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조회 수 3702 추천 수 0 댓글 2

 

 

IMG_1879.JPG

 

 

IMG_1894.JPG

 

 

시판사골육수, 돼지고기 갈매기살, 배추우거지, 된장양념으로 우거지탕을 푹 끓였다.

재료만 준비하면 우르르 넣고 푹 끓이면 끝이라 오리탕이나 감자탕과 비슷한 맛을 내는 것 치고는 많이 간단하다.

 

돼지고기는 쫄깃쫄깃한 갈매기살이 찌개나 탕에 잘 어울려서 좀 많이 사서 김치찌개도 해먹고 우거지탕에도 사용했는데 어느 부위를 사용해도 괜찮긴 하다.

말린 우거지는 아니고 푸른 겉잎을 데친 것을 사용했다.
요즘같이 배추 겉잎이 남는 계절에 딱이다.

 

 

오리탕과 감자탕의 중간적인 느낌인데 갈매기살 육질이 오리탕의 오리와 비슷해서 쫀득쫀득하게 먹기 좋다.

 

사골육수 베이스에 된장과 고춧가루로 구수하고 얼큰하면서도

들깻가루로 두터운 질감

부들부들한 우거지와 토란대
부드러우면서도 쫀득함이 남아있는 갈매기살
전부 다 맛있다.

 

 

 

재료 5~6인분


돼지고기 1.2키로

사골육수 1리터 (2팩)
물 1리터

 

배추겉잎 데치고 물기 짠 것 400그램(15장)
토란대 손질한 것 1줌 (150그램) (선택)
대파 250그램
다진마늘 150그램

생강즙 1티스푼 (선택)
국간장 2.5스푼 (40그램)
친수피시소스 2.5스푼 (40그램)
범일콩된장 4스푼 (100그램)
고운고춧가루 6스푼 (45그램)

우르르 전부 넣고 끓이면 끝인데


깻잎1묶음 팽이1봉투 거피들깻가루2스푼 수제비사리1줌 100그램

라면사리or 중화면사리

밥 계란 쪽파 참기름

 

 

 

 

1. 배추겉잎은 깨끗하게 씻어서 끓는 물에 넣고 다시 한 번 끓어오르도록 2분 정도 데치고 건져서 식힌 다음 먹기 좋게 찢는다.

 

2. 돼지고기는 한 입 크기로 먹기 좋게 자른다.

*갈매기살은 손질 전에 1.5키로였는데 막과 지방을 손질하니까 1.2키로 정도 됐다. 고기는 넉넉하게 1.5키로까지 사용해도 좋다.

 

3. 감자는 씻고 껍질을 깍아서 먹기 좋게 손질한다. 감자는 취향 따라 생략해도 괜찮다. 대파는 반 갈라서 큼직하게 썰고 취향 따라 토란대도 준비한다.

*감자는 우거지탕에 넣어서 익혀도 되는데 그러면 계속 익힘상태를 봐가면서 조절해야하니까 영 번거로우면 따로 삶겨나 쪄서 마지막에 넣어도 좋다.

*우거지탕을 미리 만들어서 냉동했다가 해동해서 먹을 때도 우거지탕은 충분히 조리된 상태에서 물로만 희석하면 되게 보관하고 감자는 마지막에 따로 넣는 것이 편하다.

 

4. 냄비에 돼지고기를 넣고 노릇노릇하게 볶은 다음 서골육수를 붓고 대파, 다진마늘, 국간장, 피시소스, 된장, 고운고춧가루, 푸른 배춧잎 데친 것, 손질한 토란대를 넣고 배춧잎과 토란대가 흐들흐들하도록 40~50분 푹 끓인 다음 감자를 넣고 감자가 익도록 15~20분정도 더 끓여서 완성한다.

*적당히 익으면 퍽퍽 튀니까 뚜껑을 비스듬히 닫는다.

*배추 겉잎의 상태에 따라 푹 끓이는 시간을 조절한다.

*중간중간 필요하면 물을 추가하는데 한번에 다 먹을 것이 아니면 물을 적게 추가해서 완성한 다음, 먹을 때에 물을 추가해서 입맛에 맞게 희석하고 한 번 끓여 먹는다.

(토란대 손질 - https://homecuisine.co.kr/hc20/105276)

 

5. 한 번 먹을 분량을 냄비에 담아서 물을 넣고 농도와 간을 맞도록 희석하고 후추를 탈탈탈탈 털어넣는 다음 한 번 끓인다. 약간 싱겁다 싶은 정도로 물이 조금 많게 간을 맞추면 들깻가루, 각종 사리를 넣고 먹기 좋게 끓였을 때 간이나 농도가 적당하다.

*4번에서 후추를 넣어도 되는데 후춧가루의 향이 금방 휘발되니까 그때도 넣고 지금도 넣고 해도 괜찮다. 먹기 직전에 후춧가루를 넣으면 향이 살고 맛있다.

 

 

여기서부터는 선택인데 팽이버섯, 깻잎, 수제비사리 등 재료 사오기가 귀찮으면 들깻가루만 넣고 끓여서 먹기도 한다.

 

6. 전골냄비에 담아 수제비사리, 깻잎, 팽이버섯, 거피들깻가루를 넣고 한 번 수제비사리가 익도록 3~4분정도 끓인다.

*거피들깻가루의 양은 1인분에 1스푼정도면 고소하니 먹기 좋은데 취향에 따라 가감한다.

*수제비사리는 최대 100그램으로, 그 이하로 조금 넣는 것이 잘 익고 먹기도 좋다. 수제비사리를 생략할 때는 한 번 우르르 끓도록만 익힌다.

 

 

하지만 면사리는 선택이 아닌ㅋㅋ

7. 라면사리를 추가할 때는 따로 한 번 삶아서 추가한다. 냉동중화면 사리를 추가해보기도 했는데 냉동중화면이 따로 삶지 않고 바로 넣어도 되고 먹기도 더 좋았다.

 

8. 마지막으로 밥 넣고 잘 저어가면서 죽 끓이고 쪽파(나 깻잎), 계란을 넣고 계란이 익도록 끓인 다음 참기름을 약간 넣어서 죽으로 마무리.

 

 

 

1.

IMG_1829.JPG

 

 

IMG_1841.JPG

 

 

2

IMG_1830.JPG

 

 

 

4

IMG_1831.JPG

 

 

 

IMG_1833.JPG

 

 

우르르 전부 넣고 끓이기 시작.

IMG_1837.JPG

 

 

IMG_1845.JPG

 

 

20분경과

IMG_1849.JPG

 

 

35분 경과

IMG_1853.JPG

 

 

 

45분경과

IMG_1854.JPG

 

 

 

여기에 감자를 넣는데 감자는 따로 삶아서 넣으면 시간 가늠하기가 더 편하다. 뚜껑을 비스듬히 닫고 끓이는 동안 중간중간에 물을 추가했다.

 

IMG_1859.JPG

 

 

감자넣고 나서 15분 경과. 감자가 큼직해서 익는데 시간이 걸린다..

배추 우거지가 지금 상태가 딱인데 감자를 다 익히자니 우거지가 너무 많이 익는다 싶어서 중간중간에 감자가 빨리 익도록 감자를 국자로 쪼개고 불을 줄여가면서 가열을 최소화했다.

역시 감자는 따로 삶아서 합해야 편한..

IMG_1862.JPG

 

 

 

총 1시간 경과인데 이제 불을 끄고 식힌 다음 먹을만큼 덜어서

 

IMG_1866.JPG

 

 

물을 붓고 간과 농도를 맞추고

IMG_1870.JPG

 

이대로 들깻가루만 넣고 끓여서 먹어도 좋고

 

 

 

수제비사리나 깻잎, 팽이버섯을 넣으면 먹을 것도 좀 더 있고 잘 어울려서 좀 더 잘 해먹는 느낌도 난다.

 

IMG_1873.JPG

 

 

IMG_1879.JPG

 

 

이정도 너낌으로 끓여서

IMG_1889.JPG

 

 

 

IMG_1890.JPG

 

 

진짜 완성.

IMG_1894.JPG

 

 

 

라면사리는 이렇게

IMG_1900.JPG

 

 

중화면 사리는 이렇게

IMG_1916.JPG

 

 

후식은 이렇게

IMG_1901.JPG

 

 

IMG_1902.JPG

 

오리탕이나 감자탕은 손이 많이 가야하는 음식이라 마음먹고 해야하는데 그 중간적인 맛이면서도 재료만 준비하면 푹 끓여서 끝이라 효율이 좋다.

 

 

 

 

  • 남편바라기 2021.12.01 13:05
    와아ㅜㅜㅜ이것은 옳게된 탕입니다...!!!!
    쫜득쫜득 쫠깃한 갈매기살에 구수한 사골국물맛이
    느껴지는듯한...게다가 수제비, 면사리에 볶음밥까지ㅋㅋㅋㅋㅋ완벽하네요. 갈매기살은 구워만 봤지 국물요리에 넣어본적은 없는데 궁금하네요. 넘 추워진 요즘 보글보글 끓여가며 푹푹 떠서 먹고싶은 메뉴입니다*-*♡
    요새 회사가 너무 바빴어서 오랜만에 찾아왔는데 그새 날씨가 너무너무 추워졌어요 윤정님!! 서울은 진짜 벌써 부츠속 발꾸락이 얼어버릴것만 같은 날씨입니다. 부산은 조금 덜 춥겠지만 그래도 늘 건강 유의하시고 연말 즐겁게 보내셔용^^)♡
  • 이윤정 2021.12.06 03:18
    안녕하세요 남편바라기님^^ 제가 답글이 좀 늦었죠. 죄송해요ㅠㅠ
    요 며칠간 남편바라기님의 에너지 넘치는 댓글 보며 넘 감사했어요.
    요즘 사골곰탕 시판육수가 잘 나와서 이렇게 우거지탕 해먹기도 편하고 참 좋은 세상인 것 같습니다ㅎㅎ
    갈매기살을 이번에 미트박스에서 좀 샀는데 구워먹기도 하고 볶아먹기도 하고 이렇게 탕이나 찌개도 해먹어보니 양념이 강한 탕이나 찌개에 엄청 잘 어울렸어요.
    확실이 육향도 육질도 개성이 강한 부위다보니까 그런가봐요. 푹 끓여 드시면 또다른 매력을 발견하실거에요^^
    많이 추우시죠ㅠㅠ 부산도 서울만큼은 아니지만 춥긴한데 그럭저럭 견딜만 해요. 늘 따숩게 입고 따뜻한걸로 잘 챙겨드세요^^

  1. 부대볶음

    매번 똑같은 부대볶음. 재료 양배추 4분의1통 대파 흰부분 2대 김치 2~3잎 스팸 작은 캔 1개 소세지 2~4개 베이컨 100그램 (햄 소세지 베이컨 다 합해서 약 600그램) 양념장 고운고춧가루 18그램 (2.2스푼) 고추장 25그램 (1스푼) 간장 15그램 (1스푼) 친수피시소스 5그램 (1티스푼) 다진마늘 50그램 (2.5스푼) 생강약간 (생략가능) 후추톡톡 미림이나 청주 14그램 (1스푼) 사골육수 300미리 냉동사리 1인분 (중화면이나 우동) 김치는 잘 익은 김치를 사용하거나 묵은지를 조린 김치조림을 사용하기도 한다. 김치참치조림 https://homecuisine.co.kr/...
    Date2022.01.2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0 Views3337 file
    Read More
  2. 삼계탕

    삼계-탕蔘鷄湯 : 어린 햇닭의 내장을 빼고 인삼, 대추, 찹쌀 따위를 넣어서 고아 만드는 보양 음식. 삼복에 보신이 되고 원기를 돕는다. - 네이버 국어사전 삼계탕이라는 음식이 제철이 있는 채소나 해산물로 만드는 것도 아니고 연중 어느 때나 쉽게 먹을 수 있고, 만들 수 있지만 삼복인 초복, 중복, 말복. 복날에 챙겨 먹는 삼계탕은 각별한 의미가 있는 것도 같다. 복날은 그 많은 여름 날 중에 콕 집어서 딱 그 날 보양식을 먹어야 하는 것처럼 집단적인 현상을 가지는데, 집단적임에 우호적이지 않은 나도 이상하게 복날은 그 집단적인 현상이 ...
    Date2013.07.22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0 Views3454 file
    Read More
  3. 부대찌개

    조금만 추워지면 바로 생각나는 부대찌개. 여태 올린 것과 대동소이하다. 양파, 대파에 햄, 소세지, 베이컨, 차돌박이 등 햄파티를 하고 그 위에 김치, 베이크드빈스, 양념장을 넣고 사골육수, 감자당면사리로 조립한다. 없는 재료는 적당히 생략해도 괜찮고, 여러 맛있는 소세지나 햄을 더 추가해도 좋다. 취향에 따라 떡, 데친 마카로니, 두부, 물만두, 팽이버섯 등의 재료를 소량 추가한다 냉동중화면이나 냉동우동면, 삶은 라면사리, 떡사리 등을 넣기도 하고 다 좋다. 당면은 늘 사용하는 이거 http://naver.me/5SWZpNgT 재료 소세지 2~3개 스팸...
    Date2021.11.1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2 Views3517 file
    Read More
  4. 소고기 된장전골

    찌개맛된장을 사용한 소고기 된장전골. 맛된장이라고 거창한 건 아니고 평소 된장찌개 만들 때 꺼내오는 재료를 분량을 늘여서 미리 배합해둔 것이고, 간조절에 신경을 썼었다. 된장찌개 하려고 청양고추 한 봉투 사오면 버리는 일이 생기는데 이렇게 만들어두면 편하다. 소고기 된장찌개와 비슷하지만 전골냄비에 끓이고 전골 느낌으로 먹으면 전골이고 찌개 느낌으로 끓이고 찌개라고 생각하고 먹으면 찌개고 그렇다. (전골냄비에 담았으면 다 전골이야!) 전에 올린 맛된장 곱창만두전골 https://homecuisine.co.kr/hc10/96393 에서 이야기한 것처...
    Date2021.02.01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2 Views3644 file
    Read More
  5. 라면전골

    오랜만에 라면전골 당장 집에 라면이 스낵면 뿐이라 고운 고춧가루와 다진마늘을 평소보다 조금 더 사용했다. 좀 더 칼칼하고 얼큰한 라면이 라면전골에 잘 어울린다. 재료 라면 2개 물 1~1.1리터 고운고춧가루 1~1.5스푼 다진마늘 1.5스푼 샤브샤브용 소고기 300~400그램 알배추 대파 듬뿍 어묵탕용 오뎅 4개 (선택) 팽이버섯 1봉투 (선택) 밥 계란 후추 참기름 1. 샤브샤브용 고기, 알배추, 대파흰부분, 버섯 오뎅 등 취향에 따라 재료 준비한다. 2. 물에 라면스프, 고춧가루, 다진마늘을 넣고 끓이기. 취향에 따라 고추기름이나 고춧가루, 후추를 ...
    Date2022.02.06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0 Views3648 file
    Read More
  6. 돼지고기 사골우거지탕

    시판사골육수, 돼지고기 갈매기살, 배추우거지, 된장양념으로 우거지탕을 푹 끓였다. 재료만 준비하면 우르르 넣고 푹 끓이면 끝이라 오리탕이나 감자탕과 비슷한 맛을 내는 것 치고는 많이 간단하다. 돼지고기는 쫄깃쫄깃한 갈매기살이 찌개나 탕에 잘 어울려서 좀 많이 사서 김치찌개도 해먹고 우거지탕에도 사용했는데 어느 부위를 사용해도 괜찮긴 하다. 말린 우거지는 아니고 푸른 겉잎을 데친 것을 사용했다. 요즘같이 배추 겉잎이 남는 계절에 딱이다. 오리탕과 감자탕의 중간적인 느낌인데 갈매기살 육질이 오리탕의 오리와 비슷해서 쫀득쫀...
    Date2021.11.3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2 Views3702 file
    Read More
  7. 낙곱새

    늘 마음이 쓰이는 레시피인 낙곱새. 자주 올리지는 않았지만 언제라도 해먹을 수 있도록 양념과 주재료를 늘 냉동해두고 있고 양파 대파도 늘 집에 있으니까 하루 전에 냉장실에 옮겨 해동만 하면 되는 메뉴이다. 낙곱새라는게 일종의 짜글짜글한 전골이라 주재료+채소+전골다대가+육수+사리의 조합으로 어떻게 만들어 먹어도 맛있다. 낙곱새로 검색한 링크 https://homecuisine.co.kr/index.php?mid=board_secret2&act=IS&is_keyword=%EB%82%99%EA%B3%B1%EC%83%88&where=document&search_target=title&page=1 낙곱새양념(전골다대기) 재료 고운고춧...
    Date2022.02.13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0 Views3709 file
    Read More
  8. 사태 된장전골, 전골이야기

    올 겨울에는 편하게(혹은 안편하게도) 전골을 많이 했다. 요즘 집에서 밥을 덜 먹으면서 음식을 만드는 폭은 요즘 좁아졌지만 그래도 음식을 준비하고 생각하는 시간에는 나름대로 열심히 생각한다. 그래서 전골에 대해서 곰곰히 생각해보니;; 베이스로 1. 얼큰 (진하게/시원하게) 2. 얼큰자박 3. 기본된장 4. 맛된장(된장자박) 5. 간장이나 맑은 로 나누어서 양념을 만들고 어울리는 주재료와 육수의 종류와 양을 설정하고(추가재료에 따라 양념장+육수상태로 따로 덜어놓기도하고), 그에 어울리는 채소를 고르면 무조건 맛있다. 주재료로 소고기(차...
    Date2019.02.25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6 Views3732 file
    Read More
  9. 맛된장 대패대파전골

    맛된장, 대파, 대패목살로 만든 맛된장 대패전골. 예전에 일본방송을 올린 글에서 보고 만든 대패삼겹 된장구이 https://homecuisine.co.kr/hc20/24653 에서 아이디어를 얻어서 내 식대로 만들었다. 먼저 필요한 것은 맛된장 https://homecuisine.co.kr/hc10/82320 청양고추 80그램 (약 20개) 다진마늘 120그램 다진대파 120그램 (흰부분 5~8대) 시판된장 100그램 집된장 100그램 고추장 100그램 고춧가루 50그램 670그램 / 5등분 각 2~3인분 집된장이 없으면 대두, 소금, 주정, 종국 정도로 최소한의 재료가 들어간 시판 된장을 사용하면 적당하다. ...
    Date2019.10.15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9 Views3748 file
    Read More
  10. 부대볶음 만들기

    매년 돌아오는 부대볶음. 내용도 결론도 똑같은 걸 너무 자주 올릴 수는 없으니까 최대한 자제해서 1년에 1회 정도만 올리고 있다. 사용한 재료는 2~3인분으로 양배추 2줌 대파 1대 양파 반개 김치 4잎 베이컨 150그램 스팸 작은것 반캔 그릴소세지 1~2개 비엔나소세지 한줌 라운드햄 약 100그램 (최대한 여러종류) 양념으로 (계량스푼사용) 고운고춧가루 2스푼 고추장 1스푼 간장 1스푼 다진마늘 2스푼 청주 1스푼 생강약간 후추약간 사골육수 약 300미리 (필요시 400까지) 면사리 1인분 김치는 잘 익은 김치를 사용하기도 하고, 냉장고에 미리 볶아...
    Date2019.09.15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11 Views3868 file
    Read More
  11. 부대볶음

    부대찌개보다 훨씬 더 자주 만드는 부대볶음. 부대찌개에 들어가는 재료를 끓이지 않고 볶아서 만든다. 레시피는 맨날 똑같다. 평소 좋아하는 햄이나 소세지를 사용하고 채소도 듬뿍 넣은 다음 양념장 넣고 볶다가 사골육수는 약간 모자란듯이 부어 짜글짜글하게 완성해서 적당히 먹다가 사리도 듬뿍 넣고 볶음밥으로 마무리하면 완벽하다. 재료는 2~3인분으로 양배추 3줌 대파 흰부분 1대 양파 반개 김치 3~4잎 베이컨 150그램 스팸 작은것 반캔 소세지 2~3개 (햄과 소세지는 최대한 여러종류로 합해서 500~600그램) 양념으로 고운고춧가루 2스푼 고...
    Date2021.01.1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6 Views4042 file
    Read More
  12. 감자탕

    맛있게 만드는 법 2014/06/15 감자탕 냉동 돼지등뼈는 집에 없으면 늘 있어야 할 것 같고 있으면 하기 귀찮고.. 그래서 늘 냉동실에 두고만 있었는데 본격적인 여름이 되기 전에 한 번은 해먹고 넘어가야겠다 싶어서 조금 덥긴 하지만 일단 등뼈를 해동하기 시작했다. 냉장실에서 이틀정도 해동한 등뼈로 감자탕 만들기 시작. 등뼈를 고으는 것 자체는 별로 힘들지 않은데 고기 손질하고 데치는게 귀찮아서 그렇다. 그것만 지나고 나면 귀찮을 것도 없구만.. 싶다. 그리고 냉동실에 김치 담을 때 남은 배추 겉대를 삶아 놓은 우거지가 있어서 편하게 ...
    Date2014.06.15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0 Views4150 file
    Read More
  13. 꽃게알탕, 서더리매운탕

    알탕을 하려다가 육수에 명란만 있으면 국물이 좀 심심할 것 같아서 꽃게를 넣어 꽃게알탕을 했다. 사용한 채소는 무, 대파, 청양고추 뿐이다. 명란을 가장 먼저 사두고 냉동 꽃게 해동하고 장도 안보고 있다가 집에 당장 있는 채소인 무, 대파, 청양고추만 사용했는데 미리 채소를 준비할 여유가 있을 때는 팽이버섯, 방아잎, 깻잎, 미나리, 쑥갓 중에 취향에 맞는 채소를 골라 다양하게 준비하면 더 좋다. 생선과 달리 꽃게와 명란에는 기름이 없기 때문에 고추기름 약간을 넣으면 더 맛있고 산초나 제피를 약간 넣는 것도 좋아한다. 육수를 내기 ...
    Date2019.04.29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2 Views4162 file
    Read More
  14. 대패삼겹배추찜

    배추가 제철인 요즘, 재료도 단촐하고 만들기도 간편하고 맛도 좋은 대패삼겹살 알배추찜. 재료 (2인분) 알배추 1통 (800그램) 대파 흰부분 2대 대패삼겹살 700~800그램 물 2스푼, 피시소스 1.5스푼 유자폰즈 5스푼, 연겨자 약간 찍먹소스는 간장, 식초, 설탕, 유자청, 물을 넣어도 되는데 시판 소스를 사서 사용했다. (미츠칸 아지폰 소스) 고기는 대패목살이나 차돌박이도 좋고, 전골에 생강이나 부추, 쪽파를 더 곁들여도 좋다. 소스에 다진마늘을 약간 넣어도 좋음. 알배추는 씻어서 물기를 닦고 송송 썰고, 대파도 반으로 갈라서 어슷 썰고, 대...
    Date2022.11.24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0 Views4250 file
    Read More
  15. 사태 곱창전골, 레시피, 만들기

    곱창전골+소고기사태전골 버전이다. 사태 전골은 고기도 듬뿍이고 맛있는데 덜 기름진 면이 아쉽고 곱창전골은 곱창을 좀 줄여도 되겠고 대신에 고기를 추가하면 좋겠고 하는 의견을 수렴해서 상호보완했다. 국물은 곱창전골 스타일의 얼큰한 버전으로 하고 채소는 좋아하는 걸로 조합했다. 사태를 삶는데 시간이 꽤 걸리는 것이 번거로운데 사태 대신 샤브샤브용 고기를 사용해서 만들면 더 간편하다. 곱창은 사용하지 않고 대창만 사용했다. 한우대창을 넉넉하게 구매해서 씻고 100그램씩 소분하고 래핑해서 냉동해두었다가 곱창전골, 낙곱새, 곱창...
    Date2019.12.3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2 Views4389 file
    Read More
  16. 부대찌개 레시피, 양념, 재료

    (잡담주의, 레시피는 잡담 아래.) 부대찌개의 핵심은 부대찌개에 보통 넣는 햄이라고들 한다. 보통은 가공식품 함량에 고기가 적어야 제 맛이라는 음식이 별로 없는데, 유독 부대찌개는 예외로 치는 것 같다. 가공식품 자체의 퀄리티보다는 전부터 부대찌개에 써 온 재료를 고집하며 원래 부대찌개의 맛은 이렇다고 하는데 내가 무뎌서 그런지 원래가 뭔지 잘 모르겠다. 이름이 부대라서 그런가? 이는 전통적인 음식이 아니고 비교적 최근에 생겨서 새로운 포맷을 가졌는데도 불구하고 원론주의자가 강세인 것이 특징인데, 현대적으로 제창된 제사같...
    Date2020.04.02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7 Views4864 file
    Read More
  17. 낙곱새, 낙지볶음, 레시피, 만들기

    겨울이면 밥상에서 불을 켜고 해먹는 음식을 자주 만드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좋아하는 것이 낙곱새이다. 낙곱새양념(=전골다대기)을 대량으로 만들어두었다가 사용한다. 전골다대기는 1달 넘게 보관할 것이면 냉동보관했다가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전골다대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5421 구구절절 낙곱새 이야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5445 재료 (2~3인분) 양파 1개 대파 흰대 2~3대 낙지 300그램 (손질 후) 대창 100그램 새우 150그램 (해동 후) 낙곱새양념 200그램 사골육수 300~400미리 (300 먼저 넣고 필요하면 조절) ...
    Date2021.01.27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6 Views5573 file
    Read More
  18. 라면전골, 마라탕면으로 마라전골

    날씨가 추워지면 전골의 계절이 돌아오는데 그 때 묻어서 함께오는 라면전골. 1년마다 올리는데 내가 해먹는 횟수와는 상관없이 없고 요즘처럼 쌀쌀해지는 쿨타임이 찰 때까지 기다렸다가 올린다. 좋아하는 라면이면 다 좋지만 그 중에서도 맛이 좀 찐한 라면을 주로 사용했었고 이번에는 마라탕면을 사용했다. 마라탕면이 나온지는 꽤 되었는데 컵라면을 먹어보니 이건 라면전골각이다 생각했다. 그 생각을 했을 때는 아주 더울 때였는데 추워지자마자 라면을 사와서 해먹고 있다. 다른이야기로.. 훠궈/마라탕소스의 위생에 대해 의구심이 가는 일이...
    Date2019.11.1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5605 file
    Read More
  19. 오리탕 레시피

    광주의 유명한 오리요리인 오리탕. 가서 먹어보지는 못했고 주문해서 먹어봤다. 오리탕의 특징을 꼽자면 1. 오리 푹 고기 (뼈 바르고 뼈만 먼저 곤 다음 오리살을 넣기 or 통오리 그대로 삶기 or 토막내서 삶기) 2. 들깨 사용 (물에 들깨넣고 믹서로 갈아서 만든 들깨즙을 체에 거르기 or 거피들깻가루 사용하기 + 들깨즙에 캐슈넛 갈아서 같이 넣어도 좋음) 3. 토란대나 머위대 사용 (우거지, 고구마줄기, 고사리, 죽순, 표고버섯도 좋음) 4. 된장간을 베이스로 얼큰구수하게 조절하기. 마늘 넉넉하게 들어감 5. 오리탕 완성 후 전골냄비에 담은 다...
    Date2021.04.27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14 Views5634 file
    Read More
  20. 얼큰 사태 수육 전골, 수육전골

    한우 사태도 넉넉하게 사뒀고 날씨가 추워지면서 수육으로 얼큰전골, 된장전골, 맑은전골을 만들었다. 사태를 푹 삶아서 사용했는데 양지를 사용해도 괜찮고 스지를 추가하면 더 좋다. 사용한 재료를 보면 사태가 600그램인데 사태는 600그램만 2시간동안 삶으면 효율이 좋지 않으니까 1.2키로 삶아서 반은 전골에 반은 장조림에 사용했다. 소고기 수육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65240 소고기 메추리알 장조림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70774 사용한 재료는 사태 600그램 2시간 삶은 것 + 육수 대파 2대 마늘 1줌 육...
    Date2018.10.15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5643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