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조회 수 4911 추천 수 0 댓글 0

 

 

2014/08/18

기본적인 김밥재료로 김밥

 

 

0.JPG

 

 

 

 

먼저 어머님께 받은 우엉... 감사하긴 하지만 양이 엄청 많아서 일도 많았다.

 

 

크기변환_DSC01132.JPG     크기변환_DSC01133.JPG

  

 

우엉은 씻은 다음 껍질을 벗기고 채칼에 썰어서 식초를 약간 푼 물에 담아두었다가 물을 두세번 갈아 준 다음 40분~50분 정도 중불에 푹 끓여냈다.

하나씩 채썰어서 냉동하면 해동했을 때 더 편하겠지만 일단 일이 너무 많아서 이대로 냉동하고 해동한다음 채썰어서 우엉조림을 하기로 했다.

  

 

크기변환_DSC01154.JPG     크기변환_DSC01155.JPG

 

 

 

아래는 예전에 만든 우엉조림 -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13141&mid=hc10

 

 

0.JPG

 

냉동했던 우엉은 그대로 해동한 다음 채썰고 물, 간장을 우엉이 살짝 잠기도록 넣은 다음 20~30분 정도 졸이고 물엿으로 달기를 조절하고

간장물과 물엿이 거의 잦아들고 팬이 거의 마르면  참기름을 넣고 팬이 완전히 바짝바짝한 느낌이 들도록 달달달달 더 볶아서 우엉조림을 만들었다.

 

 

이렇게 우엉조림을 만들어두고나니 김밥을 만들면 되겠다 싶었다.

 

 

 

 

 

김밥에 사용한 재료는 

밥, 김, 요리초, 참기름, 깨 / 

맛살, 오이, 단무지, 우엉조림, 당근, 햄, 계란, 오뎅

 

8줄 분량으로

쌀 4컵으로 지은 밥, 요리초 4스푼, 참기름 2~3스푼, 깨 적당히로 밥에 양념하고 김은 10장짜리 김밥김을 사용했다.

크래미 맛살 8줄과 오이 적당히 굵은 것 1개, 당근 1개, 김밥용 햄 1개, 계란 6개, 오뎅 3장, 우엉조림 넉넉히를 사용했다.

 

평소에 오이보다 시금치를 넣은 것을 더 좋아하는데 시금치는 다듬고 씻어서 데치고 헹구고 짜고 볶는데 손이 많이 가니까 편하게 오이를 사용했다.



 

 

가장 먼저 오이는 껍질을 벗기고 계획에 맞게 등분하고 씨를 썰어낸 다음 소금을 살짝 뿌려서 절여두었다.

절인 오이는 수분을 제거하고 살짝 맛을 봐서 짜면 헹구고 적당하면 그냥 사용하는데 이번에는 조금 짜서 물에 헹구고 키친타올로 닦아서 준비했다.

 

 

당근은 채썰고 소금, 후추를 뿌려서 올리브오일에 볶아냈다.


 

크기변환_DSC02207.JPG     크기변환_DSC02208.JPG


 

 

 

햄도 굽고, 계란지단도 부치고...


크기변환_DSC02254.JPG     크기변환_DSC02256.JPG

 

 

 

계란은 노른자는 김밥 직전에 만든 티라미수에 쓰고 남은 흰자 3개와 전란 3개를 사용했다.

김밥의 색감에 계란의 영향력이 큰데 흰자가 많아서 계란지단의 색이 덜 이쁜게 조금 아쉬웠다.

그리고 스피디하게 만든다고 약불에 천천히 굽지 않고 불이 센데 그냥 막 구웠더니 모양도 그냥 대충대충...

 

 

 

크기변환_DSC02209.JPG     크기변환_DSC02255.JPG

 

 

오뎅은 얇게 썰어서 간장, 물엿을 살짝씩 넣고 물은 서너스푼 넣은 다음 후추도 약간 뿌리고 간이 배이게 간단히 졸여냈다.

 

 

 

 

 

밥은 계량컵으로 4컵(4인분) 한 다음 밥이 다 되면 일궈가며 김을 뺐다. 

큰 볼에 옮겨담아 식히는 것이 더 효율적인데 그릇 덜 쓰려고(귀찮아서) 밥솥에 그대로 식혔다.

반쯤 식었을 때 요리초, 참기름, 깨를 넣어서 주걱을 세워서 쪼개가며 비빈 다음 김밥 1줄에 어느정도 넣을 지 감이 오도록 주걱으로 살짝 8등분 했다.

   

 

크기변환_DSC02259.JPG     크기변환_DSC02261.JPG

 


크기변환_DSC02257.JPG     크기변환_DSC02258.JPG


 

이 재료로 총 8줄 만들었다. (우엉은 이것보다 1.5배정도 더 들어갔고 당근은 마지막에 약간 모자랐다.)

 

 

 

 

구운 김밥김을 식재료 보관함에 넣어 두고 그 위에 색재료를 뒀더니 김이 부서져서 중간중간 터지는 바람에 자른 김으로 메워가며 싸느라 번거로웠다.

다음부터는 김은 꼭 부서지지 않게 안전한 곳에 보관하는 걸로...

 

 

 

크기변환_DSC02264.JPG


 

 

김에 반그릇 정도 되는 밥을 얇고 고르게 펴고 계란지단을 깐 다음 하나씩 잊지 않게 세어가며 속재료를 올렸다.

김발 설거지 하기가 귀찮아서 손으로 꼭꼭 감는 편인데 김밥을 말고 나서 여민 김의 부분을 바닥으로 두면 촉촉하게 잘 붙는다.

 

 


 

크기변환_DSC02266.JPG

 

 

 

 


 

크기변환_DSC02271.JPG



 

 

크기변환_DSC02272.JPG

 

 

 

 


 

크기변환_DSC02274.JPG

  


빠지는 재료 없이 큼직큼직하게 골고루 넣은데다가 채썬 당근과 채썬 오뎅, 채썬 우엉조림도 입맛에 맞으니 맛있었다.

오이는 물에 헹궈서 짠맛을 줄이고 나머지 재료로 살짝씩 간해서 전체적으로 짜지 않고 간이 맞았다.

자주 만들지는 않지만 가끔 만들면 늘 과식하게 된다. 속재료가 빵빵하게 들어서 1인당 2줄이상 먹기 힘든 양인데도 더 먹었다...

8줄을 만든 김밥은 전부 썰어서 끄트머리 포함한 약 5줄 정도 먹고 나머지는 김밥부침을 했다.

남은 김밥은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중간중간에 종이호일을 넣어서 3층으로 쌓은 다음 봉투에 넣고 냉장고에 넣었다.

 

 

그리고는 다다음날 아침에 김밥부침으로 부쳐먹었다.

일어나자마자 냉장고에서 꺼내서 냉기를 빼고, 김밥이 간간하니까 계란에는 간을 하지 않고 김밥에 묻혀서 구웠다.

 


크기변환_DSC02381.JPG

 

 

 


 

크기변환_DSC02382.JPG


 

 

 

 

 

크기변환_DSC02383.JPG

 

 

계란옷을 입은 김밥이 뜨겁게 속까지 잘 익었다/ 김밥부침은 식은 것 보다는 갓 부친 것이 더 맛있는 것 같다.

보드라워져서 좋지만 따뜻한 오이와 단무지를 즐기는 편은 아니라 갓 만든 김밥보다 더 마음에 들지는 않았지만

계란옷 입혀서 금방 부치기만 하면 되니까 편하게 먹을 수 있어서 좋았다. 

 

 

 

 

 


  1. 유부김밥

    2014/02/22 유부김밥 저녁에 뭘 할지 딱히 생각해둔 것이 없어서 무작정 냉장고를 열었다 닫았다 하고 밥은 안하고 버티다가 아이디어도 없고 뭘 하자니 꼭 하나 재료가 부족하고 시간 오래 걸리는 것도 귀찮고 하며 귀찮음을 발사하고 있으니 남편이 라면이나 먹을까? 스팸구워서 밥이랑 먹을까? 하는데 아 그럼 스팸으로 김밥이나 할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냉장고에서 재료를 찾아봤다. 늘 있는 스팸에, 단무지도 있고 오이나 시금치는 없는데 오이지는 하나 있었다. 계란, 맛살.. 오뎅을 넣을까 하고 냉동실을 열어보니 유부가 있어서 아 유부김밥...
    Date2014.02.22 Category밥류 By이윤정 Reply0 Views4611 file
    Read More
  2. 부추야채전, 부추전

    2014/02/14 부추야채전, 부추전 앞서 올린 만두를 만들고 남은 부추로 찌짐을 만들었다. 묽은 반죽에 주재료인 부추와 얇게 채썬 양파, 당근, 감자, 청양고추를 넣었다. 평소대로 부침가루는 차가운 물을 붓고 주르륵 흐를 정도의 묽기로 반죽하고 채소가 겨우 묻을 정도의 양만 사용했다. 별 생각 하지 않고 가볍게 만들었다. 부추 크게 한 줌에 양파 중간 것 1개, 감자 약간 큰 것 1개, 당근 3분의1개, 청양고추 2개 정도.. 팬에 기름을 두르고 채소를 얹어서 얇게 편 다음 모자란 부분을 반죽으로 메워서 얇게 부쳤다. 겉은 바삭하면서 속은 쫀득...
    Date2014.02.14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Reply0 Views7444 file
    Read More
  3. 만두, 만둣국, 군만두, 만두속만드는법

    2014/02/13 만두, 만둣국, 군만두, 만두속만드는법 집에서 걸어가기는 애매하고 차타고 가기도 애매한 거리의 마트에서 생만두피를 하나 발견해서 만두를 빚었다. 보통 마트에서 파는 냉동만두피는 별로 좋아하지 않고, 시장에서는 발견한 적이 없고, 지나가다 마트에서 보이면 한두개씩 사서 만들곤 한다. 만두 만들기의 반이상을 차지하는 일이 만두피를 미는 일이기 때문에 만두피를 사서 만들면 크게 힘들이지 않고 빚을 수 있어서 편했다. 이전에 만든 중국식 만두 - http://homecuisine.co.kr/index.php?mid=hc20&page=5&document_srl=1501 만...
    Date2014.02.13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Reply1 Views6832 file
    Read More
  4. 참치생채비빔밥, 생야채비빔밥, 계란말이

    산뜻하고 마음 편한 음식이 뭐 없을까 하다가 참치생채비빔밥이 생각났다. 집에 남은 채소를 대충 모아보니 버터레터스, 양배추, 당근 정도.. 버터레터스는 집에 있어서 사용했는데 상추, 깻잎, 오이 다 아주 잘 어울린다. 없어서 못 쓴 것 뿐.. 잎채소는 씻어서 샐러드스피너로 물기를 탈탈 털고, 당근은 얇게 채썰고 양배추는 채칼에 얇게 썰었다. 채소는 듬뿍듬뿍, 밥보다 훨씬 많이 넣어도 금방 숨이 죽는다. 참치캔은 기름을 살짝만 떠내고 육즙은 그대로 비빔밥에 넣었다. 고추장과 쌈장은 1.5:1정도를 넣었는데 간은 입맛에 맞게 맞추고 메이...
    Date2014.02.06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0 Views5630 file
    Read More
  5. 바지락칼국수

    2014/02/05 바지락칼국수 -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음식 백가지 국수는 원래 반죽을 손으로 눌러서 풀잎처럼 만들었다는 수인병(手引餠)이었고, 그 후에 반죽을 누르면서 늘여서 만드는 박탁(餺飥)이 되었다가 도마와 칼이 생기고 나서는 얇게 밀어서 칼로 써는 칼국수가 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국수를 끈기가 없는 메밀로 만들기 때문에 반죽을 분통에 눌러서 빼는 방법을 고안한 듯하다. 옛날 음식책에는 칼국수라는 말은 나오지 않고 대개는 밀가루로 만들어서인지 ‘밀국수’라고 하였다. 이와 구별하여 마른 국수나, 국수틀에서 누른 메...
    Date2014.02.05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Reply0 Views5810 file
    Read More
  6. 닭도리탕만드는법, 찜닭만드는법

    2014/01/16 닭도리탕만드는법, 찜닭만드는법 이라는 검색형 제목.. 찜닭이나 닭도리탕이나 양념만 조금 다를 뿐이지 전체적으로 들어가는 재료나 만드는 방법이 비슷하기 때문에 닭고기 데치고 물붓고 양념장에 채소 넣고 당면 넣고 뭐 비슷하다. 닭고기로 만드는 음식 중에 집에서 하기 만만한 게 닭도리탕과 찜닭이라 자주 해먹어도 너무 자주 올리는 것 같기도 했고;;; 평소에 만들면 꼭 그럴 때 손님이 있거나 해서 과정사진만 있고 완성사진이 없어서 블로그에 올리기 마땅하지 않았는데 어쨌든 완성사진도 찍었겠다 싶어서 함께 올려본다. 먼저...
    Date2014.01.16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Reply0 Views7572 file
    Read More
  7. 함박스테이크, 간단소스

    2014/01/15 오랜만에 올리는 함박스테이크. 함박스테이크는 지난 봄 이후로 블로그에 올리지는 않았지만 떨어지지 않게 만들어두고 있다. 크게 비율이나 들어가는 재료는 다를 것이 없지만 만들면서 세부적으로 레시피를 조금씩 수정하고 있었는데 요즘은 늘 이렇게 만들고 있다. 이게 보편적으로 딱 떨어지는 비율이다고 주장할 수는 없어도 자주 해먹고 있는데다가 나를 비롯한 주위사람들 입맛에는 검증되었고 어쨌든 꽤 맛있는 조합이다. 사용한 재료는 다진 소고기 700g, 다진 돼지고기 350g, 양파 약간 큰 것 1개, 계란 2개, 빵가루 50g+우유 ...
    Date2014.01.15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0 Views6631 file
    Read More
  8. 야끼라면, 볶음라면

    2014/01/14 야끼라면, 볶음라면 일본음식은 안먹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집에 남은 야끼소바소스와 오꼬노미야끼소스가 있어서 간단하게 야끼라면을 만들었다. 나는 집에 남은 소스를 사용했지만 야끼소바소스는 호이신소스와 굴소스를 섞어서 대체하고, 야끼소바소스는 대신에 시판 돈가스소스로 대체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 토핑으로 가쓰오부시까지 뿌려야 좋지만 요즘 가쓰오부시는 집에 사다 둔 것이 떨어진 이후로는 사고 있지 않아서 패스했다. 인도네시아산이 나오는 것이 있다던데 다음에는 그걸로 알아보고 사야겠다. 어쨌든 누구나 각자가...
    Date2014.01.14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0 Views4938 file
    Read More
  9. 김치두루치기, 계란말이, 감자볶음, 두부구이

    2014/01/04 의식의 흐름에 따라 쓰는 어제저녁밥. 김치두루치기, 계란말이, 감자볶음, 두부구이 어제는 몸이 안좋아서 하루종일 숭늉만 먹고 굶다가 저녁에 급 활기를 찾아 냉장고에서 이것저것 꺼내 저녁밥을 만들었다. 냉장고에 한 번 들어간 음식은 잘 안먹어서 냉장고에 밑반찬은 많아야 두어가지인데 냉장고에 있는 밑반찬을 먹고 싶지도 않고... 냉장실에 기본적인 재료는 있지만 다양하게 있지 않아서 선택권도 없고..해서 균형이고 뭐고 손에 잡히는 대로 급하게 만들었다. 국이 있었으면 좋겠다 생각하기는 했는데 반찬의 양이 너무 많은데...
    Date2014.01.04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4049 file
    Read More
  10. 전자렌지 계란찜

    2014/01/03 전자렌지 계란찜 자주 해먹는 볶음밥을 준비하다가 뜨끈한 게 땡겨서 전자레인지에 계란찜을 만들었다. 계란찜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 체나 그릇을 씻기는 하지만 그것만 생략한다면 딱 한그릇에 다 해결되는 간단한 계란찜이라 아주 가끔 만들어먹는다. 중탕으로 하는 것보다 열에 더 직접적이기 때문에 가장자리가 과하기 익기 쉽고, 속까지 익히기 위해서 조금씩 끊어 돌려야 과하게 익는 것을 줄일 수 있는데 그 모든 단점이 중탕하지 않는다는 장점으로 무마되는 것이라 가끔 해먹을 만하다. 부드러운 계란찜 - http://www.homecuis...
    Date2014.01.03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5575 file
    Read More
  11. 참치김치볶음, 두부김치

    2014/01/02 참치김치볶음, 두부김치 두부김치는 아니고 두부+김치볶음.. 음식하기가 귀찮아서 메인 밥반찬으로 두부 굽고 참치캔 하나 뜯어서 김치 좀 넣고 얼른 볶았다. 김치1줌, 참치(150그램)1캔, 양파 반개, 마늘1스푼, 대파반대, 고춧가루 대충 0.5~1스푼, 설탕약간, 소금약간, 참기름, 깨 (밥숟가락 사용) 두부는 초당두부를 3분의2모 썼는데 손두부느낌이 나는 것이 두부부침이나 두부조림에 어울렸다. 두부김치에는 그럭저럭.. 김치볶음에 따로 기름을 넣지는 않고, 참치의 육즙이나 기름을 빼지 않고 그대로 넣었다. 취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Date2014.01.02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4746 file
    Read More
  12. 굴전, 굴밥

    2013/12/28 굴전, 굴밥 마음껏 해산물을 먹기 어려운 시기이지만 그래도 한번씩 먹어줘야 하는 때가 오니까 이번에 또 굴을 샀다.. 연구기관에서 안전하다는 결과를 발표하긴 했지만 어쨌든 개인이 선택해야 하는 문제니까 최대한 피하고 있고 해산물은 가끔씩만 먹고 있다. 굴전은 보통 굴에 계란옷만 입혀서 지져내는 경우를 말하는데 나는 굴부추전이나 굴파전을 좋아하는 편이라 부추와 파를 함께 넣었다. 굴전이 맞는 말이긴 하나 나는 그래도 굴찌짐이 더 좋더라.. 굴전 4장분량으로 200미리 계량컵을 사용했다. 밀가루(혹은 부침가루) 약 2컵,...
    Date2013.12.28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Reply0 Views4195 file
    Read More
  13. 햄야채볶음밥

    2013/12/19 햄야채볶음밥 훈제오리 남은 것이 조금 있어서 훈제오리볶음밥을 할까 하다가 햄 남은 것이 냉장고에 있어온 시간이 더 긴 것 같아서...;; 자투리채소를 대충 꺼내 볶음밥을 만들었다. 현미밥2그릇, 햄 몇장 , 양파 1개, 당근 3~4센치, 파프리카 반개, 대파1대, 굴소스, 계란2개, 쪽파, 소금 참기름 아주 약간씩 밥과 햄+채소의 양이 거의 비슷한 정도인 볶음밥을 좋아해서 그정도로 재료를 준비했다. 햄과 채소는 되도록이면 크기가 밥알과 비슷하도록 작게 깍둑썰기하고 마지막에 올릴 쪽파도 송송 썰어서 준비했다. 처음부터 끝까지 센...
    Date2013.12.19 Category밥류 By이윤정 Reply0 Views4858 file
    Read More
  14. 간단수육

    2013/12/15 간단수육 요즘 한식보다 외국음식을 부쩍 많이 올리게 되는데 요즘 보는 요리책이 외국음식책이라 그런 이유도 있고 그러다보니 한식에 아이디어가 없다. 어쨌든 그래서 요즘 우리집에서 먹는 한식은 거의 다가 블로그에 올렸던 익숙한 걸 또 해먹고 또 해먹어서 새로 올릴만 하지가 않아서 그렇다. 겨울이라 떡만둣국도 자주 먹고, 오뎅탕도 먹고, 오므라이스나 볶음밥에 김치찌개, 순두부찌개, 강된장에 늘 하는 반찬들.. 사진도 안찍기도 하고 생각 날 때만 밥먹기 전에 오늘 뭐 먹었나 정도로 찍었는데 오늘도 역시 고기를 삶으면서 ...
    Date2013.12.15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0 Views5428 file
    Read More
  15. 불고기양념, 소불고기, 돼지불고기

    2013/12/03 불고기양념, 소불고기, 돼지불고기 불고기 양념은 배나 양파를 갈아 넣는 것이 맛있는데 불고기 양념 조금 하자고 배 하나를 쪼개자니 참 애매하고 해서 배를 하나 깎으면 몽땅 갈아서 냉동해두고 조금씩 쓰거나 아예 대량으로 양념을 만들거나 하게 된다. 며칠 전에 중간크기의 배를 디저트로 깎았더니 맛이 조금 밋밋해서 이건 그냥 고기 양념을 써야겠다하며 냉장고에 넣어두고 배는 단 것으로 새로 깎아 먹었다. 그렇게 냉장고에 넣어 둔 중간 크기의 배로 불고기양념을 만들었다. 보통 양조간장은 염도가 15%정도 되고 고기에 양념하...
    Date2013.12.03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0 Views10278 file
    Read More
  16. 삼계죽, 닭죽

    2013/12/01 삼계죽, 닭죽 삼계탕과 비슷한 삼계죽. 사용한 재료는 약 2인분으로 닭 1마리, 수삼1뿌리, 엄나무, 마늘, 대파, 육수 넉넉히 (쌀의 약 7배), 찹쌀1컵반, 쪽파, 당근, 소금, 후추, 참기름, 깨, 김 닭은 약 800그램정도 되는 닭으로 2인분에 약간 적기는 한데 3900원으로 세일하고 있어서 싼걸로 골랐다. 여기에 황기, 대추 등의 삼계탕재료를 넣어도 되고, 나는 엄마께서 주셔서 집에 많이 있는 엄나무를 사용했다. 대추나 밤을 넣어도 좋고, 쌀은 찹쌀과 멥쌀을 1:1로 하기도 하고 녹두를 약간 넣으면 그것도 맛있다. 굳이 수삼을 넣지 않...
    Date2013.12.01 Category밥류 By이윤정 Reply0 Views6605 file
    Read More
  17. 탕평채, 청포묵무침

    2013/11/17 탕평채, 청포묵무침 녹두묵이 은근히 잘 발견하기가 힘든데 이마트트레이더스에서 하나 발견해서 업어왔다. 원래 탕평채는 녹두묵(청포묵)에 갖은 양념을 한 고기, 숙주, 미나리, 황백지단, 김에 초간장을 기본으로 하는데 재료를 집에 있는 걸로 바꾸어서 청포묵에 양념을 한 고기, 당근, 애호박, 오이, 맛살, 계란지단, 김, 초간장으로 만들었다. - 위는 이전에 올린 탕평채인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18161&mid=hc10 여기에서 일부 복사했다. 사용한 재료는 청포묵 500그램에 고기 양념으로 소고기 약 15...
    Date2013.11.17 By이윤정 Reply0 Views3509 file
    Read More
  18. 깻잎무침

    2013/11/16 깻잎무침 농협에서 깻잎순이 한봉투 천원이라 아무 생각 없이 사와서 집에서 풀어보니 다듬을 일이 구만리였다.. 일일이 꼭지따고 정렬해서 씻고 터는데만 한참 걸리고 보니 부피가 줄어드는 깻잎순나물을 하기가 아까워서 평소에 좋아하는 깻잎무침을 했다. 사용한 재료는 깻잎순 가득..... 양념장으로 고추, 쪽파, 고춧가루, 다진마늘, 간장, 참기름, 깨 쪽파 고추 송송 썰고 미리 다져둔 마늘에, 고춧가루를 넣은 다음 양념장이 뻑뻑한 정도가 되도록 참기름을 먼저 붓고 간장이 재료 끝에 살짝 보이는 정도로 넣었다. 간장을 먼저 넣...
    Date2013.11.16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0 Views6162 file
    Read More
  19. 잡채, 잡채만드는법

    2013/10/31 잡채, 잡채만드는법 이번에 만든 것은 약 2~3끼 반찬으로 적당한 양이다. 불고기용 소고기 약 200그램에 밑간으로 간장, 설탕, 다진마늘, 후추, 참기름 당면은 엄지와 중지로 가득 쥐어질 정도의 양, 팽이버섯 1봉투, 양파1개, 당근 반개, 3색 파프리카 반개씩, 시금치 1봉투, 대파1대, 소금, 물, 간장, 물엿, 다진마늘, 후추, 참기름을 사용했다. 대충 넣고 간을 봐가면서 만들어서 양념장의 양이 정확하지는 않는데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mid=hc10&category=212&document_srl=11824 여기에는 분량을 써두었다. 양념은...
    Date2013.10.31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Reply0 Views6706 file
    Read More
  20. 떡만둣국

    2013/10/31 떡만둣국 날이 추워지니까 당연히 떡국이 생각난다. 나는 떡국을 조금 더, 남편은 만둣국을 조금 더 좋아해서 떡과 만두를 반반씩 넣으면 나눠먹기 알맞다. 사용한 재료는 떡 약 2~3줌, 만두도 동량, 사골육수 약 900미리, 소금, 후추 고명으로 소고기 다진 것(밑간으로 간장, 설탕, 참기름, 후추 약간씩), 계란, 대파, 김을 준비했다. 사골국 - http://blog.naver.com/lesclaypool/100187091853 지난 봄에 끓인 사골국이 이제 2팩 밖에 안남았는데 아 또 사골 끓이려니까 귀찮고... 만두는 냉동실에서 꺼내서 해동해두고 떡도 씻어서 물...
    Date2013.10.31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Reply0 Views3243 file
    Read More
  21. 오므라이스, 오믈렛

    데미그라스소스 - https://homecuisine.co.kr/hc20/29624 오므라이스소스 - https://homecuisine.co.kr/hc10/54790 도 있지만 간단한 버전으로 버터 2스푼 밀가루 1스푼 양파 1개 다진마늘 1티스푼 (볶기) 400미리 토마토캔 1개 레드와인 0.5컵 (끓이기) 오꼬노미소스(돈가스소스로 대체가능)1컵 데미그라스소스 캔 1개 물 1컵 (+비프스톡 1개 추가면 더 좋음) (끓이기) 을 사용했다. 소스는 뜨거울 때 쓰면 묽고 식으면 약간 뻑뻑하다. 돈까스나 함박스테이크 등에 쓸 때에는 전자레인지에 데워도 충분한데 오므라이스소스로는 물을 약간 부어서 냄...
    Date2013.10.26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Reply0 Views5759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Next
/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