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경상도식 소고기뭇국

 

 

 

 

0.JPG

 

 

 

 

평소 국거리를 넉넉하게 사서 통째로 냉동했다가 하나씩 꺼내쓰고 있다.

떨어지면 다시 주문하고..

 

 

소고기국으로 맑은 국도 좋지만 늘 먹어온 얼큰한 소고기 뭇국이면 밥 한끼가 금방이다.

자주도 올린 얼큰한 소고기뭇국이지만 두번 더 해먹고 내용도 중복되는 것이 많지만 또 올려본다.

 

맑은 소고기 무국은 여기 -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mid=hc10&category=207&document_srl=11464

 

 

사용한 재료는

 

양지 400그램

무 작은 것 1개

황태육수 약 1~1.5리터

 

다진마늘 2스푼

고춧가루 1~2스푼 듬뿍

국간장 4스푼

 

대파 1대

숙주 200그램

 

 예전에도 자주 올린 내용인데

간은 국간장으로 물을 부은 양에 따라 조절하는데 국간장의 염도가 보통 약 25%정도 되니까

국간장의 염도가 25%라 칠 때 국물 염도를 1%정도 맞춘다면 

국을 끓여서 최종적으로 될 국물의 양 1리터당 약 국간장 42미리 (3스푼 조금 못되게)를 넣어야 산술적으로 맞다.

1%면 사람에 따라 짜다고 느낄 수 있으므로 0.7%에 맞추면 30미리(2스푼)가 필요하다.

1시간동안 서서히 국물이 졸아드니까 졸아들 양을 고려해서 물을 넉넉하게 넣고 만들면 간이 맞고,

염도를 생각했다 하더라도 입맛은 다들 다르고 육수에도 염도가 있고 간장의 염도도 다 다르니까 대략적인 양만 생각하고 마지막에는 간을 맞춰야 간이 맞다.

 

 

한우양지는 살짝 헹궈서 굽기 좋도록 겉의 물기를 닦고, 무는 나박나박 썰어서 준비했다.

소고기를 삶으면서 무는 썰고 숙주 다듬고.. 마늘, 국간장, 대파 역시 소고기를 충분히 익힌 다음 쓸거니까 천천히 준비했다.

 
 

크기변환_DSC07944.JPG     크기변환_DSC07945.JPG


 

 

 

냄비에 양지를 앞뒤로 노릇노릇하게 구워서 황태육수를 아주 넉넉하게 부은 다음 끓이기 시작했다.

 

 

 

크기변환_DSC07946.JPG     크기변환_DSC07947.JPG

 

 

 

끓기 시작하면 거품 떠오른 것은 걷어낸 다음 중불로 낮춘 다음 1시간이 조금 넘도록 푹 끓여냈다. 중간에 물이 졸아들면 물을 더 추가했다.

아래 내용은 이전 포스팅에서 복사..

국을 끓일 때에는 국에 들은 재료와 육수가 잘 어우러져야 하는데 물은 어차피 100도에서 더 올라가지 않으니 굳이 센불에 펄펄 끓도록 하지 않아도 된다.

강한 불로 재료의 변형을 줄 필요도 없고, 너무 높은 온도에서 끓이면 유화가 일어나 국물이 더 탁해진다. 끓고 있다는 것만 알 수 있을 정도로 중약불에 하면 충분하다.

특히 뚜껑을 덮은 경우에는 내부의 온도가 쉽게 떨어지지 않고 열이 내부에서 대류하기 때문에 더욱 더 높은 온도에서 끓일 필요가 없다.

덩어리의 고기로 국을 끓였다면 내부까지 익으면서 고기에서 국물이 더 배어나오기 때문에 오래 끓일수록 국물맛도 더 좋아진다.

 

 

 

소고기를 삶는 동안 무를 썰고 숙주나물도 다듬고 마늘도 다듬고 다지고 하니 1시간이 금방 지나갔다.

 

 

크기변환_DSC04204.JPG     크기변환_DSC04200.JPG


 

 

 

고기+육수에 고춧가루, 다진마늘, 국간장을 넣고 무가 푹 무르고 고춧가루가 겉돌지 않으면서 색이 잘 들고 간이 맞도록 40분정도 중약불에 끓여냈다.

 

 

크기변환_DSC07948.JPG     크기변환_DSC07949.JPG


 

 

 

 

 

무를 익히면서 중간에 고기를 건져서 만질 수 있을 정도로 식으면 얇게 썰어서 다시 국에 넣었다.

썰면서 맛을 봤는데 부들부들한 것이 맛있었다..

 
 

크기변환_DSC07951.JPG     크기변환_DSC07952.JPG

 
크기변환_DSC07953.JPG     크기변환_DSC07954.JPG

 

 

 

 

고기는 썰어서 다시 국에 넣고 무가 스푼으로 가볍게 눌러도 으깨질 정도로 익으면 마지막으로 대파와 숙주를 넣고 조금 더 끓이다가 간을 보면 완성.

 


크기변환_DSC07950.JPG     크기변환_DSC07955.JPG


크기변환_DSC07956.JPG     크기변환_DSC07957.JPG

 

 

크기변환_DSC07958.JPG     크기변환_DSC07960.JPG

 

 

 

 

중간에 봐서 국물이 모자라면 팔팔 끓는 물이나 생수를 추가하고 간을 보고 싱거우면 국간장을 조금 더 넣고 마지막에는 간을 보고 필요에 따라 소금을 약간 넣기도 하는데

4~6인분 정도 되는 양이니까 다시 끓여 먹을 것을 생각해서 약간 싱겁게 완성하는 것도 좋아한다.

 

 

 

 

국물은 간도 딱 맞고 양도 적당한 수준인데 건더기가 그득했다.

 


 

크기변환_DSC07964.JPG

 

 

 

 

 

 

0.JPG

 

 

 

 

크기변환_DSC07967.JPG

 

 

 

 


 

크기변환_DSC07969.JPG


 

 

완전 보드라운 양지에 얼큰한 국물과 잘 으깨지는 무, 숙주까지 내가 딱 좋아하는 소고기무국이었다.

 

 

남은 국은 냉장고에 넣어뒀다가 다음날 데워먹었는데 역시 데워 먹는 국이 더 맛있었다. 늘 하는 말이긴 한데;; 누가 해 준 것 같고 좋았다.....

 

 

 

크기변환_DSC07971.JPG


 

 

 

 

 

 

 

다른날 엄마께 국거리 잘게 썬 것을 받아와서 소고기를 바특하게 볶다가 무를 넣고 고춧가루, 다진 마늘과 함께 달달 볶은 다음

물을 넉넉하게 붓고 국간장을 넣고 50분정도 푹 끓여내서 만들었다.

중간에 싱겨워서 고춧가루를 조금 더 넣고 마지막에 대파만 넣어서 간단하게 끓였다.

 

 

 

크기변환_DSC05124.JPG     크기변환_DSC05125.JPG


크기변환_DSC05126.JPG     크기변환_DSC05127.JPG


크기변환_DSC05128.JPG     크기변환_DSC05135.JPG


크기변환_DSC05142.JPG

 

 

 

 

숙주가 있으면 더 좋았겠지만 없어도 고기가 좋아서 그런지 단순한 재료로도 국이 맛있었다.

 

계란말이 하나 곁들이고 밥 말아서 밥상을 차렸다.

밥을 푹푹 말아서 훌훌 잘 넘어가는, 얼큰한 소고기뭇국이었다.

 

 

 

 

 

 

 

 

  • 뽁이 2015.02.27 23:21
    크크크 저는 소고기무국은 원래 이런줄 알고 자랐는데
    서울 오니까 이게 경상도식이래요 ㅋㅋㅋ
    원래 빨간국물에 먹는거 아니냐며 !

    저희집은 무 삐져넣고 소고기는 그냥 국거리로 하는데
    처음 버전은 역시 식당 ? 용 버전 처럼 멋드러져요 ㅋㅋ
    남이 진짜로 식당처럼 끓여내주면 좋을텐데 ㅋㅋ
  • 이윤정 2015.02.28 00:44
    그쵸! 제가 맑은 국에다가 경상도 외 지역식 소고기뭇국이라고 써야 하는데ㅎㅎㅎㅎ
    원래 빨간국물 아니냐며!
    저는 통으로 쓰면 좀 대접받는 것 같아서 좋아하지만 국거리도 좋아요ㅎㅎ
    남이 한우 양지 듬뿍 써서 이렇게 끓여주면 얼마나 좋겠어요ㅎㅎ
  • cuisinier 2015.02.28 00:05
    남자친구 밥상에 올릴 국과 반찬을 고민중인데 부산출신이라 이런 국도 좋아할거같네요~ 간단하면서 맛있는 조합을 고민중인데 윤정님 메뉴 조언받을 수 있을까요 ㅎㅎ
  • 이윤정 2015.02.28 00:46
    부산 출신이시면 얼큰한 소고기 뭇국 당연히 좋아하실거에요ㅎㅎ 메뉴 조합이라.. 너무 범위가 큰데 다른 조건은 없을까요?
  • 테리 2015.03.01 13:03
    저는 서울사람인데도 이런 빨간 무국 너무 좋아해요.
    하얀것보다 확 땡기쟎아요?
    우리 엄마는 넘 싫어한다는.ㅋ
    나이가 든 어르신들은 확실히 음식관이 개방적이지는 않더라구요. 특히 한 손맛 하시는분들이 더하고.
    뭐,음식솜씨 없으신 분들은 이거나저거나 맛만 있음 좋다고 하시죠.ㅎㅎ여기서는 음. 한우국밥? 이런식으로 메뉴가 나오는 것 같아요. 소호정같은 안동 국수. 전 파는 업장들에서요~^^
  • 이윤정 2015.03.01 22:46
    역시 어른들은 드시던 음식 계속 드시는 경향이 강하시죠ㅎㅎ
    저는 맛만 좋으면 다 좋은데 요즘 사람들은 대체로 그렇지 않으려나요ㅎㅎ
    대신에 맛 없으면 ㅠㅠ
  • kimmy80 2015.03.02 03:02
    저 어제 끓여먹었는데~ 고기는 적게넣고 숙주엄청넣었더니 신랑이 숙주비린내난다고 궁시렁거리고..ㅋㅋ 제 솜씨가 워낙 좋아서ㅋㅋㅋ
    일하는 가게사장언니가 서울사람인데 흰무국만 먹어봤다길래 요거 갈쳐줬더니 넘 맛있다고 자주 해드시더라구요.
    전 항상 두번째방법으로 하는데 담엔 첫번째방법으로 해봐야겠네요.
    고기육수때매 맛이 훨 좋을것같아요~
  • 이윤정 2015.03.03 00:31
    숙주가 얼마나 금방 상해서 막 사기 불편하고 다듬기 귀찮은 채소인데 많이 넣었다고 말씀하신다니 배가 부르..시네요ㅎㅎㅎㅎ
    맑은 소고기국만 알던 사람은 이러 보고 놀라시기도 하더라고요.
    재료 똑같이 들어가면 맛이야 똑같겠지만 저는 보기에는 첫번째것이 좋더라고요ㅎㅎ 물론 시간은 더 많이 들지만요^^
  • 혜니홀릭 2015.03.02 07:20
    요거요거 맛있어요. 항상 하연 뭇국만 먹어봤었는데 부산시댁에서 요렇게 빨간 뭇국으로 해 주시더라구요. 하얀뭇국묵보다 맛있어서 요렇게 먹고 있네요. 경상도 음식이 맛이 없다하지만 은근히 맛있는것도 많은듯해요. 결혼하고 처음 먹어본 재첩국도 신세계였다는~
  • 이윤정 2015.03.03 00:32
    역시 경상도에서는 평소 먹는 뭇국은 다 이렇게 빨갛게 먹고 제사때나 맑은 탕국 먹고 그렇죠^^
    저희 아버지는 맑은 뭇국에 마지막으로 고춧가루 넣고 입맛에 맞춰 드시기도 해요ㅎㅎ
    재첩국도 윗지방에는 없나봐요! 처음 알았어요!

  1. 함박스테이크

    함박스테이크, 함박오믈렛 사진만 봐서는 그저께 올린 오므라이스랑 똑같은데... 함박스테이크는 넉넉하게 만들고 빚어서 냉동해두었다가 딱히 다음날 먹을 것 없을 느낌 쯤에 냉장실에서 해동하고 다음날 아침으로 만들면 편하고 잘 먹어서 좋다. 함박에 함박소스, 계란 반숙 후라이를 올리고 양배추 ...
    Date2015.06.25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9896
    Read More
  2. 대패삼겹살 두부찌개

    대패삼겹살 두부찌개 얼마전에 다진고기로 만든 두부찌개를 올리면서 다음에는 대패삼겹살로 해봐야겠다 싶었는데 이번에 대패삼겹살로 해보니 이 버전이 조금 더 나아서 다시 올려본다. 사용한 재료는 (계량스푼) 대패삼겹살 200그램 양념장으로 청주 1스푼 간장 1스푼 새우젓 1스푼 다진마늘 1스푼 고...
    Date2015.06.23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9660
    Read More
  3. 오므라이스

    오므라이스 석 달 전 오므라이스를 올렸었는데 사진을 보다보니 저녁으로 좋겠다 싶어서 오므라이스를 만들었다. 드레스처럼 휘감기는 오믈렛은 여전히 잘 되지 않았지만 그래도 나름대로 부드러운 오믈렛을 올렸다. 볶음밥으로 밥 2그릇 대파 2대 당근 3분의1개 마늘 몇개 베이컨 약 150그램 버터 소금...
    Date2015.06.22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16791
    Read More
  4. 돼지고기 김치찌개, 삼겹살 김치찌개

    돼지고기 김치찌개, 삼겹살 김치찌개 김치찌개의 서두로 뜬금없는 이야기지만 삼겹살을 한짝 사서 뼈를 발라내고 기름을 적당히 제거해서 바베큐로 구웠다. 조카와 언니도 오랜만에 부산에 와서 거의 매일 만나느라 업데이트가 조금 뜸한 동안 조카 먹을 음식을 하기도 하며 즐겁고 정신없이 보냈다. 조...
    Date2015.06.21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9482
    Read More
  5. 일상밥상, 2015.06.20

    블로그에서도 전에 올린 적이 있거나 너무 일상식이라서 따로따로 포스팅 할 것 까지는 없고 그냥 밀린 일기쓰듯이 줄줄 이어서 포스팅을 했는데 이번에는 꽤 오랜만에 쓰게 됐다. 특별할 것 없이 내용만 길다. 과카몰리. 만드는 방법은 여기 -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22...
    Date2015.06.20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7303
    Read More
  6. 통마늘 볶음밥, 된장찌개

    통마늘 볶음밥, 베이컨 마늘 아스파라거스 볶음밥, 된장찌개 올해 들어 햇마늘을 두번 샀는데 그 중에 하나는 마늘이 동글동글하면서도 꽤 작아서 통마늘로 볶음밥을 하면 딱 좋겠다 싶었다. 그래서 마늘에 어울리는 재료로 베이컨, 아스파라거스, 대파를 고르고 굴소스와 소금 약간으로 간을 하고 참기...
    Date2015.06.16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7956
    Read More
  7. 순대볶음

    순대볶음 하도 자주 올려서 별로 감흥없는 순대볶음... 늘 만드는 닭갈비 양념장과 고추장을 3:1로 대충 넣어서 만들었다. 순대볶음을 좋아해서 순대가 떨어지면 자주 사두는 편이라 닭갈비나 오리주물럭 등을 하고 남은 양념이 있으면 자주 해먹고 있다. 순대만 사다두면 양배추, 양파, 대파 대충 썰어...
    Date2015.06.10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6993
    Read More
  8. 오리엔탈드레싱, 차돌박이숙주볶음

    오리엔탈드레싱, 차돌박이숙주볶음 먼저 오리엔탈 드레싱. 재작년에 올린 오리엔탈드레싱과 거의 똑같다. 오리엔탈 드레싱은 늘 이렇게 만들고 있어서 다를 것은 없고(=발전없음) 구운 파프리카 양에 따라 비율을 계산해서 가감하며 만들고 있다. 기본 비네그레트 드레싱에 간장을 베이스로 더한 오리엔...
    Date2015.06.07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8153
    Read More
  9. 돼지갈비 김치찜

    돼지갈비 김치찜 김치찌개를 할까 하고 찌갯거리를 사러 갔다가 찌개나 갈비나 만드는 건 거기서 거기니까 싶어서 또 갈비를 사왔다. 신선한 고기에 잘 익은 김치만 있으면 가스불이 다 하는 돼지갈비 김치찜이라 늘 그렇듯이 평소와 다를 것도 없지만 또 올려본다. 사용한 재료는 돼지갈비 1.2키로 김...
    Date2015.06.06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10199
    Read More
  10. 부추전 만들기, 정구지찌짐

    부추전 만들기, 정구지찌짐 사용한 재료는 부침가루 약 3컵 멸치육수 약 3컵 + 되직하기 보고 추가 육수가 모자랄 때 쓸 생수 약간 부추와 쪽파 약 1단(취향에 따라) 감자 큰 것 1개 당근 반개 청양고추 약 10개 깐 홍합 약 400그램 1단이라고는 했지만 반죽의 양과 부재료의 양을 눈으로 봐가면서 만들...
    Date2015.05.29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16975
    Read More
  11. 돼지고기 두부찌개

    돼지고기 두부찌개 돼지고기에 양념을 해서 육수를 넣어 팔팔 끓이고 두부를 넣어서 칼칼하게 먹는 돼지고기 두부찌개. 남편이 학생 때 아르바이트하며 자주 주문해 먹은 찌개인데 나이먹고 다시 가보려니 어디인지 찾지를 못하겠어서 비슷한 형태로 만들었다. 그 때 먹은 것과 같이 다진고기를 볶아서 ...
    Date2015.05.21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13118
    Read More
  12. 비빔양념장, 쫄면, 비빔국수

    비빔양념장, 쫄면, 비빔국수 비빔양념장 약 10인분 사과 간 것 150그램 마늘 30그램 간장 30그램 물엿+매실액 200그램 식초 90그램 고운고춧가루 90그램 고추장 90그램 참기름 30그램 통깨 적당히 그렇게 맛있는 양념장은 아니고 평범한 비빔양념장인데 이렇게 만든 양념장에 그때 그때 무슨 음식을 만...
    Date2015.05.20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Views13480
    Read More
  13. 오리소금구이

    오리소금구이, 소금구이양념, 오리 소금구이 만드는 법 평소에 조미료를 따로 쓸 일은 없지만 사먹는 것과 비슷한 맛을 내려면 조미료가 있어야 한다. 조미료 없이 먹는 것도 건강한 식생활이지만 좋은 재료에 적당한 조미료라면 그것 역시 건강하게 먹는 것의 일종이라 생각한다. 소금구이를 하려고 집...
    Date2015.05.17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8720
    Read More
  14. 닭강정

    닭강정, 후라이드 치킨 만들기 닭강정이라고 생각하고 만들어서 제목이 닭강정이긴 한데 소스는 닭강정이고 튀김은 그냥 후라이드 치킨이었다. 치킨은 여러번 만들어봤는데 이번에도 마음에 100% 들지는 않았지만 그 중에는 이번이 가장 나았다. 이번에 만든 것을 베이스로 조금 더 개선해나가면 좋겠다...
    Date2015.05.15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9702
    Read More
  15. 충무김밥

    충무김밥, 오징어무침, 오뎅무침, 무김치 전에 올린 충무김밥과 거의 비슷한 충무김밥. 사용한 재료는 먼저 무침 양념으로(계량스푼 사용) 홍고추 간 것3개 고춧가루 9스푼 멸치액젓 3스푼 다진대파 3스푼 다진마늘 3스푼 설탕 3스푼 간장 1.5스푼 (이 양념으로 무 1개를 섞박지로 만들고 남은 양념으로...
    Date2015.05.14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7119
    Read More
  16. 닭야채철판볶음밥

    닭야채철판볶음밥 늘 만드는 똑같은 닭갈비 양념으로 또 닭야채철판볶음밥 이미 몇번이나 올린 양념장은 이전 내용을 복사했다. 양념장에 사용한 재료는 그램 단위로 간장 85, 청주 15, 양파 70, 대파 30, 마늘 30, 생강 5 을 블렌더나 믹서로 갈고 여기에 고운 고춧가루 60, 설탕 70, 카레가루 10, 미...
    Date2015.05.14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34195
    Read More
  17. 김치말이국수, 냉국수

    김치말이국수 멸치육수에 김치국물과 식초로 맛을 맞춘 육수에 김치볶음, 오뎅, 계란지단, 오이, 단무지를 고명으로 올리고 양념장과 김을 얹어서 김치말이국수를 만들었다. 일일이 채써는 게 약간 귀찮긴 한데 날이 약간 더워지면 차가운 국수가 먼저 생각난다. 사용한 재료는 국수 넉넉하게 2인분 멸...
    Date2015.05.05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Views12592
    Read More
  18. 소갈비찜, 갈비찜 만드는 법

    소갈비찜, 갈비찜 만드는 법 갈비찜은 보통 뼈가 있는 갈비로 만드는데 갈빗살로 하면 핏물을 빼지 않고 핏물만 닦아내고 만들면 되고, 먹기도 편하지 싶어서 갈빗살로 만들었다. 밤은 깐밤을 살까 하다가 깐밤이 비싸길래 맛밤을 한봉투 사서 사용했다. 평소에는 갈비를 한 번 구워서 만들었는데 이번...
    Date2015.05.04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14396
    Read More
  19. 등갈비강정

    등갈비강정 사용한 재료는 등갈비 약 800그램 삶을 때 쓸 채소로 대파, 마늘, 후추, 월계수잎 튀김기름, 감자전분 소스로 양파 4분의1개 물 3스푼 간장 3스푼 물엿 1스푼 조청 1스푼 설탕 2스푼(간보고 가감) 케찹 1스푼 케이준 시즈닝 0.5스푼 케이옌페퍼 1티스푼 마늘 파우더 1티스푼 생강파우더 약간...
    Date2015.04.30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6877
    Read More
  20. 밀떡볶이, 김말이튀김, 고추튀김, 야채튀김

    밀떡볶이, 김말이튀김, 고추튀김, 야채튀김 김말이가 먹고 싶다고 해서 그러지 뭐 하고 떡볶이에 튀김을 또 만들었다. 귀찮... 다른 지역에서는 김말이에 당면을 넣던데 내가 나고 자란 곳에는 간단한 단무지김밥을 얇게 말아서 김말이를 만든다. 김밥튀김이라고도 하더라. 보통 이야기하는 김말이와는 ...
    Date2015.04.25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2643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