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7419-.jpg


육전은 고기가 맛있어야 맛있고 나머지 간은 편하게 맛소금으로 하면 효율이 좋고 그렇다.
예전에 올린 안심 육전에서 https://homecuisine.co.kr/hc10/100823 육즙을 머금는 계란옷의 위대함에 대해 장황하게 이야기한 적이 있는데 그 생각은 아직도 변함이 없다. 안심스테이크보다 더 맛있다.

참고 대파무침 - https://homecuisine.co.kr/hc10/104322


 

 

재료

육전용 고기 500~600그램
맛소금 약간
후추 약간 (선택)
부침가루 적당량
계란 3~4개
식용유 적당량

 

 

내용은 정말 별 거 없는데 길게 써봤다.

 

고기는 기름이 적으면서 육질이 부드러운 걸로 골랐는데 가격까지 고려해서 여태 사용한 것 중에는 3등급 안심 사용이 가장 좋았다.

안심 덩어리를 사서 손질하고 (자투리부분 중에 기름이 많은 부분은 구워서 참기름장으로 먹고) 안심머리부분은 육전으로 먹고 필레미뇽 부분은 스테이크로 만든 다음 식구에게 취향조사를 해보니 육전 선호도가 높아서 이후로 계속 안심을 사도 육전만 하게 된다.

 

 

소고기 안심은 덩어리로 된 걸 사서 0.5센치정도 두께로 썰고, 맛소금을 솔솔 뿌리고, 부침가루를 입혀서 탈탈 턴 다음 계란물에 담갔다가 겉이 노릇노릇할 정도만 얼른 굽는다. 가 끝이다. 굽자마자 바로 먹을 육전이니까 바짝 익히지 않고 속이 미디엄정도 되도록 익힌다. 바짝 굽지 않은 육전을 접시에 옮기면 식으면서 육즙이 배어나오는데 그정도 익혀야 맛있다. 육전에 간을 할 때 소금이나 간장, 피시소스 등 여럿 사용해봤는데 요즘은 육전에 맛소금을 사용하고 있다. msg 완전 맛있다.

 

계란물에 간은 하지 않는다. 계란물에 소금간을 하면 덜 풀린 소금이 가라앉아서 마지막으로 갈수록 육전이 짜지기 때문에 아예 고기에 간을 적당히 하는 게 더 낫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계란을 간을 하지 않고 잘 풀어둔다.


2. 고기는 썰어서 가지런히 놓는다. (안심의 경우는 0.3~0.5센치 정도 약간 도톰해도 괜찮은데 고기 부위에 따라 가능한 한 가장 얇게 썰어야 할 때도 있다.)

 

3. 고기에 맛소금으로 간을 한다. (소고기를 소금에 찍어먹는다는 생각으로 간을 하는데 계란물에 소금을 넣지 않을 거라 찍어먹는 것 보다 아주 약간 많나? 싶은 정도로 소금을 뿌린다.) 후추는 취향에 따라 약간 뿌린다.

 

3. 고기에 부침가루를 살짝 앞뒤로 묻혀서 날가루를 털어낸다. 부치면서 하나씩 부침가루를 묻히면 가장 좋지만 미리 전부 가루에 묻혀둘 때는 고기를 하나씩 떨어뜨려 놔서 겹치지 않도록 하고 고기의 수분때문에 겉면이 눅눅해져도 상관하지 말고 그대로 사용한다. 미리 가루를 묻힌 고기를 쌓으면 밀가루가 떡지니까 한장씩 펼쳐서 준비한다.

 

4. 팬을 달구고 식용유를 적당량 붓는다.

 

5. 부침가루를 묻히고 털어낸 고기를 계란물에 담갔다가 건져서 굽기 시작한다.

 

6. 중불에 앞뒤로 노릇노릇하게 굽는다. 너무 센 불에 굽지 않도록 불조절을 해서 
1회 부치고 팬을 닦고 다음판을 부쳐야 육전이 깔끔하다.

 

 

IMG_7439.JPG

 

 

IMG_7452.JPG

 

 

IMG_7453.JPG

 

 

IMG_7419-.jpg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육전초밥

 

 

밥은 약간 고슬고슬하게 지어서 스시노코(가루식초)나 초대리(소금+식초+설탕)를 뿌리고, 주걱을 들고 풀 베듯이 가로로 밥알이 짓이겨지지 않도록 한알한알 펴지도록 해서 초밥용 밥으로 만든다.

손에 달라붙지 않도록 물을 약간 묻혀가면서 초밥을 살짝 쥐어서 너무 크지 않게 모양을 만든 다음 도마나 종이호일 위에 놓은 다음 뚜껑을 덮었다.

육전은 굽자마자 먹는 게 맛있으니까 밥은 미리 쥐어두고 육전을 구우면서 초밥용 밥을 접시로 옮기고 생와사비를 올리고 것 구운 육전을 밥에 올리면 육전초밥 완성.

 

IMG_7449.JPG

 

 

 IMG_7456.JPG

 

 

IMG_7461.jpg

 

 

 

IMG_7463-.jpg

 

 

 

IMG_7454.JPG

 

초밥에도 육전에도 간이 되어 있지만 취향에 따라 간장을 살짝 발라 먹어도 맛있다.

 

 

 

 

이번엔 밥 약간에 큼직한 육전

 

IMG_7464.JPG

 

 

 

IMG_7466.jpg

 

부드러운 육전에 폭신한 초밥이 정말 맛있다.


(부침가루에 계란물에 인덕션에 조리도구 등등 밥상이 정신없어서 사진은 없지만)

육전초밥이나 육전 + 밥 + 고구마튀김을 메인으로 쌈무, 상추무침, 오이냉국을 곁들였는데 상큼하니 잘 어울렸다.


 


 

 

 

  • 찌개몬 2022.08.08 03:48
    와...꾸리살같은걸로해도 맛있는육전을
    안심으로 하시니까 모양도 진짜 동글하니 예쁘고 부드럽고 맛있을꺼같아요. 개인적인생각으론 명절같은때 상차림에 갈비 나 불고기에 밀리는 조연급 느낌에 전이지만 이 안심육전은 일품요리로도 너무나도훌룡한 막걸리 항아리째먹어야될것같은 고급스러운 요리네요. 본질적으로 음식은 재료가좋으면 맛있을수밖에없다는 사실을 다시한번 깨닫네요~ 늘 좋은요리감사드립니다!!
  • 이윤정 2022.08.10 04:14
    여러 전 중에서도 육전만큼은 굽자마자 먹는 것과 식고나서 먹는 것의 간극이 정말 큰 것 같아요. 육전이 가장 맛있을 때는 부쳐서 바로바로 먹는 때라서 먹는 시간에 따라 주연도 조연도 되고 그러는데 명절에는 요리고 전이고 전부 미리하고 어떤 음식이든 만들자마자다 먹는 때가 아니라 육전이 더 조연 느낌이 나는 것 같아요.
    하지만 좋은 재료와 적당한 시간으로 주인공이 되면 이렇게 맛있는 게 또 없고, 음식이란 게 한 상태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그런가봐요^^
    아시죠? 저도 늘 감사해요^^
  • 한국인의식판 2023.08.07 14:50

    안녕하세요. JTBC <한국인의 식판> 제작진입니다. 해당 포스팅의 육전 사진을 저희 방송 자료화면으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괜찮으실까요? 혹시 불가능하시다면 cho.kyungmin@jtbc.co.kr로 답신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문의사항은 010-3405-0140 혹은 cho.kyungmin@jtbc.co.kr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24 한그릇, 면 토마토소스 김치소세지베이컨 파스타 약간 이정도면 한식 아닌가? 싶은 토마토소스 김치소세지베이컨 파스타 재료 (2인분) 파스타 200그램 (250까지) 비엔나소세지 200그램 베이컨 150그램 EV올리브오... file 이윤정 2022.08.24 6700
1123 일상 스팸 계란말이 스팸계란말이 계란말이 속에 스팸이랑 대파 볶은 걸 채워넣었다. 계란은 미리 씻어서 깨서 풀어놓은 다음에 스팸을 썰고 대파와 같이 볶아서 준비해보니 스팸 볶... 2 file 이윤정 2022.08.21 3870
1122 한접시, 일품 떡볶이, 고구마튀김 으아 떡볶이!!! 한 번 확 땡겨서 먹고 싶으면 계속 생각나서 결국에는 먹어야 하는 존재. 가래떡, 오뎅, 대파, 당근 준비하고 물 붓고 끓여서 떡이랑 오뎅이 부드... 1 file 이윤정 2022.08.19 5719
1121 고기 돼지고기 김치찜 등심덧살로 만든 돼지고기 김치찜. 요즘 등심덧살이 너무 비싸서 목살이나 앞다리 또는 지방이 적은 삼겹살을 사용하는 것도 좋다. 재료 묵은지 4분의1포기 (500... 2 file 이윤정 2022.08.16 4072
1120 일상 불 쓰지 않는 간단 냉채, 맛살 햄 오이 쌈무 냉채 재료 쌈무 1팩 오이 1개 파프리카 1개 당근 반개 게맛맛살 1팩 등심햄 (바로 먹는 샌드위치용 햄) 1팩 계란2개 지단 (선택) 겨자소스 (스푼계량) 간장2 설탕2 화... file 이윤정 2022.08.12 3347
1119 일상 순대구이, 고기순대 볶음밥 시판 순대를 구워먹는 거라 편하게 해먹는 순대구이와 고기순대볶음밥. 여태 계속 이마트 트레이더스에서 구매한 보승순대 제조의 모듬순대를 사용하고 있는데 그... 1 file 이윤정 2022.08.10 4362
» 밥류 안심 육전, 육전 초밥 육전은 고기가 맛있어야 맛있고 나머지 간은 편하게 맛소금으로 하면 효율이 좋고 그렇다. 예전에 올린 안심 육전에서 https://homecuisine.co.kr/hc10/100823 육... 3 file 이윤정 2022.08.05 4368
1117 일상 김치볶음밥 그냥 일상적인 이런저런 김치볶음밥이라 별 내용은 없지만.. 끼니때 먹고 남는 밥은 보온하지 않고 바로바로 냉장/냉동으로 보관하는데 데워먹기보다는 주로 볶음... 2 file 이윤정 2022.08.03 3488
1116 밥류 감자밥, 카레라이스 감자 넣고 밥하고 카레를 만든 다음 밥과 카레에 치즈를 얹은 카레라이스 한그릇으로 단출한 밥상. 감자밥 (2~3인분) 쌀 180미리컵으로 1.5컵 물 300그램 감자 중... 3 file 이윤정 2022.07.27 5824
1115 고기 액젓불고기, 간장제육볶음, 김치제육 맨날 똑같은 액젓불고기 - Home Cuisine - 등심덧살로 액젓불고기 먼저 1키로 기준 레시피부터. 전자저울사용 등심덧살 1000그램 (손질 후) 간장 35그램 친수피시... file 이윤정 2022.07.24 3707
1114 한그릇, 면 시판 냉면육수로 살얼음 오이냉국 만들기 시판 냉면육수로 바로 살얼음 육수 만들기, 시판 냉면육수로 오이냉국 만들기 살얼음 냉면육수.. 미리 냉동실에 넣어두고 살얼음이 생긴 다음에 먹으면 가장 맛있... 2 file 이윤정 2022.07.12 5090
1113 한접시, 일품 순대볶음 말랑쫀득하고 매콤달큰한 순대볶음. 깻잎과 들기름 향이 향긋하고 냉동우동사리를 곁들여서 양도 넉넉하니 먹기 좋다. 전에는 당면사리를 넣었었는데, 당면이 맛... 1 file 이윤정 2022.07.05 3132
1112 한접시, 일품 편육쌈무냉채, 겨자소스 사태냉채 편육쌈무냉채 돼지고기 사태는 삶아서 식히고 랩으로 단단하게 감싼 다음 냉장실에 넣어 사태편육으로 만든 다음 (링크 - Home Cuisine - 사태편육, 사태수육) 맛... file 이윤정 2022.06.27 3565
1111 한그릇, 면 매콤 돼지고기 가지 덮밥, 제육가지덮밥, 가지제육볶음 제목에 제육이 있는데 평소 만드는 것과는 약간 다르게 제육볶음의 양념장에 굴소스를 넣어서 아주 약간 중식 느낌을 더해봤다. 가지가 달달하고 맛있어서 제육볶... file 이윤정 2022.06.21 4813
1110 고기 육수불고기, 뚝배기불고기, 뚝불 뚝배기 없는 뚝배기불고기. 전에 올렸던 육수불고기 레시피 그대로 고민없이 편하게 자주 해먹는다.. Home Cuisine - 간단 육수불고기 레시피가 간단하지만 배가 ... 2 file 이윤정 2022.06.11 3773
1109 일상 베이컨 아스파라거스 토마토 파스타 베이컨 아스파라거스 토마토 파스타 베이컨과 아스파라거스를 각각 따로 구워서 매콤한 아라비아따소스에 곁들인 푸실리 파스타. 아스파라거스와 베이컨을 숏파스... file 이윤정 2022.06.09 2945
1108 반찬 시판 쌈무로 겨자쌈무 시판 쌈무로 겨자쌈무 결론 먼저. 시판 쌈무의 절임물 약간을 접시에 담아 연겨자를 풀고 쌈무를 적당히 썰어서 연겨자를 푼 절임물에 무친다. ㅡㅡㅡㅡㅡㅡㅡㅡ... file 이윤정 2022.06.03 2811
1107 일상 까르보 불닭볶음면 + 아스파라거스 베이컨 볶음 + 구워먹는 치즈 아스파라거스, 소세지나 베이컨, 구워먹는 치즈의 조합이 좋아서 (Home Cuisine - 아스파라거스 소세지볶음) 아스파라거스는 온라인으로 주문하고 베이컨과 치즈... file 이윤정 2022.06.01 3741
1106 한그릇, 면 무쌈말이, 냉채소스 겨자소스 만들기 먼저 겨자소스, 냉채소스 겨자소스는 레시피도 만들기도 아주 간단한데 겨자를 덩어리없이 잘 풀고 입맛에 맞게 간조절만 하면 끝이다. 냉채소스로 쓸 때는 모자... file 이윤정 2022.05.30 6919
1105 고기 제육볶음, 두루치기 요즘 돼지고기 가격이 많이 올라서 제육볶음 만들기 좋은 때는 아니지만 그래도 언제나 맛있는 메인반찬이라 한 달에 한 번 정도는 하게 된다. 통등심덧살을 살작... 2 file 이윤정 2022.05.27 545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