_DSC07397.JPG


 

 

 

 

 

크기변환_DSC07398.JPG

 

 


 

 

또..

 


크기변환_DSC07473.JPG     크기변환_DSC07476.JPG


크기변환_DSC07494.JPG     크기변환_DSC07495.JPG


크기변환_DSC07496.JPG     크기변환_DSC07497.JPG


크기변환_DSC07501.JPG     크기변환_DSC07502.JPG

 

 

 

 


 

크기변환_DSC07503.JPG

 

 

 

 


 

크기변환_DSC07504.JPG     크기변환_DSC07505.JPG



크기변환_DSC07508.JPG



라면사리 볶을 공간을 조금 더 넓게 주고 밥은 라면사리를 볶는 동안 더 눋도록 두어서 아래가 맛있게 눌었다.

김치도 빼먹지 않았고 간도 딱 맞고 밥도 잘 됐다.

 

맛있다!!

 

 

 

 

이 소스를 다 쓸 때까지 밥 2인분에 사리 1개(마지막에는 제외)를 해서 총 4번을 닭야채볶음밥을 해먹었다.

밥을 고슬고슬하게 하고 버터에 대파 듬뿍, 양파 적당히, 물기를 꽉 짜고 잘게 썬 김치를 닭고기와 함께 센 불에 볶고, 밥에 사리까지 더해 볶으니 이런 말 하기 참 웃긴데..

어떤 사람이 포스팅마다 자기가 한 음식에 자기 만의 비법에 대해 한참을 이야기 하며 사먹는 것 보다 훨씬 더 낫다는 말을 남발하는 걸 보면 자의식과잉이다 싶기도 한데,

내가 하고도 이건 좀 사먹는 것과 비슷했다. (철저하게 내 입맛 기준..)

 

완전히 똑같은, 바리에이션이 거의 없는 음식을 약 열흘동안 4번 먹는 것이면 우리집에서는 정말 엄청나게 자주 먹은 것인데

좋아하는 음식이라 그런지 먹는 내내 질리지도 않고 맛있었다.

 

이렇게 딱 다 볶았을 때 맛있는 냄새가 퍼지면서 딱 밥상에 가져가면서가 기분이 꽤 좋다.

뭘 만들까 따로 고민도 하지 않았고 들어가는 재료도 심플하고 한 일도 별로 없는데도 한끼 식사가 맛있기가 쉽지 않은 일인데 속편해서 좋았다ㅎㅎ

 

 

 

 

 

  • 하와유 2015.08.06 09:38
    안녕하세요! 전 볶음밥을 너무너무 좋아하는데 그중에 유가네 볶음밥을 제일 좋아해요! 어제 너무 먹고싶은마음에 검색하다 여기까지 들어와서 어제도 보고 오늘도 보고 하면서 마음의 위로를 받고 있습니당 ㅠㅠ 해볼까하다가 저한텐 조금 복잡해서 내일까지 눈으로 먹고 주말에 시간내서 유가네를 가야할것 같아요 대신 다른글의 김치볶음밥은 오늘 도전해 보겠습니당! 좋은글 올려주셔서 감사하다고 댓글 달고 싶어서 회원가입도했어요ㅋㅋ 제가 제일 좋아하는음식이 유가네 볶음밥이거든요ㅋㅋ 감사합니다 좋은하루되세요
  • 이윤정 2015.08.06 23:29
    저도 유가네 볶음밥을 너무 좋아해서 가서 사먹다 못해 만들고 있어요ㅎㅎㅎㅎ
    그런데 유가네 감자사리는 진짜 구해지지가 않네요. 감자사리 정말 좋아하는데 말입니다. 그래도 라면사리도 좋아요ㅎㅎ
    양념만 만들면 아주 간단하고 여러번 먹을 수 있는데 제가 괜히 복잡하게 써놓은 건 아닌가 싶네요.
    '닭갈비' 나 '닭야채'로 검색해보시면 꽤 여러번 올렸는데 오리주물럭이나 순대볶음으로도 좋았어요. 하와유님 입맛에 맞으셨으면 좋겠네요^^
  • 서영네 2015.10.01 07:35
    캐나다에 살고 있는 처자예요. 남편이 캐내디언 사람인데 둘다 한국에서 만나서 데이트 하던 시절에 유가네를 자주 갔거든요. 캐나다 토론토에는 유가네 같은 철판 볶음밥이 없어 내내 그리워 하다가 이걸 우연히 찾아 제가 만들어줬어요. 너무 맛있어요 ㅠㅠ 너무 감사합니다.
  • 이윤정 2015.10.01 23:52
    한국에 계실 적에 자주 가신 곳이라 더 생각나시고 그렇죠ㅎㅎㅎ 저는 금방이라도 갈 수 있으면서 자주 해먹으려고 이러고 있어요ㅎㅎ
    그때 그맛으로 입맛에 맞으셨다니 제가 더 감사한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한접시, 일품 기본 잡채, 잡채밥, 간짜장 기본 잡채, 잡채밥, 간짜장 잡채밥 2017년 버전 - https://homecuisine.co.kr/hc20/50390 보통 잡채밥은 중국식인지 중국음식점식인지 색이 연한 잡채에 짜장을 ... file 이윤정 2014.03.26 4815
123 밥류 스테이크볶음밥 2014/03/22 스테이크볶음밥 스테이크를 넣은 볶음밥은 아니고 스테이크를 곁들인 볶음밥.. 오므라이스와 거의 똑같이 굴소스를 넣어 만든 볶음밥에 스테이크와 볶... file 이윤정 2014.03.22 6189
122 밥류 새우오므라이스 2014/03/22 새우오므라이스 굴소스 볶음밥으로 만든 오므라이스에 중국식 새우튀김과 케찹베이스의 오므라이스소스를 곁들였다. 미리 이야기 하자면 새우튀김은 ... file 이윤정 2014.03.22 3879
121 일상 치즈돈까스만들기 2014/03/14 치즈돈까스만들기 오랜만에 슈레드모짜렐라치즈를 샀더니 썰지 않아도 되고 새삼 이렇게 편한 물건이.. 하고 생각했다. 슈레드모짜렐라치즈를 샀으면 ... file 이윤정 2014.03.14 10859
» 밥류 닭야채볶음밥, 유가네 볶음밥 따라하기 2018년 업데이트. 거의 똑같다. https://homecuisine.co.kr/hc10/70512 양념장에 사용한 재료는 그램단위로 간장 85, 청주 15, 양파 70, 대파 30, 마늘 30, 생강 ... 4 file 이윤정 2014.03.11 46660
119 국 찌개 소고기 버섯 강된장 2014/03/06 소고기 버섯 강된장 된장찌개, 김치찌개 다 좋아하지만 된장찌개는 꽃게 된장찌개를 가장 좋아하고, 김치찌개는 김치찜처럼 만든 것을 좋아하고, 밥과... file 이윤정 2014.03.06 4222
118 반찬 상어전, 달고기전, 대구전, 명절음식 2014/03/05 상어전, 달고기전, 대구전, 명절음식 친할머니께서 우리 부모님이 결혼하신지 1년만에 돌아가셔서 그로부터 40년을 친정엄마께서 제사를 지내셨는데 ... file 이윤정 2014.03.05 5032
117 반찬 김치참치볶음, 베이컨 숙주볶음 2014/02/25 김치참치볶음, 베이컨 숙주볶음 깐차오뉴허를 하고 숙주가 많이 남아서 숙주볶음을 했다. 밥상 차리는데 반찬이 하나도 없어서 대충 김치하고 참치 볶... file 이윤정 2014.02.25 7900
116 반찬 고기에 곁들이는 파조래기, 파절임, 파무침 2014/02/23 고기에 곁들이는 파조래기, 파절임, 파무침 파절임이나 파무침이라고 하기도 하고 내가 사는 곳에서는 파조래기라고 불렀다. 수육을 하려고 덩어리로 ... file 이윤정 2014.02.23 7055
115 밥류 유부김밥 2014/02/22 유부김밥 저녁에 뭘 할지 딱히 생각해둔 것이 없어서 무작정 냉장고를 열었다 닫았다 하고 밥은 안하고 버티다가 아이디어도 없고 뭘 하자니 꼭 하나 ... file 이윤정 2014.02.22 4597
114 한접시, 일품 부추야채전, 부추전 2014/02/14 부추야채전, 부추전 앞서 올린 만두를 만들고 남은 부추로 찌짐을 만들었다. 묽은 반죽에 주재료인 부추와 얇게 채썬 양파, 당근, 감자, 청양고추를 ... file 이윤정 2014.02.14 7442
113 한접시, 일품 만두, 만둣국, 군만두, 만두속만드는법 2014/02/13 만두, 만둣국, 군만두, 만두속만드는법 집에서 걸어가기는 애매하고 차타고 가기도 애매한 거리의 마트에서 생만두피를 하나 발견해서 만두를 빚었다.... 1 file 이윤정 2014.02.13 6829
112 일상 참치생채비빔밥, 생야채비빔밥, 계란말이 산뜻하고 마음 편한 음식이 뭐 없을까 하다가 참치생채비빔밥이 생각났다. 집에 남은 채소를 대충 모아보니 버터레터스, 양배추, 당근 정도.. 버터레터스는 집에 ... file 이윤정 2014.02.06 5619
111 한그릇, 면 바지락칼국수 2014/02/05 바지락칼국수 -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음식 백가지 국수는 원래 반죽을 손으로 눌러서 풀잎처럼 만들었다는 수인병(手引餠)이었고, 그 후에 반... file 이윤정 2014.02.05 5804
110 한접시, 일품 닭도리탕만드는법, 찜닭만드는법 2014/01/16 닭도리탕만드는법, 찜닭만드는법 이라는 검색형 제목.. 찜닭이나 닭도리탕이나 양념만 조금 다를 뿐이지 전체적으로 들어가는 재료나 만드는 방법이 ... file 이윤정 2014.01.16 7564
109 고기 함박스테이크, 간단소스 2014/01/15 오랜만에 올리는 함박스테이크. 함박스테이크는 지난 봄 이후로 블로그에 올리지는 않았지만 떨어지지 않게 만들어두고 있다. 크게 비율이나 들어가는... file 이윤정 2014.01.15 6623
108 일상 야끼라면, 볶음라면 2014/01/14 야끼라면, 볶음라면 일본음식은 안먹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집에 남은 야끼소바소스와 오꼬노미야끼소스가 있어서 간단하게 야끼라면을 만들었다. 나... file 이윤정 2014.01.14 4919
107 반찬 김치두루치기, 계란말이, 감자볶음, 두부구이 2014/01/04 의식의 흐름에 따라 쓰는 어제저녁밥. 김치두루치기, 계란말이, 감자볶음, 두부구이 어제는 몸이 안좋아서 하루종일 숭늉만 먹고 굶다가 저녁에 급 활... file 이윤정 2014.01.04 4038
106 반찬 전자렌지 계란찜 2014/01/03 전자렌지 계란찜 자주 해먹는 볶음밥을 준비하다가 뜨끈한 게 땡겨서 전자레인지에 계란찜을 만들었다. 계란찜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 체나 그릇을 ... file 이윤정 2014.01.03 5559
105 반찬 참치김치볶음, 두부김치 2014/01/02 참치김치볶음, 두부김치 두부김치는 아니고 두부+김치볶음.. 음식하기가 귀찮아서 메인 밥반찬으로 두부 굽고 참치캔 하나 뜯어서 김치 좀 넣고 얼른 ... file 이윤정 2014.01.02 4736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