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국 찌개
2014.04.02 00:39

소고기미역국

조회 수 3795 추천 수 0 댓글 1

 

 

 

2014/04/02

남편 생일이라 소고기미역국.

 

 

 

0.JPG

 

 

 

친정에 갔다가 밤늦은 시간에 코스트코에서 고기를 사야겠다며 피곤한데도 무리해서 코스트코로 갔다가 소고기양지, 돼지고기안심, 버섯등 채소를 좀 사왔다.

미역국 안먹어도 된다며 갈 필요까지 없다고 하는 걸 그럼 나도 내생일에 안먹겠다 한다며 으름장을 놨더니 바로 가잔다.

꼭 생일에 뭐 안하겠다며 하지말자며 필요없다는데 하면 맛있게 먹으면서 말이 많....

생일이라고 미역국 먹으라는 법은 없지만 미역을 푹 삶아 부드러운 미역국에 간단하게 반찬해서 생일밥 먹으면 그게 생일같고 그런거지..

 

 

 

 

 

사용한 재료는 약 4~6인분으로

소고기 양지 국거리 300그램, 미역 30그램, 다진마늘 1스푼, 국간장 3스푼(+간보고 조금 더), 참기름


 

 예전에도 자주 올린 내용인데

간은 국간장으로 물을 부은 양에 따라 조절하는데 국간장의 염도가 보통 약 25%정도 되니까

국간장의 염도가 25%라 칠 때 국물 염도를 1%정도 맞춘다면 

국을 끓여서 최종적으로 될 국물의 양 1리터당 약 국간장 42미리 (3스푼 조금 못되게)를 넣어야 산술적으로 맞다.

1%면 사람에 따라 짜다고 느낄 수 있으므로 0.7%에 맞추면 30미리(2스푼)가 필요하다.

1시간동안 서서히 국물이 졸아드니까 졸아들 양을 고려해서 물을 넉넉하게 넣고 만들면 간이 맞고,

염도를 생각했다 하더라도 입맛은 다들 다르고 육수에도 염도가 있고 간장의 염도도 다 다르니까 대략적인 양만 생각하고 마지막에는 간을 맞춰야 간이 맞다.

 

 

 

미역은 약 30분간 불려서 살짝 주물러서 짓이기지지 않게 씻고 물기를 뺀 다음 줄기를 제거했다.

줄기는 제거하지 않아도 전혀 상관없지만 부드러운 국에 오독오독한 질감을 즐기지 않아서 이런 번거로움을 자처했다.

 


크기변환_DSC08275.JPG     크기변환_DSC08278.JPG


크기변환_DSC08279.JPG     크기변환_DSC08280.JPG


 

앞뒤로 노릇노릇하게 구워낸 양지에서 좋은 냄새가 나기 시작했다.

바닥에 붙은 구운 고기의 노릇노릇한 것들에 미역을 넣으면 좋은 맛성분이 국물에 녹아든다.

미역이 물기가 없어지고 이제 미역을 볶고 있다는 느낌이 들도록 마르게 바짝 달달달달 볶으면 미역도 보드랍게 되고 국물의 맛과 향이 좋아진다.

 

 


크기변환_DSC08281.JPG     크기변환_DSC08282.JPG


크기변환_DSC08283.JPG     크기변환_DSC08284.JPG

 

 

 

여기에 물 붓고 간을 한 다음 약불로 1시간이 조금 더 넘도록 푹 끓여내었다.

 

국을 끓일 때에는 국에 들은 재료와 육수가 잘 어우러져야 하는데 물은 어차피 100도에서 더 올라가지 않으니 굳이 센불에 펄펄 끓도록 하지 않아도 된다.

강한 불로 재료의 변형을 줄 필요도 없고, 너무 높은 온도에서 끓이면 유화가 일어나 국물이 더 탁해진다. 끓고 있다는 것만 알 수 있을 정도로 중약불에 하면 충분하다.

특히 뚜껑을 덮은 경우에는 내부의 온도가 쉽게 떨어지지 않고 열이 내부에서 대류하기 때문에 더욱 더 높은 온도에서 끓일 필요가 없다.

덩어리의 고기로 국을 끓였다면 내부까지 익으면서 고기에서 국물이 더 배어나오기 때문에 오래 끓일수록 국물맛도 더 좋아진다.

 

마지막에 간을 봐서 소금을 약간 넣거나 끓는 물을 추가하고 한번 훌훌 더 끓여내고 불을 끈 다음

고기를 건져서 살짝 식히고 썰어서 고명으로 올릴 것만 빼고 다시 국에 넣었다.

 

 



크기변환_DSC08298.JPG     크기변환_DSC08300.JPG


크기변환_DSC08310.JPG     크기변환_DSC08315.JPG


 

 

미역국은 평소에 먹고 싶은 날 전날 밤에 만들어 두고 다음날 아침에 생수를 조금 부어서 끓여내면 미역이 더 보드랍고 맛있었다.

  

 

 



크기변환_DSC08320.JPG


 

 

 

 

 

크기변환_DSC08321.JPG

 

 

 

 


 

크기변환_DSC08322.JPG

 

 

 

 


 

크기변환_DSC08323.JPG

 

 

 

 


 

크기변환_DSC08324.JPG


 

 

미역국에 잡채나 불고기 등 메인 음식을 해야 생일상 답기는 한데 며칠 전에 잡채도 며칠 전에 먹었고,

미역국에도 고기가 있으니까 반찬으로 참치전과 오이무침을 후딱 만들었다.

여기에 연두부에 양념장 곁들이고 김치 꺼내서 생일 점심 밥상을 차렸다.

 

 

한우 양지가 질이 좋아서 국물도 구수하고 1시간동안 푹 끓여내서 진한 갈색을 내는 미역이 보들보들한 것이 부들부들 술술 넘어갔다.

보통 국거리처럼 고기를 썰어서 먹는 것도 좋지만 양지를 덩어리째로 구워서 맛을 돋운 다음 그대로 푹 끓여낸 것도 좋았다.

덩어리째 끓인 고기를 썰어내어서 미역국에 올리니 대접받는 느낌도 있고 보기도 좋으면서 먹는 맛도 괜찮았다.

원래부터도 부드럽게 푹 끓여낸 미역국을 좋아하는데 여기에 밥을 말아서 후르륵 먹으니 한그릇이 뚝딱 없어졌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39 반찬 고추참치 만들기 6 file 이윤정 2016.10.21 13187
1038 밥류 고추참치김밥, 김밥튀김, 떡볶이 4 file 이윤정 2017.09.03 31352
1037 한접시, 일품 고추튀김 2 file 이윤정 2022.10.07 2126
1036 한접시, 일품 고추튀김, 깻잎튀김, 떡볶이 8 file 이윤정 2015.04.01 6050
1035 한그릇, 면 곤약냉채 14 file 이윤정 2019.07.12 3494
1034 한그릇, 면 골뱅이무침 만들기, 비빔양념 2 file 이윤정 2015.08.09 7568
1033 일상 골뱅이무침+소면, 비빔칼국수, 쫄면, 비빔만두 4 file 이윤정 2018.08.08 4629
1032 전골 탕 곱창 두부두루치기, 레시피 4 file 이윤정 2020.02.16 2721
1031 전골 탕 곱창전골 레시피 4 file 이윤정 2020.11.24 7074
1030 전골 탕 곱창전골 만들기, 레시피 11 file 이윤정 2018.11.26 36563
1029 김치, 장아찌, 무침 과일무로 쌈무 만들기, 만드는법 6 file 이윤정 2017.02.16 20566
1028 밥류 교동김밥과 비슷하게 불고기 계란김밥 6 file 이윤정 2016.11.05 10076
1027 김치, 장아찌, 무침 구운 아스파라거스 장아찌 2 file 이윤정 2020.05.15 3939
1026 한접시, 일품 국물떡볶이 만드는법 3 file 이윤정 2014.12.16 9734
1025 한접시, 일품 국물없는 닭도리탕, 매콤한 닭봉조림 4 file 이윤정 2017.02.11 10773
1024 국 찌개 굴국, 굴국밥 4 file 이윤정 2019.01.02 3526
1023 국 찌개 굴국, 굴국밥 만드는법 3 file 이윤정 2014.11.13 10849
1022 국 찌개 굴미역국 4 file 이윤정 2015.12.13 5725
1021 밥류 굴밥 , 전기밥솥 굴밥 만드는 법 file 이윤정 2014.12.10 16994
1020 밥류 굴밥 만드는법, 양념장 4 file 이윤정 2016.12.19 12736
1019 한그릇, 면 굴수제비, 레시피 (시판소스 사용) 6 file 이윤정 2019.12.21 26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5 Next
/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