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고기
2021.12.21 04:41

등갈비수육

조회 수 3842 추천 수 0 댓글 0

 

 

IMG_2396.JPG


 

수육을 할 때 피시소스, 대파, 마늘, 통후추를 넣는 액젓수육을 여러번 올렸었는데 그 등갈비 버전이다.


액젓수육은 자주 해먹는 거라 이번에는 등갈비를 사와서 액젓으로 염지하고 오븐에 저온-고온으로 차례로 구워서 지코바소스를 곁들인 등갈비구이를 하려고 했는데 작은 부상이 있어서 안그래도 하기 귀찮았는데 잘됐다ㅋㅋ 하면서 편하게 수육을 만들었다.

 

피시소스수육을 할 때마다 하는 이야기인데 수육을 삶는 동안 피시소스의 향은 휘발되고 감칠맛과 은은한 짠맛이 고기에 배어서 맛을 더한다. 전에 계란찜에 친수피시소스를 넣었을 때 끝에 아주 약간 살짝 단맛이 돌아서 호불호가 갈린다고 한 적이 있는데 이 살짝 스치는 단맛이 대파의 단맛과 함께 수육에 잘 어울리는 숨김맛으로 작용하니 단점은 없고 두루두루 좋은 점 뿐이다.

 

여태 항정살이나 등심덧살, 안심, 사태 등 각종 부위로 액젓수육을 해봤는데, 김치찜이나 장아찌, 무침 등의 곁들임 반찬 없이 수육으로만 보면 등갈비 수육이 가장 맛있다. 최소한의 재료와 최소한의 수고로 이정도 효율이면 등갈비구이도 안해도 되겠다 싶다.


서론이 길었지만 과정은 냄비에 등갈비, 대파, 마늘, 후추, 피시소스, 물 전부 넣고 끓기 시작하면 불줄이고 40분정도 푹 끓이면 끝이라 아주아주 간단하다. 이것저것 하기 귀찮은데 잘됐다 하고 만드는 정도ㅋㅋ

 

 

재료 1.5~2인분
등갈비 1.2키로 (2대)
통마늘 10개
대파 1대
통후추 1티스푼
친수피시소스 2스푼

물 적당량

 

 

1. 등갈비는 깨끗하게 씻고 물기를 닦은 다음 뼈안쪽의 근막이 있으면 근막을 뜯는다. 한 대 씩 분할이 되어 있지 않으면 먹기 좋게 미리 자르는데 가위를 뼈에 바짝 대고 자르면 먹기 편하다.

 

2. 냄비에 재료를 전부 넣고 등갈비가 자박하게 잠기도록 물을 붓고 센 불로 끓이기 시작한다.

 

3. 끓으면 중약불로 불을 줄이고 뚜껑을 비스듬히 닫아서 40~45분간 끓인다.

 

4. 불의 세기나 온도 뚜껑 닫은 정도에 따라 물 졸아드는 양이 다르니까 중간에 물이 졸아들면 물을 추가한다. 고기를 삶는 물에 간이 되어 있으니까 너무 첨벙하면 고기가 싱겁고, 너무 팍 졸아들면 고기가 짜게 된다. 불을 껐을 때 자작할 정도가 적당하다.

 

5. 집게로 가볍게 들었을 때는 괜찮은데 조금 힘을 주면 뼈와 살이 스르륵 분리가 되나 싶은 정도로 삶는다. 고기 간을 보고 입맛에 맞게 간을 맞춘다.

 

6. 잘 익은 등갈비는 건져서 접시에 담고 육수는 체나 면포에 거른 다음 등갈비에 붓는다. 육수를 부으면 등갈비 수육을 먹는 동안 고기가 마르지 않고 따뜻하면서도 촉촉하게 유지된다.
(육수 표면의 기름을 국자로 쓸듯이 떠낸 후에 부어서 수육과 함께 바로 먹어도 좋고, 남는 육수는 식혀서 기름을 반정도 걷고 김치찌개에 넣으면 좋다.)

 

 

 

1. 등갈비 손질

크기변환_IMG_9324.JPG

 

 

잘 드는 가위를 사용해서 이렇게 뼈에 가깝게 대를 나누면 먹을 때 고기가 큼직하니 먹을 것도 있고 먹기도 편하다.

IMG_2376.JPG

 

 

 

IMG_2377.JPG

 

 

 

2. 냄비에 등갈비, 대파, 마늘, 통후추, 피시소스 넣고 물 붓기

IMG_2379.JPG

 

 

 

3. 끓이기 시작한다. 팔팔 끓으면 불을 줄이고 뚜껑을 비스듬히 덮는다.

IMG_2383.JPG

 

 

 

4 5. 중간에 한 두 번 가봐서 졸아든 상태나 고기의 익은 정도, 고기나 국물의 간을 체크한다. 완성 후 이정도면 간이 딱좋다.

IMG_2387.JPG

 

 

 

5. 고기는 접시에 담고 육수는 거르고 고기에 붓는다. 거르기 영 귀찮으면 윗물만 살살 부어도 괜찮다.

IMG_2390.JPG

 

 

IMG_2391.JPG

 

 

 

IMG_2392.JPG

 

 

 

완성.

IMG_2396.JPG

 

 

 따끈따끈하니 촉촉하니 먹기 좋다.

IMG_2411.JPG

 

뭐 별거 없이 고기만 삶아서 완성. 뼈와 고기가 부드럽게 분리되는 적당한 상태이다. 소스에 찍어먹거나 할 필요도 없이 이대로 한 대씩 들고 뜯어 먹기만 해도 간도 딱이고 고기도 부드럽고 완전 맛있다.

 

등갈비라는 부위가 원래 간이 맞고 충분히 잘 익기만 하면 어떻게 먹어도 맛있는 부위인데 특별히 더 간단하니까 날로 먹는 느낌이라 더 맛있게 느껴지는 것 같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50 한접시, 일품 납작당면 잡채 4 file 이윤정 2021.04.22 3749
849 고기 매콤한 등갈비찜 file 이윤정 2014.05.29 3754
848 전골 탕 맛된장 대패대파전골 9 file 이윤정 2019.10.15 3763
847 전골 탕 돼지고기 사골우거지탕 2 file 이윤정 2021.11.30 3773
846 국 찌개 바지락된장찌개 file 이윤정 2013.07.19 3779
845 반찬 두부조림, 양념장, 레시피 2 file 이윤정 2020.05.18 3794
844 고기 등심덧살로 돼지고기 김치찜, 두부김치 2 file 이윤정 2021.02.06 3794
843 고기 통항정살 양념구이, 알배추무침, 무말랭이무침 6 file 이윤정 2020.05.08 3809
842 반찬 우렁쌈된장, 강된장 4 file 이윤정 2018.12.19 3812
841 전골 탕 낙곱새 file 이윤정 2022.02.13 3813
840 반찬 새우 아스파라거스 볶음 file 이윤정 2022.04.28 3816
839 국 찌개 소고기미역국 1 file 이윤정 2014.04.02 3819
838 반찬 애호박 오뎅볶음, 맛살 계란말이, 참치볶음 4 file 이윤정 2019.09.03 3825
» 고기 등갈비수육 file 이윤정 2021.12.21 3842
836 밥류 고기순대볶음밥 6 file 이윤정 2020.09.15 3846
835 반찬 고구마튀김 2 file 이윤정 2021.12.11 3852
834 밥류 햄야채김치볶음밥 file 이윤정 2014.11.05 3864
833 고기 오리 소금구이 6 file 이윤정 2015.10.01 3867
832 반찬 꼬막무침 file 이윤정 2013.07.27 3871
831 고기 가브리살 제육볶음, 제육떡볶이 7 file 이윤정 2019.05.31 3877
830 국 찌개 소고기 강된장, 호박잎쌈 file 이윤정 2013.07.27 38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55 Next
/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