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2014/04/14

소고기무국, 얼큰한 경상도식 소고기무국

 

 

 

크기변환_DSC08484.JPG

 

 

 

 

얼큰한 소고기뭇국은 벌써 4~5번째 올리는 것 같은데 그냥 먹고 싶을 때 만들어 먹는 국이라 소고기만 사면 편하게 만들어 먹기 좋다.

  

미역국 한다고 사 둔 한우양지는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랩에 싸고(진공포장도 좋은데 우리집 진공포장기가 진공이 잘 풀려서 랩에 싸는게 차라리 더 나았다..)

빛이 통하지 않도록 은박호일에 싸서 냉장고에서 온도변화가 적은 곳에 보관해뒀다가 소고기무국을 만들었다. 원래는 소고기뭇국이 맞는 말인데 무국이 더 편해서..

 

이렇게 포장한 고기는 내가 보관하기로는 10일정도 괜찮았고,

진공포장기를 사용하고 빈틈없이 진공 풀림 없이 아주 잘 되었으면 2주까지도 괜찮았는데 각기 상황에 따라 다르니 경험적으로 그렇다는 이야기다.

이번에 한우암소양지를 사니 국에 정말 맛있어서 지나가다 마트에서 사던 사태나 국거리보다 비싸긴 하지만 역시 가치가 있긴 했다.

 

 

 

 

사용한 재료는 4~6인분으로 국밥으로 먹기에는 4인분 정도 될 것 같고 반찬 있는 밥상에 국으로 먹으면 6인분 정도 될 것 같다.  

소고기 양지 약 400그램, 다시마 약 10센치, 무 반개, 다진 마늘 듬뿍 1스푼, 고운 고춧가루 듬뿍 1스푼(취향에 따라 가감), 국간장, 대파 이다.

 

국간장은 간을 보고 3~4스푼 정도 사용했고 대파는 약 2대정도 듬뿍듬뿍 넣었다.

마지막에 숙주도 한줌 넣고 한소끔 끓여내면 좋은데 국을 하려고 하는 날과 숙주를 사러 가는 것이 시간이 좀 맞지 않아서 패스..

딱 7가지 재료로 속까지 뜨끈하고 언제나 좋아하는 얼큰한 소고기뭇국이 완성되니까 재료도 준비하기 편하고 맛있고 뭐 다 좋다.

 

 

 

한우양지는 살짝 헹궈서 굽기 좋도록 겉의 물기를 닦고 무는 나박나박 썰어서 준비했다.

 


크기변환_DSC18502.JPG     크기변환_DSC18504.JPG


 

 

 

 

냄비에 양지를 앞뒤로 노릇노릇하게 구워서 찬물을 아주 넉넉하게 부은 다음 다시마와 대파를 넣고 끓이기 시작했다.

 


크기변환_DSC18507.JPG     크기변환_DSC18508.JPG


 

 

끓기 시작하면 다시마를 빼고 거품 떠오른 것은 걷어낸 다음 중불로 낮춘 다음 1시간동안 푹 끓여냈다.

 

아래 내용은 이전 포스팅에서 복사..

국을 끓일 때에는 국에 들은 재료와 육수가 잘 어우러져야 하는데 물은 어차피 100도에서 더 올라가지 않으니 굳이 센불에 펄펄 끓도록 하지 않아도 된다.

강한 불로 재료의 변형을 줄 필요도 없고, 너무 높은 온도에서 끓이면 유화가 일어나 국물이 더 탁해진다. 끓고 있다는 것만 알 수 있을 정도로 중약불에 하면 충분하다.

특히 뚜껑을 덮은 경우에는 내부의 온도가 쉽게 떨어지지 않고 열이 내부에서 대류하기 때문에 더욱 더 높은 온도에서 끓일 필요가 없다.

덩어리의 고기로 국을 끓였다면 내부까지 익으면서 고기에서 국물이 더 배어나오기 때문에 오래 끓일수록 국물맛도 더 좋아진다.

 

 

1시간동안 끓이는 도중에 무를 나박나박하게 썰었다.
 

크기변환_DSC18509.JPG


크기변환_DSC18510.JPG     크기변환_DSC18515.JPG

 

 

 

 

고기는 건져서 살짝 식히고 먹기 좋게 썰면서 

 

 

육수에 나박나박하게 썬 무와 고운 고춧가루, 다진마늘, 국간장을 넣고 무가 푹 무르고 고춧가루가 겉돌지 않으면서 색이 잘 들고 간이 맞도록 40분정도 중약불에 끓여냈다.

 


 

크기변환_DSC18511.JPG     크기변환_DSC18512.JPG


크기변환_DSC18513.JPG     크기변환_DSC18514.JPG


 

 

 

고기는 썰어서 바로 국에 넣고 전체적으로 한그릇의 국이라는 느낌이 들도록 끓여내고 마지막으로 대파를 넣고(도마에 보이는 것의 2배) 조금 더 끓이다가 간을 보면 완성.


크기변환_DSC18518.JPG     크기변환_DSC18519.JPG


크기변환_DSC18520.JPG     크기변환_DSC18522.JPG

 

 

 

 

 

중간에 봐서 국물이 모자라면 팔팔 끓는 물이나 생수를 추가하고 간을 보고 싱거우면 국간장을 조금 더 넣고 마지막에는 필요에 따라 소금을 약간 넣기도 하는데

4~6인분 정도 되는 양이니까 다시 끓여 먹을 것을 생각해서 차라리 조금 싱겁게 완성하는 것도 좋아한다.

 


 

크기변환_DSC18523.JPG     크기변환_DSC18560.JPG

 

 

 

 

먹고 남은 국은 냉장고에 보관할거라 미리 덜어서 작은 냄비에 옮겨 담고 대접에 국을 담아 소고기국밥으로 먹었다.


 


크기변환_DSC18561.JPG

 

 

 크기변환_DSC08484.JPG

 

 

크기변환_DSC18565.JPG


 

 

국물맛을 진하게 내다보니까 건더기가 엄청 많은 국이 되었다.

진한 고깃국에 고기가 얼마나 많이 필요한지 새삼 깨달았다.

 

무가 아직 좀 달아서 국에 단맛이 나서 물을 좀 더 붓자니 국물맛이 연해질 것 같고 해서 조금 달아도 그냥 먹었다.

무가 달면 국물이 달아지니 아무리 맛있는 무라도 해보기 전엔 알기 어렵고 게다가 생무를 안좋아해서 여태 그냥 넣었는데

이번에는 국물이 살짝 단 걸 보니 다음에는 예측이 되든 아니든 무의 단 맛을 보고 조절해서 넣어야겠다.

그 외에 나머지는 흠잡을 것 없이 맛있었다. 늘 먹는 고깃국보다 좀 더 진하고 얼큰하면서 속이 풀리는 맛. 고기랑 무가 듬뿍이어서 먹을 것이 많았다.

 


냉장고에 넣어 뒀다가 다음날 물을 조금 더 붓고 데워서 먹으니 누가 해준 것 같이 편하게 먹을 수 있어서 더 맛있었다.

맛이야 똑같겠지만 힘 안들이고 먹으면 더 맛있고 막 그렇다ㅎㅎ

 

 

 

 
크기변환_DSC08611.JPG

 

 

살짝만 눌러도 부드럽게 부서지는 무에 보드랍게 잘 익은 고기와 얼큰하면서도 입맞에 딱 맞는 국물이 언제 먹어도 마냥 좋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4 반찬 갑오징어 양념구이, 오징어두루치기, 갑오징어요리, 오징어볶음 얼마전 갑오징어를 7키로..를 주문해서 내장, 뼈, 껍질을 손질하고 깨끗하게 씻고 물기를 빼니 3.5키로 정도 됐다. 이것을 소분포장해서 냉동해 두었던 것을 해동... file 이윤정 2014.10.20 12584
183 반찬 잡채, 기본 잡채만드는법 2014/10/17 잡채, 기본 잡채만드는법 잡채도 진짜 여러번 올렸는데 중복의 중복임에도 며칠 전 또 만들어서 또 올려본다. 남편이 잡채를 좋아해서 할때마다 잘 먹... file 이윤정 2014.10.17 10380
182 한접시, 일품 떡볶이 만드는 법, 길거리 떡볶이 만드는법 제목은 낚시고... 평소 만드는 대로 만들어 온 떡볶이. 고운 고춧가루와 고추장을 2:1로 넣고 설탕으로 달달함을 조절한 매콤달콤한 떡볶이 소스에 데친 오뎅과 ... file 이윤정 2014.10.13 18756
181 반찬 참치샐러드 2014/10/12 참치샐러드 밥반찬으로 간단하게 만들었다. 사용한 재료는 참치 150그램 1캔, 오이피클 2개, 케이퍼 1티스푼, 양배추 1줌, 양상추 1줌, 양파 반개 곱... file 이윤정 2014.10.12 5356
180 국 찌개 얼큰한 소고기무국 2014/10/12 얼큰한 소고기무국 철마에 소고기가 맛있다고 하여 먹으러 갔다가 가게를 나서면서 한우 암소 양지와 스지, 불고기를 사왔다. 엄마 말씀으로는 경주에... 5 file 이윤정 2014.10.12 4083
179 반찬 고갈비, 고갈비양념 2014/09/28 고갈비, 고갈비양념 고등어조림은 엄마의 맛이라면 고갈비는 학교 앞 포장마차 맛이랄까. 집에서는 구이만 먹고 고갈비는 해주신 적이 없었는데 부산... 2 file 이윤정 2014.09.28 8021
178 반찬 고등어조림, 고등어조림 만드는법 2014/09/27 고등어조림, 고등어조림 만드는법, 고등어 찌진거 고등어조림!!!!!!!!!!!!!!!!!!!!!!!!! 한 열흘 전부터 고등어조림이 먹고 싶어서 고..등....어...조... file 이윤정 2014.09.27 10667
177 국 찌개 참치김치찌개 2014/09/25 너무 편한 음식이라 블로그 올릴 일이 별로 없었던 참치김치찌개. 다른 김치찌개는 전혀 그렇지 않은데 참치김치찌개 하면 꼭 대학 때가 떠오른다. 학... 2 file 이윤정 2014.09.25 5898
176 국 찌개 차돌박이 된장찌개 2014/09/24 차돌박이 된장찌개 냉동실에 애매하게 남은 차돌박이로 된장찌개를 할까 순두부찌개를 할까 하다가 아무거나 했다.. 사용한 재료는 멸치육수 약 400미... file 이윤정 2014.09.24 5903
175 반찬 육전, 새우전 지난 추석에 시어머니가 아프셔서 집에서 전 몇가지 부쳐오라 하셔서 동그랑땡, 떡갈비, 육전, 새우전 등을 구웠다. 그 중에 사진 찍은 두가지인 육전과 새우전. ... file 이윤정 2014.09.23 7774
174 반찬 무나물, 소고기 볶음 고추장 2014/09/19 무나물, 무나물 만드는 법 평소에 그렇게 무나물 생각이 나는 편은 아닌데 지난 추석에 얇게 채 썬 무나물을 맛있게 먹은 생각이 자꾸 나서 오랜만에 ... file 이윤정 2014.09.19 6674
173 국 찌개 소고기무국 2014/09/18 소고기무국 소고기뭇국이 맞는 말이지만 무국이 더 편해서 계속 무국으로 쓴다. 평소에 늘 얼큰한 경상도식 소고기무국을 자주 만들고 맑은 국은 제사... file 이윤정 2014.09.18 5235
172 국 찌개 소고기미역국 2014/09/17 소고기미역국 장보러 가지 않고 냉동해두었던 한우국거리에 건조미역, 늘 있는 다진마늘, 국간장, 참기름만 딱 들어가니까 미리 뭘 먹을까 정하지 않... file 이윤정 2014.09.17 4759
171 밥류 베이컨 김치볶음밥 2014/09/10 베이컨 김치볶음밥 추석 연휴 마지막날이라 별 생각없이 쉬었다. 이번 추석은 유난히 일이 많아서 전체적으로 즐겁지는 않았다. 추석 전에 몇 분에게 ... file 이윤정 2014.09.10 4906
170 고기 함박스테이크, 함박스테이크 소스 2014/09/04 함박스테이크, 함박스테이크 소스 함박스테이크는 꽤 여러번 올렸는데 사용하는 분량은 늘 거의 비슷하고 함박스테이크소스는 이번에는 조금 다르게 ... file 이윤정 2014.09.04 14304
169 반찬 섭산적, 동그랑땡, 육원전, 명절음식 만들기 2014/09/03 섭산적, 동그랑땡, 육원전, 명절음식 만들기 이전에 올린 포스팅 중에 최대한 명절스러운 것을 있는대로 짜내어 봤다. 철지난 드립이긴 한데 명절즙..... file 이윤정 2014.09.03 6436
168 국 찌개 꽃게된장찌개 2014/08/23 꽃게된장찌개 여름 초입에 꽃게 금어기가 시작되기 직전 급냉한 냉동암꽃게를 사다가 언제 된장찌개나 해먹어야지 생각하고 있었는데 그사이 금어기가... file 이윤정 2014.08.23 13289
167 한접시, 일품 양념치킨, 양념치킨소스만들기 2014/08/22 양념치킨, 양념치킨소스만들기 업장에서 쓰는 레시피라고 해서 여기저기 찾아보았는데 다 시도해보지는 못했고 그 중에 두어가지를 레시피의 비율을 ... file 이윤정 2014.08.22 72822
166 밥류 달걀볶음밥, 계란볶음밥 만들기 2014/08/20 달걀볶음밥, 계란볶음밥 만들기 엔하위키에 따르면 중국식 볶음밥은 재료에 따라서 그 구분은 달걀 볶음밥인 단화차오판(蛋花炒飯 황금 볶음밥), 고기... 2 file 이윤정 2014.08.20 16891
165 밥류 참치미역죽, 참치죽 2014/08/19 참치미역죽, 참치죽 광복절부터 남편이 장염으로 이틀동안 고생해서 하루는 미음을 먹고 다음날은 죽을 만들었다. 장염으로 고생한 다음이라 이거라도... file 이윤정 2014.08.19 6193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