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검색

 

 

IMG_1034.JPG

 

떡국이 제철이려면 아직 멀었는데 떡국을 좋아해서 제철 상관없이 연중 자주 해먹는다.

떡국보다는 떡만둣국을 라면처럼 넘 막해먹다보니 뽀얀 떡국만 끓여 그릇에 잘 담아 먹을 때가 드문데 겨울이 된 기념삼아 유기그릇에 담아봤다.

(떡만둣국은 육수를 떡국보다 많이 잡아야한다)

 

 

전에도 한 이야기를 가져오자면

떡국이야 지역마다 집집마다 다르지만 우리집은 겨울이면 들통으로 끓여두시는 엄마의 곰탕국물에, 탕국에 사용하려고 우린 소고기육수와 멸치황태육수를 적당히 믹스해서 사용했다. 국물간은 약간 심심하게 하고, 떡국떡은 쫄깃한 느낌이 별로없이 말랑말랑하게 끓이는데 그러면 자연스럽게 국물에도 적당히 농도가 생긴다. 여기에 고명은 계란, 고기, 김, 대파를 사용하는데 어릴 때부터 그렇게 먹어왔고 여태껏도 이렇게 만들고 있다. 육수는 좋아하는 걸로 다 좋고 시판 육수나 조미료를 사용할때도 간을 좀 심심하게 맞추고 국간장으로 모자란 간을 맞춰가며 만들면 적당하다.

 


사용한 재료는 2인분으로

육수 800~900미리 (시판 사골육수+연한 황태육수 반반 사용)

떡국떡 450그램

국간장 1티스푼

소금 약간 (필요하면)

후추 약간

 

고명으로

소고기 다짐육 200그램

간장 1티스푼, 후추 약간

계란 2개, 소금 약간

대파 흰부분 반대

김 반장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떡은 씻어서 물기를 뺀 다음 준비한 차가운 육수에 담가 30분이상 불린다.

 

2. 대파는 흰부분만 얇게 송송 썰고 다져둔다.

 

3. 구운 김은 먹기 좋게 자른 다음 밀폐용기에 담아둔다.

 

4. 소고기다짐육은 약간 센불에 달달 볶다가 불을 줄이고 간장과 후추를 약간 넣고 볶다가 불을 끈다. 볶은 다음에는 그릇에 옮겨서 뚜껑을 닫아둔다.
소고기는 샤브샤브용 얇은 소고기를 칼로 다져서 준비하면 먹기 더 좋다. 이번에는 구이용 자투리 고기를 다져서 사용.

 

5. 계란은 소금간을 약간 하고 잘 풀어서 얇게 지단을 부치고 돌돌 말아서 얇게 썬다.
지단을 얇게 썰 때는 톱질하듯이 썰어야 부서지지 않는다.

 

6. 냄비에 육수와 떡을 넣고 국간장을 약간 넣어서 약간 심심하게 끓이기 시작한다.

 

7. 떡국이 끓고 떡국떡이 전부 떠오르면 잠시 불을 끄고 10분 정도 둔 다음에 한 번 더 끓였다.
(이 부분은 가풍이나 취향에 따라 다른데 일부러 맑은 국물의 떡국을 하려고 떡국떡을 따로 데치고 건쳐서 따로 끓여서 간을 한 육수에 넣고 완성하는 곳도 있다.)
국물에 농도가 있는 것을 좋아해서 일부러 불을 끄고 10분 정도 둔 다음
밥상에 가지고 가지 직전에 한 번 더 끓여서 떡도 부드럽게 하고 국물에도 농도를 냈다.


8. 완성되고 불을 끄기 전에 싱거우면 소금간으로 입맛에 맞게 간을 하는데 평소 입맛의 90%정도 느낌으로 약간 싱겁게 간을 한 다음 여러 고명을 올려서 먹으면 간이 딱 맞다.

 

9. 그릇에 떡국을 담고 후추를 약간 뿌리고 준비한 고명을 올린다.

 

 

크기변환_IMG_4868.JPG

 

181605a2584b60368a913c1698021cee.jpg

 

 

e240538051ebbaea02dbcf79b3b7bc45.jpg

 

 

크기변환_IMG_4861.JPG

 

 

 

IMG_8678.JPG

 

 

 

 

IMG_1013.JPG

 

 

우리집 떡국은 이정도 느낌

IMG_1017.JPG

 

 

 

IMG_1022.JPG

 

 

 

IMG_1024.JPG

 

 

완성.

IMG_1034.JPG

 

 

IMG_1041.JPG

 

 

냉동떡보다는 역시 바로 사온 것이나 냉장 가능했던 범위내의 떡을 사용해야 말랑하니 더 좋다.

떡국에 각종 고명이 올라가서 조화롭고 맛있다.

 

 

 

  • 여름나무 2021.12.11 14:21
    이 게시글 보고 방앗간에서 가래떡 뽑고, 한우다짐육 사서 볶았네요. 한동안 아침식사 고정입니다^^ 늘 건강하세요!
  • 이윤정 2021.12.12 03:39
    방앗간에서 가래떡 뽑아오셨다니 상자에 뽀얗게 늘어서 담긴 가래떡 생각이 나서 괜히 흐뭇하다가 너무도 민첩하신 행동력을 떠올리고 놀라고 있습니다ㅎㅎㅎ 아침에 뽀얀 떡국 한그릇이면 정말 든든할 것 같아요. 여름나무님도 늘 건강하시고 즐거운 일요일 보내세요^^

List of Articles
No. Category Subject Author Date Views
1064 반찬 콜라비생채, 무생채, 생채무침 작년에도 올렸던 콜라비생채. 요즘 콜라비가 큼직하고 단단하니 먹기 좋은 계절인데 마트에 흔하게 있어서 한박스 사왔다. 무보다는 콜라비로 생채 담는 걸 좋아... file 이윤정 2022.01.09 3388
1063 고기 세상에서 제일 재미없는 등갈비김치찜 세상에서 제일이라는 말을 처음으로 사용해봤다.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제일 좋은, 제일 쉬운, 이런 좋은 거 다 놔두고 재미가 없기로 세상에서 제일인.. 재료 2... 6 file 이윤정 2022.01.04 4453
1062 한그릇, 면 김치우동 카테고리가 한식인데 김치가 들어가면 다 한식임... 그냥 김치우동.. 이라고 하고 본론으로 넘어갈까 하다가 수다를 좀 떨기 시작하고 있다. 우동에 무와 오뎅을 ... 4 file 이윤정 2022.01.01 5483
1061 반찬 단무지무침 레시피 요즘 코로나 때문에 남편이 도시락을 싸다니는데 같이 도시락 먹는 회사동료분의 어머니께서 내일 세상에서 제일 귀한 음식인 엄마김밥을 넉넉하게 싸주신다고 해... file 이윤정 2021.12.28 4369
1060 반찬 쫀득한 우엉조림, 윤기나는 우엉조림, 레시피 우엉조림은 조리상태에 따라 질감의 차이가 꽤 큰 반찬이라서 아삭하게 할 수 도 있고 쫀득하게 할 수도 있다. 투명한 느낌이 나면서 전혀 아삭하지 않고 쫀득하... 4 file 이윤정 2021.12.27 10660
1059 한그릇, 면 닭곰탕 닭을 삶아서 닭고기를 바르고 국물을 같이 먹는 닭곰탕. 삼계탕이 이름도 그럴싸하고 1인 1닭에 보기 좋게 나오는데 비해서 닭곰탕은 상징적인 의미가 적어서 그... file 이윤정 2021.12.26 3873
1058 반찬 김치참치조림, 김치 참치 볶음 보통 김치조림이나 김치찜, 김치찌개를 할 때는 김치의 익은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최소 20분이상, 40분까지 오래 익혀서 투명하게 익도록 하는 편이다. 그 시간 ... 4 file 이윤정 2021.12.24 4485
1057 고기 등갈비수육 수육을 할 때 피시소스, 대파, 마늘, 통후추를 넣는 액젓수육을 여러번 올렸었는데 그 등갈비 버전이다. 액젓수육은 자주 해먹는 거라 이번에는 등갈비를 사와서 ... file 이윤정 2021.12.21 6159
1056 일상 고기순대볶음밥 볶음밥은 밥상태가 적당하고 사용하는 (무쇠)후라이팬이 말을 잘들으면 늘 맛있다. 자주 하기로는 김치볶음밥 계란볶음밥 등 간단한 볶음밥을 자주 하지만 글 올... file 이윤정 2021.12.18 4003
1055 전골 탕 얼큰한 우거지 양지탕 김장철에 김장도 안하면서 푸른잎이 있는 알배추를 한박스를 샀다. 겉절이 좀 해먹고 샤브샤브도 좀 해먹고 남은 푸른 배춧잎을 데쳐서 일부는 냉동하고 일부는 ... 2 file 이윤정 2021.12.15 4483
1054 반찬 고구마튀김 시판 튀김가루, 차가운 물, 고구마, 식용유가 끝인 고구마튀김이라 별 내용은 없지만 고구마튀김에 선뜻 손이 가지 않는다거나 고구마튀김을 해 본 적이 없다면 ... 2 file 이윤정 2021.12.11 8482
» 한그릇, 면 떡국 떡국이 제철이려면 아직 멀었는데 떡국을 좋아해서 제철 상관없이 연중 자주 해먹는다. 떡국보다는 떡만둣국을 라면처럼 넘 막해먹다보니 뽀얀 떡국만 끓여 그릇... 2 file 이윤정 2021.12.06 4977
1052 전골 탕 돼지고기 사골우거지탕 시판사골육수, 돼지고기 갈매기살, 배추우거지, 된장양념으로 우거지탕을 푹 끓였다. 재료만 준비하면 우르르 넣고 푹 끓이면 끝이라 오리탕이나 감자탕과 비슷한... 2 file 이윤정 2021.11.30 5237
1051 국 찌개 차돌된장찌개 늘 편하게 해먹는 된장찌개. 해산물 들어간 것도 아주 좋아하는데 재료를 늘 구비하기에는 해산물보다 냉동차돌박이가 만만해서 차돌박이 된장찌개를 자주 만든다... 2 file 이윤정 2021.11.27 5572
1050 한접시, 일품 지코바st양념으로 갈매기살 양념바베큐 1. 갈매기살로 양념구이를 하면 어떨까? 올ㅋㅋ 2. 하는 김에 지코바양념에 고운고춧가루가 안들어가는 것 같아서 양념레시피를 좀 바꿔서 테스트ㄱㄱ 1-1. 갈매... 2 file 이윤정 2021.11.23 6916
1049 소스 떡볶이양념, 떡볶이, 쫄볶이, 순대볶이 여태 수도 없이 해먹고 또 가끔 올린 떡볶이인데 이번에 올리는 버전은 디테일이 아주 약간 바뀌었다. 재료 간장 200그램 조청 800그램 물엿 200그램 고추장 400... 3 file 이윤정 2021.11.19 11963
1048 고기 사태편육, 사태수육 이렇게 간단하고 그저그런 걸 좋아하는 사람이 있긴 하나 싶은 사태편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 의하면 편육은 '쇠고기나 돼지고기를 삶아 눌러서 물기를 빼고 얇... file 이윤정 2021.11.16 4608
1047 전골 탕 양지만두전골 가끔씩 본 적도 먹어본 적도 없는 전골 아이디어가 갑자기 떠오를 때가 있는데 그 중에도 기억에 남는게 수육전골 https://homecuisine.co.kr/hc10/73604 라면전... 2 file 이윤정 2021.11.12 3388
1046 전골 탕 부대찌개 조금만 추워지면 바로 생각나는 부대찌개. 여태 올린 것과 대동소이하다. 양파, 대파에 햄, 소세지, 베이컨, 차돌박이 등 햄파티를 하고 그 위에 김치, 베이크드... 2 file 이윤정 2021.11.10 4794
1045 반찬 무나물, 비빔밥 어제 올린 가지나물에 이은 무나물이다. 가지나물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105593 1. 먼저 채썰기 일단 채썰기의 기본은 오른손잡이 기준 얇게 ... 2 file 이윤정 2021.11.06 3889
Board Pagination Prev 1 3 4 5 6 7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