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2014/04/14

소고기무국, 얼큰한 경상도식 소고기무국

 

 

 

크기변환_DSC08484.JPG

 

 

 

 

얼큰한 소고기뭇국은 벌써 4~5번째 올리는 것 같은데 그냥 먹고 싶을 때 만들어 먹는 국이라 소고기만 사면 편하게 만들어 먹기 좋다.

  

미역국 한다고 사 둔 한우양지는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랩에 싸고(진공포장도 좋은데 우리집 진공포장기가 진공이 잘 풀려서 랩에 싸는게 차라리 더 나았다..)

빛이 통하지 않도록 은박호일에 싸서 냉장고에서 온도변화가 적은 곳에 보관해뒀다가 소고기무국을 만들었다. 원래는 소고기뭇국이 맞는 말인데 무국이 더 편해서..

 

이렇게 포장한 고기는 내가 보관하기로는 10일정도 괜찮았고,

진공포장기를 사용하고 빈틈없이 진공 풀림 없이 아주 잘 되었으면 2주까지도 괜찮았는데 각기 상황에 따라 다르니 경험적으로 그렇다는 이야기다.

이번에 한우암소양지를 사니 국에 정말 맛있어서 지나가다 마트에서 사던 사태나 국거리보다 비싸긴 하지만 역시 가치가 있긴 했다.

 

 

 

 

사용한 재료는 4~6인분으로 국밥으로 먹기에는 4인분 정도 될 것 같고 반찬 있는 밥상에 국으로 먹으면 6인분 정도 될 것 같다.  

소고기 양지 약 400그램, 다시마 약 10센치, 무 반개, 다진 마늘 듬뿍 1스푼, 고운 고춧가루 듬뿍 1스푼(취향에 따라 가감), 국간장, 대파 이다.

 

국간장은 간을 보고 3~4스푼 정도 사용했고 대파는 약 2대정도 듬뿍듬뿍 넣었다.

마지막에 숙주도 한줌 넣고 한소끔 끓여내면 좋은데 국을 하려고 하는 날과 숙주를 사러 가는 것이 시간이 좀 맞지 않아서 패스..

딱 7가지 재료로 속까지 뜨끈하고 언제나 좋아하는 얼큰한 소고기뭇국이 완성되니까 재료도 준비하기 편하고 맛있고 뭐 다 좋다.

 

 

 

한우양지는 살짝 헹궈서 굽기 좋도록 겉의 물기를 닦고 무는 나박나박 썰어서 준비했다.

 


크기변환_DSC18502.JPG     크기변환_DSC18504.JPG


 

 

 

 

냄비에 양지를 앞뒤로 노릇노릇하게 구워서 찬물을 아주 넉넉하게 부은 다음 다시마와 대파를 넣고 끓이기 시작했다.

 


크기변환_DSC18507.JPG     크기변환_DSC18508.JPG


 

 

끓기 시작하면 다시마를 빼고 거품 떠오른 것은 걷어낸 다음 중불로 낮춘 다음 1시간동안 푹 끓여냈다.

 

아래 내용은 이전 포스팅에서 복사..

국을 끓일 때에는 국에 들은 재료와 육수가 잘 어우러져야 하는데 물은 어차피 100도에서 더 올라가지 않으니 굳이 센불에 펄펄 끓도록 하지 않아도 된다.

강한 불로 재료의 변형을 줄 필요도 없고, 너무 높은 온도에서 끓이면 유화가 일어나 국물이 더 탁해진다. 끓고 있다는 것만 알 수 있을 정도로 중약불에 하면 충분하다.

특히 뚜껑을 덮은 경우에는 내부의 온도가 쉽게 떨어지지 않고 열이 내부에서 대류하기 때문에 더욱 더 높은 온도에서 끓일 필요가 없다.

덩어리의 고기로 국을 끓였다면 내부까지 익으면서 고기에서 국물이 더 배어나오기 때문에 오래 끓일수록 국물맛도 더 좋아진다.

 

 

1시간동안 끓이는 도중에 무를 나박나박하게 썰었다.
 

크기변환_DSC18509.JPG


크기변환_DSC18510.JPG     크기변환_DSC18515.JPG

 

 

 

 

고기는 건져서 살짝 식히고 먹기 좋게 썰면서 

 

 

육수에 나박나박하게 썬 무와 고운 고춧가루, 다진마늘, 국간장을 넣고 무가 푹 무르고 고춧가루가 겉돌지 않으면서 색이 잘 들고 간이 맞도록 40분정도 중약불에 끓여냈다.

 


 

크기변환_DSC18511.JPG     크기변환_DSC18512.JPG


크기변환_DSC18513.JPG     크기변환_DSC18514.JPG


 

 

 

고기는 썰어서 바로 국에 넣고 전체적으로 한그릇의 국이라는 느낌이 들도록 끓여내고 마지막으로 대파를 넣고(도마에 보이는 것의 2배) 조금 더 끓이다가 간을 보면 완성.


크기변환_DSC18518.JPG     크기변환_DSC18519.JPG


크기변환_DSC18520.JPG     크기변환_DSC18522.JPG

 

 

 

 

 

중간에 봐서 국물이 모자라면 팔팔 끓는 물이나 생수를 추가하고 간을 보고 싱거우면 국간장을 조금 더 넣고 마지막에는 필요에 따라 소금을 약간 넣기도 하는데

4~6인분 정도 되는 양이니까 다시 끓여 먹을 것을 생각해서 차라리 조금 싱겁게 완성하는 것도 좋아한다.

 


 

크기변환_DSC18523.JPG     크기변환_DSC18560.JPG

 

 

 

 

먹고 남은 국은 냉장고에 보관할거라 미리 덜어서 작은 냄비에 옮겨 담고 대접에 국을 담아 소고기국밥으로 먹었다.


 


크기변환_DSC18561.JPG

 

 

 크기변환_DSC08484.JPG

 

 

크기변환_DSC18565.JPG


 

 

국물맛을 진하게 내다보니까 건더기가 엄청 많은 국이 되었다.

진한 고깃국에 고기가 얼마나 많이 필요한지 새삼 깨달았다.

 

무가 아직 좀 달아서 국에 단맛이 나서 물을 좀 더 붓자니 국물맛이 연해질 것 같고 해서 조금 달아도 그냥 먹었다.

무가 달면 국물이 달아지니 아무리 맛있는 무라도 해보기 전엔 알기 어렵고 게다가 생무를 안좋아해서 여태 그냥 넣었는데

이번에는 국물이 살짝 단 걸 보니 다음에는 예측이 되든 아니든 무의 단 맛을 보고 조절해서 넣어야겠다.

그 외에 나머지는 흠잡을 것 없이 맛있었다. 늘 먹는 고깃국보다 좀 더 진하고 얼큰하면서 속이 풀리는 맛. 고기랑 무가 듬뿍이어서 먹을 것이 많았다.

 


냉장고에 넣어 뒀다가 다음날 물을 조금 더 붓고 데워서 먹으니 누가 해준 것 같이 편하게 먹을 수 있어서 더 맛있었다.

맛이야 똑같겠지만 힘 안들이고 먹으면 더 맛있고 막 그렇다ㅎㅎ

 

 

 

 
크기변환_DSC08611.JPG

 

 

살짝만 눌러도 부드럽게 부서지는 무에 보드랍게 잘 익은 고기와 얼큰하면서도 입맞에 딱 맞는 국물이 언제 먹어도 마냥 좋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 한접시, 일품 닭냉채, 냉채소스, 겨자소스 2014/06/14 닭냉채, 냉채소스, 겨자소스 사용한 재료는 약 3~4인분으로 양장피 약 60그램 (둥근 양장피 약 2장반), 닭고기 다리살 약 4개 겨자소스로 계량스푼으... file 이윤정 2014.06.14 16668
143 한접시, 일품 오리주물럭, 오리주물럭양념, 오리불고기 2014/06/02 오리주물럭, 오리주물럭양념, 오리불고기 오리주물럭 양념은 전에 올린 닭갈비양념이나 닭야채볶음밥 양념과 똑같다. 양념장이 만능은 아니라도 균형... file 이윤정 2014.06.02 20415
142 고기 매콤한 등갈비찜 2014/05/29 매콤한 등갈비찜 마트에 마감세일 하는 등갈비를 살까 말가 고민하면서 뭘하지 생각했다. 바베큐폭립을 만들고 싶었는데 마트에서 립을 한대씩 잘라서... file 이윤정 2014.05.29 4628
141 고기 갈비구이 덮밥, 갈비구이양념 2014/05/27 갈비구이 덮밥, 갈비구이양념 정확하게 갈비는 아니고 갈비덧살(립캡)을 사용했다. 갈비살보다는 싸면서 갈비보다는 조금 기름기가 적지만 어느정도 ... file 이윤정 2014.05.27 5031
140 반찬 돼지고기 메추리알 장조림 2014/05/26 돼지고기 메추리알 장조림 메추리알을 사와서 뭐 어쩔지는 모르겠고 시간 날 때 삶아서 껍질이나 까자며 2판을 삶아서 껍질을 깠다. 껍질을 까면서 이... file 이윤정 2014.05.26 4918
139 국 찌개 모시조개 미역국, 조개미역국 사용한 재료는 모시조개 2키로, 생수, 미역 40그램, 참기름 모시조개 2키로를 사서 미역국을 할까 하고 데쳐냈다. 국산 흑모시조개라 보통 바지락보다 거의 2배는... file 이윤정 2014.05.20 9636
138 일상 유부밥, 유부초밥용 유부로 유부비빔밥 2014/05/17 유부밥, 유부초밥용 유부로 유부비빔밥 블로그에 따로 올린 적은 없지만 점심에 밥하기 귀찮을 때 자주 해먹는 유부초밥..도 아니고 유부초밥 싸기 귀... file 이윤정 2014.05.17 7855
137 일상 밀조개찜, 밀조개봉골레, 밀조개 된장찌개, 밀조개 오징어 부추전 2014/05/09 밀조개찜, 밀조개봉골레, 밀조개 된장찌개, 밀조개 오징어 부추전 갈미조개 명주조개 밀조개 2키로를 인터넷으로 사서 받아보니 조개들이 약간 기절해... file 이윤정 2014.05.09 5197
136 반찬 완자전, 소고기 동그랑땡 2014/05/08 완자전, 소고기 동그랑땡 엄마께서 주신 불고기용 고기로 뭐 딱히 할 것이 생각나지 않아서 칼로 다져서 완자를 만들었다. 이렇게 다져 두면 완자 외... file 이윤정 2014.05.08 9608
135 반찬 벤댕이조림 2014/05/02 벤댕이조림 벤댕이를 산 건 아니고 다른 것 사면서 덤으로 주셔서 받아왔다. 어릴때부터 엄마께서 해 주신 '생선 찌진 거'를 참 좋아해서 특별할 것 ... file 이윤정 2014.05.02 4525
134 밥류 꽃게 찌기, 게장볶음밥 요즘 활암꽃게가 살과 알이 그득하게 찬 계절이라 그냥 쪄서 먹기만 해도 아주 맛있는 철인데 가격이 좀 비싸다.. 어릴 때 엄마께서 해 주던 꽃게찜에는 꽃게를 ... file 이윤정 2014.05.01 7271
133 고기 소갈비찜, 갈비찜 만드는 법 2014/04/16 소갈비찜, 갈비찜 만드는 법, 명절음식 부산에서 나고 자란데다가 어머니께서도 동래토박이라 친정에서는 명절에 해산물은 즐겨 했어도 육고기는 그렇... file 이윤정 2014.04.16 9468
132 한그릇, 면 멸치육수로 감자수제비 2014/04/15 멸치육수로 감자수제비 생면파스타를 만든다고 제면기를 꺼내서 실패도 해보고 성공도 하면서 제면기를 꺼내놨으니 수제비도 한끼 만들자 싶어서 수제... file 이윤정 2014.04.15 8417
» 국 찌개 소고기무국, 얼큰한 경상도식 소고기무국 2014/04/14 소고기무국, 얼큰한 경상도식 소고기무국 얼큰한 소고기뭇국은 벌써 4~5번째 올리는 것 같은데 그냥 먹고 싶을 때 만들어 먹는 국이라 소고기만 사면 ... file 이윤정 2014.04.14 10196
130 비빔칼국수 2014/04/06 비빔칼국수 사용한 재료는 칼국수면 2인분, 양배추, 당근, 레터스, 삶은계란, 김가루, 비빔국수양념장 양념장은 예전에 쓴 내용을 복사해왔다. 비빔양... file 이윤정 2014.04.06 3008
129 밥류 봉구스 밥버거 비슷하게 만든 밥버거, 주먹밥 2014/04/06 봉구스 밥버거 비슷하게 만든 밥버거, 주먹밥 봉구스 밥버거는 가 본 적은 없는데 며칠 전에 친구가 준 밥버거를 하나 먹고 간단하게 먹기 괜찮네 하... file 이윤정 2014.04.06 5951
128 고기 등갈비김치찜 2014/04/05 등갈비김치찜 만들기 4짝짜리 등갈비 1팩을 사서 먼저 뭘할까 하다가 등갈비김치찜을 만들었다. 사용한 재료는 육수재료로, 넉넉한 물에 멸치 한줌, ... file 이윤정 2014.04.05 3802
127 반찬 참치전 2014/04/03 간단한 반찬인 참치전. 미역국와 오이무침을 함께 만들어서 밥상을 차렸다. 참치전에는 깻잎을 넣은 것을 조금 더 좋아하긴 하는데 깻잎이 없어서 집... file 이윤정 2014.04.03 3725
126 국 찌개 소고기미역국 2014/04/02 남편 생일이라 소고기미역국. 친정에 갔다가 밤늦은 시간에 코스트코에서 고기를 사야겠다며 피곤한데도 무리해서 코스트코로 갔다가 소고기양지, 돼... 1 file 이윤정 2014.04.02 4744
125 김치비빔국수 2014/03/30 김치비빔국수 소면 삶아서 비빔국수나 해먹어야지 생각하고 고명을 뭘로 할까 고민하다가 김치무침, 절인오이, 적양파, 버터레터스, 계란지단정도면 ... file 이윤정 2014.03.30 3342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